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232A -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 Google Patents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232A
KR20080058232A KR1020070134244A KR20070134244A KR20080058232A KR 20080058232 A KR20080058232 A KR 20080058232A KR 1020070134244 A KR1020070134244 A KR 1020070134244A KR 20070134244 A KR20070134244 A KR 20070134244A KR 20080058232 A KR20080058232 A KR 2008005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istance
weight
stop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코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2840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582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5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공통 승강로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승강기 설비의 승강실 (A1, A2) 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과 그 승강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은 승강실 (A1, A2) 간의 유효 거리가 최소 임계 거리보다 작게 되는 경우 정지 브레이크를 통해 각각의 이동하는 승강실 (A1, A2) 을 감속시킨다. 정지 브레이크에 의해 승강실 (A1, A2) 이 감속된 후, 비상 정지 시스템이 작동된다. 비상 정지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은 승강실 (A1, A2) 의 순간 이동 상태를 확정한다. 승강실 (A1, A2) 과 연관된 승강실 브레이크를 통해, 이동 상태가 정의할 수 있는 비상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각각의 이동된 승강실 (A1, A2) 의 추가적인 감속을 촉발할 수 있다.
승강기

Description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 OF TWO LIFT CAGES MOVABLE IN THE SAME SHAFT OF A LIFT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LIFT INSTALLA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승강실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과, 청구항 6 의 전제부에 따른, 이 방법에 따라 작동 가능한 승강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승강로에 여러 개의 승강실이 있는 승강기 설비는, 다중 이동 (multi-mobile) 승강기 설비라고도 불리는데, 이 설비는 승강실마다 각각의 구동 및 제동 시스템을 갖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승강기 설비는 승강실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돌 방지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다.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통상적인 충돌 방지 시스템과는 달리, 기계적으로 촉발될 수 있는 전자 기계적 전환 기구를 이용한 충돌 방지 시스템이 있는 승강기 설비가 유럽 특허 출원 EP 06 120 359 에 개시되어 있다. 이 유럽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언급된 충돌 방지 시스템은 구성하 기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된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 정지 브레이크가 촉발된 후, 예를 들어 승강실 간의 상대 속도나 순간 유효 거리와 같은 또다른 제동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접근하는 두 승강실 사이의 최소 거리가 임계점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촉발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승강실 속도가 높고 비상 상황인 경우, 위나 아래에 위치한 또다른 승강실이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에 정지하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이동 승강기 설비의 경우, 충돌 방지 시스템에 의해 정지 브레이크가 촉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실 간의 거리가 더 줄어들어 즉각적인 비상 정지가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제동을 촉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또한 이 방법에 따라 작동 가능한 다중 이동 승강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비상 정지 시스템은 가능한 한, 승강로 단면의 어떠한 확대도 요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그 방법에 있어 청구항 1 에 의해, 그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는 청구항 6 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개량의 유리한 예는 각각의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새로운 승강기 설비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승강실과 하나 이상의 하부 승강실을 포함한다. 두 개의 승강실은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하여 수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승강실은 제 1 정지 브레이크 (바람직하게는 모터 브레이크) 가 있는 제 1 구동 및 제동 시스템을 갖고 있다. 하부 승강실은 제 2 정지 브레이크 (바람직하게는 모터 브레이크) 가 있는 제 2 구동 및 제동 시스템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승강실은 추가적으로 제 1 승강실 (비상) 브레이크를 장비 하고 있고, 제 2 승강실은 제 2 승강실 (비상)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있는데, 이들의 기능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더욱이, 승강기 설비는 승강실 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충돌 방지 시스템을 갖고 있다. 충돌 방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승강실에 배치되는 제 1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와 하부 승강실에 배치되는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를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제 1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상부 승강실의 감속 및/또는 제 2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하부 승강실의 감속이 촉발될 수 있다. 그러나 승강실과 충돌 방지 시스템은 특히 EP-06120359 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따라 구성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 정지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비상 정지 시스템은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감속 또는 제동이 일어난 후 두 승강실의 순간 운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승강실 브레이크를 통해, 한편으로는 승강실의 운동 상태를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인가능한 제동 조건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이동되는 하나 또는 두 승강실의 추가적인 제동을 촉발하도록 설계된다.
승강실의 운동 상태는 그 중에서도 실질적으로 상대 속도의 함수이다.
제동 조건은 원리적으로 미리 확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승강실의 순간 운동 상태가 포함된다.
이러한 방법 및 설비를 통하여 다중 이동 승강기 설비에서 승강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간단한 승강기 설비 (10) 를 나타낸다. 이러한 승강기 설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이동 (mutli-mobile) 승강기 설비로 알려져 있다. 승강기 설비 (10) 는 상부 승강실 (A1) 과 하부 승강실 (A2) 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로 (11) 를 갖는다. 두 승강실 (A1, A2) 간의 최소 임계 거리 (d(0)) 가 유지되는 한, 즉 순간 거리 (di) 가 최소 임계 거리 (d(0)) 보다 크게 일반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는 승강실 (A1, A2) 은 승강로 (11) 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기 설비 (10) 는 구동 및 제동 유닛을 갖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승강실 (A1, A2) 은 개별적인 구동 및 제동 유닛을 갖는다.
승강기 설비 (10) 는 추가적으로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을 갖는다.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은 상부 승강실 (A1)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1) 와 하부 승강실 (A2) 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2) 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전환 기구 (21, 22) 는 상하로 수직 배열되어 있다.
승강기 설비 (10) 의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승강실 (A1, A2) 을 위해, 예를 들어 안전 접촉자나 안전 스위치와 같은 수 개의 안전 요소들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개별적인 안전 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따른 승강실 (A1 또는 A2) 은 안전 회로와 이에 통합된 안전 접촉자가 닫혀 있을 때에만 이동할 수 있다. 안전 회로가 상응하는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1 및/또는 22) 의 작동에 의해 열리게 되면 상응하는 승강실 (A1 및/또는 A2) 의 이동 작동을 막기 위하여, 안전 회로는 승강기 설비 (10) 의 구동 및 제동 유닛 또는 승강실 (A1, A2) 의 구동 및 제동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전환 기구 (21) 는 기다란 가요성 지지 요소 (24) 에 매달린 무게 (G) 의 무게추 (23) 를 포함하는데, 이는 상부 승강실 (A1) 의 하부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요소 (24) 와 무게추 (23) 의 전체 수직 길이는 실질적으로 승강실 (A1, A2) 간 유지되어야 하는 임계 거리 (d(0)) 와 일치한다.
제 2 전환 기구 (22) 는 레버 (28) (도 2 에 나타남) 형태의 기계적인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는 접촉 스위치 (34) 에 작용한다.
일반적인 경우, 즉 승강실 (A1, A2) 간의 거리 (di) 가 임계 거리 (d(0)) 보다 큰 경우, 무게추 (23) 는 지지 요소 (24) 에 자유롭게 매달리는데, 이 지지요소 (24) 는 장력 하에 배치되고, 무게추 (23) 의 무게 (G) 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된다.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적인 간격 (di) 이 임계 거리 (d0) 이하로 내려갈 정도로 승강실 (A1, A2)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무게추 (23) 는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2) 의 레버 (28) 와 부딪치게 된다. 무게추 (23) 에 의해 지지 요소 (24) 에 미치는 장력은 이에 의해 줄어들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지지 요소 (24) 에서 인장 응력이 줄어들게 된다.
지지 요소 (24) 에서 인장 응력이 상당히 줄어드는 것으로 인하여 상부 승강실 (A1) 의 제 1 구동 및 제동 유닛의 안전 회로가 열리게 된다. 이리하여 제 1 정지 브레이크 (예를 들어, 모터 브레이크로 설계된) 에 의한 상부 승강실 (A1) 의 감속이 일어난다. 무게추 (23) 가 레버 (28) 에 부딪히면, 하부 승강실 (A2) 의 제 2 구동 및 제동 유닛의 안전 회로가 거의 동시에 열리게 된다. 이리하여 제 2 정지 브레이크 (예를 들어, 모터 브레이크로 설계된) 에 의한 하부 승강실 (A2) 의 감속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정지 시스템은 또한 충돌 방지 시스템의 설계가 다르거나 정지 브레이크가 다른 방식으로 촉발되는 경우 및/또는 전술한 안전 회로 대신에 안전 버스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의 승강기 설비 (10) 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설비 (10) 는, 충돌 방지 시스템 (20) 외에도 비상 정지 시스템을 갖는데, 하나 또는 두 승강실 (A1, A2) 이 하나 또는 두 정지 브레이크에 의해 감속된 후 이동되는 승강실 (A1 및/또는 A2) 의 추가적인 감속을 상기 비상 정지 시스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추가적인 감속은 승강실 (A1, A2) 의 순간 이동 상태를 고려하고, 비상 정지 조건에 기초하여 촉발된다.
본 발명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의 구성 요소 및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즉, 이 경우 비상 정지 시스템은 충돌 방지 장치 (20) 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 (10) 의 충돌 방지 시스템의 경우 및 도 2 에 따르면, 가요성 지지 요소 (24) 는 상부 승강실 (A1) 의 하부 영역, 또는 그곳에 배치된 레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고정되어 체결되지 않고 롤러 (30) 에 장착된다. 이 롤러 (30) 는 상부 승강실 (A1) 의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 체결은 도 2 에 도시하지 않았다. 롤러 (30) 는 내부 에너지 저장부 (31) (또는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착된 에너지 저장부 (31)) 를 갖고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 형태인데, 이 나선형 스프링은 가요성 지지 요소 (20) 가 롤러 (30) 에 감겨 올라가도록 롤러 (30) 를 회전시키는 (도시된 예에서는 이 회전은 시계 방향이다) 경향이 있는 힘을 발생시킨다. 정상적인 경우, 즉 승강실 (A1 및 A2) 간의 순간 거리 (di) 가 임계 거리 (d0) 보다 큰 경우, 롤러 (30) 는, 특히 무게추 (23) 의 무게 (G) 의 하중을 받는 가요성 지지 요소 (24) 가 내는 장력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다. 이것은 롤러 (30) 가 이 차단 때문에 내부 에너지 저장부 (31) 에 의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승강실 (A1 및 A2) 간의 순간적인 거리 (di) 가 임계 거리 (d0) 보다 작아졌기 때문에 승강실 (A1, A2) 의 감속이 정지 브레이크에 의해 발생하게 되자마자, 비상 정지 시스템 또는 그 제어 시스템이 작동된다. 이 경우, 이는 하부 승강실 (A2) 의 전환 기구 (22) 의 센서 (예를 들어 스위치 (34) 와 결합하고 있는 레버 (28)) 에 무게추 (23) 가 부딪혀 일어나게 된다. 무게추 (23) 가 부딪친 후, 롤러 (30) 를 차단하는 가요성 지지 요소 (24) 의 장력은 사라지게 된다. 롤러 (30) 는 이제 내부 힘 저장부 (31) 에 의해 전달되는 권취 토크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어, 가요성 지지 요소 (24) 가 롤러 (30) 에 감기게 된다. 롤러 (30) 는 전자 기계적 전환 기구 (22) 의 작동 및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승강실 (A1, A2) 의 감속과 실제적으로 동시에 풀리게 된다.
롤러 (30) 는 풀린 후 회전하고, 이 경우 실질적으로 임계 거리 (d0) 와 승 강실 (A1, A2) 의 순간 거리 (di) 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가요성 요소 (24) 의 일부분이 감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무게추 (23) 는 상방으로 끌려 올라갈 필요는 없다. 내부 에너지 저장부 (21) 에 의해 롤러 (30) 에 가해지는 권취 토크는 따라서 무게추 (23) 의 무게 (G(23)) 보다는 적으나 가요성 지지 요소 (24) 의 무게 (G(24)) 의 무게보다는 큰 권취력을 가요성 지지 요소 (24) 에 가해야 하고, 이 때 마찰력 또한 고려해야 한다.
롤러 (30) 의 회전을 통해 순간 각속도 (ωi) 와 승강실 (A1 및 A2) 간의 순간 거리 (di) 로부터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롤러 (30) 가 회전하게 되면, 시간의 함수인 각속도 (ωi) 는 증분 송신기 (32) 에 의해 검출된다. 승강실 (A1, A2) 의 순간 상대 속도 (vi(rel)) 는 이 각속도 (ωi)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 거리는 거리 측정 센서 (35) 를 이용하거나 롤러 (30) 의 순간 각속도 (ωi) 를 컴퓨터화된 방식으로 이용하여 비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확인된 운동 상태와 비상 정지 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두 승강기 (A1, A2) 의 추가적인 감속이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해 촉발될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명확해진다.
어떻게 이것이 실현될 것인지는 다음의 예를 통해 설명한다.
이하의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d0 : 임계 거리 (최대 검출 거리)
di : 승강실 (A1, A2) 의 순간 거리
ωi : 롤러 (30) 의 순간 각속도
vi(rel) : 승강실 (A1, A2) 의 순간 상대속도
vi : 승강기 중 하나의 순간 속도
vi (A1) : 상부 승강실 (A1) 의 순간 속도
vi (A2) : 하부 승강실 (A2) 의 순간 속도
a(min) : 비상 정지시 얻을 수 있는 최소 감속도
sstop(min)I : 오직 하나의 승강실 (A1 또는 A2) 만이 동작중인 경우 (즉, vi(rel) 이 실제 vi 와 같은 경우) 최소 정지 거리
sstop(min)II : 두 승강실 (A1, A2) 모두가 동작중인 경우 (즉, vi(rel)/2 이 실제 vi 와 같은 경우) 최소 정지 거리
이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가정 또는 규칙을 적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두 승강실 (A1, A2) 이 움직이고 있다면, 이들은 같은 속도 (vi(A1) = vi (A2)) 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vi(A1) 과 vi(A2) 는 각각 절대값이다.
하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의 접촉 스위치 (34) 가 열려 있고/있거나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 거리 (di) 가 임계 거리 (d0) 보다 작은 경우, 이동되는 각각의 승강실 (A1, A2) 은 정지 브레이크에 의해 감속된다.
비상 정지 조건
이하의 두 비상 정지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는 경우,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에 덧붙여, 비상 정지 또는 하나 또는 두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이 촉발 된다.
비상 정지 조건 A : 한 승강실 (A1 또는 A2) 이 이동하고, 승강실 (A1 및 A2) 간의 순간 거리 (di) 가 최소 정지 거리 (sstop(min)I)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이동하는 승강실 (A1 또는 A2) 의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이 촉발된다.
비상 정지 조건 B : 만약 두 승강실이 이동하고, 승강실 (A1 및 A2) 간의 순간 거리 (di) 가 최소 정지 거리 (sstop(min)II)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두 승강실 (A1 및 A2) 의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해 감속이 촉발된다.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비상 정지 조건과 비교하기 위해서, 이하의 것들을 검출하거나 계산한다:
한 승강실은 이동중이 아닌가?
하부 승강실 (A2) 의 안전 회로의 접촉 스위치 (34) 는 열려 있는가? 에 대한 측정을 통하거나
vi(A1) = vi(A2) = vi = 0.5 vi(rel)
sstop(min)I = (vi(rel))2 / (2 * a(min))
sstop(min)II = (0.5 vi(rel))2 / (2 * a(min)) 의 계산을 통해.
도 3 은 전체 제동 과정의 순서가 정지 브레이크 및 승강실 브레이크의 사용에 관한 예로서 설명된 선도를 나타낸다.
필드 (F1) 는 측정되거나 이용 가능한 값, 다시 말해 vi(rel), di, vi(1), vi(2), 접촉 (34) 설정 등을 나타낸다. 이러한 값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 후, 질문 (Q1) 으로 들어간다. 질문 (Q1) 을 통해 접촉 (34) 이 열려있는지 여부 및/또는 di < d0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질문 (Q1) 의 대답이 아니오 (N) 라면, 정지 브레이크나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은 분명히 필요하지 않다.
만약 질문 (Q1) 의 대답이 예 (Y) 라면, 필드 (F2) 에 따라서 정지 브레이크가 촉발된다. 즉, 비상 정지 시스템은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추가적인 제동을 촉발하지 않는다.
그 후 두 승강실이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질문 (Q2) 을 통해 확인한다.
만약 질문 (Q2) 의 대답이 아니오 (N) 라면, 오직 한 승강실만이 이동하고 있는 것이고, 질문 (Q3) 으로 넘어간다.
질문 (Q3) 을 통해 di 가 sstop(min)I 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질문 (Q3) 의 대답이 예 (Y) 라면, 이 경우 최소 정지 거리에 도달했거나 넘은 경우이므로, 필드 (F3) 에 따라 비상 정지를 위해 상응하는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추가적인 감속이 일어난다.
만약 질문 (Q3) 의 대답이 아니오 (N) 라면, 또다른 질문 (Q4) 으로 넘어간다.
질문 (Q4) 에 의해 승강실의 상대 속도가 0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질문 (Q4) 의 대답이 예 (Y) 라면, 이것은 필드 (F2) 에 따라서 정지 브레이크가 촉발되고 또한 질문 (Q2) 에 대한 답이 아니오 (N) 에 따라 단지 하나의 승강실 (A1 또는 A2) 이 움직이므로 두 승강실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필드 (F4) 에 따라 승강실 브레이크를 사용한 제동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분명히 정지 브레이크의 제동 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만약 질문 (Q4) 의 대답이 아니오 (N) 라면, 질문 (Q2) 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질문 (Q2) 의 대답이 예 (Y) 라면, 두 승강실 (A1 및 A2) 은 움직이고 있고, 이에 따라 질문 (Q5) 로 되돌아간다.
질문 (Q5) 에 의해 di 가 sstop(min)II 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질문 (Q5) 의 답이 아니오 (N) 라면, 또다른 확인을 위해 질문 (Q4) 으로 되돌아간다. 즉, 질문 (Q4) 에 의해 승강실 (A1, A2) 의 상대 속도 (vi(rel)) 가 0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이러한 경우라면, 필드 (F4) 에 따라서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추가적인 제동은 필요없게 된다.
만약 이에 반하여 질문 (Q5) 의 대답이 예 (Y) 라면, 필드 (F3) 에 따라서 비상 정지를 위한 승강실 브레이크에 의한 추가적인 제동이 이루어진다.
만약 둘 이상의 승강실이 하나의 승강로 (11) 에서 움직인다면, 이 승강실들 간에 적절한 비상 정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특히 바람직한 비상 정지 시스템 (21) 의 중요한 부분의 실시 형태는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수단 (24) 이 그에 매달린 무게추 (23) 의 중량 에 의해 하중을 받지 않은 경우 지지 수단 (24) 이 감기게 되는 롤러 (30) 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저장부라고도 하는 스프링 구동기 (31) 가 롤러 (30) 와 동일한 축 (42) 에 위치한다. 증분 송신기 (32) 가 연결기 (40) 에 의해 부착된다. 연결은 어댑터 (41) 에 의해 일어난다.
도 1 은 본 기술 분야의 상태에 따른, 다중 이동 승강기 설비를 매우 간단하고,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다중 이동 승강기 설비의 충돌 방지 시스템과 비상 정지 시스템을 매우 간단하고,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4 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예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기 설비 11 : 승강로
20 : 충돌 방지 시스템
21 : 제 1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2 :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3 : 무게추 24 : 지지 요소
28 : 레버
A1 : 상부 승강실 A2 : 하부 승강실
30 : 롤러 31 : 내부 에너지 저장부
32 : 증분 송신기 34 : 접촉 스위치
35 : 거리 측정 센서 40 : 연결기
41 : 어댑터 42 : 축

Claims (9)

  1. 공통 승강로 (11) 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승강기 설비 (10) 의 두 승강실 (A1, A2) 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승강실 (A1, A2) 간의 유효 거리 (di) 가 최소 임계 거리 (dk) 보다 작아진 경우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이 정지 브레이크에 의한 각각의 이동하는 승강실 (A1, A2) 의 감속을 촉발하는 상기 충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정지 브레이크의 촉발 이후, 비상 정지 시스템 (21) 이 제어 시스템을 통해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운동 상태가 정의 가능한 비상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승강실 (A1, A2) 과 연관된 승강실 브레이크를 통해 하나 또는 두 승강실 (A1, A2) 의 추가적인 감속을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조건은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 상태를 고려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은 반복적으로
    승강실 (A1, A2) 의 순간 상대 속도 (vi(rel)) 를 검출하고,
    이 순간 상대 속도 (vi(rel)) 를 고려하여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 유효 거리 (di) 를 확인하고,
    비상 정지 조건으로서 순간 최소 비상 정지 거리 (sstop(min)I, sstop(min)II) 를 확인하며,
    각각의 이동하는 승강실 (A1, A2) 의 승강실 브레이크를 촉발하기 위하여, 순간 유효 거리 (di) 가 순간 최소 정지 거리 (sstop(min)I, sstop(min)II) 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승강실 (A1, A2) 의 상대 속도 (vi(rel)) 를 검출하고,
    상부 승강실 (A1) 에 고정된 롤러 (30) 의 각속도 (ωi) 를 검출하고, 최소 거리 (d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무게추 (23) 가 하부 승강실 (A2) 과 부딪쳐서 이 경우 상기 롤러 (30) 를 회전 가능하게 풀면, 감기지 않았을 때 임계 최소 거리 (d0) 와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는 가요성 지지 요소 (24) 가 상기 롤러 (30) 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무게추 (23) 가 하부 승강실 (A2) 에 부딪치기 이전에는 무게추 (23) 에 의 해 지지 요소 (24) 에 가해지는 장력 (G) 이 롤러 (30) 의 회전을 억제하고,
    무게추 (23) 가 하부 승강실 (A2) 에 부딪친 경우 무게추 (23) 에 의해 지지 요소 (24) 에 가해지는 장력 (G) 이 소멸되어 롤러 (30) 는 회전 가능하게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6. 하나 이상의 상부 승강실 (A1) 및 하나 이상의 하부 승강실 (A2) 을 갖고, 승강기 설비 (10) 의 정상 작동시 상기 상하부 승강실은 공통 승강로 (11) 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설비 (10) 로서,
    상부 승강실 (A1) 은 제 1 정지 브레이크가 있는 제 1 구동 및 제동 시스템을 갖고,
    하부 승강실 (A2) 은 제 2 정지 브레이크가 있는 제 2 구동 및 제동 시스템을 가지며,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 거리 (di) 가 최소 임계 거리 (d0) 보다 작아지는 경우 정지 브레이크를 촉발시키는 시작하는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이 제공되는 상기 승강기 설비에 있어서,
    비상 정지 시스템 (21) 에는
    정지 브레이크의 촉발과 비상 정지 조건이 확정된 후 최소 거리 (d0) 보다 더 작아지는 경우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과,
    상부 승강실 (A1) 용 제 1 승강실 브레이크와 하부 승강실 (A2) 용 제 2 승 강실 브레이크가 제공되고,
    하나 또는 두 승강실 브레이크는 비상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촉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지 브레이크가 촉발된 후 승강실 (A1, A2) 의 순간 운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은,
    승강실 (A1, A2) 간의 순간 유효 거리 (di) 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승강실 (A1, A2) 의 상대 속도 (vi(rel)) 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승강실 (A1, A2) 의 상대 속도를 고려하여 승강실 (A1, A2) 의 최소 정지 저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순간 최소 정지 거리와 순간 유효 거리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유효 거리가 최소 정지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각각의 이동하는 승강실 (A1, A2) 의 승강실 브레이크를 촉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8. 제 7 항에 있어서,
    승강실 (A1, A2) 의 상대 속도와 유효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가요성 지지 요소 (24) 와 롤러 (30) 의 회전 진동수로부터 상대 속도와 유효 거리를 계산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지지 요소는 제 1 단부에서 롤러 (30) 에 고정되어 이 롤러 (30) 에 감길 수 있고 이 가요성 지지 요소의 제 2 단부에는 무게추 (23) 가 체결되어 있으며, 무게추 (23) 를 포함한 가요성 지지 요소의 길이가 최소 임계 거리에 상응하고,
    상기 롤러는 상부 승강실 (A1) 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이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권취력을 롤러 (30) 에 가할 수 있는 내부 에너지 저장부 (31) 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회전 진동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32) 과 연결되어 있고
    승강실 (A1, A2) 간의 거리가 최소 임계 거리보다 큰 경우, 무게추 (23) 에 의해 지지 요소 (24) 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상기 롤러의 회전이 차단되며,
    무게추 (23) 가 하부 승강실 (A2) 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롤러는 권취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시스템 (20) 은,
    제 1 승강실 (A1) 에 위치하며 제 1 승강실 (A1) 의 정지 브레이크를 촉발시킬 수 있는 제 1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1) 를 갖는 제 1 안전 회로, 및
    제 2 승강실 (A2) 에 위치하여 제 2 승강실 (A2) 의 정지 브레이크를 촉발시킬 수 있는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2) 를 갖는 제 2 안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1) 는 지지 요소와 무게추 (23) 를 포함 하고, 무게추 (23) 의 무게를 받으면서 이동 설정으로 유지되며, 무게추 (23) 가 부딪친 후 제 1 전환 기구에 의해 제 1 유지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자 기계식 전환 기구 (22) 는 무게추 (23)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무게추 (23) 가 부딪치기 전에 이동 설정으로 유지되며, 무게추 (23) 가 부딪친 후 제 2 전환 기구에 의해 제 2 유지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KR1020070134244A 2006-12-21 2007-12-20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KR20080058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6796.9 2006-12-21
EP06126796 2006-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232A true KR20080058232A (ko) 2008-06-25

Family

ID=3828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244A KR20080058232A (ko) 2006-12-21 2007-12-20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857104B2 (ko)
EP (1) EP1935823B2 (ko)
JP (1) JP2008169040A (ko)
KR (1) KR20080058232A (ko)
CN (1) CN101298306B (ko)
AR (1) AR064362A1 (ko)
AU (1) AU2007254613B2 (ko)
BR (1) BRPI0704981A (ko)
CA (1) CA2638142A1 (ko)
HK (1) HK1122781A1 (ko)
MX (1) MX2007015402A (ko)
MY (1) MY143691A (ko)
NZ (1) NZ564234A (ko)
RU (1) RU2464217C2 (ko)
SG (1) SG144110A1 (ko)
TW (1) TWI398396B (ko)
ZA (1) ZA2007105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455B2 (ja) * 2005-10-25 2013-07-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複数かごのエレベータ安全装置および方法
DE102007033432A1 (de) * 2007-07-18 2009-01-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Druckmaschine mit elektrischem Quetschschutz
US8813919B2 (en) * 2008-12-23 2014-08-26 Inventio Ag Elevator safety system preventing collision of cars
EP2465804A1 (de) * 2010-12-16 2012-06-20 Inventio AG Multikabinenaufzug mit Bremszustandsanzeige
RU2579376C1 (ru) * 2015-04-03 2016-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Единая фасадная компания"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7324434B1 (ja) 2022-02-21 2023-08-1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6776A (en) 1928-02-1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 elevator system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JP2835206B2 (ja) * 1991-06-06 1998-12-14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ATE256625T1 (de) * 1995-10-17 2004-01-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bei multimobil- aufzugsgruppen
EP0922663B1 (de) * 1997-11-08 2000-06-28 Thyssen Aufzugswerke GmbH Aufzug, insbesondere Treibscheibenaufzug
EP1329412B1 (en) * 2000-10-10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WO2004043841A1 (de) * 2002-11-09 2004-05-27 Thyssenkrupp Elevato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RU2253604C2 (ru) * 2003-07-22 2005-06-10 Матвейкин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Лифт и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ения ловителей кабины лифта с подвешенным на траверсе купе
EP1526104B1 (de) 2003-10-20 2006-06-07 Inventio Ag Sicherheitssystem für eine Aufzugsanlage mit mehreren Kabinen
US7353914B2 (en) * 2003-10-20 2008-04-08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P1785384B1 (en) * 2004-08-31 2014-04-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ler of one-shaft multi-car system elevator
DE502005000701D1 (de) * 2005-03-05 2007-06-2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EP1700809B1 (de) * 2005-03-12 2010-04-28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JP5247455B2 (ja) * 2005-10-25 2013-07-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複数かごのエレベータ安全装置および方法
EP1894874A1 (de) *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EG24538A (en) * 2006-09-08 2009-09-03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a lift installation, a lift installation operable by this method and safety equipment for this lift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44110A1 (en) 2008-07-29
MY143691A (en) 2011-06-30
EP1935823B2 (de) 2017-06-28
RU2007147665A (ru) 2009-06-27
AU2007254613A1 (en) 2008-07-10
EP1935823A1 (de) 2008-06-25
AU2007254613B2 (en) 2013-02-21
RU2464217C2 (ru) 2012-10-20
TWI398396B (zh) 2013-06-11
CN101298306B (zh) 2010-06-30
MX2007015402A (es) 2009-02-20
AR064362A1 (es) 2009-04-01
NZ564234A (en) 2009-07-31
US20080236954A1 (en) 2008-10-02
JP2008169040A (ja) 2008-07-24
TW200842099A (en) 2008-11-01
ZA200710597B (en) 2008-11-26
HK1122781A1 (en) 2009-05-29
CA2638142A1 (en) 2008-06-21
EP1935823B1 (de) 2013-06-12
CN101298306A (zh) 2008-11-05
US7857104B2 (en) 2010-12-28
BRPI0704981A (pt)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85644B2 (en) Elevator system
KR20080058232A (ko) 승강기 설비의 공통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승강실의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
EP2636626B1 (en) Elevator device
US8261885B2 (en) Safety arrangements for elevator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afety of elevator systems
CN111099469B (zh) 电梯系统
US7819229B2 (en) Elevator safety system
US20120073909A1 (en) Elevator device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20150251877A1 (en) Elevator apparatus
AU2017232232B2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JP2020001923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KR102523904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파단 검출에 의한 이중 안전운행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운행 방법
CN106477416B (zh) 用于移动电梯轿厢的方法和电梯
WO2019092116A1 (en) An elevator safety gear trigger
CN109896381B (zh) 电梯设备和方法
CN113498399B (zh) 用于安全钳的触发系统、电梯设备和运行电梯设备的方法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WO2021176547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ー
WO2023126047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WO2023209267A1 (en) Method for ensuring elevator safety in elevator system, elevator control unit, elevato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