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824A -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24A
KR20080067824A KR1020070005218A KR20070005218A KR20080067824A KR 20080067824 A KR20080067824 A KR 20080067824A KR 1020070005218 A KR1020070005218 A KR 1020070005218A KR 20070005218 A KR20070005218 A KR 20070005218A KR 20080067824 A KR20080067824 A KR 2008006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layer
molded article
resin composition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832B1 (ko
Inventor
이문석
최형석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832B1/ko
Priority to CN2008100856223A priority patent/CN101235181B/zh
Publication of KR2008006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 다층 구조의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기용매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한 차단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여 5~30ℓ의 크기에서도 용기의 충격강도와 밑면 접합강도가 우수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충격 보강제 7~20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 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기본층, 접착층, 차단층의 적어도 3개의 층을 포함하여 유기용매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면서 소정 크기에서도 용기의 충격강도와 밑면 접합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다층, 중공성형,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차단성, 접합강도

Description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 다층 구조의 성형품{Compound for shield layer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ulti-layer product comprised of the compound}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 다층 구조의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기용매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한 차단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여 5~30ℓ의 크기에서도 용기의 충격강도와 밑면 접합강도가 우수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ene)을 이용하여 중공성형으로 제작이 되는데, 기본적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기본으로 하는 용기의 경우는 유기용매나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내용물의 보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농약, 용제 등의 화학제품 및 식품용 용기는 내용물을 용기 내부에 안전하게 보존시키기 위해서 다층 구조의 용기를 제작하게 되며, 이의 대표적인 층 구조는 기본층(외층)/접착층(중간층)/차단층(내층)의 3층 구조와 기본층 /recyle/접착층/차단층 4층, 기본층/접착층/차단층/접착층/차단층 5층 또는 그 이상의 층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층의 구조에서 차단층은 일반적으로 유기용매나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polyamide),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0-0006125호에서는 차단층에 대한 폴리올레핀 층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성형 가공성, 환경 응력 균열 저항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다층 중공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차단성은 낮은 반면에, 충격강도 및 물에 대한 차단성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성형품의 전체 두께의 7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차단층으로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유기용매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이 높지만 충격강도가 약해서 충격을 받을 경우 차단층에 균열이 발생하여 이 균열을 통해 내부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산소 등의 가스가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내용물이 변질되게 된다. 이러한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올레핀이나 EPR, EPDM, NBR, SEBS등의 고무 계열의 수지를 충격강도 보강제로 사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55235호에서는 충격 강도가 보강된 폴리아미드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차단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충격강도 및 가공성을 향상시킨 다층 구조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충격보강제와 상용화제는 차단성이 낮기 때문에 폴리아미드(polyamide)나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에 포함되게 되면 차단성 수지 의 차단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경제성과 차단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비율이 필요하다.
또한, 중요한 점은 30ℓ 크기에서의 성형품은 가공시 패리슨(parison)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5ℓ 미만의 크기를 갖는 성형품을 가공할 때 보다 평균 400%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같은 조성을 갖는 차단층이라도 용기의 밑면 접합강도는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용매 및 가스에 대한 차단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5~30ℓ 크기를 가지면서도 용기 밑면 접합강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충격 보강제 7~20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적어도 기본층, 접착층 및 차단층을 포함하며, 내층이 차단층인 다층 구조를 갖는 30ℓ 이하 크기의 성형품으로서,
상기 기본층은 용융지수가 0.01~2.0 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접착층은 용융지수 0.1~10 g/10min, 밀도 0.91~0.97 g/cm3 인 폴리올레핀의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7중량% 이상 함유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며, 상기 차단층으로서 상기 차단 수지 조성물이 도입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 다층 구조의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 수지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충격 보강제 7~20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성형품의 차단층으로 도입되어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7중량% 이상 포함된 접착층 및 용융지수가 0.01~2.0 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기본층과 함께 성형품에 포함된다.
일반적인 다층 성형품, 특히 중공 성형품의 기본적인 층 구조는 기본층/접착층/차단층의 3층, 기본층/recyle/접착층/차단층 4층, 기본층/접착층/차단층/접착층 /차단층 5층 또는 그 이상의 층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다층 성형품에 있어 5 내지 30리터 용량의 경우, 차단층이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충격 보강제 7~20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 지며, 5리터 미만의 용량을 가지는 다층 성형품에 사용되기 위한 차단층용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85 wt%, 충격 보강제 7~25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5 wt%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때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의 함량이 70 wt% 미만일 경우에는 차단성이 감소하고 용기의 밑면 접합강도가 낮아지게 되며, 90 wt% 초과일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다만, 5리터 미만의 용기에 사용되기 위한 차단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는 패리슨의 노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밑면 접합강도 증가 효과 대비 경제성이 낮으므로 85wt%까지만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수지 중의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는 에틸렌 함량이 20~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9~44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밀도는 1.10~1.25 g/cm3 이고 용융지수는 3.0~6.0 g/10min (21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20㏖%미만인 경우는 경제성의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에는차단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충격보강제는 에틸렌과 1-부텐 또는 1-옥텐 코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코모노머의 함량이 10~5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두 가지 고분자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는 그래프팅 또는 공중합에 의해 폴리올레핀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것으로, 불포화 단량체는 말레인산, 알릴숙신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말레인산 무수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의 경우, 용융지수 0.2~20 g/10min, 밀도 0.91~0.97 g/cm3을 만족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용화제는 용융지수 0.1~10 g/10min, 밀도 0.91~0.97 g/cm3 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차단층에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컴파운드에서 상용화제의 함량이 3 wt% 미만일 경우에는 컴파운드 제조시 다이 팽창(die swell)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펠렛형태로의 제조가 어렵게 되며, 10 wt% 초과일 경우에는 변색 및 용기 밑면 접합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다만, 5리터 미만의 용기에 사용되기 위한 차단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상용화제는, 패리슨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5~30ℓ 용량 용기 성형에 비해 짧아 밑면 접합강도의 저하현상이 상대적으로 미미하기 때문에 상용화제가 15wt%까지 포함될 수 있다.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7 wt%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매우 낮으며, 20 wt% 초과일 경우에는 차단성이 낮아지고 충격강도 개선효과 대비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다만, 5리터 미만의 용기에 사용되기 위한 차단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충격보강재는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함량을 줄이는 만큼 더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25wt%까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성형품을 이루는 접착층에서는 상기 차단층에 사용하는 상용화제가 7 w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wt% 이상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컴파운드를 사용하며, 여기서 사용 가능한 폴리올레핀의 경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폴리올레핀의 경우, 용융지수 0.2~20 g/10min, 밀도 0.91~0.97 g/cm3를 만족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가 7 wt% 미만인 폴리올레핀계 컴파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차단층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층간박리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용기의 밑면 접합강도가 약해진다. 다만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상용화제의 함량이 올라갈수록 경제성은 낮아지므로, 2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성형품을 이루는 기본층은 용융지수가 0.01~2.0 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부터 선택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 0.01~2.0 g/10min 의 범위를 벗어나는 수지를 선택할 경우에는 패리슨이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각 층 혼합물 조성으로 이루어진 다층 성형품, 특히 중공 성형품의 구조는 적어도 기본층, 접착층, 차단층의 3층을 포함하는데, 차단층은 성형품 전체 두께의 2~20%, 바람직하게는 4~12%이고, 접착층은 상기 차단층 두께의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차단층의 두께를 증가시킬수록 차단성은 향상되나 경제성이 낮아지고, 2% 미만의 두께에서는 요구되는 차단성이 나오지 않게 된다. 접착층도 두께가 증가할수록 접착력은 좋아지나 경제성이 낮아지고, 접착층이 상기 차단층 두께의 30% 미만일 경우에는 차단층과의 접착력이 약해져 층간 박리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분 또는 조성을 갖는 각 층 혼합물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형품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공성형을 통한 다층 탱크, 다층 병 및 다층 용기로 성형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된 물질들]
(1)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니폰고세이(Nippon Gohsei), 밀도 1.10~1.25 g/cm3, 용융지수 3.0~6.0 g/10min (210℃)
(2)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SK주식회사, 밀도 0.958 g/cm3, 용융지수 0.35 g/10min
(3) 상용화제: 말레인산 무수물이 그라프팅된 폴리에틸렌, 밀도 0.956~0.958 g/cm3, 용융지수 0.2~0.4 g/10min (SK주식회사)
(4) 접착성 수지: SK주식회사, 상용화제가 10 wt% 포함된 폴리에틸렌 컴파운드, 용융지수 0.6~0.8 g/10min, 밀도 0.957 g/cm3
(5) 충격 보강제: 에틸렌-코모노머 공중합체 (Dow Chemical), 밀도 0.86~0.91 g/cm3, 용융지수 0.5~5 g/10min
[실시예 1~2]
본 발명에서 차단층으로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컴파운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 1에 나타난 A~H의 조성으로 직경 30mm 2축 압출기에서 180~210℃의 온도조건으로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ASTM D256의 기준에 맞도록 컴파운드의 시편을 제작하여 아이조드 충격강도 (Izod impact strength; notched)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차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컴파운드를 직경 19mm 1축 압출기에서 190~210℃의 조건으로 20mm 두께의 블로운 필름을 제조하고, 산소투과도를 측정(1기압에서 1m2 면적당 20mm 두께의 필름을 통해 진공상태인 외부로 유출되는 산소의 양을 24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용기는 3층 중공성형기(대한민국, PlA-M사)를 이용하여, 내층에 상기 제조된 A와 B를 차단층으로 투입하고, 중간층에 밀도가 0.957 g/cm3인 접착성 수지를 투입하고, 외층에 밀도가 0.958 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투입하여 25ℓ의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 때의 가공 조건은 내층은 190~210℃, 중간층은 180~190℃, 외층은 160~180℃, 다이스는 200~210℃을 유지하였다. 제조된 각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우고 1.8m의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키는 드롭 테스트(drop test)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드롭 테스트는 용기의 각 면을 차례대로 지면에 향하게 하여 낙하시켜 용기의 파괴 유무 및 파괴까지의 낙하 횟수(예를 들면, 결과가 '1'일 경우에는 첫 번째 낙하 시에 용기가 파괴됨을 의미하고, 'Pass'일 경우에는 모든 면에서 파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말함)를 측정하였다.
용기의 밑면 접합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25ℓ 용기에서 밑면만 절단하여 시편으로 이용하고 낙구충격테스트를 ASTM D3029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밑면 접합부분이 파단되는 한계 에너지를 계산해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배합 비율 충격강도 (kgf㎝/cm) ASTM D256 차단성 (cc·20㎛/m2 day·atm)
EVOH 상용화제 충격보강제 23℃ -40℃
A 80 3 17 No break (150 이상) 13.8 1.2
B 75 10 15 No break (150 이상) 14.5 1.7
C 75 15 10 No break (150 이상) 13.7 1.7
D 80 15 5 21.2 6.4 1.5
E 80 0 20 성형불가
F 95 3 2 12.1 4.2 1.4
G 60 10 30 No break (150 이상) 15.3 8.7
H 100 0 0 11.2 3.5 1.1
25ℓ 용기
층 구성 (외층/중간층/내층) Drop Test 밑면 접합 강도 (단위 = J) ASTM D3029
실시예 1 HDPE/adhesive/A Pass 15.68
실시예 2 HDPE/adhesive/B Pass 13.72
비교예 1 HDPE/adhesive/C 3 7.84
비교예 2 HDPE/adhesive/D 3 8.82
비교예 3 HDPE/adhesive/F 1 3.92
비교예 4 HDPE/adhesive/G 1 5.88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조된 C, D, F, G를 차단층으로 투입하고 동일 접착층 및 기본층 수지를 투입하여 25ℓ의 용기를 제조하고 용기의 드롭 테스트(drop test)를 실시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조된 용기의 밑면 시편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밑면 접합 강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5]
상기 제조된 A, B, C를 차단층으로 하여 500mℓ의 용기를 제조 후, 각 용기의 드롭테스트(Drop test) 및 밑면 접합 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500mℓ 용기
층 구성 (외층/중간층/내층) Drop Test 밑면 접합 강도 (단위 = J) ASTM D3029
실시예 3 HDPE/adhesive/A Pass 16.02
실시예 4 HDPE/adhesive/B Pass 15.80
실시예 5 HDPE/adhesive/C Pass 14.8
[비교예5~7]
상기 제조된 A, B, C를 차단층으로 하여 40ℓ의 용기를 제조 후, 각 용기의 드롭테스트 및 밑면 접합 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40ℓ 용기
층 구성 (외층/중간층/내층) Drop Test 밑면 접합 강도 (단위 = J) ASTM D3029
비교예 5 HDPE/adhesive/A 3 8.02
비교예 6 HDPE/adhesive/B 2 5.45
비교예 7 HDPE/adhesive/C 1 3.41
표 3, 표 4에서의 결과를 보면, 500mℓ 용기는 조성별 밑면 접합강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40ℓ 크기의 성형품은 패리슨(parison)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시간이 약20ℓ 크기의 성형품에 비해서 50% 이상 길기 때문에 밑면 접합강도를 개선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아직 이론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충격보강제 및 상용화제의 첨가 비율이 5ℓ 이상 크기의 성형품에서는 밑면 접합강도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성형품은 차단성은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5ℓ미만의 크기는 물론, 5~30ℓ 크기의 성형품에서도 충격강도 및 밑면 접합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충격 보강제 7~20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수지 조성물.
  2.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85 wt%, 충격 보강제 7~25 wt%, 및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5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EVOH)의 에틸렌 함량이 20~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EVOH)의 에틸렌 함량이 29~4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재는 에틸렌과 1-부텐 또는 1-옥텐 코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코모노머의 함량이 10~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는 그래프팅 또는 공중합에 의해 폴리올레핀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것으로, 불포화 단량체는 말레인산, 알릴숙신산, 이타콘산 또는 시트라콘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단량체는 말레인산 무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용융지수 0.2~20 g/10min, 밀도 0.91~0.97 g/cm3 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성수지 조성물.
  9. 적어도 기본층, 접착층 및 차단층을 포함하며, 내층이 차단층인 다층 구조를 갖는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기본층은 용융지수가 0.01~2.0 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접착층은 용융지수 0.1~10 g/10min, 밀도 0.91~0.97 g/cm3 인 폴리올레 핀의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7중량% 이상 함유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며,
    상기 차단층은 에틸렌 함량이 20~50 ㏖%인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70~90 wt%; 에틸렌과 1-부텐 또는 1-옥텐 코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코모노머의 함량이 10~50 ㏖%인 충격 보강제 7~20 wt%; 및, 용융지수 0.2~20 g/10min, 밀도 0.91~0.97 g/cm3 폴리올레핀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0 wt%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개선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5 내지 30리터 용량의 다층 구조 성형품.
  10. 적어도 기본층, 접착층 및 차단층을 포함하며, 내층이 차단층인 다층 구조를 갖는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기본층은 용융지수가 0.01~2.0 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접착층은 용융지수 0.1~10 g/10min, 밀도 0.91~0.97 g/cm3 인 폴리올레핀의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7중량% 이상 함유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이며,
    상기 차단층은 에틸렌 함량이 20~50 ㏖%인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 체(EVOH) 70~85 wt%; 에틸렌과 1-부텐 또는 1-옥텐 코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코모노머의 함량이 10~50 moℓ%인 충격 보강제 7~25 wt%; 및, 용융지수 0.2~20 g/10min, 밀도 0.91~0.97 g/cm3 폴리올레핀 주쇄 또는 측쇄에 불포화 단량체가 결합된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 3~15 wt%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개선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5리터 미만 용량의 다층 구조 성형품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가 10중량%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또는 차단층의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에 사용되는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불포화단량체는 말레인산, 알릴숙신산, 이타콘산 또는 시트라콘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에 포함되는 불포화 단량체는 말레인산 무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차단층이 성형품 전체 두께의 2~20%, 상기 접착층은 상기 차단층 두께의 30%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차단층이 성형품 전체 두께의4~12%이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차단층 두께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070005218A 2007-01-17 2007-01-17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KR10141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18A KR101412832B1 (ko) 2007-01-17 2007-01-17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CN2008100856223A CN101235181B (zh) 2007-01-17 2008-01-16 冲击强度提高的防护层用树脂组合物及包括该树脂组合物的多层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18A KR101412832B1 (ko) 2007-01-17 2007-01-17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24A true KR20080067824A (ko) 2008-07-22
KR101412832B1 KR101412832B1 (ko) 2014-06-27

Family

ID=3982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18A KR101412832B1 (ko) 2007-01-17 2007-01-17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2832B1 (ko)
CN (1) CN10123518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93A1 (ko) * 2021-06-01 2022-12-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라이너
CN116063764A (zh) * 2021-11-01 2023-05-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装制品
WO2023224375A1 (ko) * 2022-05-19 2023-11-2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587B1 (ko) * 1995-01-03 2002-12-02 에스케이 주식회사 산소차단성수지조성물및그의성형품
US6410109B1 (en) * 1997-01-10 2002-06-25 Kuraray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usage thereof
CA2235534A1 (en) 1997-04-23 1998-10-23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Multilayered article, vessel and resin composition based on polyethylene
KR100323791B1 (ko) * 1997-09-04 2002-02-19 나카무라 하사오 수지 조성물
FR2796386B1 (fr) * 1999-07-15 2001-09-07 Atofina Compositions a base d'un copolymere de l'ethylene et de l'alcool vinylique et de polypropylene
EP1122060A1 (en) * 2000-02-07 2001-08-08 Atofina Multilayer structure and tank consisting of this structure, which has a barrier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contained
CN100513164C (zh) * 2003-08-05 2009-07-15 阿克马公司 包含改性冲击evoh层的多层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93A1 (ko) * 2021-06-01 2022-12-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라이너
CN116063764A (zh) * 2021-11-01 2023-05-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装制品
CN116063764B (zh) * 2021-11-01 2024-03-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装制品
WO2023224375A1 (ko) * 2022-05-19 2023-11-23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탱크용 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832B1 (ko) 2014-06-27
CN101235181B (zh) 2012-11-21
CN101235181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3039A (en) High density polyethylene article with oxygen barrier properties
US20100130692A1 (en)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EP2483350B1 (en) Multi-layered article
EP2545131B1 (en) Adhesive composition
EP146672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laminate
KR20140063857A (ko) 다층 구조 용기
CN107922684B (zh) 适用作多层结构中的连接层的树脂和包含所述树脂的多层结构
US8753729B2 (en)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95274B1 (ko)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EP0578056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s thereof
KR101412832B1 (ko) 충격강도가 보강된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한다층 구조의 성형품
JP2003073506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積層構造体
ES2561590T3 (es) Composición de resina adhesiva y estratificado que usa la misma
KR100716575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지로 제조되는 투명 다층용기
KR100714040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성형품
JP2005111926A (ja) 多層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成る成形体
KR102251199B1 (ko) 가스 배리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제품
JP4616937B2 (ja) 内容品保存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ブロ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0991B1 (en) A multilayer structure and thermoformed articles made therefrom
TWI805712B (zh) 用作多層結構中之黏結層之樹脂及包括其的多層結構
KR20190098075A (ko) 가요성 다층 압축 공기 라인
KR100723360B1 (ko) 외관 및 용기적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KR100742632B1 (ko) 블로우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그의 성형체
JP2898359B2 (ja) 多層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
JP7349772B2 (ja) 外観と強度に優れる中空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