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738A -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 - Google Patents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738A
KR20080066738A KR1020087010329A KR20087010329A KR20080066738A KR 20080066738 A KR20080066738 A KR 20080066738A KR 1020087010329 A KR1020087010329 A KR 1020087010329A KR 20087010329 A KR20087010329 A KR 20087010329A KR 20080066738 A KR20080066738 A KR 2008006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main body
contraction mechanism
diame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미야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ublication of KR2008006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18Drills for enlarging a hole
    • B23B51/0045Drills for enlarging a hole by expanding or tilting the toolhea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03Machines for drilling anchor holes and setting anchor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1Side slide: elongated co-linea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를 제공한다.
전동기구에 연결되는 생크(12a)를 가지는 본체부(12)와, 상기 본체부(12)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를 구비하고, 전동기구에 의해 축 둘레의 회전이 부여되고, 각각의 확장수축기구(13)(14)에 설치되는 절삭날(8,…)에 의해서,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상하 2단의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11)로서, 신축 가능하고, 단축 및 신장동작에 의해 각각의 절삭날(8,…)이 확경 및 축경하는 구성이다.
확경홈, 절삭, 축경, 블레이드, 확장, 수축, 앵커

Description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Diameter Expanding Groove Cutting Device and Expanding/Contracting Mechanism Tool}
본 발명은 앵커근(筋)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擴徑)홈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확경홈 절삭장치의 일례를 도 15(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도면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는, 앵커근설치용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다.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1)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때에는,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콘크리트의 상면(床面)(4)에 앵커 하부홀(2)을 하부홀용 드릴(도시되지 않음)로 절삭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 상기 앵커 하부홀(2)안에 확경홈 절삭장치(1)의 확장수축기구부(5)를 삽입한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1)의 상단에는 생크(1a)가 형성되고, 이 생크(1a)는 회전 및 진동전동기구(도시되지 않음)의 척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이 전동기구를 구동시켜서 전동기구에 장착되어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1)의 선단 가이드헤드(5a)를 앵커 하부홀(2)의 바닥으로 누른다. 전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확경홈 절삭장치(1)는 소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대하여 타격하는 진동이 부여된다. 이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대한 타격 및 작업자에 의한 하부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서, 한쌍의 가요부(可撓部)(5b)는 압축스프링(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5(b)에 도시된 확경상태로 된다. 즉, 한쌍의 가요부(5b)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가요부(5b)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5c)도 그에따라 하강한다. 슬라이드부(5c)가 하강하면, 각 슬라이드부(5c)가 심체(芯體)(7)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헤드(5a)의 각 경사면(7a)에 안내되어 확경되고, 이때 각 가요부(5b)가 변형한다. 이러한 각 슬라이드부(5c)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삭날(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절삭날(8)이 확경된 상태로 확경홈 절삭장치(1)가 회전하면, 상기 확경된 각 절삭날(8)에 의해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도 15(b) 참조). 이와 같이 절삭된 앵커홀(9)은, 그 내부에 볼트 등의 앵커근(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함과 동시에, 에폭시 등의 접합재를 충전하여 고착시켜서 앵커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대하여 전동기구에 의한 타격이나 작업자에 의한 누름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한쌍의 가요부(5b)는 압축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절삭날(슬라이드부(5c))(8)가 축경(縮徑)하는 방 향으로 각 가요부(5b)가 변형함으로써, 확경홈 절삭장치(1)를 앵커홀(9)로부터 빼낼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개평3-29590호 공보
그러나, 도 15(a), 도 15(b)에 도시된 종래의 확경홈 절삭장치(1)에서는,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예를 들면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동시에 절삭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하는 이유는, 앵커근과, 앵커홀(9)의 내부 둘레벽과의 접합재에 의한 결합력을 크게하여 강력한 인발 내력(耐力)을 얻기 위함이다.
또한, 종래의 확경홈 절삭장치(1)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우선 비교적 깊이가 얕은 제 1앵커 하부홀을 하부홀용 드릴로 절삭 형성하여 도 1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제 1환형 확경홈(3)을 절삭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앵커 하부홀의 바닥으로부터 더 깊은 제 2앵커 하부홀을 하부홀용 드릴로 절삭 형성한다. 그리고, 도 1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제 2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및 제 2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제 1 및 제 2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제 1 및 제 2환형 확경홈(3)을 절삭하는 것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동시에 절삭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면 절삭칩에 의해 확경된 후 축경되지 않는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간단히 시간을 들이지 않고 빼낼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생크를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축 주위로의 회전이 부여되어 상기 각각의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되는 절삭날에 의해서,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로서,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는 신축 가능하고, 단축 및 신장동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절삭날이 확경 및 축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우선 콘크리트의 상면에 앵커 하부홀을 하부홀용 드릴로 절삭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 확경홈 절삭장치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생크를 회전 및 진동구동부의 척에 장착하고, 이 앵커 하부홀 내에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를 삽입하며, 그런 다음에, 그 선단부를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누른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확경홈 절삭장치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해 타격하는 진동을 부여하고, 이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한 타격과 작업에 의한 누름력에 의해 확경홈 절삭장치가 단축된다. 이 단축에 의해 각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이 확경상태로 된다. 그리고, 각 절삭날이 확경한 상태로 회전하면, 그 확경한 각 절삭날에 의해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삭 형성된 앵커홀은 그 내부에 앵커근을 삽입함과 동시에, 접합재를 충전하여 이 접합재가 고착함으로써 앵커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하여 타격 및 누름력을 부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절삭날이 축경하는 방향으로 상승이동함으로써,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중에, 선단측에 배치되는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 상기 본체부 및 별도의 상기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 각각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끼워진 강성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2개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본체부, 1개의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 및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3개 이상의 소망하는 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절삭하려고 하는 환형 확경홈의 수에 대응하여 필요한 수의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강성부에 의해서, 선단측 및 중간의 각 확장수축 기구부를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본체부에 대하여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지 않고, 직접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에 대하여 직접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함에 따라, 또는 필요한 수의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함으로써, 앵커 하부홀이 내부 둘레벽에 1개 및 필요한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탄성수단 의해 신장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이 슬라이드부에 상기 절삭날을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앵커 하부홀 내에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를 삽입하여 확경홈 절삭장치의 선단 심체를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누른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가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이 구동부가 확경홈 절삭장치에 대하여 회전과 타격진동을 부여한다. 그러면, 각 가요부의 슬라이드부가 각 심체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하강하면서 확경되고(이 경우, 심체는 단축된다), 이것에 의해 각 슬라이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이 확경된다. 이 확경된 각각의 절삭날에 의해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를 정지시켜서 작업자에 의해 이 확경홈 절삭장치에 대한 누름력을 약화시키면, 확경홈 절삭장치의 선단 심체가 앵커 하부홀의 바닥을 누름력이 약화되고, 각 심체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신장된다. 각 심체가 신장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가요부의 슬라이드부가 각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상승하면서 축경하고, 이것에 의해 각 슬라이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이 축경한다. 이와 같이, 절삭날이 축경한 상태에서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수축기구는, 미리 형성된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로서, 상기 확장수축기구는 확경홈 절삭장치가 구비하는 본체부 및 별도의 상기 확장수축기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가능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에 절삭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수축기구는 청구항 4의 확장수축 기구부와 동등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홈 절삭장치는, 구동부에 연결되는 생크를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확장수축 기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 주위로의 회전을 부여하여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되는 절삭날을 회전시켜서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는 심체를 가지며, 이 심체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게 설치되어, 단축 및 신장동작에 의해 상기 절삭날을 확경 및 축경시키며, 상기 본체부에는 코터(cotter)홀 또는 코터홈이 형성되고, 이 코터홀 또는 코터홈은 그것에 타격하여 삽입되는 코터에 의해 상기 심체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 예를 들면, 콘크리트의 상면에 앵커 하부홀을 하부홀용 드릴로 절삭한다. 그런 다음에, 확경홈 절삭장치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생크를, 회전 및 진동구동부의 척에 장착하고, 상기 앵커 하부홀내에 확장수축 기구부를 삽입하며, 그리고, 그 선단부(심체의 선단부)를 앵커 하부홀의 바닥으로 누른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확경홈 절삭장치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하여 타격하는 진동이 부여되고, 상기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한 타격과 작업자에 의한 누름력에 의해 확경홈 절삭장치가 단축된다. 이 단축에 의해 절삭날이 확경상태로 된다. 따라서, 절삭날이 확경된 상태로 회전하면, 이 확경한 절삭날에 의해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된 앵커 홀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앵커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대한 타격등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삭날이 축경하는 방향으로 상승이동함으로써,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절삭칩이 확장수축 기구부에 쌓임에 따라 절삭날이 확경한 상태로부터 축경상태로 되돌려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터홀 또는 코터홈에 코터를 타격,삽입하여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확경한 절삭날을 축경시킬 수 있어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본체측 슬리브 및 심체측 슬리브와, 상기 본체측 슬리브와 상기 심체측 슬리브를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측 슬리브가 상기 심체측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이동을 걸림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심체측 슬리브를 상기 심체와 연결하고 상기 본체측 슬리브와 상기 심체측 슬리브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코터홀 또는 상기 코터홈의 일부가 상기 본체측 슬리브에 의해 덮여지는 구성으로 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탄성수단에 의해 본체측 슬리브와 심체측 슬리브를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때, 본체측 슬리브가 걸미돌기에 걸림으로써 심체측 슬리브 및 이것과 연결되는 심체를 본체부에 대하여 신장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체가 신장하면, 절삭날이 축경한다. 그런 다음에,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심체를 단축시키면, 절삭날이 확경한다. 이와 같이, 절삭날이 확경한 상태에서, 본체측 슬리브와 심체측 슬리브를 서로 접촉시켜도 코터홀 등의 일부가 본체측 슬리브에 의해 덮여져서, 코터홀 등의 남은 부분이 외측으로 개구함으로써, 상기 코터홀 등의 개구부분에 코터를 타격,삽입하여 심체를 신장시킬 수 있어 확경한 절삭날을 강제적으로 축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가 복수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 중에, 선단측에 배치되는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 및 상기 본체부 각각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강성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2개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본체부, 1개의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 및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1개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 본체부에 대하여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시키지 않고 본체부에 대하여 직접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강성부에 의해 선단측 및 중간의 각 확장수축 기구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별도의 상기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3개 이상의 소망하는 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절삭하도록 하는 환형 확경홈의 수에 대응하여 필요한 수의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고, 필요한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탄성수단에 의해 신장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기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에 상기 절삭날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경우는, 앵커 하부홀 내에 확장수축 기구부를 삽입하여 확경홈 절삭장치의 선단 심체를 앵커 하부홀의 바닥에 누른다. 그런 다음에, 작업자가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이 구동부가 확경홈 절삭장치에 대하여 회전과 타격진동을 부여한다. 그러면, 가요부의 슬라이드부가 심체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하강하면서 확경하고(이 경우 심체는 단축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이 확경한다. 상기 확경한 절삭날에 의해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를 정지시켜서 작업자에 의해 이 확경홈 절삭장치에 대하여 누름력을 약화시키면, 확경홈 절삭장치의 선단 심체가 앵커 하부홀의 바닥을 누름력이 약화되어서 심체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신장한다. 심체가 신장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요부의 슬라이드부가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상승하면서 축경하며,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이 축경한다. 이와 같이 절삭날이 축경한 상태에서 확장수축 기구부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각 확장수축 기구부가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각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절삭날이, 확경홈 절삭장치의 단축동작에 의해 확경하는 구성으로서, 이 확경상태로 확경홈 절삭장치를 회전시키면,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강력한 인발 내력을 얻을 수 있는 앵커홀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는, 코터홀 또는 코터홈에 코터를 타격,삽입하여 확경한 절삭날을 강제적으로 축경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절삭칩이 확장수축 기구부에 쌓임에 따라, 절삭날이 확경한 상태로부터 축경한 상태로 되돌려지지 않아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빼낼 수 없는 경우에, 코터홀 등에 코터를 타격,삽입하여 확경하는 절삭날을 매우 간단히 단시간에 강제적으로 축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간단히 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중간 확장수축기구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 각각의 절삭날이 축경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b)는 각각의 절삭날이 확경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한 확경홈 절삭장치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형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분단면 정면도, (b)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형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를 본체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분단면 정면도, (b)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형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가 구비하는 심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A-A 단면도, (e)는 B-B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형태의 선단측 확장수축기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분단면 정면도, (b)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실시형태의 선단측 확장수축기구를 중간 확장수축기구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분단면 정면도, (b)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1실시형태의 선단측 확장수축기구가 구비하는 심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측면도, (d)는 C-C선 단면도, (e)는 D-D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앵커 하부홀을 하부홀용 드릴로 절삭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b)는 앵커 하부홀을 도시한 종단면도, (c)는 앵커 하부홀에 선단측 확장수축기구 등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사용하여 환형 확경홈을 절삭하는 순서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a)는 앵커 하부홀에 삽입되는 선단측 확장수축기구등을 확경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b)는 상하 2단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한 앵커 하부홀을 도시한 종단면도, (c)는 앵커홀에 설치된 앵커근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본체부에 2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b)는 본체부에 중간 확장수축기구를 장착하지 않은 선단측 확장수축기구만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중간확장수축기구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 각각의 절삭날이 축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b)는 각각의 절삭날이 확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a)에 도시한 확경홈 절삭장치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2실시형태의 확경상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강제적으로 축경시키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코터를 타격,삽입하기 전의 확경상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b)는 코터를 타격,삽입한 후의 축경상태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확경홈 절삭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절삭날이 축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 (b)는 절삭날이 확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 : 앵커 하부홀
3 : 환형 확경홈
4 : 상면
8 : 절삭날
11,111 : 확경홈 절삭장치
12 : 본체부
12a : 생크(shank)
12b : 장착부
12c : 수나사부
13 : 중간 확장수축기구
14 : 선단측 확장수축기구
15 : 탄성기구부
16 : 삽입홀
17 : 심체
17a,23a : 기단부(基端部)
17b,17c,20a,27b : 연결홀
18,33 : 연결핀
19 : 장홀
20 : 심체
21 : 가요부(可撓部)
22 : 결합 오목부
23 : 결합 볼록부
24,36 : 외장부
25,125 : 본체측 슬리브
25a : 암나사부
26 : 압축 스프링
27 : 심체측 슬리브
27a : 통형(筒形) 상부
28 : 확장수축 안내부
28a : 저면
29 : 강성부
30 : 슬라이드부
30a : 경사면
31 : 돌기
32 : 삽입홀
34 : 핀커버
37 : 계단부
38 : 가이드헤드
38a : 홈
39 : 하부홀용 드릴
40 : 절삭칩
41 : 앵커홀
42 : 앵커근
43 : 접합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의 제 1실시형태를 도 1 ~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확경홈 절삭장치(11)는,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근(42) 설치용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1 또는 2이상의 소망하는 수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고,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a), (b)에 도시된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11)는, 본체부(12),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생크(1a)를 전동기구(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의 척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동기구는 확경홈 절삭장치(11)에 대하여, 예를 들면 회전 및 타격진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 1(a)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각각에 설치되는 절삭날(8)이 축경된 상태를 도시한 확경홈 절삭장치(11)의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도 1(b)는 각각의 절삭날(8)이 확경된 상태를 도시한 확경홈 절삭장치(11)의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한 확경홈 절삭장치(11)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본체부(1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체이고, 상부에 생크(1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장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2b)에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탄성기구부(15)가 장착된다.
장착부(12b)는,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면의 중심에서 개구되는 삽입홀(16)이 축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16)은 중간 확장수축기구(13)가 구비하는 심체(17)의 기단부(17a)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심체(17)가 삽입홀(1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심체(17)가 흔들리지 않도록 보호,지지할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16)에 삽입된 심체(17)에는 연결홀(17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홀(17b)에 연결핀(18)이 삽입,관통되어 있 다. 상기 연결핀(18)은 장착부(12b)의 둘레벽에 형성된 한쌍의 장홀(19)에 삽입,관통되고, 상기 연결핀(18)은 심체(17)가 장착부(12b)에 대하여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심체(17)와 장착부(12b)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장홀(19)은 삽입홀(16)의 깊이방향(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장홀(18)의 길이는 삽입홀(16)에 삽입되는 심체(17)가 장착부(12b)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규정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18)이 장홀(19)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심체(2개의 심체(17)(2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17)(20)가 하부 방향으로 신장하는 신장상태로 되고,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이 축경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18)이 장공(19)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는, 각각의 심체(17)(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축상태로 되고,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이 확경상태로 된다.
또한,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b)의 하단 개구 둘레에는 결합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오목부(22)는 결합볼록부(23)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볼록부(23)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가 구비하는 외장부(24)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 결합오목부(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결합ㅇ오목부(22)는 내측부(22a)가 입구부보다 넓게되어 있고, 결합볼록부(23)의 상단부(23a)는 기단부보다도 횡폭이 넓게되어 있다. 도 2는 결합오목부(22)에 결합볼록부(2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결합상태로 하면, 본체부(12) 와 외장부(24) 각각의 단부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할 수 있어, 본체부(12)에 대하여 외장부(24)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b)에 탄성기구부(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기구부(15)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심체(17)를 하부 방향(신장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측 슬리브(25)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측 슬리브(25)의 상부 내부 둘레면에는 암나사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나사부(25a)는 장착부(12b)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12c)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양자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본체측 슬리브(25)가 본체부(12)에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측 슬리브(25)의 통형 하부(25b)는 본체부(12)의 외부 둘레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틈새에 압축 스프링(26)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하단부는 심체측 슬리브(27)의 통형 상부(27a)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통형 상부(27a)는 본체측 슬리브(25)의 통형 하부(25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심체측 슬리브(27)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연결홀(27b)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27b)에 연결핀(18)이 삽입,관통되어 있다. 상기 심체측 슬리브(27)는 장착부(12b)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기구부(15)에 의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6)에 의해 심체측 슬리브(27)를 하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심체측 슬리브(27)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핀(18)은, 장홀(19)의 하부 둘레에 접촉하여 하단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각 심체(17)(20)가 하부방향으로 신장하는 신장상태로 되고,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이 축경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 선단부(확장수축 안내부(28))를 상부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각각의 심체(17)(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축상태로 하면,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이 확경상태로 된다. 이때, 연결핀(18)이 장홀(19)의 상단에 위치하여 심체(17)(20)를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을 걸림 지지할 수 있다.
중간 확장수축기구(13)는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24)와 심체(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3(a)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분해부분 단면 정면도이고, 도 3(b)는 그 분해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4(a)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본체부(1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외장부(2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원통형의 기단부(24a)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부(24a)의 상부 둘레에 결합볼록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단부(24a)의 하부에는 각각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부(21) 및 강성부(29)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가요부(21)는 탄성을 가지는 판형금속 등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슬라이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30)에는 칩형의 절삭날(8)이 설치되어 있고, 절삭날(8)의 둘레부가 슬라이드부(30)의 외면 및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30)의 심체(17)측의 내면은, 하부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30a)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성부(29)는 횡단면이 약 반원형상이고, 가요부(21)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요부(21) 및 강성부(29)의 내면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체(17)의 원기둥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호,지지할 수 있도록 횡단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부(29)의 하단 둘레에는 결합오목부(본체부의 결합오목부(22)와 동등한 것)(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오목부(22)는 결합볼록부(2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볼록부(23)는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가 구비하는 외장부(36)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볼록부(23)와 동등한 것), 결합오목부(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심체(17)는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홀(17b)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28)는 도 5(a), (b), (c), (d),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30)를 확장수축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안내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28)의 저면(28a)은, 하부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고, 그 횡폭은 슬라이드부(30)가 요동하지 않도록 확장수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치수이다. 그리고, 저면(28a)에는 돌기(31)가 형성되고, 이 돌기(31)는 슬라이드부(30)의 내면과 결합하여 슬라이드부(3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할 때에, 절삭저항에 의해 슬라이드부(30)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절삭칩(40)이 슬라이드부(30)와 확장수축 안내부(28)와의 사이에 끼워지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또한, 이 확장수축 안내부(28)의 저면(28a)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8)이 확경상태로 되는 경우에, 슬라이드부(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0a)과 대략 평행하고, 이 경사면(30a)의 대략 전체와 접촉하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환형 확경홈(3)의 절삭시에, 슬라이드부(30)가 확장수축 안내부(28)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보호,지지된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체(17)의 하단부에는 이 하단부와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의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삽입홀(32) 및 연결홀(17c)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32)은, 심체(20)의 상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체(20)의 상단부를 삽입홀(32)에 삽입한 상태에서, 심체(17)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홀(17c) 및 심체(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홀(20a)에 연결핀(33)을 삽입하여, 한쪽 심체(17)와 다른쪽 심체(2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33)이 연결홀(17c)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a) 및 도 6(a)에 도시된 핀커버(34)를 강성부(29)의 하단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는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36)와, 심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6(a)는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분해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도 6(b)는 그 분해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7(a)는 선단측 확장장치(14)를 중간 확장수축기구(13)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도 7(b)는 그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8(a) ~ (e)는 심체(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b)에 도시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와, 도 3(a), (b)에 도시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차이점은, 외장부(36)(24) 및 심체(20)(17)가 다르다는 것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외장부(24)에서는, 1개의 가요부(가요부(21)에는 슬라이드부(30) 및 절삭날(8)이 설치되어 있다) 및 1개의 강성부(29)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비해, 도 6(a)에 도시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외장부(36)에서는 강성부(29)를 삭제하여 2개의 가요부(21)(각각의 가요부(21)에는 슬라이드부(30) 및 절삭날(8)이 설치되어 있다)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중간확장수축기구(13)의 심체(17)에서는 상단의 연결홀(17b)을 설치한 부분이 그것보다 하부 방향의 부분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도 6(b)에 도시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에서는 상단의 연결홀(20a)을 설치한 부분이 그것보다 하부 방향의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계단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부(37)는 심체(20)의 상단을 심체(1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32)에 삽입하는 경우에, 삽입 깊이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심체(1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좌측에 확장수축 안내부(28)를 설치하고, 그 부분의 연결홀(17c) 및 삽입홀(32)을 형성한 구성으로 된 것에 비해,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좌,우 양측에 합계 2개의 확장수축 안내부(28)를 설치하고, 연결홀(27c) 및 삽입홀(32)을 삭제함과 동시에, 하단부에 볼록 모양의 가이드헤드(38)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헤드(38)의 선단면에는 홈(38a)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는 중간 확장수축기구(13)와 동등하므로, 동등한 부분을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하고,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 1(a), 도 1(b)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1)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하는 순서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먼저,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상면(4)에 앵커 하부홀(2)을 하부홀용 드릴(39)로 절삭 형성하고, 그 하부홀(2)내의 절삭칩(40)을 배출(청소)한다. 그리고, 확경홈 절삭장치(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생크(1a)를 전동기구(회전 및 진동구동부)의 칩에 장착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홈 절삭장치(11)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중간확장수축기구(13)를 상기 앵커 하부홀(2)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 선단부의 가이드헤드(38)를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누른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이 전동기구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홈 절삭장치(1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대하여 타격하는 진동이 부여되고, 앵커 하부홀(2)의 바닥에 대한 타격과 작업자에 의한 누름력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각각의 심체(17)(20)가 압축스프링(2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각 외장부(24)(36)가 눌러 내려져) 확경홈 절삭장치(11)가 단축된다.
각 심체(17)(20)가 돌출되는 방향(각 외장부(24)(36)가 눌러 내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중간 확장수축기구(13)에 설치되어 있는 가요부(21,…) 각각의 슬라이드부(30,…)가, 대응하는 각 심체(17)(20)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수축 안내부(28,…)에 안내되어 확경하고, 이것에 의해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중간 확장수축기구(13)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 2단의 각각의 절삭날(8,…)이 확경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2단의 절삭날(8,…)이 상기 확경상태로 회전할 수 있어 상기 확경한 각 절삭날(8)에 의해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상하 2단으로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다.
다만, 전동기구를 정지시키거나, 작업자에 의해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11)에 대한 누름력이 약해지면, 확경홈 절삭장치(11)의 선단 가이드헤드(38)가 앵커 하부홀(2)의 바닥을 누르는 힘이 약화되어서 각 심체(17)(20)는 압축스프링(26)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신장한다. 각 심체(17)(20)가 신장방향(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중간 확장수축기구(13)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부(30,…)가 각 확장수축 안내부(28,…)에 안내되어 상승하면서 축경하고, 이것에 의해 각 슬라이드부(30)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이 축경한다. 이와 같이 절삭날(8,…)이 축경한 상태에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앵커홀(41)로부터 빼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 형성된 앵커홀(41) 내의 절삭칩(40)을 배출(청소)한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홀(41)의 내부에 볼트 등의 앵커근(42)을 삽입함과 동시에, 에폭시 등의 접합재(43)를 충전한다. 이 접합재(43)가 고착됨에 따라, 앵커근(42)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11)를 사용함에 따라,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상하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노력과 시간이 걸리지 않고 간단히 강력한 인발내력을 얻을 수 있는 앵커홀(41)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1)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는 상기와 같이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 및 본체부(12) 각각과 착탈 가능하지만, 아울러 상기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별도의 동등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하부에 2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연결하고, 그 하부에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1(a)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1)에 의하면,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3개의 환형 확경홈(3)을 동시에 절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소망하는 수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하는 경우는, 절삭하는 환형 확경홈(3)의 수에 대응하여 필요한 수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상단과 하단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단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에 설치되어 있는 심체(17)의 상단을, 도 11(a)에 도시된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 상단처 럼, 계단부(37)를 형성하여 앞쪽을 가늘게 한다.
아울러, 도 1(a)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1)의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는, 예를 들면 본체부(12)의 장착부(12b)의 길이, 심체(17)(20) 및 외장부(24)(36) 각각의 연결홀(17b,…)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등을 변경함에 따라 중간 확장수축기구(13) 및 본체부(12)의 양쪽에 대하여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예를 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에 중간 확장수축기구(13)를 연결하지 않고, 직접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1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1개 및 필요한 복수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1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중간 확장수축기구부에 의하면, 가요부(21)를 1개밖에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그 부분만큼 강성부(29)의 횡단면적을 크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확장수축기구(1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직경을 비교적 작게할 수 있어 작은 직경의 앵커 하부홀(2)에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직경을 비교적 크게 하는 경우는, 강성부(29)의 횡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복수의 가요부(21)를 설치한 구성의 중간 확장수축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결합볼록부(23)를 가요부(21)의 상부방향 위치에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하 2개의 중간 확장수축기구(13) 각각의 가요부(21)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날(8)을, 심체(17)를 기준으로 하여 반대측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삭저항의 균형을 얻을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환형 확경홈(3)을 절삭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본체부(12), 중간 확장수축기구(13)의 외장부(24)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외장부(36)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지만, 서로 고착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 확장수축기구부의 심체(17) 및 선단측 확장수축기구(14)의 심체(20)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지만, 서로 고착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의 제 2실시형태를 도 12 ~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에 도시된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와, 도 12(a), (b)에 도시된 제 2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1)의 차이점은, 앵커홀(41)을 절삭 형성하는 중에, 절삭날(8)이 확경한 상태로부터 축경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경우에, 앵커홀(41)에 삽입된 확경홈 절삭장치를 강제적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다른 점이다. 그 외에는,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와 동등하므로, 동등부분을 동일부호로 표시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 1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홀(41)을 절삭 형성하는 중에, 절삭날(8)이 확경된 상태로부터 축경된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경우에, 예를 들면, 2개의 스패너를 사용하여 본체측 슬리브(25)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절삭날(8)을 강제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축경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앵커 홀(41)에 삽입된 확경홈 절삭장치(11)를 빼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 2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1)에서는, 도 1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터(52)를 코터홀(49)에 타격,삽입하여, 절삭날(8)을 강제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축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앵커홀(41)에 삽입된 확경홈 절삭장치(111)를 빼낼 수 있다.
제 2실시형태의 확경홈 절삭장치(111)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측 슬리브(12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둘레면이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 슬리브(125)에 삽입,관통하는 본체부(12)의 외부 둘레면도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측 슬리브(125)는 본체부(12)를 따라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은 본체부(12)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50)의 위치에서 지지되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 슬리브(125)와 심체측 슬리브(27)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심체측 슬리브(27)의 통형 상부(27a)가 본체측 슬리브(125)의 통형 하부(25b)를 덮도록 중첩되어 통형 상부(27a)의 상부둘레가 본체측 슬리브(125)에 설치된 걸림볼록부(51)와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본체측 슬리브(125) 및 심체측 슬리브(27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심체측 슬리브(27)의 상승이동)이 정지된다.
코터홀(49)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소정길이의 장홀이고, 본체부(12)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본체측 슬리브(125)의 상부 둘레가 걸림돌기(50)에 접촉하고, 코터홀(49)의 하부가 본체측 슬리브(125)에 덮여진 상태로 되어 있어, 코터홀(49)의 상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본체측 슬리브(125)와 심체측 슬리브(27)가 서로 접촉하고, 절삭날(8)이 확경한다. 도 1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코터홀(49)의 상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이 코터홀(49)의 개구부분에 코터(52)를 타격,삽입함으로써,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체(17)(20)를 신장시킬 수 있고, 확경한 절삭날(8)를 강제적으로 축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 12(a), (b)에 도시된 확경홈 절삭장치(111)를 사용하여 앵커 하부홀(2)의 내부 둘레벽에 2개의 환형 확경홈(3)을 절삭하는 순서는, 제 1실시형태와 동등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홈 절삭장치(111) 각각의 절삭날(8)이 확경한 상태로부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도 14(b)에 도시된 축경한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아서, 확경홈 절삭장치(111)를 앵커홀(41)로부터 빼낼 수 없는 경우에,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절삭날(8)을 축경시켜서, 확경홈 절삭장치(111)를 앵커홀(41)로부터 빼내는 기구 및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확경한 절삭날(8)이,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축경 한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원인으로서, 예를 들면 절삭칩(40)이 슬라이드부(30)와 확장수축 안내부(28)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터(52)의 선단부를 본체측 슬리브(125)의 상부방향으로 개구하는 코터홀(49)의 상부에 타격,삽입한다. 그러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터(52)의 상부둘레(52a)가 코터홀(49)의 상부둘레(본체부(12))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코터(52)의 하부둘레(52b)가 본체측 슬리브(125)의 상부둘레와 접촉하여, 본체측 슬리브(125)가 상승하지 않도록 원래의 높이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체측 슬리브(125)와 심체측 슬리브(27)가 접촉하게 되고, 이 심체측 슬리브(27)와 심체(17)(20)가 연결핀(18)(3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앵커홀(41) 내에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본체부(12)와 연결하는 슬라이드부(30)를 확장수축 안내부(28)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확경한 절삭날(8)을 매우 간단히 단시간에 강제적으로 축경할 수 있고, 확경홈 절삭장치(111)를 앵커홀(41)로부터 간단히 빼낼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에 코터홀(49)을 형성했지만, 이 코터홀(49)을 대신하여, 상기 코터홀(49)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코터홈을 본체부(12)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 구는,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동시에 절삭 형성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짐과 함께, 아울러, 예를 들면, 절삭칩에 의해 확경된 후 축경되지 않는 확경홈 절삭장치를, 앵커홀로부터 간단하게 시간을 들이지 않고 빼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져서, 이와 같은 확경홈 절삭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Claims (10)

  1. 구동부에 연결되는 생크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확장수축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축 주위로의 회전이 부여되고, 상기 각각의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된 절삭날에 의해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복수의 환형 확경홈을 절삭 형성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로서,
    상기 확경홈 절삭장치는, 신축 가능하고, 단축 및 신장동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절삭날이 확경 및 축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 중에서, 선단측에 배치되는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 상기 본체부 및 별도의 상기 중간확장수축 기구부 각각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끼워지는 강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탄성수단에 의해 신장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에 상기 절삭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5. 미리 형성된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형성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에 사용되는 확장수축기구로서,
    상기 확장수축기구는 확경홈 절삭장치가 구비하는 본체부 및 별도의 상기 확장수축기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에 절삭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수축기구.
  6. 구동부에 연결되는 생크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설치되어 있는 확장수축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 주위로의 회전을 부여하여,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에 설치된 절삭날을 회전시킴에 따라, 앵커근 설치용 앵커 하부홀의 내부 둘레벽에 환형 확경홈을 절삭할 수 있는 확경홈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는 심체를 가지고, 이 심체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축 및 신장동작에 의해 상기 절삭날을 확경 및 축경시키며,
    상기 본체부에는 코터홀 또는 코터홈이 형성되고, 이 코터홀 또는 코터홈은, 그에 타격,삽입되는 코터에 의해 상기 심체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신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본체측 슬리브 및 심체측 슬리브와, 상기 본체측 슬리브와 상기 심체측 슬리브를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측 슬리브가 상기 심체측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이동을 걸림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심체측 슬리브가 상기 심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측 슬리브와 상기 심체측 슬리브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코터홀 또는 상기 코터홈의 일부가 상기 본체측 슬리브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확장수축 기구부 중에서, 선단측에 배치되는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 및 상기 본체부 각각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강성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측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는, 별도의 상기 중간 확장수축 기구부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축 기구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탄성수단에 의해 신장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상기 심체와, 탄성을 가지는 가요부를 가지며,
    상기 심체는 선단부에 확장수축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부는 선단부에 상기 확장수축 안내부에 안내되어 확경 및 축경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이 슬라이드부에 상기 절삭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경홈 절삭장치.
KR1020087010329A 2005-11-14 2006-11-13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 KR200800667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9288 2005-11-14
JP2005329288 2005-11-14
JPJP-P-2006-00064877 2006-03-09
JP2006064877 2006-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738A true KR20080066738A (ko) 2008-07-16

Family

ID=3802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329A KR20080066738A (ko) 2005-11-14 2006-11-13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39772A1 (ko)
EP (1) EP1959091A1 (ko)
JP (1) JPWO2007055353A1 (ko)
KR (1) KR20080066738A (ko)
AU (1) AU2006312579A1 (ko)
CA (1) CA2623249A1 (ko)
WO (1) WO20070553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547A (ko) * 2016-07-07 2018-10-16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확경공 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137A1 (en) * 2009-02-19 2010-08-26 Y.D.E. Engineers Ltd. Nibbling mechanism for construction material
US20120074659A1 (en) 2010-09-29 2012-03-29 Henry H. Hamilton Tool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8857036B2 (en) * 2011-03-07 2014-10-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eak-tight connection between pipe and port
FR2976512B1 (fr) * 2011-06-20 2014-05-23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de reparation de defauts dans une structure
CA2790694C (en) * 2012-09-20 2015-07-21 Robert Cousineau Self-undercut expansion anchor insertion system
CA2888554C (en) * 2013-06-25 2016-10-18 Robert Cousineau Self-undercut anchor system
CN104453720A (zh) * 2014-12-19 2015-03-25 五广(上海)基础工程有限公司 两段式旋挖扩底钻头
JP7079475B2 (ja) * 2018-02-14 2022-06-02 株式会社ミヤナガ 拡径孔部の穿孔装置
CN112606109A (zh) * 2020-12-15 2021-04-06 梁绍丽 一种在制造家具板材上钻取t形孔的方法
EP4357532A1 (de) * 2022-10-21 2024-04-24 Spinnanker GmbH Eindrehsystem für die einbringung eines gewindestabes in einen untergrun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4575A (en) * 1950-01-09 1953-10-06 Archer W Kammerer Tandem expansible rotary drill bit
JPS6278393A (ja) * 1985-09-30 1987-04-10 国土防災技術株式会社 多段式拡孔ビツト
JP2564100Y2 (ja) * 1989-07-29 1998-03-04 株式会社 ミヤナガ アンカーボルト植設用孔の拡径部削成装置
JP3021129U (ja) * 1995-07-31 1996-02-16 シンエイテック株式会社 掘削装置の連結機構
JP3242339B2 (ja) * 1996-12-06 2001-12-25 敏雄 向井 掘削機用排土部材の接続装置
JP3949019B2 (ja) * 2002-07-17 2007-07-25 株式会社技研製作所 オー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547A (ko) * 2016-07-07 2018-10-16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확경공 천공 장치
US10744677B2 (en) 2016-07-07 2020-08-18 Kabushiki Kaisha Miyanaga Hole drilling device for forming expanded-diameter hole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9091A1 (en) 2008-08-20
CA2623249A1 (en) 2007-05-18
WO2007055353A1 (ja) 2007-05-18
JPWO2007055353A1 (ja) 2009-04-30
AU2006312579A1 (en) 2007-05-18
US20090139772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6738A (ko) 확경홈 절삭장치 및 확장수축기구
JP4446794B2 (ja) 部材の結合構造
JP4740280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のための下孔加工用ドリルビット
US5332346A (en) Concrete anchor
US20040166964A1 (en) Golf tee
TW201245587A (en) Concrete screw and method for anchoring a concrete screw in a substrate
US20150105175A1 (en) Handle grip assembly for swing-type ball game equipment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JP5400502B2 (ja) ビット接続具の接続構造
CN101292074A (zh) 扩径槽切削成装置及扩缩机构工具
JP2000093569A (ja) ゲ−トボ−ル用ステイックのヘッドとシャフトの接続構 造
JP2010189894A (ja) セパレータ切断工具
JP3141314U (ja) センタリング機能付きドリル
JP2002001677A (ja) アンカー抜き取り具
KR200394428Y1 (ko) 앵커볼트
KR102380478B1 (ko)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JPH077097Y2 (ja) ピンの抜止装置
KR100546889B1 (ko) 축을 갖는 고정핀
KR102127681B1 (ko) 확장형 앙카볼트
RU2193120C2 (ru) Соединение деталей
JP2003027599A (ja) ピン打込み式拡開アンカー
JP2003056274A (ja) 心抜き工法、削孔内部の部分拡径工法、削岩ヘッドならびに削岩機
JP2011255455A (ja) ねじ除去工具
KR20180007180A (ko) 박음식 파라솔 지주
JP3104172U (ja) バンカー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