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938A -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938A
KR20080065938A KR1020080002721A KR20080002721A KR20080065938A KR 20080065938 A KR20080065938 A KR 20080065938A KR 1020080002721 A KR1020080002721 A KR 1020080002721A KR 20080002721 A KR20080002721 A KR 20080002721A KR 20080065938 A KR20080065938 A KR 2008006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anok
pavilion
slab
liv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풍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슬건축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슬건축연구소 filed Critical 풍림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6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옥 형태의 공동생활 공간이 구비되고, 대청마루나 정자와 같은 좌식 공간이 구비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 일부분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공동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가구 주택, 주상복합형 공동주택

Description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TRADITIONAL KOREAN-STYLE DUPLEX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옥 형태의 공동생활 공간이 구비되고, 대청마루나 정자와 같은 좌식 공간이 구비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예로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가구 주택 등이 있고, 주거를 위한 세대와 영업 행위를 위한 점포가 공존하는 주상복합형 공동주택이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하나의 세대가 이루는 공간이 육면체의 공간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고, 측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이루어 다수의 세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통상의 공동주택이다.
여기서, 세대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공간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데, 대부분 세대의 중앙부에 거실이 구비되고, 거실에 소파, TV, 및 오디오 등과 같은 가구 및 전자제품이 설치되어 세대 구성원들의 공동 생활구역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보통의 거실에는 건물 외벽으로 향하는 창문이 구비되고, 창문 측으로 연장되는 발코니가 구비된다.
이러한 거실의 공간을 증가시켜 쾌적함을 느끼도록 하는 복층형 공동주택이 있는데, 복층형 공동주택은 상층과 하층의 일부분이 연통되게 하여 하나의 세대가 이 공간을 사용토록 하는 구조이므로 거실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은 거실의 천장이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천장의 상측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은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거실이 이루어지고, 하층에서 상층으로 한 번에 올라가는 계단이 설치되기 때문에 거실에서 상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경사가 가파르고, 계단의 개수가 많아 세대 구성원이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이룰 수 있고, 대청마루나 정자와 같은 좌식 공간을 제공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 및 상기 하층의 바닥슬래브면 일부분이 상기 하층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실과 인접하는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턱부는 소파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턱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 일부분이 상기 하층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누각부; 상기 하층 바닥슬래브면의 타부분이 상기 제1누각부의 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는 제2누각부; 및 상기 제2누각부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상층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층의 바닥슬래브는, 상기 제1누각부의 바닥슬래브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2누각부의 바닥슬래브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층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까지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상층 바닥슬래브까지 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상층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까지 계 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좌측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천장슬래브는, 우측 세대의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를 이루고, 좌측 세대의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는, 우측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천장슬래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 천장슬래브는, 상층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복층형 공동주택에 누각부가 구비됨으로써, 높은 천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은 좌식 공간이 이루어져 세대 구성원이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에 다수의 층을 이루는 공간이 구비되고, 각각의 공간을 단계적으로 오를 수 있도록 계단이 설치됨으로써, 계단의 경사가 소정치 이하로 낮고, 각각의 단계 사이에 구비되는 계단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하이므로 상측 공간으로 오르는 세대 구성원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파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의 한 세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상층(52)과 하층(54)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50)과, 하층(54) 바닥슬래브면의 일부분이 거실(50) 기준바닥슬래브면(114)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좌식 공간을 이루는 누각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바닥슬래브면(114)은 공동주택(100)에서 층을 구획하는 기준슬래브(110)의 상면으로 정의한다.
이렇게 상층(52)과 하층(54)이 연통되어 천장이 높은 거실(50)을 이룸으로써, 세대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거실에서 개방감과 쾌적함을 느끼게 되고, 거실(50)의 일측에 형성되는 누각부(60)에 의해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은 좌식 공간 을 이루게 된다.
물론, 누각부(60)의 높이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데, 누각부(60)의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 즉 반자의 높이가 소정치 이상으로 이루어지면 누각부(60)가 바둑과 같은 오락을 앉아서 즐길 수 있는 좌식공간을 이룸과 동시에, 세대 구성원이 직립한 상태로 움직이기 용이한 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누각부(60) 반자의 높이가 소정치 이하로 이루어지면 다락과 같은 수납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누각부(60)는 거실(50)과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누각부(60)에 앉아서도 거실(50)의 높은 천장을 볼 수 있으므로 거실(50)의 개방감과 쾌적함을 누각부(60)에서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마당이 있는 넓은 집의 대청마루에서나 느낄 수 있는 개방감 및 쾌적함과 유사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상층(152), 하층(154), 거실(150), 및 누각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거실(150)과 인접하는 누각부(160)에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18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턱부(180)에 매트나 쿠션과 같은 가구용 소품(182)을 설치하면 거실(150)에 별도의 가구 설치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이때, 기준바닥슬래브면(114)으로부터 가구용 소품(182)까지의 높이가 성인 의 평균적인 무릎 높이로 이루어지고, 턱부(180)의 깊이가 무릎에서부터 엉덩이까지의 평균적인 길이로 이루어지므로 성인이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거실(150)의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매트나 쿠션과 같은 가구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게 되므로 거실(150) 인테리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물론, 턱부(180)에 가구용 소품 대신에 바닥재를 설치하여 툇마루와 같은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의 누각부(160)에는 거실(150)에 인접한 단부에 지지대(184)가 설치됨으로써, 턱부(180)에 앉는 세대 구성원이 머리를 기대거나 몸을 기대어 편히 쉴 수 있게 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지지대(184)는 누각부(160)의 테두리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누각부(160)로부터 거실(150) 바닥으로 세대 구성원이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지지대(184)의 단부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져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때에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세대 구성원의 실수로 부딪혀도 인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억제토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상층(252), 하층(254), 거실(250), 및 누각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누각부(260)에 돌출부(28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돌출부(280)는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되어 누각부(260)에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 경사면에 세대 구성원들이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경사면에 수납공간을 성형하면 장식품을 진열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돌출부(280)에 쿠션과 같은 가구용 소품이 설치되면 세대 구성원이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280)는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되어 세대 구성원이 4개의 면에 기댈 수 있게 되고, 돌출부(280)에 의해 이루어지는 확장부(270)의 공간은 피라미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돌출부(280)가 형성된 슬래브의 저면, 즉 아래층 세대의 천장슬래브에는 상측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고, 거실 장식을 위한 다양한 소품을 돌출부(280)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인테리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돌출부(280)는 사각뿔 모양 외에 다수 개의 턱부가 형성되거나 사각 모양, 사다리꼴 모양 등, 기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세대 구성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돌출부의 형상은 무한하므로 자세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은, 상층(352, 452)과 하층(354, 454)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350, 450)과, 하층(354, 454) 바닥슬래브면의 일부분이 하층(354, 454)의 기준바닥슬래브면(114)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좌식 공간을 이루는 제1누각부(362, 462)와, 바닥슬래브면이 제1누각부(362, 462)의 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는 제2누각부(364, 464)와, 제2누각부(364, 464)의 천장슬래브면(370a)이 상층(352, 452)의 기준천장슬래브면(112)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370, 4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천장슬래브면(112)은 공동주택(100)에서 층을 구획하는 기준슬래브(110)의 하면으로 정의한다.
상층(352, 452)의 바닥슬래브면은 제1누각부(362, 462)의 바닥슬래브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제2누각부(364, 464) 바닥슬래브면보다 낮게 배치되므로 거실(350, 450) 내부에 세 개의 높이가 다른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층(354, 454) 바닥슬래브로부터 제1누각부(362, 462) 바닥슬래브까지 계단(380, 480)이 형성되고, 제1누각부(362, 462) 바닥슬래브로부터 상층(352, 452) 바닥슬래브까지 계단(380, 480)이 형성되며, 상측(352, 452) 바닥슬래브로부 터 제2누각부(364, 464) 바닥슬래브까지 계단(380, 480)이 형성된다.
이로써, 거실(350, 450) 내부에 다수 개의 공간이 단계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공간을 단계적으로 연결하는 계단(380, 480)이 설치됨으로써, 계단(380, 480)의 경사가 소정 각도 이하로 작게 형성되므로 층을 오르는 세대 구성원이 편안함을 느끼게 되고, 계단(380, 480)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좌측 세대(300)의 제1누각부(362) 천장슬래브면은, 우측 세대(400)의 제2누각부(464) 바닥슬래브에 대응되고, 좌측 세대(300)의 제2누각부(364) 바닥슬래브는, 우측 세대(400)의 제1누각부(462) 천장슬래브에 대응된다.
이로써, 좌측 세대(300)의 제1누각부(362)가 후방에 배치되면, 우측 세대(400)의 제1누각부(462)가 전방에 배치된다.
반대로 좌측 세대(300)의 제1누각부(362)가 전방에 배치되면, 우측 세대(400)의 제1누각부(462)가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좌측 세대(300)의 제2누각부(364) 및 확장부(370)와, 우측 세대(400)의 제2누각부(464) 및 확장부(470)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좌측 세대(300)의 제2누각부(364)가 전방에 배치되면, 우측 세대(400)의 제2누각부(464)가 후방에 배치된다.
반대로 좌측 세대(300)의 제2누각부(364)가 후방에 배치되면, 우측 세대(400)의 제2누각부(464)가 전방에 배치된다.
아울러, 하층 세대(20)의 확장부(370, 470) 천장슬래브는, 상층 세대(40)의 제1누각부(362, 462) 바닥슬래브에 대응되도록 확장부(370, 470)와 제1누각부(362, 462)가 교호로 적층된다.
이로써, 하층 세대(20)와 상층 세대(40)가 동일한 크기의 공간을 갖게 되고, 좌측 세대(300)와 우측 세대(400)도 서로 동일한 크기의 공간을 갖게 된다.
이렇게 각 세대의 공간이 동일한 크기로 이루지기 때문에 좌측 세대(300)의 제1누각부(362)와 우측 세대(400)의 제1누각부(462)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좌측 세대(300)의 제2누각부(364)와 우측 세대(400)의 제2누각부(464)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거실(50)은 상층(52)과 하층(54)이 연통되어 천장이 높아지므로 골프 스윙이나 에어로빅, 체조와 같은 동작이 큰 운동을 거실(50)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누각부(160)가 구비되어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이 누각부(160)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고, 턱부(180)가 구비되므로 소파나 툇마루의 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별도의 가구가 요구되지 않아 거실(150)의 공간이 넓어지고, 거실(150)에 행하는 인테리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층(354, 454)과 제1누각부(362, 462) 사이, 제1누각부(362, 462)와 상층(354, 454) 사이, 및 상층(352, 452)과 제2누각부(364, 464) 사이에 계단(380, 480)이 설치된다.
이로써, 거실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간을 단계적으로 오를 수 있게 되므로 계단(380, 480)의 경사가 소정 각도 이하로 이루어지데 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계단(380, 480)을 오르는 세대 구성원이 편안함을 느끼고,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아파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아파트에 적용되는 거실이 아닌 다른 형태의 공동주택에도 본 발명의 거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의 한 세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거실 52 : 상층
54 : 하층 60 : 누각부

Claims (11)

  1.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 및
    상기 하층의 바닥슬래브면 일부분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실과 인접하는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소파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 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7. 상층과 하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거실:
    상기 하층의 바닥슬래브면 일부분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누각부;
    상기 하층 바닥슬래브면의 타부분이 상기 제1누각부의 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는 제2누각부; 및
    상기 제2누각부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상층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 동주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바닥슬래브면은, 상기 제1누각부의 바닥슬래브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2누각부의 바닥슬래브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까지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상층 바닥슬래브까지 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상층 바닥슬래브로부터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까지 계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10. 제 7 항에 있어서,
    좌측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천장슬래브는, 우측 세대의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를 이루고, 좌측 세대의 상기 제2누각부 바닥슬래브는, 우측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천장슬래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11. 제 7 항에 있어서,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 천장슬래브는, 상층 세대의 상기 제1누각부 바닥슬래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KR1020080002721A 2007-01-10 2008-01-09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KR20080065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65 2007-01-10
KR20070002865 2007-01-10
KR20070010694 2007-02-01
KR1020070010694 2007-02-01
KR1020070017405 2007-02-21
KR20070017405 2007-02-21
KR20070021849 2007-03-06
KR1020070021849 2007-03-06
KR20070030982 2007-03-29
KR1020070030982 2007-03-29
KR20070033632 2007-04-05
KR1020070033632 2007-04-05
KR20070036395 2007-04-13
KR1020070036395 2007-04-13
KR1020070071569 2007-07-18
KR20070071569 2007-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38A true KR20080065938A (ko) 2008-07-15

Family

ID=396088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21A KR20080065938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KR1020080002722A KR20080065939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공동주택
KR1020080003203A KR20080065944A (ko) 2007-01-10 2008-01-10 한옥형 공동주택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22A KR20080065939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공동주택
KR1020080003203A KR20080065944A (ko) 2007-01-10 2008-01-10 한옥형 공동주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080065938A (ko)
WO (1) WO200808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9386B2 (ja) * 2013-03-27 2017-07-26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住宅構造
JP2015175121A (ja) * 2014-03-13 2015-10-05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寝室
JP6783036B2 (ja) * 2014-10-20 2020-11-11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建物
EP3147426B1 (en) * 2015-09-28 2020-01-22 Michejda-Pinno, Barbara Zofia Maria Multi-family housing prototype with split-level, variable height a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653A (ja) * 1996-03-26 1997-09-30 Sumitomo Constr Co Ltd 多層建築物
JP2000027459A (ja) * 1998-07-15 2000-01-25 Maeda Corp 建造物の階層構造
KR20000034602A (ko) * 1998-11-30 2000-06-26 이수행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39A (ko) 2008-07-15
WO2008084990A1 (en) 2008-07-17
KR20080065944A (ko)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5938A (ko)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JP5445859B2 (ja) 半屋外空間を備えた住宅
KR102630733B1 (ko) 다기능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JP5549718B2 (ja) 半屋外空間を備えた住宅
JP5445860B2 (ja) 半屋外空間を備えた住宅
JP6169386B2 (ja) 住宅構造
JP7354696B2 (ja) 間仕切収納棚
JP4095523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JP7354695B2 (ja) 建築物
JP2021036093A (ja) 建築物
JP6990937B2 (ja) 集合建築物
JP2540051Y2 (ja) 床構造体
JP6468923B2 (ja) 玄関ベンチ
WO2021039411A1 (ja) 間仕切収納棚および建築物
JP7298396B2 (ja) 建築物
JP7491131B2 (ja) フロア構造及び住宅
JP7311379B2 (ja) 建物
JP3096925U (ja) 集合住宅
CN209855130U (zh) 一种儿童房隔音按摩地板
JP2001140480A (ja) 住 宅
JP2010101041A (ja) ガーデンサウナハウス
JP2001140479A (ja) 住 宅
JP3118644U (ja) 建物の構造
JP5554462B2 (ja) 建物
JP3163299U (ja) 椅子付き茶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