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168B1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168B1
KR100965168B1 KR1020070127535A KR20070127535A KR100965168B1 KR 100965168 B1 KR100965168 B1 KR 100965168B1 KR 1020070127535 A KR1020070127535 A KR 1020070127535A KR 20070127535 A KR20070127535 A KR 20070127535A KR 100965168 B1 KR100965168 B1 KR 10096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instrument
head pipe
sound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530A (ko
Inventor
다카유키 가이
가즈히코 모리
아츠시 하타야마
준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meter)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55)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를 조향부 근방에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계기(55) 및 음향 조작 장치(70)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계기(55) 및 음향 조작 장치(70)는, 조향부를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헤드 파이프를 경계로 전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SOUND APPARATUS IN MOTORCYCLE}
본 발명은 속도 등을 표시하는 계기 및 음향 조작 장치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관련된 속도나,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조향부 근방에 통합하여 배치한 자동 이륜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자동 이륜차에서는, 전술한 계기 및 음향 조작 장치를,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헤드 파이프의 전방에 배치하고 있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화 제63-3583호 공보
그러나, 계기 및 음향 조작 장치를, 헤드 파이프의 전방에 배치하면 계기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음향 조작 장치가 계기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음향 조작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계기의 전방까지 손을 뻗을 필요가 있어, 상기 음향 조작 장치를, 운전자의 조작성을 배려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계기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조향부 근방에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계기 및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계기는 상기 조향부를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기 및 음향 조작 장치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이 혼재하는 구성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계기가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전방에 배치되고, 음향 조작 장치가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이 혼재하는 구성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조작 장치에는, 음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 중 음량 조정에 관련된 조작부는, 상기 조향부 근방이면서 해당 음향 조작 장치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음향 조작 장치에는, 선국(選局)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 중 음량 조정에 관련된 조작부는, 상기 조향부 근방이며 또한 당해 음향 조작 장치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조작부 중에서도, 특히 음량에 관련된 조작부는 조작 빈도가 높고, 그러한 것을 중심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상기 조향부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계기 패널을 구비하고, 이 계기 패널에 상기 계기 및 상기 음향 조작 장치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계기 및 상기 음향 조작 장치가, 상기 계기 패널에 통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계기 및 음향 조작 장치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계기가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전방에 배치되고, 음향 조작 장치가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계기에 대한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을 확보하면 서, 음향 조작 장치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음향 조작, 또는 선국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 중에서, 조작 빈도가 높은 음량 조정에 관련된 조작부를, 조향부 근방이면서, 음향 조작 장치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하면, 조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는, 차량의 전후 좌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인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축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5) 및 상기 프론트 포크(2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2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7)를 전단에 구비하는 것으로, 후륜(WR)을 후단에서 지지하는 유닛 스윙 엔진(UE)이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닛 스윙 엔진(UE)보다도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F)에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료 탱크(28)와, 상기 연료 탱크(2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9)가 탑재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는,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을 상방에서 덮도록 하여 수납 박스(30)가 부착되어 있고, 이 수납 박스(30)상에, 전방부 시트(32) 및 후방부 시트(33)를 가지며 탠덤(tandem)형으로 구성되는 승차용 시트(31)가 배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방부, 연료 탱크(28), 라디에이터(29) 및 수납 박스(30)를 덮는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34)가 차체 프레임(F)에 부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F)은, 상기 헤드 파이프(27)와, 상기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과, 상측 다운 프레임(37)보다도 하방에서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38a)의 후단에 수평부(38b)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부에 후단이 용접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과,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중간부로부터 후방이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39)과,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방부 및 시트 레일(39)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40)과, 상측 다운 프레임(37), 하측 다운 프레임(38) 및 리어 프레임(4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
양 서포트 프레임(41)은, 차체 커버(34)가 그 좌우에 구비하는 스텝 플로어(159)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전단은 하측 다운 프레임(38)에 있어서의 경사부(38a)의 하부에 결합되고, 또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후단은 리어 프레임(4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차체 커버(34)는, 헤드 파이프(27)의 전방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56)와, 프론트 커버(15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와, 전방부 시트(32)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으며 헤드 파이프(27)를 후방측에서 덮도록 해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레그 실드(158)와,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헤드 파이프(27)를 후방측에서 덮도록 해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내측 커 버(158a)와, 레그 실드(158)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부에서 스텝 플로어(159)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와, 스텝 플로어(159)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수직 하강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와, 상기 스텝 플로어(159)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패신져 스텝(162)과, 승차용 시트(31)의 양측 하방에 배치되며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커버(163)와, 보디 사이드 커버(163)의 후방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하부 커버(164)와,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 및 그랩 레일(118; grab rail)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상부 커버(165)와,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사이에 배치되며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를 후방에서 덮도록 해서 리어 상부 커버(165)에 연결되는 리어 센터 커버(166)를 구비한다.
후륜(WR)을 후방에서 덮는 리어 펜더(181)에는, 라이센스 플레이트(182), 리플렉터(183) 및 라이센스 라이트(184)가 부착되고, 이 리어 펜더(181)는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인 리어 상부 커버(165) 및 리어 센터 커버(166)와 함께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에 부착되어 있다.
전륜(WF)을 상방에서 덮는 프론트 펜더(175)는 프론트 포크(25)에 지지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176)와, 각 등기구 등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케이스(178) 등이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56)의 전방부 양측과,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 사이에는 헤드라이트(171)가 배치되고, 헤드라이트(171)의 하방에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에는 윙커(winker; 172)가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56),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 및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는, 계기류를 배치하기 위한 계기 패널(173)이 접합되고, 계기 패널(173)의 전방부에는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해서 미터 바이저(173a)가 일체로 설치되며, 미터 바이저(173a)의 전방에는 윈드 실드(174)가 배치되어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한 수냉식의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전달 벨트 및 풀리에 의해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는 벨트식의 무단 변속기(M)로 구성되고, 상기 무단 변속기(M)는 변속용의 액츄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42)의 작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측의 가동 풀리를 구동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킨다. 무단 변속기(M)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엔진(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44)의 좌측에 엔진(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해서 연달아 설치되고, 후륜(WR)의 좌측까지 연장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 즉 하단에는 브래킷(65)이 부착되고, 양 브래킷(65)에 메인 스탠드(66)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메인 스탠드(66)를 기립시키면, 후륜(WR)을 뜨게 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자립시킬 수 있고,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시에는, 후륜(WR)을 접지시키도록 메인 스탠드(66)를 격납하면 된다.
도 2는 상기 조향 핸들(26)을 포함하는 조향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27)의 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50은 핸들 포스트를 나타내고, 핸들 포스트(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에 지지된 스티어링 스템(51)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5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홀더(52)를 통하여 조향 핸들(26)이 부착되고, 조향 핸들(26)에는, 전술한 백미러(176), 스위치 케이스(178) 외에,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53), 브레이크 레버(54) 등이 부착되어 있다.
조향 핸들(26)의 전방에는, 전방부에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계기 패널(173)이 설치되고, 계기 패널(173)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속도나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계기(55)와, 계기(55)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피커(56)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56a)를 구비하고, 이들 케이스 본체(56a)는, 전술한 스티어링 스템(51)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차체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계기(5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57)와, 계기 본체(58)와, 리플렉터 플레이트(59)와, 렌즈 어셈블리(60)를 구비하고, 이들을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7), 리플렉터 플레이트(59) 및 렌즈 어셈블리(60)는, 대략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내측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패인 릴리프부(61, 62)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61, 6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여,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릴리프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계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계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계기(55)에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료 탱크의 연료량계(55a), 속도계(55b), 디지털 표시 시계(55c), 엔진 회전수계(55d), 수온계(55e) 등의 차량에 관련된 각종의 표시 수단이 설치되고, 스피커(56)에 근접한 상기 릴리프부(61, 62)측에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이외의 표시 수단으로서,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주행중의 필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어서, 이들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작게 표시하며, 본 구성에서는, 주행중에 특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전술한 핸들 조향부 주변에,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계기(55)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 파이프(27)(도 1 참조)의 축 방향에서 보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측에 배치되어 있다. 계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음향 조작 장치(70)는 패널 본체(72)를 구비하고, 패널 본체(72)의 앞 가장자리에는, 핸들 포스트(50)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들어가는 대략 원호 형상의 릴리프부(73)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 본체(72)의 표면에는, 릴리프부(73)에 인접하여, 음향 재생 정보 등을 표시하는 가로로 긴 형상의 표시부(74)가 설치되고, 또한, 표시부(74)와 대략 평행하게 복수의 조작부(71)가 대략 가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부(71)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외부 음성 입력 조작 부(AUX)(71a), AM 라디오 조작부(71b), FM 라디오 조작부(71c)(이상, 음원 전환용 조작부), 라디오 선국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마이너스 튜너(71d), 음량 조정 에 관련된 볼륨 조작부(71e), 라디오 선국 또는 선곡을 행하기 위한 플러스 튜너(71f),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 그리고, 음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저음 고음 밸런스 조정용 조작부(71i) 등이다. 표시부(74)의 측면에는 전원 조작부(71j)가 배치된다. 본 구성에서는,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 근방, 또한 음향 조작 장치(70)의 패널 본체(72)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70)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70)를 떼어내서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조작 장치(70)의 하방에는, 전술한 내측 커버(158a)(도 1 참조.)에 형성된 내측 박스(수납 박스)(75)가 배치되고, 내측 박스(75)의 좌우 개구(75a, 75b)에는, 각각 부속품 수납용의 포켓 커버(76)(도 1)가 부착된 포켓 카울(77)(도 1)이 인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78은 엔진 시동 스위치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박스(75)의 상면과, 미터 바이저(173a)를 일체로 구비한 계기 패널(173) 사이에는 공간(K)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내측 박스(75)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동(同) 상면도, 도 9는 동 사시도이다. 상기 공간(K)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내측 박스(75)의 상면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이 올라가도록 배치된 계기 패널(173)과, 소정의 각도로 대략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 스피커(56) 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의 공간(K)이며, 상기 공간(K)은 그 측면부가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로 덮여 있다. 상기 공간(K) 중,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상방에 해당하는 공간(K1) 내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이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음향 부품(79)은 음향 장치를 구성하고, 커넥터(79d)(도 7)를 통하여, 배터리 전원과, 한 쌍의 스피커(56)와, 음향 조작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 부품(79)은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연동하여 음량을 변화시키는 파워 앰프나, 안테나선(79e)(도 7)을 통하여 차체 후방부의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AM, FM 라디오의 수신기 등을 수납하며, 또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음성 입력 단자, 제어선의 접속 단자 등을 구비한다. 이들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음향 부품(79)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로 연장되며, 상기 공간 내에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접속 가능하다. 음향 부품(79)의 케이스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그 안쪽 단부에는,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와 간섭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진 릴리프부(79a)(도 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과, 유닛 스윙 엔진(UE)이 거리적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 유닛 스윙 엔진(UE)은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이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음향 부품(79)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 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노이즈의 발신원인 엔진(UE)으로부터 음향 부품(79)을 떼어 놓았기 때문에, 엔진의 노이즈의 영향이 음향 부품(79)에 미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향 장치의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전원 조작부(71j)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여, AM 라디오 조작부(71b), FM 라디오 조작부(71c)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한 경우, AM, FM 라디오 중 어느 하나의 라디오 음원으로 전환되고, 그 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디오 음원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해진다. 이때,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라디오국의 선국이 가능하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교통 정보 수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mute)로 전환된다.
내측 박스(75)의 좌측 개구(75a)의 내측 공간 내로 연장된 각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예컨대 iPod(등록 상표)를 접속하고, 외부 음성 입력 조작부(71a)를 조작하여 외부 음성 입력으로 전환하면, 그 후, 조작부(71)의 조작에 의해,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에 기억된 악곡을, 핸들 조향부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피커(56)로 연주 가능해진다. 이 경우, 마이너스 튜너(71d) 또는 플러스 튜너(71f)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악곡의 선곡이 행해지고, 대략 중앙의 볼륨 조작부(71e)의 조작에 의해 음량 조정이 행해진다. 이때도, 교통 정보 수 신용 조작부(71g)의 조작에 의해, 고속도로 내에서의 교통 정보 수신으로 전환되고, 소음용 전자 볼륨 조작부(71h)의 조작에 의해, 뮤트로 전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55)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70)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이 혼재하는 구성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운전중에 계기(55)의 계기 표시를 확인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하여, 그 시인성은 중요하지만, 계기(55)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전방,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기(55)에 대한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음향 조작 장치(70)는 헤드 파이프(27)를 경계로 후방, 즉 운전자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기(55)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음향 조작 장치(7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음향 조작 장치(70)에는, 음향 조작 또는 선곡을 행하는 복수의 조작부(71)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71) 중, 조작 빈도가 높은 음량 조정에 관련된 볼륨 조작부(71e)가, 조향부 근방이면서 음향 조작 장치(70)의 패널 본체(72)의 중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볼륨 조작부(71e)가 항상 조향부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일이 없어, 보다 한층 조작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박스(수납 박스)(75)의 상면과, 계기 패널(173)과,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로 둘러싸인 데드 스페이스의 공간(K) 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래 존재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다. 특히, 스쿠터형 차량에서는, 수납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음향 부품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해진다.
본 구성에서는, 음향 조작 장치(70)와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내측 커버(158a)에 형성된 내측 박스(수납 박스)(75)의 상면에 음향 부품(79)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의 물리적인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음향 부품(79)과 음향 조작 장치(70)를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할 때, 이 케이블이 짧아도 되어, 케이블의 처짐 및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이 다른 기기나 차량 장치와 얽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기 패널(173)의 하방에 음향 부품(79)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위하여 특별한 방수 설비를 설치하거나, 음향 부품(79)에 방수 기능을 구비시키지 않고, 방수 장비 계기 패널(173)이 지붕이 되어, 음향 부품(79)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부품(79)에, 스피커(56)의 케이스 본체(56a)를 피하기 위한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진 릴리프부(79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배치할 때에는, 음향 부품(79)과 케이스 본체(56a) 사이에 쓸데없는 간극을 만들지 않고, 이들을 최대로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향 부품(79)을 공간(K)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기(55)에 릴리프부(61, 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릴리프부(61, 62)는, 양측에 배치된 스피커(56)의 대략 원형 형상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56)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릴리프 부(61, 62)에 접근하여 들어감으로써, 계기 패널(173)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계기 패널(173) 자체가 소형화되기 때문에, 핸들 조향부 주변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본 구성에서는, 계기(55)에 있어서, 주행중의 필요 정보가 아닌 수온계(55e), 연료량계(55a) 등은 스피커(56)에 근접하는 계기측부에 작게 표시하고, 주행중에 특히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속도계(55b), 엔진 회전수계(55d) 등은 계기 중앙에 크게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스쿠터형 차량에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드 스포츠 차량이나 이중 목적의 차량 등, 각종의 자동 이륜차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향 핸들을 포함하는 조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향부를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음향 조작 장치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음향 조작 장치를 떼어내서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내측 박스의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조향 핸들 27: 헤드 파이프
55: 계기 55b: 속도계
55d: 엔진 회전수계 56: 스피커
56a: 케이스 본체 61, 62: 릴리프부
70: 음향 조작 장치 71: 조작부
71e: 볼륨 조작부 72: 패널 본체
74: 표시부 75: 내측 박스(수납 박스)
79: 음향 부품 173: 계기 패널
173a: 미터 바이저 UE: 유닛 스윙 엔진

Claims (4)

  1.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meter)와, 음향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조작 등을 지시하는 음향 조작 장치를 조향부 근방에 배치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로서,
    상기 계기 및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계기는 상기 조향부를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상기 헤드 파이프의 축 방향에서 보아, 상기 헤드 파이프 근방이면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작 장치에는 음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 중 음량 조정에 관련된 조작부는, 상기 조향부 근방이면서 해당 음향 조작 장치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작 장치에는 선국(選局)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이들 조작부 중 음량 조정에 관련된 조작부는, 상기 조향부 근방이면서 해당 음향 조작 장치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계기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계기 및 상기 음향 조작 장치는, 상기 계기 패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KR1020070127535A 2007-01-09 2007-12-10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KR100965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1629 2007-01-09
JP2007001629A JP5032134B2 (ja) 2007-01-09 2007-01-09 自動二輪車における音響装置の配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30A KR20080065530A (ko) 2008-07-14
KR100965168B1 true KR100965168B1 (ko) 2010-06-24

Family

ID=3962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535A KR100965168B1 (ko) 2007-01-09 2007-12-10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1308B2 (ko)
JP (1) JP5032134B2 (ko)
KR (1) KR100965168B1 (ko)
CN (1) CN101219688B (ko)
IT (1) ITTO20070899A1 (ko)
TW (1) TW2009023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8300B1 (en) * 2010-01-21 2014-05-06 Willie E. Dixon Motorcycle media system
EP2759879A1 (en) * 2011-09-26 2014-07-30 3D Systems, Inc. Components of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s
JP5943791B2 (ja) * 2012-09-24 2016-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携帯型情報端末の収納構造
JP6238336B2 (ja) * 2013-06-07 2017-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ホイール
CN103318303A (zh) * 2013-06-08 2013-09-25 开平市中铝实业有限公司 一种摩托车用音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073A (ja) * 2001-03-28 2002-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03146277A (ja) * 2001-11-08 2003-05-21 Honda Access Corp 自動二輪車のモニタホルダ取り付け構造
JP2005343228A (ja) * 2004-05-31 2005-12-1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音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3588U (ja) 1983-04-20 1984-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音響装置
JPS6116985U (ja) * 1984-07-06 1986-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スピ−カシステム
JPH0719975Y2 (ja) * 1987-10-02 1995-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JPH04119746U (ja) * 1991-04-12 1992-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部品操作装置
JPH0715446U (ja) * 1993-08-30 1995-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ーステレオ
JPH08339484A (ja) * 1995-06-09 1996-12-24 Pioneer Electron Corp アラーム付デタッチ
JP2000168660A (ja) * 1998-12-04 2000-06-20 Honda Motor Co Ltd オーディオ操作装置
US6785531B2 (en) * 2001-03-22 2004-08-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ual-function removable reversable unit for radio and telephone
US6483428B1 (en) * 2001-08-22 2002-1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vable front panel for an entertainment device
JP4390203B2 (ja) * 2004-09-30 2009-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281965A (ja) * 2005-03-31 2006-10-19 Wise Gear:Kk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
JP4603928B2 (ja) * 2005-04-26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073A (ja) * 2001-03-28 2002-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03146277A (ja) * 2001-11-08 2003-05-21 Honda Access Corp 自動二輪車のモニタホルダ取り付け構造
JP2005343228A (ja) * 2004-05-31 2005-12-1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音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070899A1 (it) 2008-07-10
TW200902369A (en) 2009-01-16
JP2008168685A (ja) 2008-07-24
CN101219688B (zh) 2010-09-29
TWI346627B (ko) 2011-08-11
US8121308B2 (en) 2012-02-21
JP5032134B2 (ja) 2012-09-26
KR20080065530A (ko) 2008-07-14
US20080212793A1 (en) 2008-09-04
CN101219688A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448B2 (en) Navigation system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KR100953802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장착 구조
JP5489938B2 (ja)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制御装置
US8360189B2 (en) Motorcycle frame having protected space therein,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KR100965168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의 배치 구조
US7801673B2 (en) Motorcycle navigation device
JP5608032B2 (ja)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装置
JP4579081B2 (ja) 自動二輪車のオーディオ装置配置構造
JP2012076522A (ja)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装置
US9094745B2 (en) Motorcycle with acoustic system
JP2011213212A (ja) 自動二輪車の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002390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음향 장치
JP6401949B2 (ja) 鞍乗型車両の可動式車載装置
JP5117358B2 (ja) 車両における音響装置
CN1636820B (zh) 乘骑型车辆的扬声器安装结构
JP4989272B2 (ja) 自動二輪車用アンテナ収容構造
JP3898022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内燃機関配置構造
JP2011176712A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