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602A -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 Google Patents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602A
KR20000034602A KR1019980051972A KR19980051972A KR20000034602A KR 20000034602 A KR20000034602 A KR 20000034602A KR 1019980051972 A KR1019980051972 A KR 1019980051972A KR 19980051972 A KR19980051972 A KR 19980051972A KR 20000034602 A KR20000034602 A KR 20000034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oom
floor
apartment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행
Original Assignee
이수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행 filed Critical 이수행
Priority to KR101998005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4602A/ko
Publication of KR2000003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6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인 공간형태의 아파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아파트의 직육면체적인 단순한 공간형태를 탈피하여 주거공간에 3차원적인 공간변화를 준 것이다.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이 갖는 면적 중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를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나머지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와 다르게 구성하고, 독립된 방의 일부를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시켜 그 제2층을 제1층의 방 또는 인접하는 다른 쪽 방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3차원 공간의 변화에 따라 조부모까지 한집에서 자연스럽게 거주할 수 있어서 대가족중심의 생활상 불편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Apartment Household Structure Having Various Uneven Space)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생태적으로 유구한 세월동안 각자 태생, 주거, 활동의 입지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 속에서 개체적 및 집단적으로 끊임없이 긴 세대를 잇는 생활을 유지하여 왔다. 근대이래 현재 크게 보급되고 있는 아파트형 다층·고층 주거공간과 업무 등을 위한 기타 생활공간들은 수직적·수평적 직선들이 집합된 형태로서 매우 정형화·도식화되어 있다. 도시공간 또한 블록화되고 있지만 아직도 거의 많은 경우에 직선적인 구도로 계획되고 집행된다. 이것은 매우 다양한 형태·구조와 입체적 성격들이 자연스럽게 조합된 자연 환경에 적응하여 형성되어온 인간의 행동양식과 이에 따른 사고·정서의 개념을 바꾸어 놓거나 생태계와의 부조화된 삶을 추구·강요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복합적인 사회병리현상을 유발·심화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건축·토목설계자들에 의하여 도모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외관을 다각형 또는 곡선으로 바꾸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고, 아파트의 경우 거실, 베란다 등의 위치를 바꾸거나 창문이나 현관구조 등을 재래식 건축물의 분위기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특허공개 제96-34755호는 아파트 및 빌라의 현관에 울타리 및 사립대문을 설치한다고 하고 있고, 특허 제128495호(공개 제95-25226호)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의 내부에 구획된 입벽에 의하여 마련되는 거실, 침실, 엘리베이터, 주방, 욕실, 현관들과, 그 외부를 감싸지게 구축되는 전·후면벽체와, 측면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건축물과, 상기 건축물을 연속으로 구축하여 아파트 건축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체는 중앙부를 일정높이 돌출시켜 그 중앙부의 중심선 양측면으로 소정의 각(120°)을 갖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건축물 전체의 평면형상이 일방향이 길게 형성된 육각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아파트의 초고층화를 위한 내진구조와 다이아몬드형 배치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입체화 및 리듬화된 변화 있는 도시미관을 창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파트구조 하에서는 내부의 공간들이 수직방향으로 여전히 동일한 높이의 단면구조를 취하고 있고, 평면상의 방 배치구조 또한 직각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순한 직육면체형 내부공간구조하에서는 아파트의 외관변화에 따른 도시미관상의 효과는 있을지라도 사생활의 영역 내에 있는 주거공간의 변화는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조화는 위의 개시부분에서 언급한 문제수준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족단위와 개인 또는 부분집단의 주거·생활공간인 아파트의 내부공간, 특히 독립된 세대의 주거공간에 기존의 직육면체적인 단순한 공간형태를 탈피하여 높낮이가 다른 공간변화를 줌으로써 조부모와 자식 및 손자세대까지 3개 세대가 좀 더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마을공동체나 또는 단독주거형태와는 달리 매우 폐쇄적이고 제한적인 아파트형태의 주거공간 내에서도 세대간 유기적이면서도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모든 주거 구성원이 자연친화적인 공간구조를 갖자고 하는 생태적 욕구를 한 걸음 더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아파트 단독세대의 측단면약도.
도 2a와 도 2b는 연속수직배열방식의 다락방 배치구조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모형도로서, 도 2a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이고, 도 2b는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이다.
도 3a와 도 3b는 교호배열방식의 다락방 배치구조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모형도로서, 도 3a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이고, 도 3b는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이다.
도 4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 다락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아파트 복수세대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계단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 다락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아파트 복수세대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제1침실, 4: 제2침실, 6: 거실, 21: 사다리, 22,S: 계단, F11,F12,F13: 층라인(層line), K, K11a∼K16a, K11b∼K16b, K21a∼K28a, K21b∼K28b: 다락방, U11a∼U18a, U11b∼U18b, U21a∼U215a, U21b∼U215b: 세대별 공간, W11,W12: 벽라인(壁lin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서 그 각 독립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 내에서의 단면상 높낮이를 다르게 취하는 구조와, 단독세대 각각에 상하로 공간을 분할하여 그 분할된 공간이 아파트 전체를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배열을 이루도록 한 공간분할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갖는 면적 중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를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나머지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와 다르게 한 것이다.
관련되는 다른 구성은,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의 방 일부를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시켜 그 제2층을 그 제1층이 존재하는 방 또는 인접하는 다른 쪽 방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우리의 생활패턴은 짧은 시기에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을 맞이하여 서구형 도시사회로 변모되었다. 이에 따른 부작용을 치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와 같은 아파트의 모형이 성립되었다. 위 수단의 도입은 다음과 같은 인과의 가설을 성립시킬 수 있다.
1) 전통생활양식이 급속히 파괴되고 핵가족화 되면서 낳게 되는 정서적인 갈등을 수용할 수 있는 주택형태는 가족단위로 주어진 아파트의 주거공간 내에서 동적 공간의 높낮이로 세대를 구분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아파트의 방과 방 또는 복수개의 방간의 공간 높이를 달리하게 되면 독립된 세대로서의 층이 다른 공간이 주어지므로 행동심리적인 면에서 세대간 위계질서가 잡히며 폐쇄형 거주공간 내에서 겪게 되는 가시적, 즉 물리·신체적 및 정서·심리적인 생활상의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어 급속한 가족해체 및 사회병리학적 아노미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2) 우리는 풍토의 영향도 있지만 유교와 불교 사상의 오랜 문화적 영향에 따라 선과 공간의 변화 및 조화를 선호하며, 그에 따라 직각의 공간보다는 작은 직선의 집합공간 또는 비정규로 돌출되는 직선 및 곡선의 공간요소들이 생활주변에서 많이 수용된다. 따라서 그 공간변화의 일 수단으로서, 독립된 방의 일부를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시켜 그 제2층을 제1층의 방 또는 인접하는 다른 쪽 방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하면 자연친화적 공간요소들의 반영에 충실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파트 단독세대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 독립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 내에서의 단면상 높낮이를 다르게 취하는 구조를 예시한 경우이다. 부호 2는 제1침실이고, 4는 제2침실, 6은 거실이다. 제1침실(2)과 제2침실(4)은 거실(6)을 사이에 두고 바닥(F)과 천장(C)의 높이가 다르게 주어져 있다. 즉 거실(6)의 중간에서 일정한 높이, 예컨대 60cm정도의 높이로 경사진 턱을 형성하고, 그 턱 양쪽의 바닥(F)은 계단(S)의 시공 및/또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제1침실(2)과 제2침실(4) 또는 거실(6) 자체가 가지는 바닥(F)과 천장(C)의 높이는 동일하다. 그래서 아파트의 층간에는 상기와 동일한 형식으로 높낮이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전체적으로 각 층의 단면을 보았을 때 구형파 형태를 취하게 된다. 제1침실(2)과 제2침실(4)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한 이유는 부모대세와 자식세대 또는 부모와 자식이 한 주거공간 내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눈높이에 차이가 주어지므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덜 받게 되기 때문이다.
위에서는 거실(6)의 중간에 높이차이를 갖는 턱이 형성된 경우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거실(6)의 전체의 바닥(F)과 천장(C) 높이가 제1침실(2)과 제2침실(4)의 바닥(F)과 천장(C)의 높이와 차이가 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 후자의 경우라도 제1침실(2)과 제2침실(4)중에서 어느 한쪽이 거실(6)의 높이와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도 2a와 도 2b는 연속수직배열방식의 다락방 배치구조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공통적으로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되는 구조로서 각 층의 단독세대가 가지는 독립된 세대별 공간(U11a∼U18a, U11b∼U18b)마다 윗집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는 다락방(K11a∼K16a, K11b∼K16b)을 형성하며, 이 다락방(K11a∼K16a, K11b∼K16b)들은 각층마다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한 구조이다.
그 중에서도 도 2a는 사다리(21)를 이용하여 자기집 내에 형성된 다락방을 출입하는 형태를 층간에 연속수직배열방식으로 취한 것이다. 층을 구분하는 3개의 층라인(F11,F12,F13)을 기준으로 한 4개층에 걸쳐있으면서 세대를 구분하는 2개의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나누어지는 세대별 공간(U11a∼U18a)이 있다고 할 때 각 세대별 공간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다락방(K11a∼K16a)들이 주어진다. K14a의 경우 U15a로부터 사다리(21)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데 윗집인 U16a만을 약간 점유하고 있을 뿐 옆집 U11a나 그 윗집인 U12a는 점유하지 않는 형태를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상하 동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도 2b는 계단(22)을 이용하여 옆집으로 나 있는 다락방을 출입하는 형태를 층간에 연속수직배열방식으로 취한 것이다. 3개의 층라인(F11,F12,F13)을 기준으로 한 4개층에 걸쳐있으면서 2개의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나누어지는 세대별 공간(U11a∼U18b)이 있다고 할 때 각 세대별 공간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다락방(K11b∼K16b)들이 주어진다. K14b의 경우 U11b로부터 계단(22)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옆집 U15b와 그 윗집인 U16b를 동시에 점유하고 윗집 U12b는 점유하지 않는 형태를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상하 동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배열관계를 볼 때에는 도 2a와 마찬가지로서 K14b는 U11b의 소유이지만 U15b에 부속하는 공간이며, 이 공간은 벽라인 W12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U15b의 윗집인 U16b를 약간 점유하고 있는 형태가 된다.
도 3a와 도 3b는 교호배열방식의 다락방 배치구조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모형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공통적으로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되는 구조로서 각 층의 단독세대가 가지는 독립된 세대별 공간(U21a∼U215a, U21b∼U215b)마다 윗집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는 다락방(K21a∼K28a, K21b∼K28b)을 형성하며, 이 다락방(K21a∼K28a, K21b∼K28b)들은 수직방향의 옆집 구분벽(벽라인)을 기준으로 한쪽의 옆집을 완전히 점유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층마다 서로 반대방향의 옆집을 향해 교호되게 점유되도록 전층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구조이다.
그 중에서도 도 3a는 사다리(21)를 이용하여 자기집 내에 형성된 다락방을 출입하는 형태를 층간에 교호배열방식으로 취한 것이다. 층을 구분하는 4개의 층라인(F11,F12,F13.F14)을 기준으로 한 5개층에 걸쳐있으면서 세대를 구분하는 2개의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나누어지는 세대별 공간(U21a∼U215a)이 있다고 할 때 각 세대별 공간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다락방(K21a∼K28a)들이 인접하는 층간의 상하로 연속되지 않게 주어진다. 벽라인 W11,W12의 사이에 있는 세대별 공간(U26a∼U210a)의 경우는 다락방(K23a∼K26a)들이 층을 따라 올라가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벽라인 W11,W12의 바깥쪽에 있는 세대별 공간(U21a∼U25a, U211a∼U215a)의 다락방(K21a,K22a,K27a,K28a)들은 상기한 다락방(K23a∼K26a)들과도 옆으로 겹치지 않도록 층을 따라 올라가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다락방(K21a∼K28a)들은 도 2a와 마찬가지로 자기집에서 사다리(21)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b는 계단(22)을 이용하여 옆집으로 나 있는 다락방을 출입하는 형태를 층간에 교호배열방식으로 취한 것이다. 4개의 층라인(F11,F12,F13,F14)을 기준으로 한 5개층에 걸쳐있으면서 2개의 벽라인(W11,W12)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나누어지는 세대별 공간(U21b∼U215b)이 있다고 할 때 각 세대별 공간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다락방(K21b∼K28b)들이 주어진다. 또한 다락방(K21b∼K28b)들은 인접하는 층간의 상하로 연속되지 않게 주어진다. 예컨대 벽라인 W11,W12의 사이에 있는 세대별 공간(U26b∼U210b)의 경우는 다락방(K23b∼K26b)들이 층을 따라 올라가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벽라인 W11,W12의 바깥쪽에 있는 세대별 공간(U21b∼U25b, U211b∼U215b)의 다락방(K21b,K22b,K27b,K28b)들은 상기한 다락방(K23b∼K26b)들과도 옆으로 겹치지 않도록 층을 따라 올라가면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다락방(K21b∼K28b)들은 자기집에서 계단(22)을 이용하여 출입하기는 하지만 다락방들이 도 2b의 경우와 같이 모두 옆집을 점유하고 있다.
도 4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 다락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아파트 복수세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도 2a와 도 3a의 경우를 예로 들은 것이다. 방(F1)으로부터 사다리(21)를 이용하여 다락방(K)에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다락방(K)의 입구는 도어(23)가 미닫이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벽에는 외부로 향하는 창문(24)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계단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는 다락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아파트 복수세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도 2b와 도 3b의 경우를 예로 들은 것이다. 방(F1)으로부터 다락방(K)의 옆으로 좁게 형성한 계단(22)을 통하여 다락방(K)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다락방(K)의 입구는 도어(25)가 여닫이 또는 미닫이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벽에는 외부로 향하는 창문(26)이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다락방들은 각 세대별 공간으로부터 계단 또는 사다리와 같은 수단을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그 바닥과 천장간의 높이가 각 세대별 공간의 바닥과 천장간의 기본적인 높이보다 낮다. 그러나 다락방들이 점유하는 윗집 공간의 다락방 위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높이가 확보되도록 시공하거나 그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평상(平床)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락방은 그 자체의 방 높이가 낮기 때문에 창고로서의 공간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방의 천장 높이가 비교적 낮고 좁은 밀폐공간에서는 심리적으로 편안한 모태로의 귀소본능이 작용하고, 어린이의 경우 키가 작아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므로 이를 위한 다락방의 형성은 긴요한 것이다.
위에서 말한 다락방은 아파트 건물의 밖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락방은 출입하는 방으로부터 일정높이 올라간 위치에 형성되고 그 하부는 높이가 낮은 간이형 베란다 또는 창고형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서는 거실 등의 구조를 직각 또는 큰 직선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부터 탈피하여 작은 직선과 곡선 및 직각이 아닌 각들로 이루어지며, 더욱이 곡선의 동선을 부여할 수 있는 벽들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연·생태적 배경요소 또는 풍토와 문화·전통적 요소를 고려한 3차원적인 공간상의 변화요소들을 아파트에 반영시킴으로서 자연생태와 친화적인 공간구조를 향유하며, 동시에 대가족 중심(3세대 이상 및 복수세대 이상 공동거주 포함)의 생활방식에서 고려되어야 할 세대간 커뮤니케이션 및 행동양식들을 한 생활공간 내에서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유구한 자연·생태의 생활역사 이래 근대에 맞게 된 이질적인 주거공간환경의 일방적인 수용에 따라 파생되는 정서·심리상의 직·간접적인 여러 부정적 현상들을 완화 내지는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갖는 면적 중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를 하나 이상의 독립된 방을 이룰 수 있는 나머지 면적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와 다르게 하여 2개 이상의 공간높낮이를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2.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이 연립하며 다수의 층을 이루는 아파트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세대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의 방 일부를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시켜 그 제2층을 그 제1층이 존재하는 방 또는 인접하는 다른 쪽 방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되는 구조는, 각 층의 단독세대가 가지는 독립된 세대별 공간(U11a∼U18a, U11b∼U18b)마다 윗집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는 다락방(K11a∼K16a, K11b∼K16b)을 형성하며, 이 다락방(K11a∼K16a, K11b∼K16b)들은 각층마다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하 두 개의 층을 갖는 방으로 분리되는 구조는, 각 층의 단독세대가 가지는 독립된 세대별 공간(U21a∼U215a, U21b∼U215b)마다 윗집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는 다락방(K21a∼K28a, K21b∼K28b)을 형성하며, 이 다락방(K21a∼K28a, K21b∼K28b)들은 수직방향의 옆집 구분벽을 기준으로 한쪽의 옆집을 완전히 점유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층마다 서로 반대방향의 옆집을 향해 교호되게 점유되도록 전층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KR1019980051972A 1998-11-30 1998-11-30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KR20000034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972A KR20000034602A (ko) 1998-11-30 1998-11-30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972A KR20000034602A (ko) 1998-11-30 1998-11-30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602A true KR20000034602A (ko) 2000-06-26

Family

ID=1956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972A KR20000034602A (ko) 1998-11-30 1998-11-30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46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990A1 (en) * 2007-01-10 2008-07-17 Poong Lim Industrial Co., Ltd. Traditional korean-style apartment house
KR100973852B1 (ko) * 2006-06-13 2010-08-03 김태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CN112459536A (zh) * 2020-11-03 2021-03-09 王升 新型建筑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52B1 (ko) * 2006-06-13 2010-08-03 김태호 층고를 달리한 아파트 구조물
WO2008084990A1 (en) * 2007-01-10 2008-07-17 Poong Lim Industrial Co., Ltd. Traditional korean-style apartment house
CN112459536A (zh) * 2020-11-03 2021-03-09 王升 新型建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589B2 (ja) 集合住宅
JP6436130B2 (ja) 住宅
KR20160092603A (ko)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KR20000034602A (ko)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JP4445525B2 (ja) ロフト付き集合住宅
JPH10184041A (ja) 住戸の吹抜け構造
JP7500186B2 (ja) 共同住宅
JP2000320167A (ja) 集合住宅
JP2018150802A (ja) 住宅
KR20190017321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JP7511340B2 (ja) 個室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6990937B2 (ja) 集合建築物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7425453B1 (ja) 複数匹の猫との共生用住宅
JPH0127217B2 (ko)
JP2002097801A (ja) H型住宅
JP2008255739A (ja) ペット共生用集合住宅
JP2023008534A (ja) 共同住宅およびリフォーム方法
RU2109900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из объемных модулей
RU22797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2023147388A (ja) 集合住宅
JPS6228266B2 (ko)
KR20130030579A (ko)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