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531A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5531A KR20080065531A KR20070128053A KR20070128053A KR20080065531A KR 20080065531 A KR20080065531 A KR 20080065531A KR 20070128053 A KR20070128053 A KR 20070128053A KR 20070128053 A KR20070128053 A KR 20070128053A KR 20080065531 A KR20080065531 A KR 200800655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er
- instrument
- speaker
- acoustic
- gau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 패널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의 차량에 관련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계기(meter; 55)와, 차량에 구비되는 음향 부품과, 계기(55) 근방에 설치되며, 음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56)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계기(55) 및 스피커(56)는 계기 패널(173)에 일체화되고, 계기(55)의 외형은 스피커(56)의 외형에 대응한 릴리프부(61, 62)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등의 차량에 관련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계기(meter)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수온계, 연료 탱크의 연료량계 등의 차량에 관련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계기와, 차량에 구비되는 파워 앰프 등을 포함하는 음향 부품과, 계기 근방에 설치되며, 음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3228호 공보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피커가 계기 옆에 배치되어 있으나, 각각 독립된 형태이고, 상호 간섭하기 때문에, 접근시키기 어려워서, 이들을 부착하는 계기 패널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계기 패널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를 도모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등의 차량에 관련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계기와, 차량에 구비되는 음향 부품과, 상기 계기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음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계기 및 상기 스피커는 계기 패널에 일체화되고, 상기 계기의 외형은 상기 스피커의 외형에 대응한 릴리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계기의 외형은 스피커의 외형에 대응한 릴리프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들을 계기 패널에 배치하는 경우에, 상호 간섭하는 일이 적고, 계기의 릴리프부에 스피커를 접근시킴으로써, 스피커 및 계기를 계기 패널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계기 패널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상기 계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 근접하는 부분에는,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이외의 표시 수단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이외의 표시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수온계, 연료 탱크의 연료량계 등이 있으나, 이들은 주행중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주행중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그 이외의 표시를, 스피커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표시가 가능해진다.
상기 계기의 외형은 핸들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를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있어도 좋다.
계기의 외형이 핸들 포스트를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있고, 만곡한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차 폭 방향에 있어서의 계기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계기 주위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계기의 외형은 스피커의 외형에 대응한 릴리프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들을 계기 패널에 배치하는 경우에, 상호 간섭하는 일이 적고, 계기의 릴리프부에 스피커를 접근시킴으로써, 스피커 및 계기를 계기 패널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계기 패널의 소형화가 도모되며, 나아가서는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주행중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그 이외의 표시를, 스피커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표시가 가능해진다.
계기의 외형이 만곡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차 폭 방향의 계기 길이를 짧 게 할 수 있으며, 계기 주위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는, 차량의 전후 좌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인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축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5) 및 상기 프론트 포크(2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2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7)를 전단에 구비하는 것으로, 후륜(WR)을 후단에서 지지하는 유닛 스윙 엔진(UE)이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닛 스윙 엔진(UE)보다도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F)에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료 탱크(28)와, 상기 연료 탱크(2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9)가 탑재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는,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을 상방에서 덮도록 하여 수납 박스(30)가 부착되어 있고, 이 수납 박스(30)상에, 전방부 시트(32) 및 후방부 시트(33)를 가지며 탠덤(tandem)형으로 구성되는 승차용 시트(31)가 배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방부, 연료 탱크(28), 라디에이터(29) 및 수납 박스(30)를 덮는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34)가 차체 프레임(F)에 부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F)은, 상기 헤드 파이프(27)와, 상기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과, 상측 다운 프레임(37)보다도 하방에서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 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38a)의 후단에 수평부(38b)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부에 후단이 용접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과,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중간부로부터 후방이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39)과,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방부 및 시트 레일(39)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40)과, 상측 다운 프레임(37), 하측 다운 프레임(38) 및 리어 프레임(4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
양 서포트 프레임(41)은, 차체 커버(34)가 그 좌우에 구비하는 스텝 플로어(159)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전단은 하측 다운 프레임(38)에 있어서의 경사부(38a)의 하부에 결합되고, 또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후단은 리어 프레임(4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차체 커버(34)는, 헤드 파이프(27)의 전방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56)와, 프론트 커버(15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와, 전방부 시트(32)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으며 헤드 파이프(27)를 후방측에서 덮도록 해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레그 실드(158)와,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헤드 파이프(27)를 후방측에서 덮도록 해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내측 커버(158a)와, 레그 실드(158)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서 스텝 플로어(159)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와, 스텝 플로어(159)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수직 하강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사이드 커 버(161)와, 상기 스텝 플로어(159)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패신져 스텝(162)과, 승차용 시트(31)의 양측 하방에 배치되며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커버(163)와, 보디 사이드 커버(163)의 후방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하부 커버(164)와,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 및 그랩 레일(118; grab rail)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상부 커버(165)와,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사이에 배치되며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를 후방에서 덮도록 해서 리어 상부 커버(165)에 연결되는 리어 센터 커버(166)를 구비한다.
후륜(WR)을 후방에서 덮는 리어 펜더(181)에는, 라이센스 플레이트(182), 리플렉터(183) 및 라이센스 라이트(184)가 부착되고, 이 리어 펜더(181)는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인 리어 상부 커버(165) 및 리어 센터 커버(166)와 함께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에 부착되어 있다.
전륜(WF)을 상방에서 덮는 프론트 펜더(175)는 프론트 포크(25)에 지지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176)와, 각 등기구 등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케이스(178) 등이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56)의 전방부 양측과,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 사이에는 헤드라이트(171)가 배치되고, 헤드라이트(171)의 하방에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에는 윙커(winker; 172)가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56),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 및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는, 계기류를 배치하기 위한 계기 패널(173)이 접합되 고, 계기 패널(173)의 전방부에는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해서 미터 바이저(173a)가 일체로 설치되며, 미터 바이저(173a)의 전방에는 윈드 실드(174)가 배치되어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한 수냉식의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전달 벨트 및 풀리에 의해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는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M)로 구성되고, 상기 무단 변속기(M)는 변속용의 액츄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42)의 작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측의 가동 풀리를 구동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킨다. 무단 변속기(M)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엔진(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44)의 좌측에 엔진(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해서 연달아 설치되고, 후륜(WR)의 좌측까지 연장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 즉 하단에는 브래킷(65)이 부착되고, 양 브래킷(65)에 메인 스탠드(66)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메인 스탠드(66)를 기립시키면, 후륜(WR)을 뜨게 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자립시킬 수 있고,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시에는, 후륜(WR)을 접지시키도록 메인 스탠드(66)를 격납하면 된다.
도 2는 상기 조향 핸들(26)을 포함하는 조향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27)의 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50은 핸들 포스트를 나타내고, 핸들 포스트(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에 지지된 스티어링 스템(51)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5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홀더(52)를 통하여 조향 핸들(26)이 부착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전술한 백미러(176), 스위치 케이스(178) 외에,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53), 브레이크 레버(54) 등이 부착되어 있다.
조향 핸들(26)의 전방에는, 전방부에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계기 패널(173)이 설치되고, 계기 패널(173)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속도나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계기(55)와, 계기(55)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피커(5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56a)를 구비하고, 이들 케이스 본체(56a)는, 전술한 스티어링 스템(51)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차체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계기(5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57)와, 계기 본체(58)와, 리플렉터 플레이트(59)와, 렌즈 어셈블리(60)를 구비하고, 이들을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7), 리플렉터 플레이트(59) 및 렌즈 어셈블리(60)는, 대략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내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패인 릴리프부(61, 62)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61, 6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릴리프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계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계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계기(55)의 외형은 핸들(26)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50)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있다. 이와 같이, 계기(55)의 외형이 핸들 포스트(50)의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있고, 만곡한 형상을 나타내 기 때문에, 계기(55)가 대략 직선적인 경우에 비하여, 차 폭 방향에 있어서의 계기(55)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계기(55) 주위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계기(55)에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료 탱크의 연료량계(55a), 속도계(55b), 디지털 표시 시계(55c), 엔진 회전수계(55d), 수온계(55e) 등의 차량에 관련된 각종의 표시 수단이 설치되고, 스피커(56)에 근접한 상기 릴리프부(61, 62)측에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이외의 표시 수단으로서,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주행중의 필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어서, 이들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작게 표시하며, 본 구성에서는, 주행중에 특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전술한 핸들 조향부 주변에,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계기(55)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 파이프(27)(도 1 참조.)의 축 방향에서 보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측에 배치되어 있다. 계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패널 본체(72)를 구비하고, 패널 본체(72)의 앞 가장자리에는, 핸들 포스트(50)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들어가는 대략 원호 형상의 릴리프부(73)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 본체(72)의 표면에는, 릴리프부(73)에 인접하여, 음향 재생 정보 등을 표시하는 가로로 긴 형상의 표시부(74)가 설치되고, 또한, 표시부(74)와 대략 평행하게 복수의 조작부(71)가 대략 가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부(71)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부 음성 입력 조작부(AUX)(71a), AM 라디오 조작부(71b), FM 라디오 조작부(71c)(이상, 음원 전환용 조작부.), 라디오 선국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마이너스 튜너(71d), 음량 조정 에 관련된 볼륨 조작부(71e), 라디오 선국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플러스 튜너(71f),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 그리고, 음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저음 고음 밸런스 조정용 조작부(71i) 등이다. 표시부(74)의 측면에는 전원 조작부(71j)가 배치된다. 본 구성에서는,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 근방,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의 패널 본체(72)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70)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70)를 떼어내서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조작 장치(70)의 하방에는, 전술한 내측 커버(158a)(도 1 참조)에 형성된 내측 박스(수납 박스)(75)가 배치되고, 내측 박스(75)의 좌우 개구(75a, 75b)에는, 각각 부속품 수납용의 포켓 커버(76)(도 1)가 부착된 포켓 카울(77)(도 1)이 인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78은 엔진 시동 스위치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박스(75)의 상면과,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계기 패널(173) 사이에는 공간(K)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내측 박스(75)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동(同) 상면 도, 도 9는 동 사시도이다. 상기 공간(K)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내측 박스(75)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이 올라가도록 배치된 계기 패널(173)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의 공간(K)이며, 상기 공간(K)은 그 측면부가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로 덮여 있다. 상기 공간(K) 중,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상방에 해당하는 공간(K1) 내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이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음향 부품(79)은 음향 장치를 구성하고, 커넥터(79d)(도 7)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과, 한 쌍의 스피커(56)와, 음향 조작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 부품(79)은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연동하여 음량을 변화시키는 파워 앰프나, 안테나선(79e)(도 7)을 통하여 차체 후방부의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AM, FM 라디오의 수신기 등을 수납하며, 또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음성 입력 단자, 제어선의 접속 단자 등을 구비한다. 이들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음향 부품(79)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로 연장되며, 상기 공간 내에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접속 가능하다. 음향 부품(79)의 케이스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그 안쪽 단부에는,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와 간섭하지않도록,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진 릴리프부(79a)(도 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과, 유닛 스윙 엔 진(UE)이 거리적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음향 부품(79)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노이즈의 발신원인 엔진(UE)으로부터 음향 부품(79)을 떼어 놓았기 때문에, 엔진의 노이즈의 영향이 음향 부품(79)에 미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향 장치의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전원 조작부(71j)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여, AM 라디오 조작부(71b), FM 라디오 조작부(71c)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한 경우, AM, FM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라디오 음원으로 전환되고, 그 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디오 음원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해진다. 이때,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국의 선국이 가능하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mute)로 전환된다.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로 연장된 각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예컨대 iPod(등록 상표)를 접속하고, 외부 음성 입력 조작부(71a)를 조작하여 외부 음성 입력으로 전환하면, 그 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기억된 악곡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 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해진다. 이 경우,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악곡의 선곡이 행해지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이때도,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로 전환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55)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이 혼재하는 구성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운전중에 계기(55)의 계기 표시를 확인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하여, 그 시인성은 중요하지만, 계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기(55)에 대한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음향 조작 장치(70)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기(55)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음향 조작 장치(70)에는, 음향 조작 또는 선곡을 행하는 복수의 조작부(71)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71) 중, 조작 빈도가 높은 음량 조정에 관련된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 근방이면서 음향 조작 장치(70)의 패널 본체(72)의 중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볼륨 조작부(71e)가 항상 조향부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일이 없어, 보다 한층 조작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박스(수납 박스)(75)의 상 면과, 계기 패널(173)과,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인 공간(K) 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래 존재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다. 특히, 스쿠터형 차량에서는, 수납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해진다.
본 구성에서는, 음향 조작 장치(70)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내측 커버(158a)에 형성된 내측 박스(수납 박스)(75)의 상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의 물리적인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를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할 때, 이 케이블이 짧아도 되어, 케이블의 처짐 및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이 다른 기기나 차량 장치와 얽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기 패널(173)의 하방에 음향 부품(79)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위하여 특별한 방수 설비를 설치하거나, 음향 부품(79)에 방수 기능을 구비시키지 않고, 방수 장비 계기 패널(173)이 지붕이 되어, 음향 부품(79)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에,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한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진 릴리프부(79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배치할 때에는, 음향 부품(79)과 케이스 본체(56a) 사이에 쓸데없는 간극을 만들지 않고, 이들을 최대한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기(55)에 릴리프부(61, 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릴리프부(61, 62)는,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릴리프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계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계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릴리프부(61, 62)의 형상은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외형에 대응하고 있으면 되고, 스피커(56)의 외형이, 예컨대 타원형, 다각형,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면, 그것에 대응시켜서, 타원형, 다각형, 사다리꼴 등의 형상으로 하여, 요컨대,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릴리프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가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기(55)에 있어서, 주행중의 필요 정보가 아닌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작게 표시하고, 주행중에 특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스쿠터형 차량에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드 스포츠 차량이나 이중 목적의 차량 등, 각종의 자동 이륜차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향 핸들을 포함하는 조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를 떼어내서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조향 핸들 27: 헤드 파이프
55: 계기 55b: 속도계
55d: 엔진 회전수계 56: 스피커
56a: 케이스 본체 61, 62: 릴리프부
70: 음향 조작 장치 71: 조작부
71e: 볼륨 조작부 72: 패널 본체
74: 표시부 75: 내측 박스
79: 음향 부품 173: 계기 패널
173a: 미터 바이저 UE: 유닛 스윙 엔진
Claims (3)
-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등의 차량에 관련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계기(meter)와, 차량에 구비되는 음향 부품과, 상기 계기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음향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로서,상기 계기 및 상기 스피커는 계기 패널에 일체화되고, 상기 계기의 외형은 상기 스피커의 외형에 대응한 릴리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 근접하는 부분에는, 속도계, 엔진 회전수계 이외의 표시 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의 외형은 핸들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를 대략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001631A JP5032135B2 (ja) | 2007-01-09 | 2007-01-09 | 自動二輪車における音響装置 |
JPJP-P-2007-00001631 | 2007-01-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5531A true KR20080065531A (ko) | 2008-07-14 |
KR101002390B1 KR101002390B1 (ko) | 2010-12-20 |
Family
ID=3962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70128053A KR101002390B1 (ko) | 2007-01-09 | 2007-12-11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032135B2 (ko) |
KR (1) | KR101002390B1 (ko) |
CN (1) | CN101219687B (ko) |
TW (1) | TW20090236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00286A (zh) * | 2017-08-30 | 2018-01-19 | 贵州百能车辆有限公司 | 一种踏板操作的电动踏板摩托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22875B2 (ja) * | 2012-09-28 | 2016-11-0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鞍乗り型車両の携帯型情報端末の取付構造 |
CN113474243B (zh) * | 2019-02-27 | 2023-03-21 |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 跨骑型车辆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975Y2 (ja) * | 1987-10-02 | 1995-05-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
JP3470826B2 (ja) * | 1994-06-11 | 2003-11-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警笛装置 |
CN2266551Y (zh) * | 1995-12-22 | 1997-11-05 | 李建林 | 摩托车仪表盘 |
JP2002145154A (ja) * | 2000-11-16 | 2002-05-22 | Yamaha Motor Co Ltd |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
JP2003127949A (ja) * | 2001-10-22 | 2003-05-08 | Yamaha Motor Co Ltd | 自動二輪車のメータ表示装置 |
JP3554550B2 (ja) * | 2001-11-08 | 2004-08-18 |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 自動二輪車のモニタホルダ取り付け構造 |
JP2004345627A (ja) * | 2003-04-30 | 2004-12-09 | Yamaha Motor Co Ltd | 鞍乗型車両のスピーカ取付け構造 |
JP2006281917A (ja) * | 2005-03-31 | 2006-10-19 | Honda Motor Co Ltd | 自動二輪車のメータパネル構造 |
-
2007
- 2007-01-09 JP JP2007001631A patent/JP503213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11-28 TW TW96145143A patent/TW200902368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12-10 CN CN 200710197186 patent/CN10121968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12-11 KR KR20070128053A patent/KR1010023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00286A (zh) * | 2017-08-30 | 2018-01-19 | 贵州百能车辆有限公司 | 一种踏板操作的电动踏板摩托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2390B1 (ko) | 2010-12-20 |
CN101219687A (zh) | 2008-07-16 |
JP2008168686A (ja) | 2008-07-24 |
JP5032135B2 (ja) | 2012-09-26 |
TW200902368A (en) | 2009-01-16 |
TWI332462B (ko) | 2010-11-01 |
CN101219687B (zh) | 201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96448B2 (en) | Navigation system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 |
KR100953802B1 (ko)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 |
US6225584B1 (en) | Audio operating device | |
US7801673B2 (en) | Motorcycle navigation device | |
JP5608031B2 (ja) |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装置 | |
KR100965168B1 (ko)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 |
US9094745B2 (en) | Motorcycle with acoustic system | |
EP1905682B1 (en) | Antenna attachment structure for motorcycle | |
JP2012076524A (ja) |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制御装置 | |
JP4579081B2 (ja) |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 |
KR101002390B1 (ko)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 |
ES2386683A1 (es) | Sistema de control de comunicaciones para vehículos. | |
JP5117358B2 (ja) | 車両における音響装置 | |
US20050123148A1 (en) | Motorcycle audio system | |
CN1636820B (zh) | 乘骑型车辆的扬声器安装结构 | |
JP4989272B2 (ja) | 自動二輪車用アンテナ収容構造 | |
JP2015063272A (ja) |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電装部品のケーブル配索構造 | |
JP2011176712A (ja) | 音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