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704A -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704A
KR20080069704A KR1020087015090A KR20087015090A KR20080069704A KR 20080069704 A KR20080069704 A KR 20080069704A KR 1020087015090 A KR1020087015090 A KR 1020087015090A KR 20087015090 A KR20087015090 A KR 20087015090A KR 20080069704 A KR20080069704 A KR 2008006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upply
cylinder
oil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아아만드
Original Assignee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6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3/00Lubr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gines with crankcase compression of fuel-air mixture or for other engines in which lubricant is contained in fuel, combustion air, or fuel-air mixture
    • F01M3/04Lubr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gines with crankcase compression of fuel-air mixture or for other engines in which lubricant is contained in fuel, combustion air, or fuel-air mixture for upper cylinder lubr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F16N25/02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with reciprocating distributing slid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01M2001/083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for lubricating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디젤 엔진 실린더를 위한 윤활장치를 개시한다. 본 윤활장치는 공급라인과 복귀라인, 중앙의 유압작동유 공급 펌프, 각기 자신들의 공급유닛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유닛, 및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라인을 포함한다. 정확한 타이밍은 물론 유연한 전기적 제어방식의 중앙 무단(stepless) 공급을 구비한 실린더 급유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압급유장치는 공급 유닛과 맞물리는 세팅수단을 가진 세팅 유닛, 세팅 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23), 각각 펌프챔버의 공급 피스톤을 포함하는 다수의 공급유닛을 가진 실린더 블록, 세팅수단 및 펌핑 피스톤과 상호작용하며 펌핑 챔버와 동축으로 크게 뻗어있는 유압 미끄럼부, 실린더 윤활유 양의 행정/공급을 보장하는 각 공급 유닛과 연관된 모니터링 센서, 및 모터(23)와 각 급유시점에서 유압 미끄럼부에 시스템 압력을 연결 및 연결해제하는 밸브들(20, 24)을 제어하는 중앙 컴퓨터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15090
실린더 블록, 급유장치, 윤활유, 액츄에이터, 세팅수단

Description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Lubricating apparatus for a dosing system for cylinder lubricating oil and method for dosing cylinder lubricating oi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박 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식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 시스템은 유압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각 밸브를 매개로 급유장치와 연결된 공급라인 및 복귀라인과, 급유장치와 연결된 중앙의 유압작동유 공급 펌프와, 엔진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며 급유장치의 자신들의 각 공급유닛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유닛과,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박 엔진의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급유장치와 연결된 유압작동유 공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급유장치로 및 급유장치로부터 유압작동유의 공급 및 복귀를 통해 유압작동유의 압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엔진의 다수의 실린더 개수에 대응하며 급유장치의 자신들의 각 공급유닛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유닛을 통해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 및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급유장치는 전형적으로 펌프 유닛으로 설계되는데, 이 펌프 유닛은 각각의 실린더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장착되며 그리고 윤활유 공급탱크와 연결되고 실린더 벽의 여러 지점에서 오일 분사노즐의 형태를 갖는 급유지점과 연결된다. 각 펌프 유닛은 여러 급유지점에 오일을 공급하며 그 위에 캠들을 구비한 공통 회전 제어축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왕복운동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축이 회전함으로써, 가압 헤드를 가진 캠들이 제어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는 각각의 축방향 변위 피스톤들에 작용하여, 축이 회전할 때 피스톤들이 왕복운동하는 펌프들의 피스톤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왕복운동을 수행할 것이다.
수년동안, 급유장치들은 피스톤 펌프들로부터의 배출압력이 매우 크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어 왔는데, 이는 엔진 피스톤의 상향 복귀행정 동안에 즉 압축 작용 동안에 그러나 착화연소에 의한 후속의 파워 행정(power stroke) 전에 오일이 실린더로 분사되는 것이 고정된 표준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10 바아의 분사 압력 또는 펌프 압력으로 작동될 필요가 있어 왔다.
최근, 피스톤이 상향으로 운동하는 동안 오일을 분무상태로 급유하기 위하여 가압분무노즐을 통해 오일을 분사하여 급유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에 의해 분무노즐을 통한 미세한 분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오일에 더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데, 예컨대 압력이 100 바아 이상으로 가해진다.
게다가, 최근에는 전자제어 디젤엔진이 폭넓게 제조되고 이 엔진에는 기계적인 급유장치를 구동하는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적인 구동부가 제거되는 경향이 있다.
급유지점들은 따라서 본 출원에서 언급된 것처럼 오일 분사노즐 및/또는 가 압분무노즐을 포함한다.
이 2개의 시스템에서, 제어축은 엔진의 크랭크축과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기계적 결합을 통해 구동되는데, 이에 의해 펌프의 작동을 위한 파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엔진의 크랭크축과 급유장치의 제어축 간의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
펌프 유닛은 예컨대 상자 형상의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으로부터 연결 파이프들이 예를 들어 6-24개의 실린더중에서 관련된 엔진 실린더의 급유지점으로 뻗어 있다.
피스톤들은 엔진의 크랭크축과 동기하여 회전되는 스루고잉(through-going) 제어축 상의 작동캠/록커아암(rocker arm)에 의해 전형적으로 작동된다. 피스톤들은 작동캠들쪽으로 스프링 가압된다. 연관된 작동캠의 최종 위치를 규정하는 고정나사가 제공된다. 이 고정나사들은 피스톤들의 개개의 작용가능한 행정들과 이에 따른 개개 피스톤 펌프들의 관련된 산출물을 결정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에 의해, 사용자가 동기화된 급유를 위한 분사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동기화된 급유는 크랭크의 회전 또는 동기화되지 않은 실린더 급유 즉 크랭크의 회전과 각위치에 돠우되지 않는 실린더 급유에 따라 시간이 맞춰진다.
게다가, 여러 측정가능한 엔진 파라미터들에 좌우되는 엔진의 즉각적인 요구를 위하여 제어방식으로 공급하는 실린더 윤활유 부분을 유연하고 손쉽게 조정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유연한 방식으로 엔진의 실제 동작 상태와 일치 하여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모든 조정들은 중앙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속도와 동기하여 금유장치를 구동하는 것은 전자적으로 실현가능하지만, 포괄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타이밍은 즉시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 실린더 윤활유 부분을 변경하는 것은 제어하기가 더 어렵다.
실린더 윤활유는 전형적으로 엔진의 회전당 한 부분으로 공급되므로, 공급량을 조정할 유일한 가능성은 펌프 행정을 변경하는 것이다. 리를 위한 시스템이 독일특허출원 4998/8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엔진 부하에 의존하여 펌프 행정을 조정하는 캠 디스크 기구에 의해 동작된다. 이러하 느이존성을 변경하는 것은 캠 디스크들을 다른 전송 기능을 가진 다른 캠 디스크들로 변경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제어가능한 모터 예를 들어 스텝 모터에 의해 펌프행정을 조정하는 것이 역시 제안되었다. 이는 점 급유(point lubrication)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종래의 급유장치들과 연계하여 정착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국제특허출원 WO 02/35068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독일특허문헌 DE2827626호에 실린더 벽의 개구들을 통해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조정된 양으로 공급된 윤활유에 바탕을 둔 급유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개의 급유지점에서 수행될 정량공급의 무단(stepless) 제어 가능성이 나타나 있지 않다.
더욱이, WO 92/2009 A1호에는, 서두에서 언급된 타입의 급유 시스템이 역시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급유 행정들 사이에 오일로 가득 찬 부피 측정 및 정량 공급 유닛이 사용된다.
전형적인 실린더 벽의 윤활과 연계하여, 지금까지는 실린더 내압을 견딜 수 있지만 조금 더 높은 외부 분사압에 굴복하는 간단한 스프링 가압식 체크 밸브를 실무상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가압 분무형 분사와 연계하여 밸브 시스템은 오일 분사가 처음부터 가압분무형 분사의 특징을 띠도록 더 높은 오일 압력에서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하다. 본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서 수백 퍼센트까지의 압력차 요인을 사용한다.
타이밍의 간단한 제어는 물론 급유지점들에 공급의 유연한 전기제어형 중앙 무단 제어를 달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린더 윤활을 확립할 수 있는 방법과 유압구동되는 급유장치를 나타내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는 구비하는 각 급유행정에서 분사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공급시스템과 연결된 세팅 수단을 구비한 조정 유닛과, 설정용의 세팅 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와, 다수의 공급 유닛을 구비한 실린더 블록으로서, 각 공급 유닛은 설정 수단 및 펌프 피스톤과 상호작용하며 펌프 챔버와 동축으로 크게 뻗어있는 미끄럼 챔버에 제공되고 공급라인을 매개로 유압작동유로 가압될 수 있는 유압 미끄럼부는 물론 펌프 챔버에 장착된 공급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윤활유 양의 행정/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각 공급 유닛과 연관된 모니터링 센서와, 급유장치의 기능을 제어, 감시 및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방법은 세팅 수단이 급유행정에 의해 분사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공급 유닛과 맞물리게 되고, 상기 세팅 수단은 이 세팅 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에 의해 설정되고, 세팅수단 및 급유지점에서 윤활유의 일부분을 펌핑하는 펌프 피스톤과 상호작용하는 미끄럼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펌프챔버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작동유의 공급과 복귀를 위한 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방법의 기능들을 컴퓨터로 제어, 모니터링 및 검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급유장치 및 방법은 각 타이밍 포인트/급유시점에서 한 세트의 밸브가 제어될 수 있고, 그래서 소정의 지점에서 공급 피스톤의 행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유압 유의 공급도 제어될 수 있게 작동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세트와 함께 유압 미끄럼부에 또는 일군의 유압 미끄럼부에 동시에 시스템 압력을 연결 및 연결해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다른 장치의 실시예는 모니터링 센서가 실린더 윤활유 부분의 수행된 행정 및/또는 수행된 공급을 검출하기 위하여 급유장치와 연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각 공급장치와 연관되는 것이 특이하다. 모니터링 센서는 예컨대 흐름 내의 회전자를 사용하여 또는 흐름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볼을 사용하여 유동 측정에 기초한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공급 피스톤의 운동을 측정하는데 기초한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은 이 측정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은 연관된 실린더 블록의 공급 유닛을 위한 타이밍과 행정 설정을 제어하는 비집중식 컴퓨터와, 관련 작동 데이터의 변경, 모니터링, 로깅 등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주컴퓨터 및 백업 컴퓨터를 포함하는 중앙 컴퓨터를 포함한다.
비집중식 컴퓨터는 연관된 실린더 블록의 공급 유닛용 행정 길이 설정 및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행정 설정의 제어는 편심축의 각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실린더 윤활유 체적을 설정하는 제어가능한 모터를 매개로 제어를 통해 확립된다. 타이밍의 제어는 밸브를 통해 달성되는데, 이 밸브들은 개방/폐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임의의 급유시점에서 유압 미끄럼부에 시스템 압력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확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압급유장치를 사용하는 이러한 해결책에 의해 행정과 시간을 전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임의의 행정 길이/시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유압식 급유장치가, 급유장치를 위한 단일 펌프 행정에서 각 실린더에 공급된 윤활유 양의 충분한 무단 조정이 전기제어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소정의 시점에서 밸브들을 매개로 행정을 수행하는 유압/시스템 오일을 사용하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여러 세트의 밸브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여러 그룹의 급유지점이 모든 실린더에서 자신의 타이밍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행정이 전체로 조절될 수 있는 해결책이 설명되지만,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급유지점 군들 각각에 대하여 세팅수단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원뿔형상의 나사를 매개로 세팅수단의 높이에 변위를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스페이서 또는 플레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사이클에 걸쳐, 실린더를 위한 일군의 급유지점들의 주기적인 블록킹 및/또는 밸브 세트의 주기적인 블록킹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분사점에서 누적기(accumulator)와 체크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윤활에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SIP 윤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과 절약의 가능성은 윤활의 본질에도 불구하고 똑같이 매력적일 것이다.
원하는 실린더 윤활유 체적과 급유를 위한 각 시간에서 유압 미끄럼부에 시스템 압력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설정함으로써, 윤활유 양의 조절이 달성되어 주어진 다수의 급유점들에서 윤활유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윤활유 양의 조절가능성을 가진 급유지점의 개수는 사용자가 얼마나 유연한 조절을 원하느냐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공급 유닛으로의 시스템 오일의 임의선택적 블록킹을 위하여 적절한 개수의 밸브들을 사용하여 조절이 수행되는 윤활지점들 사이의 자동 시프팅(shifting)이 보장된다. 그러나 전형적으로는 윤활장치의 모든 공급유닛에 대한 시스템 오일 공급을 위하여 하나의 밸브가 사용될 것이지만, 특별히 유연한 조절을 원한다면, 더 많은 밸브 또는 심지어 공급 유닛당 하나의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가된 조절부는 존재하는 급유장치들을 대체할 수 있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장착되거나 또는 새로운 유닛으로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는 설비가 오일 분사방식에 기초하는지 가압 분무방식에 기초하는지에 관계없이 설비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일부 상황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하면 엔진이 충분한 유압능력을 가지지 않는 경우 별개 유압 시스템의 설비를 필요로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시스템은 윤활유의 분사를 확립시키기 위하여 공급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오일 압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윤활유 공급 조절은 별개의 급유지점에서 미끄럼부를 위한 유압작동유 양이 실제의 필요성과 부하 레벨에 좌우되어 인터럽트되도록 밸브들과 엔진의 컴퓨터 시스템의 비집중식 컴퓨터들의 전자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원리적으로는, 급유 지점 조절을 위한 공급 유닛의 미끄럼부용 밸브를 닫음으로써 급유 행정에서 "바이패스(by-passed)"되는 급유장치들의 하나 이상의 급유 지점에 의해 수행되고, 이에 의해 어떤 시간간격에 걸쳐 확립된 급유가 실린더를 위한 부분 또는 양의 대략 무단 조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 실린더를 위한 대략 무단의 양적인 조정은 공급 유닛으로부터의 양적인 조정의 조정가능성과 무관하게 발생하지만, 편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피스톤 펌프 행정의 양적인 조정과 함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윤활유의 양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컴퓨터외 비집중식 컴퓨터를 전자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다. 10개의 급유지점에 공급하도록 된 급유장치를 사용하면, 각각의 계속되는 사이클에서 바이패스되는 급유지점에 의해 10%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10 사이클 후, 급유지점의 각각이 건너 뛰어졌을 것이다. 이 건너 뜀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매 실린더의 급유가 각 사이클에서 수행된다. 이 급유는 그러나 실린더의 매 급유 지점에서 반드시 발생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는 다음의 구성요소들로 제조된다:
- 장치에 시스템 압력과 윤활유를 공급하는 베이스 유닛. 그 밖에 베이스 유닛에 장착된 히터에 의해 윤활유를 가열할 수도 있다.
- 세팅 유닛과 제어가능한 모터, 바람직하게는 편심축을 "돌리는"데 사용되는 DC 모터로서, 이에 의해 펌프 피스톤의 행정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냉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나란히 놓인 미끄럼 챔버들 사이의 소통 덕트를 매개로 플러싱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펌프와 모니터링 부분 그 자체가 병합되는 실린더 블록들. 실린더 블록은 하나 이상의 급유 지점을 위한 펌프 피스톤 및 미끄럼 피스톤과 함께 채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린더 블록은 그러나 오일을 플러싱시켜서 실린더 블록의 냉각을 할 의도로 미끄럼 챔버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둘 이상의 급유 지점을 위한 펌프 피스톤 및 미끄럼 피스톤과 함께 제공된다. 블록은 (개별적인 급유지점을 위한 파이프들 이외에) 유닛이 2개의 나사를 느슨하게 하는 것을 요구할 뿐이므로 용이하게 장착/장착해제될 수 있다.
급유 행정을 작동시크고 타이밍 조절하기 위하여 유압이 가해지는데 2개의 밸브를 열고 닫음으로써 장치에 공급되며 밸브는 하나가 입구측에 (압력이 들어오는) 그리고 다른 하나가 출구측(압력이 복귀하는)에 있다.
전형적으로 실린더당 하나의 급유장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세트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할 수 있고 이런 식으로 다른 작동 시간들의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급유장치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급유장치가 복수의 실린더에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여러 시스템들이 행정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축을 포함하는 세팅 수단을 사용하여 행정 길이의 우수한 조정이 있을 수 있는데, 행정은 편심축에 의해 실린더 블록의 모든 공급유닛에 대해 공통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외에 세팅수단의 높이를 상술한 것처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행정의 길이를 리셋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유압 급유장치는 예를 들어 2 또는 3개의 그룹으로 구획된 12개의 급유지점까지 가질 수 있어서 오작동하는 블록들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모든 급유지점은 하나의 구획에 모여있을 수 있다. 12개 이상의 급유지점을 구비한 급유장치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윤활유용의 더 많은 누적기(accumulator) 또는 더 큰 누적기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컴퓨터가 급유장치의 기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개의 급유장치의 정확한 "히팅(hitting)"을 모니터링하고 충분한 윤활유가 존재하는지 모니터링할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급유지점에서는 유압 피스톤 및/또는 미끄럼부가 바닥 위치에 있을 때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에 맞물릴 것이고 이렇게 하여 행정이 수행되었다는 것이 보장된다.
그리고 동시에 급유장치에 레벨 아암(level arm)을 장착할 가능성이 있다. 레벨 아암은 장치에 직접 장착되거나 장치를 위한 공급탱크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흐름 모니터링의 대안으로서 기계적인 급유장치에 알려진 흐름 모니터링 원리를 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유도 센서를 이용하여, 흐름이 없을 때는 강철 볼이 검출되고 볼이 "바닥으로 떨어져" 경보를 작동시킬 것이다.
행정의 길이는 모든 깁유지점에 대하여 동시에 조정될 수 있지만, 개개의 급유지점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행정을 공통적으로 조정하는 것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모터 예컨대 DC 모터를 제어하는 중앙 컴퓨터에 의해 전자제어방식으로 수행되는데, 모터는 편심축을 돌려서 펌프 피스톤의 행정길이를 변경시킨다.
이러한 해결책은 각 변위와 행정의 길이가 직접 비례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는데, 톱니가 형성된 막대(toothed rod)의 선형 변위가 대신 선택되는 경우 직접 비례성이 제공된다.
더욱이,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급유장치는 세팅 수단이 편심축과 급유장치의 유압 미끄럼부들 사이의 오목부에서 미끄러지게 배치된 접촉판과 맞물리는 편심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미끄럼부의 접촉면에 대하여 넓은 폭을 갖는 접촉판을 제공함으로써 표면과 편심축 사이에 접촉이 항상 이루어지며 물론 압력분산도 이루어진다.
급유장치는 미끄럼 챔버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미끄럼 피스톤과 그리고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세팅수단과 접촉하는 미끄럼 막대로 형성된다. 이 구성은 유압 미끄럼부의 미끄럼 막대의 직경을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족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다른 시스템 압력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구성은 유압 미끄럼부와 윤활유용 펌프 피스톤 사이에 어떠한 기계적 결합도 없도록 설계된다. 이 구성은 2개의 부품들을 위한 상호 설계허용오차를 위한 요구가 상당히 줄어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장치에는 전형적으로 한 종류의 실린더 윤활유가 공급되지만, 원리적으로 오일 공급은 하나 이상의 종류의 실린더 윤활유들 사이에서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연결된 장치에 대하여 또는 일군의 급유지점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출원인이 실시한 바로는 상기 절환은 코크(cock)를 가지고 수동으로 행해지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을 매개로 역시 제어될 수 있는 전자제어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를 위한 제어를 확립한다.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컴퓨터는 2개의 PC, 즉 주PC와 백업PC를 구비한다. 또한 하나 또는 두개의 급유장치에 연관되어 이 급유장치를 제어하는 로칼 제어유닛이 제공된다. 로칼 제어유닛은 연관된 급유장치 또는 장치들을 위한 타이밍과 행정을 제어한다.
이 제어는 유연하게 행해져서 모든 현재의 작동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 rpm 의존 조절, 즉 비조절 작동;
- bph 의존 조절, 즉 윤활유 양의 부하 의존 조절;
- mep 의존 조절, 즉 윤활유의 실린더 압 의존 조절; 또는
- 부하변동 의존 조절, 즉 부하 변동과 관련한 과잉 윤활.
또한 고도의 사용자 특정 조절 알고리즘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제어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 표준 작동 모드의 변형;
- 고객 특정 데이터 입력, 예컨대 다양한 센서 베이스 데이터 입력(FE-내용물, 실린더 압력, 실린더 온도 등)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기초한 조절 알고리즘의 가능성으로서, 상기 입력은 전체 엔진에 적용되거나 또는 실린더마다 적용될 수 있다;
- 사용자가 스스로 감소 및/또는 증가 비율을 규정하고 기술하는 오버레이(overlay) 모드들의 가능성;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제어가 개별 실린더 내/에서 로컬 데이터 수집을 수행할 가능성을 구비한 로컬 제어 및 윤활유의 기대된/계획된 양에 대응하는 윤활유의 공급된 양을 제어할 가능성을 구비한 고급 제어와 함께 수행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비집중식 컴퓨터는 로칼 제어를 확립하여 사용자가 개별 실린더 내/에서 로컬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고 공급양 및 가능한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하여 이 온라인 데이터 입력들을 사용할 가능성을 더 가진다. 예컨대 실린더에 온도 센서들을 장착하고 개별 실린더들을 위한 연료 공급에 유동계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비집중식 컴퓨터의 로칼 제어가 어떻게 거기에 연관된 타이밍과 양들을 조정하는지를 규정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비집중식 컴퓨터는 개별적인 실린더들의 상태에 관한 로칼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개개의 급유장치에 유동계 및/또는 온도 센서를 장착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태에 관한 이 정보를 중앙 컴퓨터의 고급 제어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런 방법으로 예컨대 공급된 윤활유 양이 기대된/계획된 윤활유 양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할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밸브 고장의 경우 이중 밸브 사이의 변환이 구축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로칼 제어의 부분으로서, 타이밍을 제어하는 밸브들을 이중으로 할 가능성이 병합된다. 이는 예를 들어 급유장치가 밸브 고장때문에 "히트(hit)"하지 않고 다른 밸브로 절환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에러 상태는 예컨대 엔진이 여전히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히팅(hitting)"하는 급유장치의 피스톤들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식별될 수 없다.
비집중식 컴퓨터는 자동에서 수동 작동으로 변환하도록 로칼 작동을 구비할 수 있는 로칼 제어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수동 작동에 의해 시스템은 정시에(timed) 또는 비정시에(untimed) 그리고 유닛에 직접 운영될 수 있고, 행정은 연장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추가 여유도가 항상 통합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급유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와 함게 사용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장치의 유압 시스템 오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 내지 도9는 작동하는 동안 윤활유와 시스템 오일을 연결/연결해제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10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유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들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행정의 길이를 영(zero)으로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도1은 4개의 실린더(50)의 개략도로서 각 실린더에는 8개의 분사노즐(51)이 나타나 있다. 급유장치(52)는 중앙 컴퓨터(53)와 그리고 전형적으로 각 하나의 급유장치(52)를 위한 로컬 제어 유닛(54)과 연결된다. 중앙 컴퓨터(53)는 중앙 컴퓨터용 백업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제어 유닛(55)과 병렬로 결합된다. 그리고, 펌프를 모니터랑하는 모니터링 유닛(56),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57) 및 크랭크축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유닛(58)이 구축되어 있다.
도1의 윗부분에는, 유압작동유 탱크(62)에서 펌프(61)를 구동하는 모터(60) 를 구비하는 유압 스테이션(50)이 도시되어 있다. 유압 스테이션(59)은 냉각기(63)와 필터(64)를 포함한다. 시스템 오일은 밸브(20)를 매개로 급유장치에 공급라인(65)을 통해 펌핑된다. 유압 스테이션은 밸브(24)를 매개로 급유장치와도 연결된 복귀라인(66)과 연결된다 (도2 참조).
윤활유는 윤활유 공급탱크(미도시)로부터 라인(67)을 통해 급유장치(52)에 공급된다. 윤활유는 급유장치로부터 라인(110)을 통해 분사노즐(51)에 전해진다.
도2는 각각 정면 및 후방에서의 급유장치(52)의 사시도이다. 급유장치는 유압작동유용의 공급라인과 복귀라인에 결합된 솔레노이드 밸브(20, 24)를 갖는다. 급유장치(52)는 서로 연결된 베이스 플레이트(69)와 실린더 블록(6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린더 블록(68)은 5개의 분리된 블록(70)으로 분할되는데, 각각은 2개의 급유지점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각 분리된 블록(70)은 후술하는 것처럼 2개의 펌프 피스톤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69)는 채널들과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혹시 새나갈 수 있는 유압작동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연결부(31, 32)와 혹시 새나갈 수 있는 윤활유용 배출구가 제공된다. 그리고 윤활유 공급용 개구(33)가 제공된다. 그리고, 윤활유 공급용 연결부(34)가 제공된다. 연결부(31)는 편심 하우징(73)으로부터 누출되는 유압작동유를 위하여 사용되고 연결부(32)는 도3의 덕트(7)를 매개로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와 시스템/유압 작동유에 대하여 사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69)는 뚜껑(71)과 함게 닫히고 뚜껑(71) 아래에는 윤활유용 히터(10)가 제공된다.
급유장치는 DC 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세팅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와 달리, 다른 적당한 모터/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도3으로부터 더 명확해 지는 것처럼, DC 모터는 편심축(22)을 수용하는 블록(73)의 오목부(72)에서 미끄러지게 배치된 접촉판(21)과 접촉하며, 그리고 실린더 블록(68)을 역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편심축(22)을 구동한다. 접촉판(21)은 편심축(22)과 그리고 미끄럼 챔버(2)에 제공되고 펌프 챔버(111)에 제공된 펌프 피스톤(4)과 접촉하는 유압식 미끄럼부(3) 사이에 배치된다. 윤활유용 공간(11)이 펌프 피스톤(4) 위에 제공된다. 이 공간과 관련하여, 안착부(12)를 누르는 볼을 포함하며 분사노즐(51)과 연결된 스프링 가압식 이중 체크밸브(13)가 제공된다. 체크밸브(13)는 실린더 블록(68)에 나사결합되어 급유지점의 분사노즐(51)로 라인(110)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는 연결부(78, 도4 참조)를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에는 바닥 위치에 있을 때 미끄럼부(3)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기울어진 위치로 전자기유도 위치센서(5)가 더 제공된다.
도3과 도4에는 채널들(1, 6)과 미끄럼 챔버들(2)은 유압 펌프 격실로도 불리는데 그 바닥 위치까지 미끄럼부(3)를 변위시킬 의도로 가압되어 펌프 피스톤(4)이 공간(11)에 위치된 윤활유 부분을 뽑아 낼 때 미끄럼부(3) 아래의 2개의 잇따른 유압 미끄럼 채널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 채널(77)이 도시되어 있다. 연결 채널(77)은 넘쳐흐를 수 있게 하여 실린더 블록의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7)은 펌프 챔버(11)로부터 윤활유 및/또는 유압작동유의 누출을 배제하는 역할을 한다. 채널(8)은 펌프 피스톤(4)과 미끄럼부(3)가 펌프 피스톤 둘레의 라이닝(102)을 누르는 펌프 피스톤(4) 주위의 스프링(101)의 작용에 의해 수축 위치로 복귀할 때 이중 흡입밸브(9)를 통해 펌프 챔버(11)로 윤활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3에는 연결 채널(77)을 매개로 채널(1, 6)을 연결하기 위한 경사 채널(100)이 더 도시되어 있다.
도4는 실린더 블록(68)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실린더 블록은 5개의 서브블록(70)으로 분할되는데, 각 서브블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펌프 피스톤(4)을 포함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3)는 축(22)이 편심 저널(76)을 매개로 베어링(75)에 의해 편심 지지됨에 따라 연결핀(74)을 통해 속이 비거나 또는 속이 비지 않은 편심축(22)을 회전운동에서 구동한다. 도시된 위치에서, 축은 중첩되는 펌프 유닛으로부터 가장 먼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접촉판(21)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될 것이고, 이 위치에서 미끄럼부(3)와 펌프 피스톤(4)은 가장 긴 경로를 가지고 따라서 펌프 행정당 가장 큰 윤활유 양을 산출할 것이다. 편심축이 180°회전되면, 편심 축(22)은 접촉판(21)을 가장 높은 위치로 밀어서 펌프 피스톤들(3)은 펌프 행정당 가장 낮은 공급량을 줄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판(21)은 세트 핀이라고도 불리는 미끄럼 핀(15)들로부터의 단일의 접촉점들에 비해 긴 거리에 걸쳐 편심축(22)과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부하가 넓게 분산되고 따라서 수명이 연장되는 점이 달성된다.
도5와 도6에는 참조번호 81-88이 도시되어 있는데, 실린더 하우징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유압작동유의 흐름에 대하여 경로가 어떤지를 나타내고 있다. 유압작동유는 밸브(20)가 개방되면 입구(34)를 매개로 유동(81)에 공급된다. 이 유동은 유동(83a, 83b)으로 나뉘어져 오일을 실린더 블록으로 인도한다. 유동(84a, 84b)은 오일을 채널(77)로 인도하는 실린더 블록의 드릴링된 구멍들 내의 흐흠이다. 유동(85a, 85b)은 채널(77)을 통해 인도되고 유동(87a, 87b)은 채널(100)을 통과한다. 유동(88)은 밸브(24)를 매개로 연결부(30)를 통해 배출되기 위하여 채널(6)을 통과한다. 이 "회로"를 이용하여 "플러싱(flushing)"에 의해 유압 시스템을 매개로 급유장치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움직임이 없는 오일이 회피되도록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시에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과정에 의해 생긴다. 도시된 회로에서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하여 채널이 제공되고, 이 2개의 채널은 실린더 블록의 드릴링된 구멍들을 매개로 연결된다. 실린더 블록의 드릴링된 구멍들은 똑바르지만, 베이스 플레이트에서는 채널(6)과 연결된 경사진 제1 드릴링된 구멍과 채널(1)과 연결된 경사진 제2 드릴링된 구멍이 제공되므로 드릴링된 구멍들이 약간 다르다. 급유장치가 정상작동하는 동안 너무 뜨겁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0, 24)가 동시에 개방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유압 시스템을 플러싱할 가능성이 있다.
도7-도9는 윤활유와 시스템 오일을 작동중인 장치와 연결 및 연결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설계를 보여준다. 이는 실린더 블록(68)을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69)의 모든 드릴링된 구멍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뒷쪽으로부터 바닥까지 나사결합되는 뾰족한 폐쇄 나사(41)를 매개로 닫히는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런 식으로 채널(1, 6)로부터의 시스템/유압작동유의 통로와 채널(45)에 의한 윤활유 통로가 닫힌다. 폐쇄 나사는 여러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고, 도9에는 오링(42)이 폐쇄 나사(41) 주위에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오링들은 실린더(40)에서 밀봉방식으로 미끄러지며 이렇게 하여 어떠한 오일도 폐쇄 나사(41)를 지나서 새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 보장된다. 외부에는 실린더(40)가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는 홀더(44, 47)가 제공된다. 홀더(44, 47)는 나사들(43)과 함께 체결된다.
도10과 도11은 행정의 길이를 리셋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0은 미끄럼부(91)가 스레드(thread)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미끄럼부(91)는 접촉판(93)에 체결될 것이다. 서로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잠금 유닛(92)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실린더 블록의 정면에 밀링된 오목부를 형성하고 덮개판으로 구멍을 닫아서 구현될 수 있다. 도11에는, 각 급유지점에서 행정의 길이를 위하여 제로(zero) 위치를 갖도록 접촉판(21)의 설계가 채택된 약간 더 간단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접촉판(106)은 각 급유지점에서 세트 핀(15)을 위한 드릴링된 구멍과 함께 형성된다. 세트 핀(15)은 세트 나사(105)가 플레이트(108)에서 높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원뿔형상 부분을 갖도록 기울어진 플레이트(108)위에 지탱된다. 그리고 세트 나사(105)를 잠그는 잠금 너트가 제공된다.
급유장치는 다음의 작동 모드를 갖느다: 윤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붙박이 솔레노이드 밸브(20, 24)를 가진다. 펌핑 사이클이 개시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0)가 개방되고 시스템 압력(전형적으로는 40 바아 내지 120 바아 사이임)이 장치에 공급되어 채널(1, 6)과 그리고 미끄럼부의 유압 펌프챔버(2)를 가압한다.
압력을 공급함으로써, 유압 미끄럼부(3)는 바닥으로 이동하고 윤활유용의 펌프 피스톤(4)은 이 피스톤과 함께 바닥으로 강제 가압되고 펌프 피스톤 정면의 공간(11)에 있는 윤활유는 스프링 가압식으로 이중 체크밸브(13)를 통해 밀려 나간다.
펌프 피스톤(3)이 바닥 위치에 도달하여 전자유도 위치센서(5)가 작동하면, 우수한 제어에 의해 센서를 정렬시켜 행정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0)는 입구측에서 닫히고, 규정된 시간간격 후에 솔레노이드 밸브(24)가 출구측에서 개방되며 압력이 채널(1, 6)에서 제거된다. 펌프 피스톤(4) 주위의 스프링들은 피스톤(4)과 미끄럼부(3)를 시작위치로 복귀시키고, 동시에 새로운 윤활유가 채널(8)을 통과하여 이중 흡입밸브(9)를 통해 펌프 챔버(11)로 흡입된다.
펌프 피스톤(4)을 위한 행정의 길이는 편심축(22)을 돌려서 전자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편심축(22)의 로딩을 보장하기 위하여 접촉판(21)이 개개의 급유지점을 위한 미끄럼부(3)용 세트 핀들과 이것 사이에 배치된다.
각 급유지점은 펌프 챔버의 가능한 공기가 이에 으해 제거될 수 있도록 통기 나사(14; 도1 참조)를 가진다.
임의의 시스템 또는 윤활유가 각각의 피스톤을 넘어서 누출되는 경우 이 누출되는 오일은 채널(7)에 모아져서 전체가 급유장치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Claims (17)

  1. 예컨대 선박 엔진에서의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로서, 상기 공급 시스템은, 유압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각 밸브(20, 24)를 매개로 급유장치와 연결된 공급라인 및 복귀라인과, 급유장치와 연결된 중앙의 유압작동유 공급 펌프와, 엔진의 다수의 실린더 수에 대응하며, 급유장치의 각 공급유닛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공급 시스템;과,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 급유장치는,
    각 급유행정에서 분사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시스템과 연결된 세팅 수단을 구비한 조정 유닛;
    설정용의 세팅 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23);
    다수의 공급 유닛을 구비한 실린더 블록으로서, 각 공급 유닛은 설정 수단 및 펌프 피스톤과 상호작용하며 동축으로 크게 뻗어있는 미끄럼 챔버에 제공되고 공급라인을 매개로 유압작동유로 가압될 수 있는 유압 미끄럼부는 물론 펌프 챔버에 장착된 공급 피스톤을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
    급유장치의 기능을 제어, 감시 및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유장치는 모니터링 센서, 바람직하게는 수행된 행정 및/ 또는 실린더 윤활유 양의 수행된 공급을 검출하기 위한 각 공급 유닛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연관된 실린더 블록의 공급 유닛을 위한 타이밍과 행정 설정을 제어하는 비집중식 컴퓨터;와,
    관련 작동 데이터의 조정, 모니터링, 로깅 등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주 컴퓨터 및 백업 컴퓨터를 포함하는 중앙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4.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수단은 편심축과 급유장치의 유압 미끄럼부 사이의 오목부에서 미끄러지게 배치되는 접촉판과 맞물리는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5.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미끄럼부는 직경이 미끄럼 챔버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세팅 수단과 접촉하는 미끄럼 핀(15)을 구비하는 미끄럼 피스톤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6.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2개 이상의 급유지점에 대한 펌핑 및 모니터링 영역들이 통합되는 실린더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7.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고 복수의 밸브 안착부가 장착되는 예컨대 2 내지 4개의 블록 군으로 구획되어, 각 구획의 다른 작동 시간들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8.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결 덕트는 적어도 2개의 나란히 놓인 미끄럼 챔버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9.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하는 미끄럼부(3)의 행정은 편심축의 편심율과 제어가능한 모터(37)의 회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10.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센서는 미끄럼부가 바닥위치에 있을 때를 검출하기 위하여 미끄럼 챔버의 바닥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된 전자유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11.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밸브들은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12. 상기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펌프 피스톤과 유압 미끄럼부는 구성의 허용도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조립없이 상호 접촉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유압 급유장치.
  13. 급유장치와 연결된 유압작동유 공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급유장치로 및 급유장치로부터 유압작동유의 공급 및 복귀를 통해 유압작동유의 압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엔진의 다수의 실린더 개수에 대응하며 급유장치의 자신들의 각 공급유닛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유닛을 통해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 및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선박엔진의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팅 수단이 급유행정에 의해 분사된 실린더 윤활유의 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공급 유닛과 맞물리게 되고;
    상기 세팅 수단은 이 세팅 수단과 맞물리는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모터(23)에 의해 설정되고;
    세팅수단 및 급유지점에서 윤활유의 일부분을 펌핑하는 펌프 피스톤과 상호 작용하는 미끄럼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펌프챔버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작동유의 공급과 복귀를 위한 밸브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방법의 기능들을 컴퓨터로 제어, 모니터링 및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컴퓨터 제어는 개별 실린더 내/에서 로컬 데이터 수집을 수행할 가능성을 구비한 로컬 제어 및 윤활유의 기대된/계획된 양에 대응하는 윤활유의 공급된 양을 제어할 가능성을 구비한 고급 제어와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밸브의 결함시에 이중 밸브들 사이의 시프트가 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플러싱이 적어도 2개의 나란히 놓인 슬라이드 챔버들 사이의 소통 덕트를 통해 제공되어 냉각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피스톤과 유압 미끄럼부는 기계적인 조립없이 상호접촉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KR1020087015090A 2005-11-21 2006-11-21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KR20080069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501629 2005-11-21
DK200501629A DK176366B1 (da) 2005-11-21 2005-11-21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704A true KR20080069704A (ko) 2008-07-28

Family

ID=3804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090A KR20080069704A (ko) 2005-11-21 2006-11-21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51995B1 (ko)
JP (1) JP5129150B2 (ko)
KR (1) KR20080069704A (ko)
CN (1) CN101356342B (ko)
AT (1) ATE540199T1 (ko)
DK (2) DK176366B1 (ko)
RU (1) RU2416030C2 (ko)
WO (1) WO2007057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00601005A (da) * 2006-07-21 2008-01-22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DK176934B1 (da) * 2007-05-18 2010-05-31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øreapparat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øreolie
DK177746B1 (da) * 2009-06-23 2014-05-26 Hans Jensen Lubricators As Fremgangsmåde til cylindersmøring af store dieselmotorer såsom skibsmotorer
DK177258B1 (da) * 2011-03-18 2012-08-27 Hans Jensen Lubricators As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øreolie til store cylindr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øreolie til store cylindre
US9260986B2 (en) * 2012-01-31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il pressure scheduling based on engine acceleration
KR101467429B1 (ko) * 2012-05-15 2014-12-01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대형 저속 2-행정 디젤 엔진용 실린더 윤활 장치 및 실린더 윤활 장치의 작동 방법
DE102012013709B3 (de) * 2012-07-11 2014-01-02 Sms Meer Gmbh Schmier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sWerkzeugs mit Schmiermittel
JP6364691B2 (ja) * 2013-11-06 2018-08-01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内燃機関の過給機余剰動力回収装置
DK178164B1 (en) * 2014-07-29 2015-07-13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method for lubricating large slow running two-stroke diesel engines
RU2703071C1 (ru) * 2015-10-30 2019-10-16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актуатор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переменной степенью сжатия (варианты)
DK179118B1 (en) * 2016-08-17 2017-11-13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Cylinder lubrication apparatus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483403B1 (en) * 2017-11-09 2022-11-30 Winterthur Gas & Diesel AG Lubrication arrangement for a large diesel engine
DK179945B1 (en) * 2017-12-13 2019-10-21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large slow-running two-stroke engine and a method of lubricating it and a controller for such engine and method
KR20230002964A (ko) * 2020-04-22 2023-01-05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대형 저속 선박용 디젤 엔진을 윤활하기 위한 방법
DK181120B1 (en) * 2021-11-17 2023-01-12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large slow-running two-stroke engine, a method of lubricating it and a use of the engine and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8885Y2 (ko) * 1978-01-25 1981-11-14
DE2827626A1 (de) 1978-04-24 1979-10-25 Burmeister & Wains As Verfahren beim schmieren der zylinderlaufflaechen einer kolbenmaschine und schmiersystem zur ausuebung dieses verfahrens
GR75371B (ko) * 1980-10-04 1984-07-13 British Petroleum Co
JPS6045710A (ja) * 1983-08-23 1985-03-12 Nachi Fujikoshi Corp ディ−ゼルエンジン注油装置
CH673506A5 (en) 1987-11-05 1990-03-15 Sulzer Ag Cylinder lubrication device for IC engine - has common hydraulic drive coupled to piston-cylinder system for each lubrication stroke around wall of each engine cylinder
DK98391D0 (da) 1991-05-24 1991-05-24 Jensens Hans Maskinfabrik Smoeresystem til successive doseringer af olie til smoeresteder i store stempelmaskinecylindre
DE9115265U1 (ko) * 1991-12-09 1993-04-08 Joseph Voegele Ag, 6800 Mannheim, De
DK173288B1 (da) * 1996-10-11 2000-06-13 Man B & W Diesel As Cylindersmøreenhed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og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leveringsmængden fra en cylinder
JP3046345U (ja) * 1997-08-18 1998-03-06 永安 庄 二方向カムの棒ピストン式エンジンオイルポンプ
DE19959309A1 (de) * 1999-12-09 2001-06-21 Man B & W Diesel As Kopenhagen Motor
KR100763591B1 (ko) 2000-10-24 2007-10-04 한스 옌젠 루브리케이터스 에이/에스 정량주입시스템
JP2004239157A (ja) * 2003-02-06 2004-08-26 Hitachi Zosen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における注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951995T3 (da) 2012-04-23
CN101356342B (zh) 2011-08-03
WO2007057027A1 (en) 2007-05-24
JP2009516795A (ja) 2009-04-23
RU2416030C2 (ru) 2011-04-10
EP1951995A1 (en) 2008-08-06
ATE540199T1 (de) 2012-01-15
RU2008121843A (ru) 2009-12-27
JP5129150B2 (ja) 2013-01-23
DK200501629A (da) 2007-05-22
CN101356342A (zh) 2009-01-28
DK176366B1 (da) 2007-10-01
EP1951995B1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704A (ko) 실린더 윤활유용 공급 시스템을 위한 급유장치 및 실린더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
US8210317B2 (en) Lubricating apparatus for a dosing system for cylinder lubrication oil and method for dosing cylinder lubricating oil
RU2457339C2 (ru) Сма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цилиндрового масла
KR101278423B1 (ko) 대형 디젤엔진의 실린더 표면을 윤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164426B (zh) 为汽缸配给润滑油的方法及系统
JPH10121931A (ja) 多シリンダ型内燃機関用のシリンダの潤滑装置
US7681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cylinder surface in large diesel engines
WO2009053364A1 (en) Fuel injection system with a high-pressure pump lubricated with the fuel, and associated pump unit
JP3519089B2 (ja) 内燃機関用の液圧作動式燃料ポンプの作動方法及び該液圧作動式燃料ポンプ
KR20010070284A (ko) 모터
DK173512B1 (da) Cylindersmøresystem til en flercylindret forbrændingsmotor
JP2003184704A (ja) 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