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78B1 -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 Google Patents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78B1
KR102380478B1 KR1020210004027A KR20210004027A KR102380478B1 KR 102380478 B1 KR102380478 B1 KR 102380478B1 KR 1020210004027 A KR1020210004027 A KR 1020210004027A KR 20210004027 A KR20210004027 A KR 20210004027A KR 102380478 B1 KR102380478 B1 KR 10238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guide
beollim
ground
bul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to KR102021000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41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deformable sleeve member driven against the abutting surface of the head of the bolt or of a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타격시 단부가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벌림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벌림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는 벌림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에 벌림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벌림부를 타격하게 되면 벌림부의 단부가 벌림 안내부에 의해 뿌리형태로 벌어지면서 지중에 박히게 되므로 지중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매립 개수에 따라 토양의 상태가 딱딱하거나 모래 등과 같이 흐물거려도 효과적으로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ROOT TYPE UNDERGROUND ANCHOR BOLT}
본 발명은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대상물을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앙카볼트는 철골구조 또는 목조 기둥의 밑부분이나, 교량의 철제 거더와 같은 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를 연결하는 볼트의 통칭으로 사용되고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앙카볼트는 매립형과 스트롱 및 케미컬 앙카볼트로 분류할 수 있다.
매립형 앙카볼트의 경우, 땅을 일정 깊이로 파고,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며, 주로 가로등지주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된다.
스트롱 앙카볼트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되, 하방이 경사진 쐐기와 쐐기의 상방에 마련되고 하단부가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있으며, 상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로서, 이는 앙카볼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바탕 면에 구멍을 일정깊이로 뚫고 그 구멍에 쐐기를 삽입한 후 볼트의 상단을 타격하면, 볼트가 쐐기로 들어가면서 쐐기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절개부가 벌어지면서 형성된 구멍을 파고드는 형태로 고정된다.
케미컬 앙카볼트는 이액형으로 접착제와 경화제가 튜브에 저장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바닥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그 구멍에 케미컬 튜브를 삽입한 후 볼트를 타격하여 상기 케미컬 튜브가 터지면서 접착제와 경화제가 혼합됨으로써 볼트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앙카볼트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1016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부분에만 한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1016호(2011.06.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정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 부분을 지면상에 노출시킬 때 타격 과정에서 지중에 박히는 부분이 뿌리형태로 벌어지면서 매립 개수에 따라 토양의 상태에 관계없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타격시 단부가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벌림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벌림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는 벌림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림부의 상부에 보조 벌림 안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 상에 보조 벌림부가 위치되어 타격시 상기 보조 벌림부의 단부가 지중으로 재차 벌어지되,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 및 보조 벌림부가 적어도 하나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벌림 안내부는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턱의 사이에 경사진 벌림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부 중심부에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나선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벌림부 및 상기 보조 벌림부는 하부 외주면에 벌림살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하부에 상기 벌림 안내부가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부에 체결 나사산과, 지중에 매립 후에 절단하도록 타격부가 순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는 상기 보조 벌림부에 의해 오므려지도록 일측에 절개 형성되며, 상,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보조 벌림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벌림부 및 보조 벌림부는 벌림살이 길이가 같으면서 전체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타격시 단부가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벌림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벌림부(130)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는 벌림 안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턱(12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벌림부(130)에 구비된 벌림살(136)이 상기 다수의 이웃하는 턱(124)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벌림안내면(126)을 따라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턱(124)에 의해 일정한 방사상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벌림살(136)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130)의 상부에 보조 벌림 안내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 상에 보조 벌림부(150)가 위치되어 타격시 상기 보조 벌림부(150)의 단부가 지중으로 재차 벌어지며, 상기 벌림살(136)의 단부 양측에는 경사부(1361)가 형성되어 벌림살(136)의 끝단이 뾰족한 첨두부(1362)를 형성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는 하부가 원추형상을 갖도록 경사부(128)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에는 상기 보조벌림부(150)에 형성된 벌림살(156)이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밀착가압되어 몸체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오므림절개부(14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는 고정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에 구비된 체결나사산(114)과 별도로 절단위치인 홈(116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나사산(114)과 연결되어 몸체부(110)를 지중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타격의 타격점을 형성하며, 타격 종료 후 상기 홈(116a)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타격부(116)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는 하부가 벌림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타격시 단부가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벌림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벌림부(130)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는 벌림 안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턱(12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벌림부(130)에 구비된 벌림살(136)이 상기 다수의 이웃하는 턱(124)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벌림안내면(126)을 따라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턱(124)에 의해 일정한 방사상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벌림살(136)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벌림부(130)의 상부에 보조 벌림 안내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 상에 보조 벌림부(150)가 위치되어 타격시 상기 보조 벌림부(150)의 단부가 지중으로 재차 벌어지며, 상기 벌림살(136)의 단부 양측에는 경사부(1361)가 형성되어 벌림살(136)의 끝단이 뾰족한 첨두부(1362)를 형성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는 하부가 원추형상을 갖도록 경사부(128)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에는 상기 보조벌림부(150)에 형성된 벌림살(156)이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밀착가압되어 몸체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오므림절개부(14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는 고정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에 구비된 체결나사산(114)과 별도로 절단위치인 홈(116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나사산(114)과 연결되어 몸체부(110)를 지중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타격의 타격점을 형성하며, 타격 종료 후 상기 홈(116a)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타격부(116)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는 하부가 벌림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에 벌림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벌림부를 타격하게 되면 벌림부의 단부가 벌림 안내부에 의해 뿌리형태로 벌어지면서 지중에 박히게 되므로 지중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매립 개수에 따라 토양의 상태가 딱딱하거나 모래 등과 같이 흐물거려도 효과적으로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의 벌림부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서 보조 벌림 안내부가 오므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서 다른 실시예의 몸체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100)는 몸체부(110), 벌림 안내부(120), 벌림부(130), 보조 벌림 안내부(140) 및 보조 벌림부(150)를 포함하며, 금속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몸체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에서 지중에 박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체결홀(112)이 형성되고, 상부에 지면상에 노출되어 고정대상물의 하부에 구비된 기초부의 체결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체결 나사산(114)이 구비되며, 체결 나사산(114)의 상부에 해머 등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타격부(116)를 포함한다.
이때, 타격부(116)는 몸체부(110)가 지중에 박히도록 해머 등으로 타격할 때 타격 과정에서 변형되므로 몸체부(110)가 지중에 박히게 되면 절단하게 된다. 만약, 타격부(116) 없이 체결 나사산(114)를 타격하게 되면 체결 나사산(114)이 변형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타격부(116)와 체결 나사산(114)의 사이에 절단 위치를 안내하는 홈(116a)이 둘레면에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몸체부(110')는 앞선 몸체부(110)와 달리 타격부(116)가 생략되는 점만 상이하며, 타격부(116)가 없는 경우 드릴(도면에 미도시) 등으로 지면을 뚫은 상태에서 하부에 벌림 안내부(120)를 결합시키고, 벌림부(130)를 넣은 다음 벌림부(130)를 타격하여 벌림살(136)이 지중에서 벌어지게 하는 방식에 적용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12'는 체결홀이고, 114'는 체결 나사산이다.
벌림 안내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벌림부(130)의 상부 타격시 벌림부(130)의 하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벌림 안내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112)에 나선 체결되도록 연장부 외주면에 나선축(122)이 형성되고, 연장부 하부에 직경이 확장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턱(124)의 사이마다 경사진 벌림 안내면(126)이 형성되며, 벌림 안내면(126)의 하부에 지중에 잘 박히도록 역 원추 형상의 경사부(128)를 포함한다.
턱(124)은 벌림부(13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벌림살(136)들이 설정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벌림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벌림 안내면(126)은 벌림부(13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벌림살(136)과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타격에 의해 하강하는 벌림부(130)의 벌림살(136)들의 벌림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벌림부(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종방향의 삽입홀(132)이 관통 형성되고, 중간부 또는 하부에 절개부(13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절개부(134)의 사이마다 타격시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방사상의 벌림살(136)을 포함한다.
한편, 벌림부(130)는 벌림부(130)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가압구(도면에 미도시)를 몸체부(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압구를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격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벌림부(130)는 벌림살(136)이 길이가 같으면서 전체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 구비되므로 해당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벌림살(136)은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된 벌림 안내부(120)의 턱(124)과 턱(124) 사이마다 위치된 상태에서 지중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므로 몸체부(110)의 회전됨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벌림살(136)은 하단 양측에 경사면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지중을 잘 파고들어갈 수 있게 하면서, 꼭짓점 부위가 벌림 안내부(120)의 턱(124)과 턱(124) 사이 중심이 아닌 일측의 턱(124)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진입하여도 이동 방향이 중심을 향하도록 안내 가능하다.
보조 벌림 안내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림살(136)이 뿌리형태로 벌어진 상태에서 벌림부(1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보조 벌림부(150)의 상부 타격시 보조 벌림부(150)의 하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보조 벌림 안내부(140)는 몸체부(110)를 통과하도록 종방향의 홀이 관통 형성되면서 외주면 상하부에 보조 벌림 안내면(142)이 형성되고, 보조 벌림부(150)의 벌림살(15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오므려지도록 일측에 오므림 절개부(144) 상,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오므림 절개부(144)가 홀까지 형성된다.
이때, 오므림 절개부(1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벌림부(150)에 의해 가압하기 전에는 보조 벌림 안내부(140)의 홀 내경이 몸체부(110)의 외경보다 크지만, 보조 벌림부(150)에 의해 가압되면 보조 벌림 안내부(140)의 홀 내주면이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보조 벌림 안내면(142) 중 상부는 벌림부(130)의 벌림 안내면(126)과 같이 보조 벌림부(150)의 벌림살(156)들의 벌림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더욱이, 보조 벌림 안내면(142) 중 하부는 벌림부(13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132)과 몸체부(110)의 사이 틈에 삽입되면서 몸체부(110)가 벌림부(130)에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 벌림 안내면(142)에도 벌림부(130)의 턱(124)과 대응되는 턱이 구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벌림살(156)은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된 보조 벌림 안내부(140)의 턱과 턱 사이마다 위치된 상태에서 지중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므로 몸체부(110)의 회전됨을 이중으로 방지 가능하다.
보조 벌림부(150)는 벌림부(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종방향의 삽입홀(152)이 관통 형성되고, 중간부 또는 하부에 절개부(15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절개부(154)의 사이마다 타격시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방사상의 벌림살(156)을 포함한다.
한편, 보조 벌림부(150)도 벌림부(130)와 같이 벌림살(156)이 길이가 같으면서 전체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 구비되므로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보조 벌림부(150)는 지중에 박히는 길이에 따라 다수 구비되며, 다수 구비될 경우 보조 벌림 안내부(140)와 교번 배치된다.
그리고 보조 벌림부(150)도 벌림부(130)와 마찬가지로 벌림부(130)를 타격하는 원통 형상의 가압구(도면에 미도시)를 몸체부(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압구를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격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100)를 지중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112)에 벌림 안내부(120)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축(122)을 나선 체결시키고, 몸체부(110)에 벌림부(130)의 삽입홀(132)을 삽입하여 벌림부(130)를 몸체부(110)에 장착하게 된다[도 4(a) 참조].
다음으로,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100)를 해머 등의 공구로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타격부(116)를 타격하여 지중에 박히게 한다[도 4(b) 참조]. 이때, 체결 나사산(114)의 하부가 지면에 오는 위치까지 노출되도록 몸체부(110)를 타격한다.
다음으로, 타격에 의해 변형된 타격부(116)를 타격부(116)와 체결 나사산(114)의 사이에 형성된 홈(116a)을 기점으로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벌림부(130) 상에 지면 위까지 노출되도록 가압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구를 타격시켜 벌림부(130)를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벌림부(130)의 하강 과정에서 방사상의 벌림살(136)들이 벌림 안내부(120)의 턱(124)과 턱(124) 사이에 위치되면서 방사 형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벌림 안내면(126)을 통해 벌림부(130)의 벌림살(136)들의 벌림 방향을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도 4(c) 참조].
이때, 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된 벌림 안내부(120)의 턱(124)과 턱(124) 사이마다 지중에 뿌리형태로 고정된 벌림살(136)이 각각 위치되므로 몸체부(110)가 회전되지 못한다.
다음으로, 벌림부(130)에 의해 고정된 몸체부(110)에 보조 벌림 안내부(140)와 보조 벌림부(15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벌림부(130)의 상부에 보조 벌림 안내부(140)와 보조 벌림부(150)가 위치되게 한다[도 4(d) 참조].
다음으로, 지면 위까지 노출되도록 가압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구를 타격시켜 보조 벌림부(150)를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보조 벌림부(150)의 하강 과정에서 방사상의 벌림살(156)들이 보조 벌림 안내부(140)의 보조 벌림 안내면(142)을 통해 보조 벌림부(150)의 벌림살(156)들의 벌림 방향을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도 4(e) 참조].
한편, 보조 벌림 안내부(140)와 보조 벌림부(150)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설치 개수의 조절이 가능하며, 토양의 상태가 딱딱한 경우 적게 설치하고, 모래 등과 같이 흐물거리는 경우 많게 설치한다.
다음으로, 지면상에 노출된 체결 나사산(114)에 고정대상물의 하부에 구비된 기초부의 체결공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110: 몸체부
112: 체결홀 114: 체결 나사산
116: 타격부 120: 벌림 안내부
122: 나선축 124: 턱
126: 벌림 안내면 130: 벌림부
132: 삽입홀 134: 절개부
136: 벌림살 140: 보조 벌림 안내부
142: 보조 벌림 안내면 144: 오므림 절개부
150: 보조 벌림부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박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타격시 단부가 지중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벌림부(13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단부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벌림부(130)가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벌림 방향을 안내하는 벌림 안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턱(12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벌림부(130)에 구비된 벌림살(136)이 상기 다수의 이웃하는 턱(124) 사이에 형성된 경사진 벌림안내면(126)을 따라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턱(124)에 의해 일정한 방사상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벌림살(136)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벌림부(130)의 상부에 보조 벌림 안내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 상에 보조 벌림부(150)가 위치되어 타격시 상기 보조 벌림부(150)의 단부가 지중으로 재차 벌어지며,
    상기 벌림살(136)의 단부 양측에는 경사부(1361)가 형성되어 벌림살(136)의 끝단이 뾰족한 첨두부(1362)를 형성하며,
    상기 벌림안내부(120)는 하부가 원추형상을 갖도록 경사부(128)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벌림 안내부(140)에는 상기 보조벌림부(150)에 형성된 벌림살(156)이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밀착가압되어 몸체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오므림절개부(14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는 고정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에 구비된 체결나사산(114)과 별도로 절단위치인 홈(116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나사산(114)과 연결되어 몸체부(110)를 지중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타격의 타격점을 형성하며, 타격 종료 후 상기 홈(116a)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제거 가능한 타격부(116)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벌림안내부(140)는 하부가 벌림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 및 상기 보조 벌림부는 하부 외주면에 벌림살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 및 보조 벌림부는 벌림살이 길이가 같으면서 전체 길이가 다르도록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KR1020210004027A 2021-01-12 2021-01-12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KR10238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27A KR102380478B1 (ko) 2021-01-12 2021-01-12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27A KR102380478B1 (ko) 2021-01-12 2021-01-12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78B1 true KR102380478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027A KR102380478B1 (ko) 2021-01-12 2021-01-12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213Y1 (ko) * 2002-06-12 2002-09-27 주은만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385811Y1 (ko) * 2005-03-22 2005-06-02 (주)대동석재공업 앵커볼트
KR20110061016A (ko) 2009-12-01 2011-06-09 송현기공 주식회사 앵커볼트
KR20130103691A (ko) * 2013-08-19 2013-09-24 김성식 스트롱 앵커
KR101435784B1 (ko) * 2013-10-21 2014-08-29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적층형 부착식 확장앵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213Y1 (ko) * 2002-06-12 2002-09-27 주은만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200385811Y1 (ko) * 2005-03-22 2005-06-02 (주)대동석재공업 앵커볼트
KR20110061016A (ko) 2009-12-01 2011-06-09 송현기공 주식회사 앵커볼트
KR20130103691A (ko) * 2013-08-19 2013-09-24 김성식 스트롱 앵커
KR101435784B1 (ko) * 2013-10-21 2014-08-29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적층형 부착식 확장앵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8276A (ko) 토양 또는 암반 물질내에 홀을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8084900A1 (en) Soil nail anchor
KR100749012B1 (ko)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AU726332B2 (en) Process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rilling and lining a hole
KR101481123B1 (ko) 연약지반용 확장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공법
RU22789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скважины и фиксации анкерной крепи в буровой скважине
US78743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particularly percussion or rotary percussion drilling, a hole in soil or rock material
KR20070069101A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2380478B1 (ko)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KR20120111554A (ko) 압착콘을 간격재로 이용한 강관네일과 이의 시공방법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JP4765950B2 (ja) 掘削工具および掘削工法
KR100696309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101335957B1 (ko) 무천공 타격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쏘일 네일링 공법
KR101735816B1 (ko) 비탈면 보강용 소일네일
KR101241403B1 (ko) 제거식 앵커
KR20150035122A (ko) 드릴 루트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22906B1 (ko) 비탈면 시공용 고정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JP2010048022A (ja) 抜け防止付倍力機構応用の杭
KR20170090257A (ko) 전방타격 시, 후방날개가 확개되는 지반고정장치
KR20220145204A (ko)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US20150322786A1 (en) Expandable Bolt With Thrust Element
KR100903407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