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284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284A
KR20010070284A KR1020000074675A KR20000074675A KR20010070284A KR 20010070284 A KR20010070284 A KR 20010070284A KR 1020000074675 A KR1020000074675 A KR 1020000074675A KR 20000074675 A KR20000074675 A KR 20000074675A KR 20010070284 A KR20010070284 A KR 20010070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control device
cylinder
mo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쇠렌센올레뢰슬러
크리스토퍼센페르오스
Original Assignee
존 스텐달 한센
맨 비 앤드 더블유 디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스텐달 한센, 맨 비 앤드 더블유 디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존 스텐달 한센
Publication of KR2001007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02F1/20Oth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providing for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2Closed-circuit lubricating syste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M1/02 - F01M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 F01M2001/083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for lubricating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2007/0097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for large diesel eng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1) 및 그 내부에 배열된 것으로 실린더(1)의 베어링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5)을 구비하는 모터, 특히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어링면은,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쪽에 제공되며 대응되는 공급 라인(16)에 연결된 윤활제 유출구에 의해 보급되는 윤활제를 공급받고, 각 윤활제 유출구에는 해당 공급 라인(16) 내에 배열된 정량 장치(dosing device; 17)가 제공되며, 적어도 한 개의 윤활제 유출구 그룹(10)―여기서 윤활제 유출구 그룹은 여러 개의 윤활제 유출구들로 이루어짐―의 공급 라인(16)에 대응되며, 소정 압력 하에 놓여진 윤활제를 포함하는 커먼 레일(11), 및 해당 정량 장치(17)에 대응되며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측정값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23, 26)을 갖는 제어 장치(18)가 제공된다.
상기 정량 장치가 각 대응되는 윤활제 출구(10)와 인접하는 선택 밸브(17)―여기서 상기 선택 밸브에 의해 대응되는 공급 라인(16)이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음―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18)가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입력된 측정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양을 전달함으로써, 적어도 선택 밸브(17)의 개폐 시점을 유도하여 상기 밸브들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높은 정확성 및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MOTOR}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 및 그 내부에 배열된 것으로 실린더의 베어링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모터, 특히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면은,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쪽에 제공되며 대응되는 공급관에 연결된 윤활제 유출구에 의해 보급되는 윤활제를 공급받는다. 이때 각 윤활제 유출구에는 해당 공급관 내에 배열된 정량 장치(dosing device)가 제공되며, 적어도 한 개의 윤활제 유출구 그룹―여기서 윤활제 유출구 그룹은 여러 개의 윤활제 유출구들로 이루어짐―의 공급관에 대응되며, 소정 압력 하에 놓여진 윤활제를 포함하는 커먼 레일, 및 해당 정량 장치에 대응되며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현재값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을 갖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장치는 유럽 특허 EP-0678 152 B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장치의 경우, 윤활제 유출구에 대응되는 정량 장치는, 용량이 조절될 수 있는 정량 펌프 방식을 따른다. 상기 정량 펌프는 모터 행정 시에 피스톤이 왕복 운동 할 때마다 작동된다. 이때 베어링면에 공급되는 윤활제의 양은 정량 펌프의 용량에 변화를 가하는 경우에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정량 펌프 방식에 따른 정량 장치에 의해, 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은 사실이나, 결과적으로, 아주 비경제적이고 과도한 용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베어링면 쪽에 있는 윤활제 유출구의 단부 및 해당 정량 장치 사이가 비교적 크게 벌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윤활이 시작되는 초기 단계에서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유형의 장치를 간단하고 경제적인 수단으로 개선하여, 보다 간단해진 구조 및 동시에 보다 높은 정확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다음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기 정량 펌프가 각 대응되는 윤활제 유출구과 인접하는 선택 밸브―여기서 상기 선택 밸브에 의해 해당 공급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음―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입력된 측정값―여기서 측정값은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됨―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양을 전달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선택 밸브의 개폐 시점을 전달하고 상기 밸브를 적절하게 제어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면에 공급된 윤활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도 윤활제 출구에 대응되는 선택 밸브의 개방 시기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 시기는 제어장치에 의해 소정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도, 각 윤활제 유출구 당, 용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비경제적이며 큰 용적을 필요로 하는 정량 펌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에 의해, 선택 밸브의 짧은 응답 시간과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커먼 레일이 갖는 장점이 활용된다. 상기 윤활제 유출구에 대응되는 선택 밸브들은 간단하게 이점 밸브(two point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점 밸브는 간단하고 튼튼한 구조를 가지며, 확실하게 제어되며, 짧은 응답 시간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 선택 밸브는 대응되는 윤활제 유출구와 아주 근접한 곳에 위치함으로써, 스위치 신호 및 실제적인 윤활 초기 단계 사이에 별다른 시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윤활의 질적인 측면 및 베어링면의 수명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경우, 바람직하게도 선택 밸브의 개방 시기뿐만 아니라 스위칭(switching)의 빈도 또한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도 개별적인 윤활 공정들 사이의 공백이 비교적 클 수가 있다. 이때, 각 윤활 공정의 경우 비교적 큰 양의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윤활제가 전체 베어링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데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하며, 즉 베어링면의 수명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윤활제가 적게 소모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해결 방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 및 유리한 변경 형태들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모든 실린더들과 연통하는 커먼 레일로부터, 각 실린더에 대응되는 분기관이 분기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들은 적어도 한 개의 환형 라인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형 라인으로부터 윤활 유출구―여기서 상기 윤활 유출구들은 바람직하는 동일한 수평으로 배열되며 실린더 외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의 공급관이 분기할 수 있다. 상기 해결 방안에 의해, 여러 개의 윤활 유출구들 위한 공통의 공급 루프(supplying loop)가 만들어진다. 이에 의해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전체 윤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실린더에 대응되는 출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출력에 의해 각 실린더에 부속되는 모든 선택 밸브들이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실린더의 윤활이, 인접한 실린더의 윤활로부터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특정 요구 조건, 즉 실린더 라이너를 교체해야 되는 경우 계산이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해결 방안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적어도 모터 행정 및 모터 부하에 따른 신호를 위한 입력들을 갖는다. 이때 윤활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도 부하에 따라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된 윤활제가 최적화되고 특히 경제적으로 소모되는 것이 보장된다. 모터 행정을 고려하는 측면에서, 윤활은 임의의 피스톤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력된 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총량이 전달되고, 커먼 레일을 통과하는 윤활제의 통과량과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선택 밸브의 개방 시기 및/또는 빈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목표값 및 현재값이 간단히 비교되며, 이때 상기 목표값은 실제 요구 조건에 부합하도록 지속적으로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낮은 관성(low inertia)을 가짐으로써, 질적인 측면에서 윤활이 아주 양호하게 이루어지며, 윤활된 베어링면이 오랜 수명을 갖게 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주 제어 유닛 및 예비 제어 유닛을 갖는 컴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예비 제어 유닛은 주제어 유닛이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작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윤활 장치가 중단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는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상기 해결 방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유리한 변경 형태들은 기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하기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의 실린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의 실린더에 대응하는 윤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주요 적용 대상은 대형 모터로, 특히 선박 추진기로 또는 기타 등으로 사용되는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이다. 이와 같은 모터의 구조 및 작용 방식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여러 개의 실린더(1)들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는 유입 틈새(2)를 갖는 실린더 라이너(3)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 상에 도면 상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배출 장치를 갖는 실린더 헤드(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 내에 피스톤(5)이 배치되며, 이는 움직일 수 있도록 연소실(6)과 경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5)은 피스톤 로드에 의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크로스헤드와 연결된다. 여기서 크로스 헤드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피스톤(5)은 대응되는 피스톤 링 홈(7) 내에 배열되는 피스톤 링(8)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하로 배열된 여러 개의 피스톤 링(8)이 일종의 피스톤 링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3)가 갖는 보링의 외장은, 피스톤 링(8)의 외주면과 함께 작용하는 베어링면(9)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면(9)은 적절한 윤활제로 윤활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실린더 라이너(3)는, 베어링면(9)에서 종결되고 실린더 외주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윤활 보링(1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윤활 보링은 윤활 장치에 의해 윤활제를 공급받는다. 도 1에는 상호 배열된 두 개의 윤활 보링(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링들은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외주에 균일하게 분포되며,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는 여러 개의 윤활 보링으로 형성된 윤활 보링(10) 고리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나란히 배열된 피스톤(3)에 제공되는 윤활 장치는 모든 실린더(3)와 연통하는 커먼 레일(11)을 구비하며, 상기 커먼 레일은 펌프실(12)에 의해 윤활제 탱크(13)로부터 얻어지는 윤활제를 공급받는다. 상기 펌프실(12)은, 커먼 레일(11) 내에 상기 윤활제가 소정의 압력 하에 놓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실은 적어도 두 개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 중, 하나는 작동중이며, 나머지 하나는 일종의 예비 펌프(stand by pump)로 작용한다. 상기 예비 펌프는, 제1 펌프가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곧바로 투입된다. 상기 커먼 레일(11) 내에 상기 펌프실(12)과 인접하는 통과량 측정 장치(13)가 위치한다. 상기 통과량 측정 장치에 의해 커먼 레일(11)을 통하는 전체의 체적 흐름이 측정된다.
상기 커먼 레일(11)은 실린더(3)에 대응되는 분기관(14)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각 실린더(3)에 개별적인 분기관(14)이 제공된다. 상기 분기관(14)은 실린더(3) 영역 내에 배열된 환형 라인(15)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하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윤활 보링(10) 고리의 경우 두 개의 환형 라인(15)이 제공된다. 상기 환형 라인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분기관(14)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각 환형 라인(14)에 개별적인 분기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윤활 보링(10)으로 안내되는 각 공급 라인(16) 내에 선택 밸브(17)가 각각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 밸브는 두 개의 스위치 지점, 즉 개폐 스위치 지점을 갖는 이점 밸브가 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밸브(7)는 전자기식 슬라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 보링(10)에 의해 상기 베어링면(9)에 공급된 윤활제의 양은, 단순히 해당 선택 밸브(17)의 개방 시기 및 개방 빈도에 따른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실린더(3)에 대응되는 선택 밸브(17)는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상기 실린더(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실험에서, 상기 선택 밸브(17)는 실린더(3)에 장착되거나 해당 리세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선택 밸브 및 베어링면 쪽에 있는 윤활 보링(10)의 개구부 사이에 작은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목표하는 정확성에 있어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선택 밸브(17)를 위한 개폐 명령은 제어 장치(18)에 의해 내려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필요한 윤활제의 양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선택 밸브(17)들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장치(18)는 실린더(3)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출력(19)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실린더(3)를 위한 개별적인 출력(19)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동시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데이터 버스가 제공되는 순차적인 데이터 전송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실린더쪽에 상기 환형 라인(15)에 대응되는 루프(20)가 제공된다. 상기 루프들은, 분기관(21)에 의해 해당 선택 밸브(17)의 조절 부재와 배선(wiring)을 이룬다. 상기 루프(20)는 상기 실시예에서 신호 라인(22)에 의해 각 대응되는 제어 장치(18)의 출력과 연결된다. 상하 배열된 두 개의 윤활 보링 고리의 경우, 두 개의 루프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루프들은 동일한 신호 라인(22)에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각 루프가, 개별적인 신호 라인에 의해 각 대응되는 제어 장치(18)의 출력(19)과 연결될 수 있다. 순차적인 데이터 전송의 경우, 각 실린더 또는 각 루프, 또는 각 선택 밸브에 개별적인 데이터 버스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루프에 한 개의 데이터 버스 출력이 제공되도록 배열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필요한 윤활제의 총량은 제어 장치(18)에 의해, 우선적으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전달된다. 부하가 높은 경우, 이는 부하가 낮은 경우보다 많은 양의 윤활제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18)는 부하에 따른 신호, 예를 들면 모터의 크랭크 샤프트에 가해지는 토크 또는 주입 장치의 색인 작업(indexing)을 위한 입력(23)을 갖는다. 상기 입력(23)은 신호 라인(24)에 의해, 부하에 따른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센서(25)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부하 이외에도, 기타 다른 파라미터, 예를 들면 실린더의 베어링면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온도, 또는 예를 들면 역전이나 제동과 같은 특정 작동 상태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실시예에서, 신호 라인(27)에 의해 적절한 센서(28)와 연결된 추가의 입력(36)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8)는 커먼 레일(11) 영역 내에 있는 체적 흐름(volume flow)을 위한 추가의 입력(29)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29)은 신호 라인(30)에 의해 관통류 측정 장치(13)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 장치(18)는 그밖에도, 대응되는 모터의 행정에 따른 신호, 예를 들면 모터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수를 위한 입력(31)을 추가로 갖는다. 상기 입력(31)은 신호 라인(32)에 의해, 모터 행정을 포착한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센서(33)와 연결된다. 상기 신호는 제어 장치(18)에 의해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즉, 피스톤이 임의의 포지션을 취할 때 상기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윤활제는, 피스톤 링(8)에 의해 형성된 피스톤 링 패키지가 윤활 보링(10)을 통과할 때 상기 윤활제가 윤활 보링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때마다 윤활제가 반드시 공급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피스톤 행정으로 이루어진 공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8)는, 입력(23 또는 26)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여기서 파라미터는 부하에 따른 파라미터 및 경우에 따라 온도에 따른 파라미터 및/또는 작동 상태에 따른 파라미터 기타 등의 형태를 나타냄―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18)에 커브 또는 테이블로 축적될 수 있는 소정의 경험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총량을 전달한다. 상기 경험값으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18)는 선택 밸브(17)의 개방 시기 및 개방 빈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개방 빈도는, 앞서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단계별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그 사이에 피스톤이 한번씩 왕복 운동한다. 전달된 상기 필요한 윤활제의 총량은, 입력(29)에 대기해 있는 체적 흐름―여기서 체적 흐름은 커먼 레일(11) 내에 존재하는 것임―의 현재값과 비교된다.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 밸브(17)의 개방 시기 및/또는 빈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상기 제어 장치(18)는 컴퓨터, 또는 주 계산기 및 예비 계산기(stand by calculator)를 갖는 계산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예비 계산기는 주 계산기가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자동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주 계산기의 기능을 인계받는다. 이로 인해, 윤활 장치가 중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연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윤활제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 경보가 발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장치(18)에, 신호 라인(35)에 의해 경보 장치(36)와 연결되어 있는 경보 출력(34)이 제공된다. 상기 경보 장치는, 경보 신호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제거되지 않은 경우 모터의 시동을 정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8)는 또한, 제어 공정에 수동적인 영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장치(18)는,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를 갖는 통신 장치(37)를 구비한다.
앞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몇 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였으나, 이를 가지고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당업자에게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일반적인 사상을 개별적인 경우에 적용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가능성들이 임의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정량 펌프가 각 대응되는 윤활제 유출구과 인접하는 선택 밸브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입력된 측정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양을 전달하여 상기 밸브를 적절하게 제어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높은 정확성이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1) 및 그 내부에 배열된 것으로 실린더(1)의 베어링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5)을 구비하는 모터, 특히 2행정 대형 디젤 모터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면은,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쪽에 제공되며 대응되는 공급 라인(16)에 연결된 윤활제 유출구에 의해 보급되는 윤활제를 공급받고, 각 윤활제 유출구에는 해당 공급 라인(16) 내에 배열된 정량 장치(dosing device; 17)가 제공되며, 적어도 한 개의 윤활제 유출구 그룹(10)―여기서 윤활제 유출구 그룹은 여러 개의 윤활제 유출구들로 이루어짐―의 공급 라인(16)에 대응되며, 소정 압력 하에 놓여진 윤활제를 포함하는 커먼 레일(11), 및 해당 정량 장치(17)에 대응되며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측정값을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23, 26)을 갖는 제어 장치(18)가 제공되며,
    상기 정량 장치가 각 대응되는 윤활제 출구(10)와 인접하는 선택 밸브(17)―여기서 상기 선택 밸브에 의해 대응되는 공급 라인(16)이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음―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18)가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입력된 측정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양을 전달함으로써, 적어도 선택 밸브(17)의 개폐 시점을 유도하여 상기 밸브들을 적절히 제어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에 의해 선택 밸브(17)의 개방 빈도 또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가 제어되는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실린더(1)의 윤활제 유출구들이 동일한 커먼 레일(11)에 대응되며, 상기 윤활제 유출구(10)에 앞서서 배열된 모든 선택 밸브(17)들이 제어 장치(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실린더(1)와 연통하는 실린더(1)의 커먼 레일(11)로부터 각 대응되는 분기관(14)이 분기하고, 상기 분기관은 각각 적어도 한 개의 환형 라인(15)과 연결되며, 상기 환형 라인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며 실린더 외주에 걸쳐 분포된 윤활체 유출구(10)의 공급 라인(16)이 분기하는 모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각 실린더(1)에 대응되는 출력(19)을 가지며, 상기 출력에 의해 해당 실린더(1)에 부속된 모든 선택 밸브(17)들이 제어될 수 있는 모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부하에 따른 신호를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23)을 갖는 모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실린더 온도 및/또는 윤활제 온도를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26)을 갖는 모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작동 상태에 따른 신호를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입력을 갖는 모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모터 행정에 따른 신호를 위한 입력(31)을 갖는 모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레일(11)이, 바람직하게는 대응되는 펌프실(12)과 인접한 통과량 측정 장치(13)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 장치에 제어 장치(18)의 입력(29)이 대응되는 모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입력(23, 26)에 대기해 있는, 필요한 윤활제의 양과 상호 관련된 측정값에 의해, 필요한 윤활제의 총량을 전달하고, 커먼 레일을 통과하는, 입력(29)에 대기해 있는 윤활제 통과량과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선택 밸브의 개방 시기 및/또는 빈도가 조절되는 모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주 제어 유닛 및 예비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계산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 제어 유닛은 주 제어 유닛이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 이를 즉각 대신하게 되는 모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가 경보 장치(36)에 대응되는 출력(34)을 갖는 모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8)에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키보드를 구비한 통신 장치(37)가 제공되는 모터.
KR1020000074675A 1999-12-09 2000-12-08 모터 KR20010070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9309.4 1999-12-09
DE19959309A DE19959309A1 (de) 1999-12-09 1999-12-09 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284A true KR20010070284A (ko) 2001-07-25

Family

ID=793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675A KR20010070284A (ko) 1999-12-09 2000-12-08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1173423A (ko)
KR (1) KR20010070284A (ko)
CN (1) CN1299921A (ko)
DE (1) DE19959309A1 (ko)
DK (1) DK200001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08126D1 (de) 2004-03-31 2008-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Brennkraftmaschine mit Zylinderschmiervorrichtung
JP4031772B2 (ja) * 2004-04-16 2008-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注油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
DK176366B1 (da) * 2005-11-21 2007-10-01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EP2175107A1 (de) * 2008-10-08 2010-04-14 Wärtsilä Schweiz AG Verfahren zum Schmieren eines Grossdieselmotors sowie Grossdieselmotor
JP5275961B2 (ja) * 2009-11-30 2013-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弁機構の潤滑構造
CN105332762B (zh) * 2015-11-12 2017-10-03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舶柴油机电控共轨式气缸注油润滑系统
DE102016222299A1 (de) * 2016-11-14 2018-05-17 Man Diesel & Turbo Se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DK179952B1 (en) * 2018-07-06 2019-10-25 Hans Jensen Lubricators A/S A METHOD FOR UPGRADING A LUBRICATION SYSTEM IN A LARGE SLOW-RUNNING TWO-STROKE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921A (zh) 2001-06-20
JP2001173423A (ja) 2001-06-26
DK200001819A (da) 2001-06-10
DE19959309A1 (de)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834B1 (ko) 멀티실린더 내연기관용 실린더 윤활시스템
JP5612159B2 (ja) 大型低速2ストロークディーゼル機関用のシリンダ潤滑デバイスおよびシリンダ潤滑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6605579B2 (ja) 大型低速作動2行程ディーゼルエンジンを潤滑化する方法
DK200501629A (da)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JP2013238223A5 (ko)
DK179118B1 (en) Cylinder lubrication apparatus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10135814A (ko) 실린더 윤활장치를 가진 대형 엔진 및 대형 엔진의 실린더를 윤활하는 방법
JP2001193430A (ja) エンジン
EP2102487B1 (en) Fuel pump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pump
EP1761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cylinder surfaces in large diesel engines
KR20010070284A (ko) 모터
US20220412333A1 (en) Piston compres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iston compressor
KR100440829B1 (ko) 내연기관용 액압식 연료펌프의 작동방법 및 액압식 연료펌프
JP5746727B2 (ja) シリンダ潤滑デバイス
RU24895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зывания цилиндров и большой дизе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93037A (ko) 실린더 윤활 장치를 포함한 대형 엔진 및 대형 엔진의 실린더 윤활 방법
DK177574B1 (en) Device for lubricating cylinders for a large slow-moving two-stroke diesel engine and method for using the cylinder lubrication system and large two-stroke diesel engine with a cylinder lubrication system
US4461259A (en) Distributor type injection pump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