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802B1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802B1
KR100953802B1 KR1020070137516A KR20070137516A KR100953802B1 KR 100953802 B1 KR100953802 B1 KR 100953802B1 KR 1020070137516 A KR1020070137516 A KR 1020070137516A KR 20070137516 A KR20070137516 A KR 20070137516A KR 100953802 B1 KR100953802 B1 KR 10095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vehicle body
steering wheel
steering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538A (ko
Inventor
다카유키 가이
가즈히코 모리
아츠시 하타야마
주니치 사카모토
겐고 야노
유스케 다카이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수납 박스의 물품 수납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혹은, 전자키 시스템과 연동(連動)한 핸들 로크 장치를 구비한 경우라도, 음향 부품을 유효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핸들 조향부 및 엔진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차체 커버(156, 173)로 덮고, 차체 커버(156, 173)의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75)를 배치함과 동시에, 핸들 조향부의 근방에 음향 부품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수납 박스(75)와 차체 커버(173)로 둘러싸인 공간(K) 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였다. 또, 핸들 조향을 불가능하게 하는 핸들 로크 장치를 핸들 조향축의 일측과 차체 커버(156)로 둘러싸인 공간내에 배치하고, 음향 부품(79)을 핸들 조향축의 타측에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AUDIO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피커나 앰프 등의 음향 장치를 탑재한 자동 이륜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이륜차에서는, 차량의 전방에 음향 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전용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이 스페이스에 음향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음향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자동 이륜차에는, 전자키 시스템을 탑재한 것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이륜차에서는,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連動)하는 핸들 로크 장치를 구비하고, 이 핸들 로크 장치를, 차체 전방부로서 차체 커버 내의 헤드 파이프의 측방에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공평3-497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5-119421호 공보]
그런데, 앰프나 스피커 등의 음향 장치는, 대형인 것이 많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음향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도 커진다. 그때, 차량의 전방에 서류나 소품 등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박스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는, 상기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 수납 박스를 작게 설계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자동 이륜차, 특히,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의 크기는 상품 매력의 하나로, 수납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자 하는 요망이 있었다.
또, 전자키 시스템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는,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하는 핸들 로크 장치가 통상의 기계식 키인 것에 비하면 대형 부품이기 때문에, 이 자동 이륜차에 음향 장치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그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이 종류의 부품 레이아웃에 제약을 받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납 박스의 물품 수납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혹은, 전자키 시스템과 연동한 핸들 로크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도, 음향 부품을 유효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핸들 조향부 및 엔진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차체 커버로 덮고, 차체 커버의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를 배치함과 동시에, 핸들 조향부의 근방에 음향 부품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와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상기 음향 부품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래 있는 차체 커버와 수납 박스 사이의 공간에 음향 부품을 배치하기 때문에, 이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납 박스의 수용 용적의 감소가 억제된다. 수납 스페이스가 한정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는,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차체 커버 중, 핸들 조향부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이너 커버에 형성된 이너 박스여도 된다.
이너 박스의 근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하면, 핸들 조향부에 설치한 음향 조작 장치와의 거리가 적어, 선을 연결하기에 편리하다.
또, 상기 차체 프레임은, 핸들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와, 상기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후방에 하방으로 지향하여 연장된 다운 프레임을 구비하고, 엔진을 포함한 파워 유닛은, 상기 다운 프레임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음향 부품과 엔진과의 거리가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노이즈의 발신원인 엔진으로부터 음향 부품을 떼어 놓음으로써, 엔진의 노이즈의 영향상이 상기 음향 부품에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차체 커버는, 수납 박스의 상방을 덮는 미터 패널로 구성해도 된다.
미터 패널의 하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음향 부품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전방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미터 패널에는, 스피커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 부품에는, 상기 스피커를 피하기 위한 회피부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미터 패널의 하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할 때, 미터 패널에 장착된 스피커와, 상기 음향 부품이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음향 부품에는 스피커를 피하기 위한 회피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과 스피커가 근접하고,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없어져, 핸들 주변의 구성을 한층 더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조향부 및 엔진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차체 커버로 덮고, 핸들 조향부의 근방에 음향 부품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륜차는, 주차 시에 핸들 조향을 불가능하게 하는 핸들 로크 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과 연동시킨 전자키 시스템을 탑재하고, 차체 프레임은, 핸들에 연결되는 핸들 조향축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로크 장치를 상기 핸들 조향축의 일측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하고, 상기 음향 부품을 상기 핸들 조향축의 타측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핸들 로크 장치와 음향 부품이, 핸들 조향축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나뉘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대형의 핸들 로크 장치를 탑재하더라도, 음향 부품을 핸들 로크 장치가 배치되지 않는 측에 탑재할 수 있어,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상기 음향 부품과 별도로 설치된 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이 조작 유닛은, 상기 차체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음향 부품보다 상방이고 또한 상기 핸들 조향부보다 후방의 부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음향 부품과 별도로 설치된 조작 유닛이, 음향 부품의 상방에서 핸들 조향부의 후방의 차체 커버에 배치되기 때문에, 음향 부품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성이 우수한 위치에 조작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 핸들 로크 장치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측면에 배치되고, 이 핸들 로크 장치와 상기 차체 커버 사이의 공간에 작은 수납 박스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헤드 파이프의 반대 측의 상기 차체 커버로 덮이는 공간에 큰 수납 박스가 배치되고, 상기 음향 부품은, 큰 수납 박스의 상면벽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큰 수납 박스의 상면벽과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기능을 조작, 또는 작동시키는 조작 스위치 또는 버튼이, 상기 음향 조작 장치의 상기 조작 유닛이 배치된 상기 차체 커버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여기에서,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기능이란, 전자키 시스템에 의해 조작 또는 작동이 규제되어 있는 기능을 가리키며, 핸들 로크 장치는 그 기능의 하나이다.
이 구성에서는,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기능을 조작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 유닛이 배치된 차체 커버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와 상기한 스위치 또는 버튼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스위치 또는 버튼의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 상기 조작 유닛은, 복수의 조작부를 갖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기판을 갖는 하부 케이스와, 양 케이스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 부재에는, 하부 케이스의 기판에 연결되는 축이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 측으로 향하는 고리 형상의 돌기부, 및 이 돌기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두꺼운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는, 상기 두꺼운 부분이 끼워맞춤 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에 상기 두꺼운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두꺼운 부분이 변형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측과 상기 시일 부재가 접속되는 구성이라고 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부 케이스 측에 설치된 홈에 접속되는 시일 부재의 두꺼운 부분이, 시일 부재에 세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원하는 위치에 접속부로서의 두꺼운 부분을 배치할 수 있어, 접속부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본 발명에서는, 원래 있는 차체 커버와 수납 박스 사이의 공간에 음향 부품을 배치하기 때문에, 이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납 박스의 수용 용적의 감소가 억제된다. 따라서, 수납 스페이스가 한정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는,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너 박스의 근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하면, 핸들 조향부에 설치한 음향 조작 장치와의 거리가 적어, 선을 연결하기에 편리하다.
엔진을 포함한 파워 유닛은, 다운 프레임의 하방 측에 설치하고, 수납 박스는, 헤드 파이프의 근방에 배치하면, 음향 부품과 엔진과의 거리를 둘 수 있고, 따라서, 노이즈의 발신원인 엔진으로부터 음향 부품을 떼어놓음으로써, 엔진의 노이 즈의 영향을 상기 음향 부품에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 미터 패널의 하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음향 부품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 전방부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미터 패널의 하방에 음향 부품을 배치할 때, 미터 패널에 장착된 스피커와, 상기 음향 부품이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음향 부품에 스피커를 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구성하면, 음향 부품과 스피커가 근접하고,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없어져, 핸들 주변을 한층 더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핸들 로크 장치와 음향 부품이, 핸들 조향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뉘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대형의 핸들 로크 장치를 탑재하더라도, 음향 부품을 핸들 로크 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측에 탑재할 수 있어,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음향 부품과 별도로 설치된 조작부가, 음향 부품의 상방에서 핸들 조향부의 후방에 있는 차체 커버에 배치되기 때문에, 음향 부품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성이 우수한 위치에 조작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 큰 수납 박스의 상면벽과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기능을 조작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부가 배치된 차체 커버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와 상기한 스위치 또는 버튼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스위치 또는 버튼의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 두꺼운 부분이 상기 시일 부재에 세워 설치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원하는 위치에 접속부로서의 두꺼운 부분을 배치할 수 있어, 접속부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는, 차량의 전후 좌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서, 자동 이륜차인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런트 포크(25) 및 이 프런트 포크(2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2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7)를 전단(前端)에 구비한 것으로, 후륜(WR)을 후단에서 지지하는 유닛 스윙 엔진(UE)이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닛 스윙 엔진(UE)보다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F)에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료 탱크(28)와, 상기 연료 탱크(28)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9)가 탑재된다. 또, 차체 프레임(F)에는,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수납 박스(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수납 박스(30)상에, 전방부 시트(32) 및 후방부 시트(33)를 갖고 텐덤형으로 구성되는 승차용 시트(31)가 배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방부, 연료 탱크(28), 라디에이터(29) 및 수납 박스(30)를 덮는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34)가 차체 프레임(F)에 장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F)은, 상기 헤드 파이프(27)와, 상기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과, 상측 다운 프레임(37)보다 하방에서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38a)의 후단에 수평부(38b)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부에 후단이 용접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과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중간부로부터 후방 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39)과,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부 및 시트 레일(39)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40)과 상측 다운 프레임(37), 하측 다운 프레임(38) 및 리어 프레임(40)의 외측방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41)을 구비한다.
양 서포트 프레임(41)은, 차체 커버(34)가 그 좌우에 구비한 스텝 플로어(159)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전단은 하측 다운 프레임(38)에 있어서의 경사부(38a)의 하부에 결합되고, 또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후단은 리어 프레임(4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차체 커버(34)는, 헤드 파이프(27)의 전방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런트 커버(156)와, 프런트 커버(15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는 좌우 한 쌍의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와, 전방부 시트(32)에 착석한 라이더의 각부 전방을 덮음과 동시에 헤드 파이프(27)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양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레그 실드(158)와,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 위치하고, 동일하게 헤드 파이프(27)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양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이너 커버(158a)와, 레그 실드(158)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하단부에서 스텝 플로어(159)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와, 스텝 플로어(159)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수하(垂下)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와, 상기 스텝 플로어(159)의 후부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패신저 스텝(162)과, 승차용 시트(31)의 양측 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플로어 사이드 커버(16)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커버(163)와, 보디 사이드 커버(163)의 후방측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로어 커버(164)와, 수납 박스(30)의 후부 팽출부(121) 및 그랩 레일(118)의 후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어퍼 커버(165)와, 좌우 한 쌍의 테일 라이트 유닛(123)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납 박스(30)의 후부 팽출부(121)를 후방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리어 어퍼 커버(165)에 연결되는 리어 센터 커버(166)를 구비한다.
후륜(WR)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181)에는, 라이센스 플레이트(182), 리플렉터(183) 및 라이센스 라이트(184)가 장착되고, 이 리어 펜더(181)는, 좌우 한 쌍의 테일 라이트 유닛(123),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인 리어 어퍼 커버(165) 및 리어 센터 커버(166)와 함께 수납 박스(30)의 후부 팽출부(121)에 장착되어 있다.
전륜(WF)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런트 펜더(175)는 프런트 포크(25)에 지지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176)와, 각 등기구 등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케이스(178) 등이 장착되어 있다. 프런트 커버(156)의 전방부 양측과, 좌우 한 쌍의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의 사이에는 헤드라이트(171) 가 배치되고, 헤드라이트(171)의 하방에서 양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에는 윙커(172)가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커버(156), 양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 및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는, 미터류를 배치하기 위한 미터 패널(173)이 접합되고, 미터 패널(173)의 전방부에는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하여 미터 바이저(173a)가 일체로 설치되고, 미터 바이저(173a)의 전방에는 윈드 실드(174)가 배치되어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선을 거의 수평하게 한 수냉식의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전달 벨트 및 풀리에 의해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WR) 에 전달하는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M)로 구성되고, 상기 무단 변속기(M)는, 변속용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42)의 작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 측의 가동 풀리를 구동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킨다. 무단 변속기면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엔진(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44)의 좌측으로 엔진(E)으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하여 연달아 설치되고, 후륜(WR)의 좌측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 즉 하단에는 블래킷(65)이 장착되고, 양 블래킷(65)에 메인 스탠드(6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메인 스탠드(66)를 기립시키면, 후륜(WR)을 뜨게 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자립시킬 수 있고,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 시에는, 후륜(WR)을 접지시키도록 메인 스탠드(66)를 수납하면 된다.
도 2는 상기 조향 핸들(26)을 포함하는 조향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27)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서, 50은 핸들 포스트를 나타내고, 핸들 포스트(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에 지지된 스티어링 스템(5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5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홀더(52)를 통해 조향 핸들(26)이 장착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상술한 백미러(176), 스위치 케이스(178) 외에,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53), 브레이크 레버(54) 등이 장착되어 있다.
조향 핸들(26)의 전방에는, 전방부에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미터 패널(173)이 설치되고, 미터 패널(173)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관한 속도나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미터(515)와, 미터(55)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피커(5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56a)를 구비하고, 이들 케이스 본체(56a)는, 상술한 스티어링 스템(51)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차체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미터(5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어 케이스(57)와, 미터 본체(58)와, 리플렉터 플레이트(59)와, 렌즈 어셈블리(60)를 구비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57), 리플렉터 플레이트(59) 및 렌즈 어셈블리(60)는, 거의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갖고, 각각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내측에 대략 원호 형상으로 원호 형상으로 움푹 패인 회피부(61, 62)가 형성되어 있다.
회피부(61, 6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고,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피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미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미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미터(55)에는,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연 료 탱크의 연료량계(55a), 속도계(55b), 디지털 표시 시계(55c), 엔진 회전수계(55d), 수온계(55e) 등의 차량에 관한 각종의 표시 수단이 설치되고, 스피커(56)에 근접한 상기 회피부(61, 62) 측에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이외의 표시 수단으로서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주행중의 필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미터측부에 작게 표시하고, 본 구성에서는, 주행중에 특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미터 중앙에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본 구성에서는, 상술한 핸들 조향부 주변에,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미터(55)로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 파이프(27)(도 1 참조.)의 축 방향에서 볼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 측에 배치되어 있다. 미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조작 유닛(72)을 구비하고, 조작 유닛(72)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핸들 포스트(50)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들어가는 대략 원호 형상의 회피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유닛(72)의 표면에는, 회피부(73)에 인접하여, 음향 재생 정보 등을 표시하는 가로로 긴 형상의 표시부(74)가 설치되고, 또한, 표시부(74)와 거의 평행하게 복수의 조작부(71)가 대략 가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부(71)는,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외부 음성 입력 조작 부(AUX)(71a), AM라디오 조작부(71b), FM라디오 조작부(71c)(이상, 음원 전환용 조작부.), 라디오 선국(選局)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마이너스 튜너(71d), 음량 조정에 관한 볼륨 조작부(71e), 라디오 선국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플러스 튜너(71f),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 그리고, 음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저음 고음 밸런스 조정용 조작부(71i) 등이다. 표시부(74)의 옆에는 전원 조작부(71j)가 배치된다. 본 구성에서는,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의 근방,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 유닛(72)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70)를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70)를 떼어내어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조작 장치(70)의 하방에는, 상술한 이너 커버(158a)(도 1 참조.)에 형성된 수납을 위한 이너 박스(75)가 배치되고, 이너 박스(75)의 좌우 개구(75a, 75b)에는, 각각 부속품 수납용의 포켓 커버(76)(도 1)가 부착된 포켓 카울(77)(도 1)이 빼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78은 엔진 시동 스위치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박스(75)의 표면과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미터 패널(173)의 사이에는, 공간(K)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이너 박스(75)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동일하게 상면 도, 도 9 는 동일하게 사시도이다. 상기 공간(K)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평하게 배치된 이너 박스(75)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 위로 배치된 미터 패널(173)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 아래로 배치된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의 공간(K)이며, 이 공간(K)은, 그 측면부가 프런트 사이드 커버(157)로 덮여 있다. 상기 공간(K) 중,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상방에 해당하는 공간(K1) 내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이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음향 부품(79)은 음향 장치를 구성하고, 연결기(79d)(도 7)를 통해, 배터리 전원과, 한 쌍의 스피커(56)와, 음향 조작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 부품(79)은,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연동하여 음량을 변화시키는 파워업이나, 안테나선(79e)(도 7)을 통해 차체 후부의 안테나(도시 생략)에 접속된 AM, FM라디오의 수신기 등을 수납하고, 또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도시 생략)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음성 입력 단자, 제어선의 접속 단자 등을 구비한다. 이들 단자(도시 생략)는, 음향 부품(79)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로 연장되고, 이 공간 내에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접속 가능하다. 음향 부품(79)의 케이스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그 내측 단부에는,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와 간섭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한 경사 전방으로 경사진 회피부(79a)(도 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과, 유닛 스윙 엔진(UE)이 거리적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음향 부품(79)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노이즈의 발신원인 엔진(E)으로부터 음향 부품(79)을 떼어 놓았기 때문에, 엔진(E)의 노이즈의 영향상기 음향 부품(79)에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 음향 장치의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서, 전원 조작부(71j)에서 전원을 켜고, AM라디오 조작부(71b), FM라디오 조작부(71c)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한 경우, AM, FM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라이오 음원으로 전환되고, 그 이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디오 음원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하게 된다. 이때,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국의 선국이 가능하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로 전환된다.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에 연장된 각 단자(도시 생략)에,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면 iPod(등록상표)를 접속하고, 외부 음성 입력 조작부(71a)를 조작하여 외부 음성 입력으로 전환하면, 그 이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기억된 악곡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악곡의 선곡이 행해지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이때도, 교통 정 보 수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로 전환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미터(55)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이 혼재하는 구성에 비해,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운전중에 미터(55)의 미터 표시를 확인할 필요에서 볼 때, 그 시인성은 중요하지만, 미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터(55)에 대한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터(55)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음향 조작 장치(70)에는, 음향 조작 혹은 선곡을 행하는 복수의 조작부(71)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71) 중, 조작 빈도가 높은 음량 조정에 관한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의 근방이고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 유닛(72)의 중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볼륨 조작부(71e)가 항상 조향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지 않아, 한층 더 조작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을 위한 이너 박스(75)의 상면과, 미터 패널(173)과,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의 공간(K) 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래 존재하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어,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다. 특히, 스쿠터형 차량에서는, 수납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음향 조작 장치(70)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이너 커버(158a)에 형성된 수납을 위한 이너 박스(75)의 상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와의 물리적인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를 케이블을 통해 접속할 때, 이 케이블이 짧아도 되며, 케이블의 늘어짐,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블이 다른 기기나 차량 장치와 얽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 패널(173)의 하방에 음향 부품(79)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위해 특별한 방수 설비를 설치하거나, 음향 부품(79)에 방수 기능을 구비시키지 않고, 방수 장비 미터 패널(173)이 지붕이 되어, 음향 부품(79)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에,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한 기울기 전방으로 경사진 회피부(79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배치할 때에는, 음향 부품(79)과 케이스 본체(56a)의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을 만들지 않고, 이들을 극력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음향 부품(79)에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도시 생략)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도시 생략)가, 이너 박스(75)의 내측 공간 내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를 접속 가능하고, 상기 내측 공간을 플레이어 접속을 위한 공간으로서 겸용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 박스(75)와 차체 커버의 사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한 예에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납 박스, 예를 들면, 수납 박스(30)와 차체 커버의 사이에 상기 음향 부품(79)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도, 수납 박스(30)와 차체 커버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30)의 내측 공간을 플레이어 접속을 위한 공간으로서 겸용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터(55)에 회피부(61, 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피부(61, 62)는,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피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미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미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구성에서는, 미터(55)에 있어서, 주행중의 필요 정보가 아닌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미터측부에 작게 표시하고, 주행중에 특별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미터 중앙에 크게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스 쿠터형 차량으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로드 스포츠 차량이나 듀얼 퍼퍼스 차량 등, 각종 자동 이륜차에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조작 장치(70)의 주변을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미터 패널(173)을 떼어낸 상태의 조향부 주변의 평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엔진 시동 스위치(78) 대신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키 시스템의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메인 스위치 노브(278)는, 그 조작에 의해, 등화류, 혼, 및 엔진 시동용 등의 전기 회로 및 핸들 로크 기능의 ON/OFF가 전환된다. 핸들 로크 기능은, 주차 시에, 조향 핸들(26)을 꺾은 상태로 고정하여, 핸들 조향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메인 스위치 노브(278)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LOCK, OFF 및 ON의 3개의 조작 위치를 갖고, 운전자의 회동 조작에 의해 원하는 조작 위치에 조작되고, 또 메인 스위치 노브(278)는, 그것을 압동(押動) 조작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LOCK인 상태에서는, 전기 회로는 차단되고, 조향 핸들(26)은 로크된 상태가 된다.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OFF인 상태에서는, 전기 회로는 차단된 상태 그대로이지만, 조향 핸들(26)의 로크가 해제되고, 운전자는 차량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ON인 상태에서는, 전기 회 로의 차단이 해제되고, 운전자는 핸들 우측에 설치된 스타터 스위치(179)를 누름으로써 엔진(E)을 시동할 수 있다. 또, 차량에 잠금을 행할 때에는, 메인 스위치 노브(278)를 OFF 또는 LOCK로 하여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면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자동적으로 로크되어, 회동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전자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갖는 리모콘 장치(206)(도 14, 도 15)에 수납된 전자키인 ID와 차량이 갖는 ID가 전자적인 통신에 의해 인증되고, ID가 일치한 경우에만, 메인 스위치 노브(278)를 회동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전자키 시스템에 의하면, 정규의 리모콘 장치(206)를 가진 운전자가, 메인 스위치 노브(278)를 누르면, 리모콘 장치(206)를 통해 ID의 인증 처리가 행해져 그 후 메인 스위치 노브(278)를 회동 조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운전자는 키 구멍에 키를 꽂을 필요가 없어, 차량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메인 스위치 노브(27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의 우측에 있어서, 이너 박스(75)의 우측 개구(75b)(작은 수납 박스)의 좌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27)의 좌측에 위치하는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큰 수납 박스)는, 우측 개구(75b)보다 대형이고 용량이 크게 되어 있다. 또, 이너 박스(75)는, 포켓 커버(76)(도 1)에 의해 닫혀 잠금된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과 별도로 설치되고, 음향 부품(79)의 상방에서 스티어링 스템(51)(핸들 조향축)을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차체의 표면에 노출된 음향 조작 장치(70)는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 성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음향 조작 장치(70)와 인접하여 접속되어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미터 패널(173)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조작 장치(70)의 우측 상방의 위치에는, 승차용 시트(31)의 해제를 지시하는 시트 스위치(281) 및, 이너 박스(75)의 해제를 지시하는 박스 스위치(282)가 배치되어 있다.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는, 미터 패널(173)에 설치된 구멍(209)으로부터 미터 패널(173)의 외표면에 면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부 주변의 차체 커버(34)의 내측에 위치하는 헤드 파이프(27)에는, 조향 핸들(26)(도10)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스템(51)이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티어링 스템(51)의 좌측 근방에는, 음향 부품(79)이, 미터 패널(173)과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상면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미터 패널(173)의 하방에 있어서 스티어링 스템(51)의 우측면에는, 메인 스위치 노브(278)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로크 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 로크 장치(200)는, 헤드 파이프(27)를 통해 핸들을 로크하기 때문에, 헤드 파이프(27)의 근방에 배치된다. 핸들 로크 장치(200)는, 전자키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 전기 회로 및 핸들 로크 기능의 ON/OFF를 전환할 수 있다.
차체 커버(34)의 내측에 있어서, 핸들 로크 장치(200)의 우측 옆에는, 운전자가 갖는 리모콘 장치(206)(도 14)에 ID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205)가 배치되어 있으며, 안테나(205)는, 핸들 로크 장치(20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안테나(205)의 전방에는, 승차용 시트(31) 및 이너 박스(75)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207)가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07)로부터는, 후술하는 시트 케이블(212) 및, 박스 케이블(213)이 있다. 안테나(205) 및 액추에이터(207)는, 핸들 로크 장치(200)의 근방에 배치되면 핸들 로크 장치(200)와의 거리가 적어, 선을 연결하기에 편리하다.
도 12는 운전자 측에서 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차량의 전방에서 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헤드 파이프(27)의 전방부에는, 거의 수평하게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의 전방부 프레임(250)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프레임(250)에는, 운전자 측에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251)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252)이 접합되어 있다. 또, 전방부 프레임(250)의 우측에는, 운전자 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전방부 서브 프레임(253)이 접속되어 있다. 차체 커버(34)의 일부는, 상부 프레임(251) 및 전면 프레임(2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방부 서브 프레임(253)에는, 시트 스위치(281), 박스 스위치(282), 안테나(205), 및 액추에이터(207)가, 각 스테이(도시 생략)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또, 전방부 프레임(250) 근방에는, 각종 전장품의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부츠(254), 좌우 한 쌍의 헤드라이트 유닛(255) 및, 뱅크각 센서(256)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 로크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핸들 로크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핸들 로크 장치(200)의 주변의 사시도이다.
핸들 로크 장치(20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조향을 불가능하게 하는 실린더키(201), 실린더키(201)의 회동을 규제하는 로크 솔레노이드(202), 실린더키(201)의 회동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메인 스위치(203), 메인 스위치 노브(278) 및 전자키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0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핸들 로크 장치(200)는, 구성부품이 많기 때문에, 비교적 큰 부품이 되어 있다.
또, 제어 유닛(204)에는, 안테나(205), 시트 스위치(281), 박스 스위치(282), 리모콘 장치(206)의 ID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210), 액추에이터(207) 및, 엔진(E)의 점화 시기 및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11)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204)은 운전자의 지시에 따라, 안테나(205)에 대해, 차량 고유의 ID 를 운전자가 갖는 리모콘 장치(206)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리모콘 장치(206)는, 수신한 ID를 차량의 수신 유닛(210)에 회신하고, 이어서, 제어 유닛(204)이 수신한 ID를 조합(照合)하여, 인증되면 전자키 시스템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리모콘 장치(206)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 노브(278)를 누르면, 차량 고유의 ID가 리모콘 장치(206)에 송신되고, 리모콘 장치(206)가 회신한 ID가 제어 유닛(204)에 인증되면, 실린더키(201)의 회동을 규제하는 로크 솔레노이드(202)가 작동하여, 메인 스위치 노브(278)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7)로부터는, 승차용 시트(31)의 개폐를 로크하는 시트 로크(221)에 접속되는 시트 케이블(212) 및, 이너 박스(75)의 개폐를 로크하는 박스 로크(222)에 접속되는 박스 케이블(213)이 연장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는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가 가압 조작되면, 핸들 로크 장치(200)의 제어 유닛(204)은, 액추에이터(207)를 작동시키고, 가압 조작에 대응하는 시트 케이블(212) 및 박스 케이블(213)이 끌어 당겨져, 시트 로크(221) 또는 박스 로크(222)가 해제된다. 또, 유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는, 메인 스위치 노브(278)가 LOCK 또는 OFF 시에만 작동하고, 주행중에 잘못하여 승차용 시트(31) 및 이너 박스(75)가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6, 도 17은 상기 조작 유닛(72)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3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조작 유닛(72)은,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를 구비하고, 각 케이스(83, 84)의 사이에 시트 형상의 시일 부재(91)를 끼우고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84)에는, 운전자 측에 면하는 볼륨 조작부(71e) 외에, 상술한 각종의 조작부(71)(도 3 참조)가 가로 일렬로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83)에는, 볼륨 조작부(71e)를 포함한 각종의 조작부(71)에 대응하고, 상기 볼륨 조작부(71e) 등이 조작된 경우에,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기판(8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80)에는, 볼륨 조작부(71e)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주 형상의 볼륨축(85)이, 홀더(86)를 통해 장착되고, 홀더(86)는, 기판(80)의 하측으로부터 구멍(80a)을 통해 비스(87)에 의해 기판(80)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84)에는, 기판(80)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88)가 고정되고, 이 가이드(88)의 고리 형상의 통(筒)부(88a)를 볼륨축(85)이 관통하고, 상 기 볼륨축(85)은 축 시일(89)을 통해 가이드(8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8은 상기 시일 부재(91)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6의 D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시일 부재(91)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도 18 중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상부 케이스(84)의 외형보다 약간 작은 외형을 갖고, 그 주연부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일련으로 연장되는,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은,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의 결합 시에, 각각의 가장자리부(83a, 84a)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시일 부재(91)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91c)가 형성되고, 이 개구(91c)를 상기 볼륨축(85)이 관통하고 있다(도 16, 도 17). 시일 부재(91)의 개구(91c)의 주연부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84) 측으로 향하는 링 형상의 돌기부(91b)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91b)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다른 부위보다 두껍고,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두께를 갖는 단부 두꺼운 부분(9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91b)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에 대향하고, 상부 케이스(84)의 가이드(88)에는, 링 형상의 홈(88c)이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의 결합 시에는, 돌기부(91b)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이, 링 형상의 홈(88c)에 끼워맞춤 되어 있다. 또한, 홈(88c)은, 상부 케이스(84) 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84) 자체에 홈(88c)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서는,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 사이에, 시일 부재(91)가 개재 장착되고, 상기 시일 부재(91)에 의해, 하부 케이스(83) 내부로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차체 커버(34)와 볼륨 조작부(71e) 사이를 통해 상부 케이스(84) 내에 물이 침입하더라도, 이 물은, 시일 부재(91)의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 및 단부 두꺼운 부분(91d)에서 저지되고, 하부 케이스(83) 내부로의 침입이 방지되어, 그 내부의 기판(80)이 보호된다.
시일 부재(91)는,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이, 하부 케이스(83)의 외측 가장자리부(83a)와 상부 케이스(84)의 외측 가장자리부(84a)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84)가, 비스에 의해 하부 케이스(83)에 체결되면,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은, 외측 가장자리부(83a)와 외측 가장자리부(84a)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변형된 상태로 접속되고,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높은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의 접합면은, 그 전체 둘레가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에 의해 시일되기 때문에, 조작 유닛(72)의 측면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외측 가장자리부(84a)가, 외측 가장자리부(83a)의 외측을 위에서 덮고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기 어렵다.
또, 하부 케이스(83)에는 적절한 위치에 지지 부재(9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94)에 의해, 시일 부재(91)가, 그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시일 부재(91)에 세워 설치된 링 형상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은, 가이 드(88)에 형성된 링 형상의 홈(88c)에 삽입되어, 단부 두꺼운 부분(91d)이 변형된 상태로 접속되기 때문에, 단부 두꺼운 부분(91d)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높은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하부 케이스(83)와 상부 케이스(84)의 조립 시에는, 세워 설치된 단부 두꺼운 부분(91d)에 홈(88c)을 위에서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본 구성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91)에 있어서,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과 개구(91c)와의 거리(L)가 가깝다.
예를 들면, 단부 두꺼운 부분(91d)을 형성하지 않고, 대신에 개구(91c)의 가장자리부에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과 동일한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고, 가이드(88)의 대직경부(88b)의 측면에 홈을 설치하고, 이 홈에 두꺼운 부분을 삽입하여, 가이드(88)와 시일 부재(91)를 접속하는 경우,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과 개구(91c)와의 거리(L)가 가깝기 때문에, 접속에 충분한 길이의 두꺼운 부분을 개구(91c)의 가장자리부에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91c)에 세워 설치된 단부 두꺼운 부분(91d)에 의해, 가이드(88)와 시일 부재(91)를 접속하기 때문에, 가장자리부 두꺼운 부분(91a)과 개구(91c)와의 거리(L)가 가까운 경우에 있어서도, 접속에 충분한 길이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시일성을 지니고 접속할 수 있다. 즉, 시일 부재(91)의 면 상에 단부 두꺼운 부분(91d)을 세워 설치하게 하면, 시일 부재(91)의 면 상의 위치에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 시일성을 지닌 접속부를 배치할 수 있어,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도 20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가이드(88)의 홈(88c)의 내경 측에는, 단부 두꺼운 부분(91d)이 삽입되는 홈(88c)에 연통하는 슬릿(92)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92)의 폭(W)은, 단부 두꺼운 부분(91d)의 두께의 반 정도이다. 슬릿(92)은, 단부 두꺼운 부분(91d)을 삽입할 때의 에어 블리딩(air-bleeding)을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 시에, 슬릿(92)으로부터 에어가 빠짐으로써 용이하게 단부 두꺼운 부분(91)을 삽입할 수 있다. 슬릿(92)은, 가이드(88)의 내측에 연통하여, 슬릿(92)으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일이 없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로크 장치(200)가, 스티어링 스템(51)의 일측에 배치되고, 음향 부품(79)이, 스티어링 스템(51)의 타측에 각각 나뉘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대형의 핸들 로크 장치(200)를 탑재하더라도, 음향 부품(79)을 핸들 로크 장치(200)가 배치되지 않는 측에 탑재할 수 있어, 음향 부품(79)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음향 부품(79)과 별도로 설치된 음향 조작 장치(70)가, 음향 부품(79)의 상방에 있어서 스티어링 스템(51)의 후방에서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성이 우수한 위치에 음향 조작 장치(7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가 음향 부품(79)과 별도이면, 음향 부품(79)이 소형화되기 때문에, 보다 작은 스페이스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할 수 있다.
또, 핸들 로크 장치(200)는, 헤드 파이프(27)의 측면에 배치되고, 핸들 로크 장치(200)와 미터 패널(173) 사이의 공간에 이너 박스(75)의 우측 개구(75b)가 배치되는 한편, 헤드 파이프(27)의 반대 측에서 미터 패널(173)의 하방에 우측 개구(75b)보다 큰 이너 박스(75)의 좌측 개구(75a)가 배치되고, 음향 부품(79)은, 좌측 개구(75a)의 상면벽과 미터 패널(173)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개구(75a)의 상면벽과 미터 패널로 둘러싸인 좌측 개구(75a)의 상면벽과 미터 패널(173)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 부품(79)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하는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가,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부(71)에 인접하여, 미터 패널(173)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와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조작부(282)와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와의 거리가 가깝고 조작 대상이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 상부 케이스(84)의 측에 설치된 홈(88c)에 접속되는 시일 부재(91)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이, 상기 시일 부재(91)에 세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 부재(91)의 원하는 위치에 접속부로서의 단부 두꺼운 부분(91d)을 배치할 수 있어, 접속부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하는 시트 스위치(281) 및 박스 스위치(282)가 미터 패널(173)의 외표면에 면하 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 로크를 제어하는 스위치 등이 미터 패널(173)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그 밖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이륜차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동일하게 조향 핸들을 포함하는 조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미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를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를 떼어내어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이너 박스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동일하게 상면도,
도 9는 동일하게 사시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조작 장치의 주변을 운전석 측에서 본 도면,
도 11은 미터 패널을 떼어낸 상태의 조향부 주변의 평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
도 12는 운전자 측에서 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차량의 전방에서 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핸들 로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핸들 로크 장치의 주변의 사시도,
도 16은 도 3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3에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시일 부재의 평면도,
도 19는 도 16의 D부를 확대한 도면,
도 20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조향 핸들 27: 헤드 파이프
51: 스티어링 스템(핸들 조향축) 55: 미터
55b: 속도계 55d: 엔진 회전수계
56: 스피커 56a: 케이스 본체
61, 62: 회피부 70: 음향 조작 장치
71: 조작부 71e: 볼륨 조작부
72: 조작 유닛 74: 표시부
75: 이너 박스 75a: 좌측 개구(큰 수납 박스)
75b: 우측 개구(작은 박스) 79: 음향 부품
80: 기판 83: 하부 케이스
84: 상부 케이스 85: 볼륨축
88: 가이드 88c: 홈
91: 시일 부재 91d: 단부 두꺼운 부분
173: 미터 패널 173a: 미터 바이저
200: 핸들 로크 장치 204: 제어 유닛
206: 리모콘 장치 278: 메인 스위치 노브
281: 시트 스위치 282: 박스 스위치
UE: 유닛 스윙 엔진

Claims (10)

  1. 핸들 조향부 및 엔진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차체 커버로 덮고, 차체 커버의 내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를 배치함과 동시에, 핸들 조향부의 근방에 음향 부품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와,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상기 음향 부품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차체 커버 중, 핸들 조향부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이너 커버에 형성된 이너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핸들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와, 상기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후방에 하방으로 지향하여 연장된 다운 프레임을 구비하고,
    엔진을 포함하는 파워 유닛은, 상기 다운 프레임의 하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체 커버는, 상기 수납 박스의 상방을 덮는 미터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터 패널에는, 스피커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 부품에는, 상기 스피커를 피하기 위한 회피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6. 핸들 조향부 및 엔진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차체 커버로 덮고, 핸들 조향부의 근방에 음향 부품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이륜차는, 주차 시에 핸들 조향을 불가능하게 하는 핸들 로크 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과 연동시킨 전자키 시스템을 탑재하고,
    차체 프레임은, 핸들에 연결되는 핸들 조향축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로크 장치를 상기 핸들 조향축의 일측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하고,
    상기 음향 부품을 상기 핸들 조향축의 타측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상기 음향 부품과 별도로 설치된 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차체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음향 부품보다 상방이고 또한 상기 핸들 조향부보다 후방의 부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핸들 로크 장치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로크 장치와, 상기 차체 커버 사이의 공간에 작은 수납 박스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헤드 파이프의 반대 측의 상기 차체 커버로 덮이는 공간에 큰 수납 박스가 배치되고, 상기 음향 부품은, 상기 큰 수납 박스의 상면벽과 상기 차체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 시스템에 연동한 기능을 조작, 또는 작동시키는 조작 스위치 또는 버튼이, 음향 조작 장치의 상기 조작 유닛이 배치된 상기 차체 커버의 외표면에 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복수의 조작부를 갖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하는 기판을 갖는 하부 케이스와, 양 케이스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 부재에는, 하부 케이스의 기판에 연결되는 축이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 측으로 향하는 고리 형상의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두꺼운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는, 상기 두꺼운 부분이 끼워맞춤 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두꺼운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두꺼운 부분이 변형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측과 상기 시일 부재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KR1020070137516A 2007-01-09 2007-12-26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KR100953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1630 2007-01-09
JP2007001630 2007-01-09
JPJP-P-2007-00264611 2007-10-10
JP2007264611A JP5007194B2 (ja) 2007-01-09 2007-10-10 自動二輪車における音響装置の取付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38A KR20080065538A (ko) 2008-07-14
KR100953802B1 true KR100953802B1 (ko) 2010-04-21

Family

ID=3974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16A KR100953802B1 (ko) 2007-01-09 2007-12-26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07194B2 (ko)
KR (1) KR100953802B1 (ko)
CN (1) CN101244735B (ko)
TW (1) TW2009092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1056B2 (ja) * 2008-11-28 201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5047152B2 (ja) * 2008-12-26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670779B2 (ja) * 2011-02-17 2015-02-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591785B2 (ja) * 2011-11-30 2014-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灯火器組立体
JP6151896B2 (ja) * 2012-08-28 2017-06-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配索構造
TWI505961B (zh) * 2014-05-27 2015-11-01 Kwang Yang Motor Co Locomotive electronic products fixed structure
MY194841A (en) * 2016-01-13 2022-12-19 Honda Motor Co Ltd Meter cover structure for motorcycle
TWI779685B (zh) * 2021-06-24 2022-10-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電動機車的控制系統
US20230271662A1 (en) * 2022-02-27 2023-08-31 Malcolm O'Neil Jamison, JR. Fixture used to house audio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sport bik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52A (ja) * 1995-06-29 1997-01-14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01063657A (ja) * 1999-08-31 2001-03-13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05112310A (ja) * 2003-10-10 2005-04-28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4896A (ja) * 1982-12-07 1984-06-1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スピ−カ装置
JPS6027518U (ja) * 1984-03-23 1985-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音響装置
JPH0719975Y2 (ja) * 1987-10-02 1995-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JP2678603B2 (ja) * 1987-10-03 1997-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ク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4063394B2 (ja) * 1998-03-26 2008-03-1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樹脂キャップ
JP4176610B2 (ja) * 2003-10-15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4433464B2 (ja) * 2004-05-31 2010-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音響装置
JP2006281965A (ja) * 2005-03-31 2006-10-19 Wise Gear:Kk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52A (ja) * 1995-06-29 1997-01-14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01063657A (ja) * 1999-08-31 2001-03-13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05112310A (ja) * 2003-10-10 2005-04-28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89293A (ja) 2008-08-21
CN101244735B (zh) 2012-11-28
TWI342283B (ko) 2011-05-21
KR20080065538A (ko) 2008-07-14
TW200909281A (en) 2009-03-01
JP5007194B2 (ja) 2012-08-22
CN101244735A (zh)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802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US7596448B2 (en) Navigation system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US6225584B1 (en) Audio operating device
US20080273715A1 (en) Vehicle external speak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7801673B2 (en) Motorcycle navigation device
JP2000272376A (ja) 車両用表示装置
US9094745B2 (en) Motorcycle with acoustic system
KR100965168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US20050280250A1 (en) Vehicle steering wheel
KR101002390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EP2193959B1 (en) Electronic interface device for interfacing a digital file player with the audio system of a vehicle
US20070291957A1 (en) Sound system for motorcycles and similar vehicles
JP2008074289A (ja) 車両用通信装置の取付構造
US20050123148A1 (en) Motorcycle audio system
JP4989272B2 (ja) 自動二輪車用アンテナ収容構造
US9779618B2 (en) Garage opener communicating device-equipped motorcycle
WO2010137035A2 (en) Audio system arrangement in a two wheeler
JP2010036713A (ja) 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JPH0578047U (ja) オートバイ用タンクバッグ・ステレオサウンドシステム
AU3137001A (en) Audio system for motor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