KR20080071583A -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필터 - Google Patents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583A
KR20080071583A KR1020087013148A KR20087013148A KR20080071583A KR 20080071583 A KR20080071583 A KR 20080071583A KR 1020087013148 A KR1020087013148 A KR 1020087013148A KR 20087013148 A KR20087013148 A KR 20087013148A KR 20080071583 A KR20080071583 A KR 2008007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tration
nanofibers
nanofiber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디슬라브 마레스
데이비드 페트라스
페트르 쿠즐
Original Assignee
엘마르코 에스.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마르코 에스.알.오. filed Critical 엘마르코 에스.알.오.
Publication of KR2008007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02F1/5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by oligodynam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직물 섬유를 포함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필터는 적어도 한 쌍(L)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이 나노섬유 층 중에서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의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된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된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에 의해 표시되고,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이 여과 나노섬유 층(3)에 의해 제거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보다 작다. 본 발명은 또 공기 필터, 정수 필터, 및 생물학적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여과, 매체, 생물학적, 불순물, 필터

Description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Filter for removing of physical and/or biological impurities}
본 발명은 직물 섬유를 포함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여과될 공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직물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흡기 및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내측 직물층 및 외측 직물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face scree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여과될 물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치수의 입자들로 구성된 모래 필터(sand filter)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호흡하고 있는 대기 중에는 산업생산 또는 생태학적 재해에 의해서 뿐만아니더라도 비교적 다량의 먼지, 유해 화학물질 및 다양한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은 많은 박테리아 질환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원인으로서 인체에 유해하다.
종래, 호흡하는 공기를 청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 호흡장치, 가스 마스크, 필터 및 유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 수단의 거의 대부분은 우선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원리는 특히 먼지 입자 또는 유사한 미립자 불순물이 포획될 가능성을 최고로 높이기 위해 다소 복잡한 미로(예, 직물로 구성된 미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유해 화학물질, 전투 가스(combat gases), 및 예를 들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전술한 수단에는 다양한 형태의 활성탄소로 구성되거나 다양한 형태의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이 더 추가된다. 상기 수단들의 효율을 확장 또는 증대시키기 위해, 활성탄소의 층에 통상 활성탄소의 입자의 코팅을 형성하거나 활성탄소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다른 화학물질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US 5714126호에는 호흡장치의 여과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여과 시스템은 일층의 활성탄소 및 이 일층의 활성탄소와 상이한 이층의 활성탄소로서 황산염, 몰리브덴 또는 유사 물질로 구성된 층으로 코팅된 활성 석탄의 입자로 구성된 활성탄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수단의 단점은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부분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미생물이 사용자의 기도 내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는 점 및 상기 수단의 구조 내에 포획된 미생물은 비교적 장기간 후에도 감염원 또는 오염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지의 다수의 해결책에 따르면, 흡기 내의 미생물이 여과 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물질을 구비한 새로운 층을 형성하거나 여과 수단을 구성 하는 기존의 층들에 상기 물질을 보충한다. 전술한 항균물질은 대체로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입되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현저하게 약화시킨다.
가장 효과적인 항균 효과를 가지는 물질은 이온 형태나 금속 형태의 은이므로 다수의 종래의 여과 수단은 화합물 형태의 은 입자나 은으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출원공개 제WO2005002675호에는 코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코 마스크의 하나의 구성 부재인 포켓에는 다수의 소형 개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개구 내에는 은 섬유 또는 전기석(tourmaline) 입자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물질은 미생물을 포획하거나 파괴시킴으로써 코 마스크에 항균 특성을 부여한다.
은을 함유하는 미생물 제거수단에 관련된 이 해결방법 또는 대부분의 해결방법의 단점은 별도의 마스크 본체의 제조단계, 별도의 항균물질(예, 은 섬유 또는 은 입자) 제조단계,및 이들을 최종 제품으로 조립하는 단계를 거의 항상 포함하므로 그 제작공정이 비교적 복잡하다는 점이다.
위와 유사한 문제는 건물 또는 차량의 공기청정 회로의 공기 청정 분야에도 존재한다. 또한 직물 제품(예, 양말이나 타월) 내의 미생물이나 기타 생물학적 불순물의 재생을 방지하기 위해 은의 항균효과를 이용하는 은을 함유하는 직물 섬유를 이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 정수시 물로부터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은을 이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비용이 고가이고 복잡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염소처리법을 통해 물로부터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한다.
물질의 콜로이드 상태의 연구로부터 고체 물질의 화학적 작용(촉매 작용)은 활성물질의 비표면적이 증가하면 증대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담체 내의 활성물질 입자의 치수를 감소시키면, 담체 내의 활성물질의 양을 소량으로 하거나 담체 내의 활성물질의 농도를 감소시켜도 필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활성물질의 입자의 치수를 감소시킴에 따른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발명의 원리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 필터는 적어도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이 나노섬유 층 중에서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의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된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된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표시되고,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이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제거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필터의 장점은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이 활성 나노섬유 층의 섬유들에 포함되어 있는 제거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저분자 물질과 접촉함으로써 살균되거나 적어도 약화되는 것에 있다.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된 제거된 생물학적 불순물은 활성 나노섬유 층 내에 유지되고, 그 불순물 상에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의 일부인 활성 물질이 작용한다.
필터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필터가 적어도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 쌍은 상이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상이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각 쌍의 나노섬유 층은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더 작은 치수의 틈새를 구비하고, 각 후속되는 쌍의 나노섬유 층은 선행하는 쌍의 나노섬유 층보다 작은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필터의 효율을 보존하면서 필터의 나노섬유 층의 수를 줄이는 것은 청구항 3에 의해 달성된다. 선행하는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은 후속되는 쌍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을 형성하고, 후속하는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제1의 쌍의 나노섬유 층은 박테리아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되고, 제2의 쌍의 나노섬유 층은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분되는 기능이 유리한 것은 포획되는 생물학적 불순물의 크기가 다르고, 동시에 포획되는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합한 저분자 물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이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 나노섬유 사이에 상기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최소의 박테리아의 치수보다 작은 여과 매체의 통과용 틈새가 존재하고, 제1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은 각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되는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 박테리아성 저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동시에 제2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이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 나노섬유 사이에 상기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바이러스의 치수보다 작은 여과 매체의 통과용 틈새가 존재하고, 제2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은 제2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되는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 바이러스성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포획 및 제거되는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에 따라 다수 쌍의 나노섬유 층으로 분리함으로써 차례대로 배열된 다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치수에 따라 특정 크기의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하는 표적 작용(targeted action)이 가능해 진다.
제1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는 300 내지 700 nm이고, 따라서 박테리아의 크기가 350 내지 1000 nm의 범위이므로 박테리아의 포획이 가능하다.
제2의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50 내지 200 nm이다. 이 치수에 의해 특성 치수가 10 내지 150 nm인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포획될 수 있다. 현재의 기술의 관점에서 50 nm 미만의 바이러스를 포획하는 것은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 사이에 10 nm 미만의 여과 매체의 통과용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시예는 두께가 최대 수십 나노미터에 달하는 나노섬유 층을 제조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의 나노섬유 층의 표면 중량은 0.1 내지 0.3 g/m2의 범위인 것이 유리하고, 각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표면 중량은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그 전방에 위치하는 각 쌍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의 표면 중량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이 구성에 의해 나노섬유 층의 여과 매체에 대한 침투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여과 나노섬유 층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고, 활성 나노섬유 층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각 저분자 물질의 입자 또는 공지의 방법을 통해 방사 후의 나노섬유 내에 각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생성한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나노섬유 층을 위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나노섬유의 미세도(finess) 및 적층되는 저분자 물질의 입자의 함량 및 치수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조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활성 나노섬유 층 내에 가해진 저분자 물질은 그 나노섬유 층 내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타 미생물에 따라 선택된다. 제거되는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분자 물질은 금속 형태의 은, 은 화합물, 제4암모늄염 및 PVP 요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저분자 물질이다.
나노섬유의 직경은 50 내지 700 nm의 범위이고, 나노섬유 층의 침투성을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 연속되는 각 나노섬유 층 내의 여과 매체 통과 방향에서 각 나노섬유 층 내의 나노섬유의 직경은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대응하는 나노섬유 층의 표면 중량도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된 저분자 물질의 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 나노섬유 내에 적층 및 고정되고, 동시에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 내의 하나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의 치수 또는 다수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의 치수는 5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의 치수는 나노섬유의 직경에 대응한다.
전술한 필터는 기체 또는 액체를 여과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고, 이 필터에 의해 불리적 불순물 뿐 아니라 특히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빈번히 처리되는 여과 매체는 공기 또는 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필터의 원리는 적어도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 한 쌍의 나노섬유 층 중에서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의 제1의 층은 제거되는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되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유효한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제2의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이고,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동시에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보다도 작다.
본 발명은 또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이 페이스 스크린은 외측 직물층 및 내측 직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직물층 및 내측 직물층의 사이에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가 300 nm인 여과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이 배치되고, 페이스 스크린의 표시에 따라 공기 통로의 방향에서 여과 나노섬유 층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살박테리아성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물리적 불순물을 포획할 수 있고, 박테리아로 구성된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생물학적으로 오염된 환경의 생물학적 불순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거나 생물학적 불순물의 호기를 저지(예, 주변 사람이 호기한 생물학적 불순물에 노출된 환자를 보호하는 것)하기 위한 것이다.
주변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노출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의 여과 나노섬유 층은 흡기 방향에서 내측 직물층의 전방에 배치되고,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과 외측 직물층의 사이에는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살 박테리아성 물질의 입자를 구비한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이 존재한다.
생물학적 불순물의 호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술용 페이스 스크린의 여과 나노섬유 층은 호기의 방향에서 외측 직물층의 전방에 배치되고, 중합체 나노섬유에 의해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과 내측 직물층의 사이에는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살 박테리아성 물질의 입자를 구비한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이 배치된다.
생물학적 불순물의 흡기 및 호기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여과 나노섬유 층을 통해 상호 대면하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한다.
동시에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은 공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박테리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300 내지 700 nm이고,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치수는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은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 살 박테리아성 쌍의 나노섬유 층의 후방에 배치된 살 바이러스성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 층의 살 바이러스성 쌍의 여과 나노섬유 층은 나노섬유들 사이의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50 내지 200 nm 치수의 틈새를 구비하고,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 살 바이러스성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전방에 살 바이러스성 물질로 구성된 입자를 함유한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이 위치되어 있다.
동시에 살 바이러스성 쌍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가 살 바이러스성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보다 크고, 동시에 살 박테리아성 쌍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필터의 원리는 모래 필터의 후방에 적어도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이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 한 쌍의 나노섬유 층 중의 정수될 물의 통과 방향에서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될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이고,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될 물이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될 물이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동시에 제거될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치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피여과 매체의 유동방향이 표시된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나의 나노섬유 층을 공유하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표시된 공기 필터의 단면도,
도 5는 정수 필터의 개략 단면도,
도 6a는 흡기 중의 공기의 유동방향이 표시된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6b는 호기 중의 공기의 유동방향이 표시된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6c는 호흡시 생물학적 불순물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6d는 하나의 여과 나노섬유 층을 공유하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7은 하나의 나노섬유 층을 공유하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8은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는 페이스 스크린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직물용 섬유를 포함하는 피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는 한 쌍의 나노섬유 층(L)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나노섬유 층 중에서 여과될 매체의 통과방향에서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될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효과적인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 나노섬유로 제 조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다. 상기 한 쌍의 나노섬유 층 중에서 여과될 매체의 통과방향에서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으로서,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피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gaps)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피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이 여과 나노섬유 층(3)을 통해 제거될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입자의 치수보다도 작다.
도 2는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필터는 두 쌍의 나노섬유 층(L1, L2)을 포함한다. 이들 각 층은 하나의 상이한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상이한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된 것이다.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은 나노섬유로 형성된 것으로서, 나노섬유들 사이에는 피여과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새가 존재한다. 이들 틈새는 이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최소 박테리아의 크기보다 작다.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은 각 여과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된 박테리아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성 저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제조된다.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은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이들 나노섬유 사이에는 피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가 존재한다. 이 틈새의 치수는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바이러스의 크기보다 작다.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은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되는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 바이러스성(virucidal)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된다.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의 여과 나노섬유 층(32) 및 활성 나노섬유 층(22)은 또한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에 의해 포획 및 제거된 박테리아보다 작은 크기의 박테리아를 포획 및 제거하는 작용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사용하는 경우, 피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치수는 나노섬유 층(21, 31, 22, 32)을 따라 진행할수록 점차로 작아진다. 나노섬유들 사이의 최대 틈새는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 내에 존재한다. 나노섬유들 사이의 보다 작은 틈새는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 내에 존재한다. 이 층은 최대 크기의 미생물(통상, 박테리아)을 포획하는 작용을 한다. 나노섬유들 사이의 더 작은 틈새는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 내에 존재한다. 나노섬유들 사이의 최소의 틈새는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 내에 존재한다. 도시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활성 나노섬유 층(2i) 및 여과 나노섬유 층(3i)을 포함하는 다른 쌍(Li)의 나노섬유 층이 사용된다.
박테리아의 크기는 350 내지 1000 nm의 범위이다. 따라서, 최소의 박테리아를 포획하기 위한 여과 나노섬유 층의 나노섬유 사이의 틈새의 치수는 최대 300 nm이면 충분하다. 바이러스의 특성 치수(characteristic dimension)는 10 내지 200 nm이다.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electrostatic spinning)을 이용하면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가 50 nm 이상인 나노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50 nm 이상 의 바이러스는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모든 크기의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0nm보다 작은 치수(예, 6 내지 9nm)의 나노섬유 사이의 피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를 구비하는 여과 나노섬유 층을 제조해야 한다. 여과될 매체를 위한 여과 나노섬유 층의 침투성을 유지하기 위한 나노섬유의 직경은 수 나노미터 또는 수십 나노미터이고, 나노섬유의 최적의 직경은 10 내지 30 nm의 범위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여과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필터는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있고, 이 두 쌍의 나노섬유 층의 각각은 하나의 상이한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상이한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은 동시에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에 의해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서 형성된다. 대응하는 여과 나노섬유 층(31, 3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는 여과 나노섬유 층(31, 32)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입자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 입자의 치수에 따라 그리고 대응하는 여과 나노섬유 층(31, 32)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조성에 따라 형성된다. 각 활성 나노섬유 층(21, 22)의 나노섬유 내에 함유되 는 효과적인 저분자 물질이 선택된다.
박테리아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한 나노섬유 층의 단일 쌍(L) 또는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 또는 31)의 나노섬유들 사이에서 여과될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포획되어야 할 박테리아의 크기에 따라 300 내지 700 nm의 범위이다.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한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의 나노섬유들 사이에서 여과될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포획되어야 할 바이러스의 크기에 따라 50 내지 200 nm의 범위이다.
나노섬유 층의 표면중량(surface weight)은 0.1 내지 0.3 g/m2의 범위이고, 나노섬유 층의 대응하는 쌍(L, L1, 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 31, 32)의 표면 중량은 여과 매체의 유동방향의 전측의 나노섬유 층의 대응하는 쌍(L, L1, 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의 표면 중량 보다 작다.
여과 나노섬유 층(3, 31, 32)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고,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대응하는 저분자 물질의 입자 또는 공지의 방법을 통해 방사 후의 나노섬유 내에 대응하는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생성한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된다.
박테리아에 대하여 활성을 가지는 저분자 물질은 금속형태의 은, 은 화합물(예, 은의 염 및 제4암모늄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저분자 물질이다. 바이러스에 대하여 활성을 가지는 저분자 물질은 예를 들면 PVP 요소 및 바이러스에 대하여 활성을 가지는 다른 공지의 저분자 물질이다.
나노섬유의 직경은 50 내지 700 nm의 범위이고, 각 연속 배열된 나노섬유 층 내의 여과될 매체의 유동방향에서 각 나노섬유 층 내의 나노섬유의 직경은 나노섬유들 사이에서 여과될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된다. 나노섬유 층의 쌍(L, L1, 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의 나노섬유 내의 하나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 또는 다수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의 특성 치수는 5 내지 100 nm의 범위이다. 저분자 물질의 입자는 나노섬유의 중합체 내로부터 나노섬유의 표면까지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공기 및 물의 여과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공기정화 회로 내에서의 공기청정을 위한 공기 필터는 다양한 두께의 직물용 섬유로 형성된 다수의 여과 층(1a, 1c)을 포함하고, 각 층의 공기 유동방향에서의 섬유의 직경, 특히 직물 층 내의 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치수는 점차 감소된다. 동시에, 필터의 공기 투과성을 최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에 대한 저항이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직물층은 종종 활성탄소(1b)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여과층과 결합된다. 여과층(1a, 1b, 1c)의 공기유동 방향의 후방에는 하나 이상의 나노섬유 층의 쌍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된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이 도시되어 있다. 직물 여과층(1c)의 공기유동방향의 후방에는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이 배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 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이 배치되어 있다.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후방에는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이 배치되어 있고, 그 나노섬유 층(22)은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과 인접해 있다. 최후의 나노섬유 층은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층(32)이고, 그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에는 피복용, 담지용 또는 지지용 직물층(4)이 배치되어 있다.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은 박테리아를 포획 및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은 바이러스를 포획 및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필터의 각 층들은 접착되거나 또는 필터의 형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결합방법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필터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면, 기계적인 불순물, 특히 먼지 입자는 직물 여과층(1a, 1c) 상에서 포획되고, 화학적 물질, 예를 들면 악취 또는 유해 화학 물질들은 활성탄소로 구성된 여과층(1b) 상에서 포획된다. 조대한 먼지 입자 및 미세 먼지 입자가 여과된 후, 공기는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을 통과한다. 이 활성 나노섬유 층은 적어도 하나의 살 바이러스성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입자들을 함유하고, 금속 은 또는 제4암모늄염에 의해 각 활성 나노섬유 층(21)의 후방에 위치된 나노섬유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된 박테리아를 살균 또는 약화시킨다. 공기가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가 가능한 제2의 쌍(L2)을 통과하면, 이들 바이러스는 각 여과 나노섬유 층(32)에서 포획되고, 대응하는 활성 나노섬유 층(22)에 의해 살균되거나 약화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를 청정시키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크린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었을 때 피부에 대한 영향이 최소인 물질을 이용하여 멜트 블로우법으로 제조되는 내측 직물 층(4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페이스 스크린에는 이 스크린을 움직이지 않도록 안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공지의 수단(도시 생략) 및 스크린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또는 기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내측 직물 층(41)은 또 공지의 부직포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직조직물 또는 니트직물(knitted textile)도 배제되지 않는다.
내측 직물 층(4) 상에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 방사법을 통해 제조된 직경이 50 내지 700 nm의 범위인 중합체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여과 나노섬유 층(3)이 적층되어 있다. 이 여과 나노섬유 층의 작용이 미세 먼지 입자 및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하는 것이므로 각 나노섬유들 사이의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포획되어야 하는 최소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물리적 불순물의 크기보다 작다. 박테리아를 포획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는 300 nm에 이른다. 이것은 상기 여과층이 특성 치수가 350 내지 1000 nm의 범위인 모든 박테리아를 포획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섬유의 틈새의 치수 및 섬유의 직경은 방사처리될 중합체 용액의 종류 및 조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의 비율 및 전극 및 정전 방사장치의 기술적으로 영향을 받는 부분의 구조 및 배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의 비율까지 증대될 수 있다.
공기 흡기방향에서 여과 나노섬유 층(3)의 전측에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활성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용액(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함)의 정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 나노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은 직경이 50 내지 750 nm의 범위로서, 박테리아에 대해 유효한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본 실시예에서 금속 형태의 은, 은 화합물(예, 은의 염 또는 제4암모늄염)이다. 이 활성 나노섬유 층(2)은 활성 나노섬유 층(2)을 통해 유입되는 흡기 내에 포함된 광범위한 박테리아 및 여과 나노섬유 층(3)에 의해 포획된 광범위한 박테리아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파괴하거나 현저하게 약화시킨다.
공기의 흡기방향에서 활성 나노섬유 층(2)의 전방에는 임의의 공지의 직물(부직포가 바람직함)로 형성된 외측 직물층(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외측 직물층은 무엇보다 조대한 먼지 입자를 여과하는 기능을 하므로 나노섬유 층의 쌍(L)이 폐색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 준다. 도 6a에서 공기 흡기방향은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호기에 의한 생물학적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b(호기의 방향이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사람들의 호기에 의한 생물학적 불순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생물학적 불순물의 호기를 방지하기 위한 수술용 페이스 스크린의 여과 나노섬유 층(3)은 호기의 방향에서 외측 직물 층(1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여과 나노섬유 층(3)과 내측 직물층(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살 박테리아성 물질을 함유하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어 있다.
도 6c에는 흡기 및 호기시의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이 도시되어 있다. 이 페이스 스크린은 전술한 페이스 스크린을 두개 조합한 것으로서 여과 나노섬유 층(31, 32)에 의해 상호 대면하는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한다.
도 6d에는 흡기 및 호기시의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페이스 스크린은 전술한 페이스 스크린을 두개 조합한 것으로서 하나의 공통의 여과 나노섬유 층(312)을 가지는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한다.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의 흡기는 외측 직물층(11) 및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 및 여과 나노섬유 층(31)을 통과한다. 포획 및 제거되어야 하는 생물학적 불순물은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되고, 이들 불순물은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 내에서 살균 또는 약화된다.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의 호기는 내측 직물층(41) 및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 및 여과 나노섬유 층(32)을 통과한다. 포획 및 제거되어야 하는 생물학적 불순물은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되고, 이들 불순물은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 내에서 살균 또는 약화된다.
호기는 여과 나노섬유 층(31) 및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1)을 통해 더욱 진행하고, 그 결과 흡기에 의해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 상에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의 일부를 해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물학적 불순물이 해방된 경우, 그 생물학적 불순물은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의 작용에 의해 이미 살균되거나 약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기 활성 나노섬유 층(22) 및 이 층 내의 활성이 있는 저분자 물질을 통과하고, 그 결과 계속적인 약화 작용에 의해 더욱 약화된 상태로 대기로 방출된다.
이와 유사한 과정이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나노섬유 층(32) 상에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이 호기에 의해 해방된 경우에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을 통해 호기가 통과할 때 발생하고, 그 결과 공기의 흡기시에 재감염이 방지된다.
도 7에 따른 페이스 스크린은 흡기 공기의 청정을 위해 구성된 것으로서, 이 페이스 스크린은 차례대로 배열된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 층의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은 동시에 나노섬유 층의 제2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이 된다. 그 여과 가능성 및 효과는 전술한 도 3에 따른 필터에 대응한다.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전체 범위의 박테리아 및 일부의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구성된 것이다.
도 8에 따른 페이스 스크린은 흡기 공기의 청정을 위해 구성된 것으로서,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례대로 배열된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한다. 또, 본 실시예의 스크린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 작용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페이스 스크린은 호기 공기의 청정을 위한 페이스 스크린 또는 양방향(two- sided) 페이스 스크린으로 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정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정수필터의 실시예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과된 물의 유동방향에서 상기 정수필터는 조대한 입자로 구성된 모래층으로부터 극세 입자로 구성된 모래층으로 구성된 다수의 모래층(P)층을 포함한다. 필터를 통해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모래층(P)의 후방에는 분배층(distribution layer; 5)이 배치되어 있고, 이 분배층의 후방에는 직물 여과층(1)이 배치되어 있고, 이 직물 여과층의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한 저분자 물질(금속 은 또는 은의 염이 바람직하다.)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구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직물 여과층(1)은 동시에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모래층(P)으로부터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필터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방향에서 상기 활성 나노섬유 층(2)의 후방에는 여과 나노섬유 층(3)이 배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담지용 또는 지지용 직물층(4)이 배치되어 있다. 정수필터의 기능은 앞에서 상술한 공기 필터의 기능과 원리가 동일하다.
전술한 모든 쌍(L, L1, L2, Li)의 나노섬유 층으로 구성된 필터의 모든 실시예에서, 박테리아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구성된 나노섬유 층은 표면 중량이 0.1 내지 0.3 g/m2이고,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구성된 나노섬유 층은 표면 중량이 0.1 g/m2 미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 나노섬유 층은 여과된 매체의 유동방향에서 그 전방에 배치된 활성 나노섬유 층에 비해 작은 표면 중량을 가진다. 모든 쌍(L, L1, L2, Li)의 다수의 나노섬유 층은 별도로 제조되거나, 제1의 섹션에서는 예를 들면 활성 나노섬유 층을 제조되고, 제2의 섹션에서는 여과 나노섬유 층이 제조되는 방사장치의 2개의 섹션을 1회 통과시킴에 의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방사장치 내에서 다수 쌍의 나노섬유 층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불순물로부터 사람 또는 동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물 속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직물섬유를 함유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어도 한 쌍(L)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상기 나노섬유 층 중의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된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고,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들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으로 표현되고,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보다 작고, 여과 나노섬유 층(3)에 의해 제거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성분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각각 상이한 하나의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상이한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을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각 쌍(L1, L2)은 나노섬유 층은 여과될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더 작은 치수의 틈새를 구비하고, 후속되는 쌍(L2)의 나노섬유층은 선행되는 쌍(L1)의 나노섬유 층보다 크기가 작은 생 물학적 불순물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선행하는 쌍(L1)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은 후속되는 쌍(L2)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을 형성하고, 후속되는 쌍(L2)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된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여과될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제1의 쌍(L1)의 나노섬유 층은 박테리아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되고, 여과될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제2의 쌍(L2)의 나노섬유 층은 바이러스의 포획 및 제거를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의 쌍(L1)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은 나노섬유들로 형성되고, 이들 나노섬유 사이에는 상기 여과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최소의 박테리아의 크기보다 작은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가 존재하고, 제1의 쌍(L1)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21)은 각 여과 나노섬유 층(31)에 의해 포획되는 박테리아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박테리아성 저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동시에 제2의 쌍(L2)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은 나노섬유들로 형성되고, 이들 나노섬유 사이에는 상기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바이러스의 크기 보다 작은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가 존재하고, 상기 제2의 쌍(L2)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은 제2의 쌍(L2)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는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바이러스성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300 내지 7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7. 제 2 항 또는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5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8.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층의 표면 중량은 0.1 내지 0.3 g/m2의 범위이고, 각 쌍(L, L1, L2)의 나노섬유 층의 여과 나노섬유 층(3, 31, 32)은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전방에 위치된 나노섬유 층의 각 쌍(L, L1, 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에 비해 작은 표면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9. 제 1 항 또는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여과 나노섬유 층(3, 31, 32)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방사법을 통해 제조되고,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의 중합체 나노섬유는 각각 저분자 물질의 입자 또는 공지의 방법을 통해 방사 후의 나노섬유 내에 각각 저분자 물질의 입자가 생성된 물질을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의 정전방사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저분자 물질이 금속 형태의 은, 은 화합물, 제4암모늄염, 및 PVP 요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저분자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나노섬유의 직경은 50 내지 700 nm의 범위이고, 각 연속되는 나노섬유 층 내의 여과 매체의 통과 방향에서 각 나노섬유 층 내의 나노섬유의 직경은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각 쌍(L, L1, L2)의 나노섬유 층의 활성 나노섬유 층(2, 21, 22)의 나노섬유들 내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 치수 또는 다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의 치수는 5 내지 100 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매체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매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매체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15. 여과 공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직물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필터는 적어도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여과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유효한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고, 제2의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이고,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보다 작고, 동시에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의 크기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공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직물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
  16. 외측 직물층 및 내측 직물층을 포함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직물층(11) 및 내측 직물층(41)의 사이에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가 300 nm인 여과 나노섬유 층(3)을 포함하는 한 쌍의 나노섬유 층이 배치되고, 페이스 스크린의 표시에 따라 공기 통로의 방향에서 여과 나노섬유 층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살박테리아성 저분자 물질의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나노섬유 층(3)은 흡기 방향에서 내측 직물층(41)의 전방에 배치되고,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과 외측 직물층(1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살 박테리아성 물질의 입자를 구비한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고, 상기 입자들은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여과 나노섬유 층(3)은 호기의 방향에서 외측 직물층(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중합체 나노섬유에 의해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 및 내측 직물층(4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살 박테리아성 물질의 입자를 구비한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 배치되고, 상기 입자들은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을 포함하고, 이들 나노섬유 층은 여과 나노섬유 층(31, 32)을 통해 상호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20. 제 19 항에 있어서, 두 쌍(L1, L2)의 나노섬유 층은 공통의 여과 나노섬유 층(3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치수는 300 내지 700 nm이고, 활성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치수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22.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스크린은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 살박테리아성 나노섬유 층의 쌍(L1)의 후방에 배치된 살바이러스성 나노섬유 층의 쌍(L2)을 포함하고, 상기 살바이러스성 나노섬유 층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은 나노섬유들 사이에 50 내지 200 nm의 크기의 공기 통과용 틈새를 구비하고, 공기의 통과 방향에서 살바이러스성 나노섬유 층의 쌍(L2)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의 전방에 살바이러스성 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바이러스성 나노섬유 층의 쌍(L2)의 활성 나노섬유 층(2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살바이러스성 나노섬유 층의 쌍(L2) 의 여과 나노섬유 층(3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크기보다 크고, 동시에 살박테리아성 나노섬유 층의 쌍(L1)의 여과 나노섬유 층(31)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틈새의 크기보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또는 호기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 스크린.
  24. 여과수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 필터에 있어서, 모래 필터(P)의 후방에 적어도 한 쌍(L)의 나노섬유 층이 배치되고, 이들 나노섬유 층 중에서 여과될 물의 통과 방향에서 제1의 나노섬유 층은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분자 물질의 입자들을 함유하는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활성 나노섬유 층(2)이고, 제2의 나노섬유 층은 중합체 나노섬유로 형성된 여과 나노섬유 층(3)이고, 여과 나노섬유 층(3)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수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는 활성 나노섬유 층(2)의 나노섬유들 사이의 여과수가 통과하기 위한 틈새의 크기보다 작고, 동시에 제거될 생물학적 불순물 또는 제거될 다수의 생물학적 불순물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수로부터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 필터.
KR1020087013148A 2005-11-10 2006-11-02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필터 KR20080071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20050700A CZ2005700A3 (cs) 2005-11-10 2005-11-10 Filtr pro odstranování fyzikálních a/nebo biologických necistot
CZPV2005-700 2005-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83A true KR20080071583A (ko) 2008-08-04

Family

ID=3780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148A KR20080071583A (ko) 2005-11-10 2006-11-02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필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264258A1 (ko)
EP (1) EP1954372A2 (ko)
JP (1) JP2009514667A (ko)
KR (1) KR20080071583A (ko)
CN (1) CN101304797B (ko)
AU (1) AU2006312891A1 (ko)
CA (1) CA2627188A1 (ko)
CZ (1) CZ2005700A3 (ko)
EA (1) EA013136B1 (ko)
WO (1) WO200705404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364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바이러스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에어필터 유닛 및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7975B2 (en) 2005-02-16 2010-05-18 Donaldson Company, Inc. Reduced solidity web comprising fiber and fiber spacer or separation means
DE602007013550D1 (de) 2006-02-13 2011-05-12 Donaldson Co Inc Filtergewebe, das feine fasern und reaktive, adsor
WO2008034190A1 (en) * 2006-09-21 2008-03-27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Metal oxide nanofibre filter
US7988860B2 (en) 2007-03-15 2011-08-02 Donaldson Company Inc. Superabsorbent-containing web that can act as a filter, absorbent, reactive layer or fuel fuse
DE102007018939A1 (de) * 2007-04-21 2008-10-23 Helsa-Automotive Gmbh & Co. Kg Filterelement mit Klebstoffsch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7815427B2 (en) 2007-11-20 2010-10-19 Clarco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olvent loss for electro-spinning of fine fibers
US7967588B2 (en) 2007-11-20 2011-06-28 Clarcor Inc. Fine fiber electro-spinning equipment, filter media systems and methods
BRPI0817217B1 (pt) 2007-11-20 2021-02-09 Clarcor Inc. meio filtrante que compreende fibras finas e método para formar o mesmo
NL2002036C (nl) * 2008-09-29 2010-03-30 Filo Engineering Werkwijze en systeem voor het produceren van textielmateriaal.
EP2364196B1 (en) * 2008-12-05 2013-03-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lter media with nanoweb layer
ES2477219T3 (es) 2009-02-17 2014-07-16 Essentra Porous Technologies Corp. Estructuras de fibras de transmisión de fluidos, de múltiples capas, que contienen nanofibras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tales estructuras
CZ2009152A3 (cs) * 2009-03-10 2010-11-10 Elmarco S.R.O. Vrstvený filtracní materiál a zarízení pro cištení plynného média
CN105477650A (zh) 2009-03-19 2016-04-13 Emd密理博公司 使用纳米纤维过滤介质从流体样品除去微生物
JP5600397B2 (ja) * 2009-04-28 2014-10-01 北越紀州製紙株式会社 静電紡糸ナノ繊維層を有するエアフィルタ用濾材
US20110210060A1 (en) 2010-02-26 2011-09-01 Clarcor Inc. Expanded composite filter media including nanofiber matrix and method
SG185659A1 (en) 2010-08-10 2012-12-28 Emd Millipore Corp Method for retrovirus removal
WO2012030798A1 (en) 2010-08-31 2012-03-08 Crosstex International, Inc. A filter mask having one or more malleable stiffening members
JP5924464B2 (ja) * 2010-10-26 2016-05-25 双葉石油株式会社 給水ラインの集中管理システム
CZ201122A3 (cs) * 2011-01-17 2012-07-18 Royal Natural Medicine, S.R.O. Oblicejová rouška a zpusob její výroby
JP5795860B2 (ja) * 2011-02-15 2015-10-14 日本エアフィルター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装置
SG192027A1 (en) 2011-04-01 2013-08-30 Emd Millipore Corp Nanofiber containing composite structures
JP2012223254A (ja) * 2011-04-15 2012-11-15 Shinshu Univ 放射性物質遮断マスク
CZ305230B6 (cs) * 2011-04-28 2015-06-24 Česká Včela s.r.o. Bariérová textilie
US8845891B2 (en) * 2011-06-09 2014-09-30 T.F.H. Publications, Inc. Aquarium filter media including nanofibers
SG194764A1 (en) * 2011-07-21 2013-12-30 Emd Millipore Corp Nanofiber containing composite structures
CN103732302B (zh) * 2011-10-03 2016-07-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空气过滤器过滤件、空气过滤器、安装有该空气过滤器的空气净化装置和带加湿功能的空气净化装置
CN103492051B (zh) * 2011-12-08 2015-07-22 Lg化学株式会社 包括银纳米线层的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WO2013158028A1 (en) * 2012-04-17 2013-10-24 Ngee Ann Polytechnic Filtration medium with electrospun metal oxide nanofiber layer
DE102012215877B4 (de) * 2012-09-07 2022-01-13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lement
ES2955377T3 (es) * 2012-12-10 2023-11-30 Emd Millipore Corp Esteras de nanofibras ultraporosas y usos de las mismas
EP2969040A4 (en) * 2013-03-15 2016-11-09 Crosstex International Inc FACE MASK WITH ONE OR MORE NANO FIBER LAYERS
CZ307624B6 (cs) * 2013-05-10 2019-01-23 Technická univerzita v Liberci Kompozitní materiál pro filtraci spalin a způsob vytvoření tohoto materiálu
KR102206963B1 (ko) 2015-04-17 2021-01-25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접선방향 유동 여과 모드에서 작동되는 나노섬유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샘플에서 목적하는 생물학적 물질을 정제하는 방법
KR101855683B1 (ko) * 2015-06-01 2018-05-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흡착 멤브레인이 내장된 마스크
CZ2016622A3 (cs) 2016-10-06 2017-09-13 Nafigate Corporation, A.S. Způsob ukládání vrstvy polymerních nanovláken připravených elektrostatickým zvlákňováním roztoku nebo taveniny polymeru na elektricky nevodivé materiály, a tímto způsobem připravený vícevrstvý kompozit obsahující alespoň jednu vrstvu polymerních nanovláken
CN109764331B (zh) * 2019-01-10 2021-01-01 嘉兴圣斯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高效燃烧的生物质能粉末燃烧机
US20230375566A1 (en) * 2020-03-27 2023-11-23 Universiteit Gent Fibrous mat for metabolome sampling
CN111389098A (zh) * 2020-04-27 2020-07-10 蚌埠泰鑫材料技术有限公司 有效负载铜离子的静电纺丝复合纤维材料
EP3964275A1 (en) 2020-09-02 2022-03-09 Impact Products GmbH Composite filter material with adhesive layer for reversible attachment to textile face masks
WO2022220811A1 (en) * 2021-04-13 2022-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ous articles formed of molded fibers
CN113617225B (zh) * 2021-07-21 2024-04-02 内蒙古大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血清外源病毒的清理装置和方法
CN114988899B (zh) * 2022-06-11 2023-04-25 广东欧文莱陶瓷有限公司 一种能够释放负离子的陶瓷薄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9420A1 (de) * 1987-06-11 1988-12-29 Sandler Helmut Helsa Werke Atemschutzmaske
US5507847A (en) * 1994-07-29 1996-04-16 W. L. Gore & Associates, Inc. ULPA filter
WO1996022823A1 (en) * 1995-01-27 1996-08-01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Respirator filter system
GB2326113B (en) * 1995-07-19 1999-06-16 Baker Hughes Ltd Biofouling reduction
JPH09117623A (ja) * 1995-10-25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タ−装置
US6171684B1 (en) * 1995-11-17 2001-01-09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material construction and method
US6746517B2 (en) * 2000-09-05 2004-06-08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structure with two or more layers of fine fiber having extended useful service life
EP1441831A4 (en) * 2001-10-19 2005-10-26 Innovative Constr & Build Mat ANTI-PATHOGENIC AIR FILTRATION MATERIAL AND AIR TREATMENT DEVICES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INFECTIOUS MICROORGANISMS IN AIR SUSPENSION
JP2003245510A (ja) * 2002-02-21 2003-09-02 Toyobo Co Ltd 濾 材
JP4424719B2 (ja) * 2003-02-28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化合物、物質変換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2004337562A (ja) * 2003-05-16 2004-12-02 Japan Safety Network Inc マスク
CN1460534A (zh) * 2003-05-28 2003-12-10 东南大学 纳米纤维防护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CN1467314A (zh) * 2003-06-12 2004-01-14 东南大学 抗菌纳米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329002Y1 (ko) * 2003-07-02 2003-10-04 김영호 음이온 방출 및 방진용 코 마스크
KR100536459B1 (ko) * 2004-01-27 2005-12-14 박원호 은이 함유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나노섬유 웹
CN2675174Y (zh) * 2004-02-26 2005-02-02 河南省科学院质量检验与分析测试研究中心 抗菌滤病毒口罩
US7235122B2 (en) * 2004-11-08 2007-06-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ltration media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gas streams
US20060137317A1 (en) * 2004-12-28 2006-06-29 Bryner Michael A Filtration media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gas streams
US7520923B2 (en) * 2007-03-22 2009-04-21 Mvp Textiles & Apparel, Inc. Antimicrobial filtration article
US8303693B2 (en) * 2007-04-26 2012-11-06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Nanofiber filter facemasks and cabin filters
US20100186595A1 (en) * 2009-01-23 2010-07-29 Kang Na Hsiung Enterprise Co., Ltd. Composite filter and gas filt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364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항바이러스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에어필터 유닛 및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12891A1 (en) 2007-05-18
EA200801267A1 (ru) 2008-12-30
CN101304797A (zh) 2008-11-12
CZ297697B6 (cs) 2007-03-07
US20080264258A1 (en) 2008-10-30
WO2007054040A3 (en) 2007-08-09
WO2007054040A2 (en) 2007-05-18
EA013136B1 (ru) 2010-02-26
CN101304797B (zh) 2011-03-23
JP2009514667A (ja) 2009-04-09
EP1954372A2 (en) 2008-08-13
CZ2005700A3 (cs) 2007-03-07
CA2627188A1 (en)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583A (ko) 물리적 불순물 및/또는 생물학적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필터
Akduman et al. Nanofibers in face masks and respirators to provide better protection
US10912961B2 (en) Mask having adsorption membrane provided therein
JP5155884B2 (ja) 多層式マスク
US8303693B2 (en) Nanofiber filter facemasks and cabin filters
JP2008188082A (ja) マスク
US20110114095A1 (en) Antiviral metal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cloth components
KR200422088Y1 (ko) 항살균 마스크
Azam et al. A review of the fabrication methods, testing, and performance of face masks
CN111513391A (zh) 一种防护口罩及加工工艺
CZ2020251A3 (cs) Virucidní filtr
KR200350010Y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587194B1 (ko) 항바이러스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에어필터 유닛 및 공조장치
CN212279995U (zh) 一种抗菌抗病毒口罩
US20220016453A1 (en) Antiviral face masks and air filters
US20230105070A1 (en) Protective mask, air filtration element and air treatment element
SRIDHARAN et al. A deeper perspective on face masks-a medical aid during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epidemic
CN219556396U (zh) 一种抗菌外科口罩
KR20050084727A (ko) 기능성 마스크
US20230311039A1 (en) Advanced filtration structures for mask and other filter uses
US20220096975A1 (en) Nanofiber Filter Medium for Reusable Facemask and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JP2005334137A (ja) マスク
Rao et al. Bacterial filtration efficiency and differential pressure of turmeric-treated face mask.
CN116583185A (zh) 抗病毒组合物和杀病毒的方法
KR200398250Y1 (ko) 후레쉬에어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