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850A -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850A
KR20080057850A KR1020060131648A KR20060131648A KR20080057850A KR 20080057850 A KR20080057850 A KR 20080057850A KR 1020060131648 A KR1020060131648 A KR 1020060131648A KR 20060131648 A KR20060131648 A KR 20060131648A KR 20080057850 A KR20080057850 A KR 2008005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ntrol
ownership
unit
selec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850B1 (ko
Inventor
홍진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850B1/ko
Priority to EP07113179A priority patent/EP1944972A3/en
Priority to US11/836,441 priority patent/US8225008B2/en
Priority to CN2007101801628A priority patent/CN101207770B/zh
Publication of KR2008005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외부기기에 대하여 제어소유권을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 외부기기, 영상디스플레이장치, 제어소유권.

Description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y registering control ownership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서의 제어대상 외부기기 선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판단부 130 : 제어부
20 : 외부기기 21 : 인터페이스부
22 : 데이터 처리부 23 : 등록 저장부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디지털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 간에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IEEE 1394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IEEE 1394는 디지털 텔레비젼 분야에서 HD(High Definition)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유일한 규격으로 인정받으면서 더욱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IEEE 1394는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가 표준화한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의 규격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당 100MB, 200MB, 400MB의 3종류가 규정되어 있다. 호스트장치의 가동 상태에서 그대로 접속할 수 있는 핫 플러그인(hot plug-in)을 지원하며, 최대로 63대의 슬레이브장치까지 접속이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은 동시(isochronous) 전송과 비동기(asynchronous) 전송의 2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동시 전송은 실시간 전송이기 때문에 동영상이나 음성 등 동시성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로 적합하고, 비동기 전송은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개인용 컴퓨터와 프린터 등의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카메라, 오디오 제품, 텔레비전,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CR), 셋톱박스, AVHDD(Audio/VideoHard Disk Drive), DVHS, 엠펙 캠코더,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텔레비전을 하나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연결된 모든 기기는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은 AVHDD에 재생명령을 전송하면, AVHDD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화면상에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AVHDD와 같은 저장기기는 제어연결될 수 있는 외부기기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AVHDD에 마지막으로 재생명령을 전송한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AVHDD를 선택한 외부기기의 출력신호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AVHDD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독출하여 화면상에 재생하던 중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개인용 컴퓨터 뿐만아니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화면상에도 개인용 컴퓨터의 재생명령에 따른 출력신호가 출력된다. 즉, 디지털 텔레비전은 AVHDD를 제어하지 못하고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에 따른 출력신호를 모니터링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은 AVHDD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 중 제어하려는 외부기기에 제어소유권을 등록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소유권을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제어소유권이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타 외부기기로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을 생성하는 기기목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기기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 중 적어도 하나가 되며, 상기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기기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부,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 중, 상기 저장기기 자체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외부기기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저장부, 및, 상기 등록된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기기와 연결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은 (a)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소유권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제어소유권이 등록된 상태에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외부기기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화면상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표시된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기기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 중 적어도 하나가 되며, 상기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판단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기기(20)는 인터페이스부(21), 데이터 처리부(22), 등록저장부(23)를 포함한다.
한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기기(20)는 인터페이스부(110) 및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타 외부기기(미도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 등의 다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들(110, 21)은 IEEE 1394 규격으로 연결되는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으며,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모든 장치는 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기기(20)와 연결되며, 외부기기(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요청/응답메시지와 같은 패킷신호, 영상/음성신호, 및 영상/음성신호에 대한 제어신호 등이 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외부기기(20)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판단은 외부기기(20)의 등록 저장부(22)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20)로 명령신호 및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며, 외부기기(20)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단부(120)에서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외부기기(20)에 대하여 제어소유권을 등록한다. 이때, 등록은 영상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식별 아이디를 외부기기(20)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된다.
외부기기(20)의 등록 저장부(23)는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 중, 외부기기(20) 자체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외부기기 정보를 등록한다.여기서, 외부기기 정보는 외부기기의 식별 아이디가 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외부기기(20)의 데이터 처리부(22)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소유권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등록 저장부(23)에 저장된 외부기기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여 정보가 없는 경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아이디를 저장하며, 등록 저장부(23)에 등록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외부기기(20)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data-video home system) 등과 같은 저장기기가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기기목록 생성부(150), 및 출력부(160)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외부기기(20, 30, 40, …, 50)와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외부기기의 종류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와 같은 저장기기류 및, DTV, PC, 셋톱박스와 같은 재생기기 류가 될 수 있다. 또한, 저장기기류인 외부기기의 구성은 외부기기(2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되며, 재생기기류인 외부기기의 구성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선택명령은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기기(20, 30, 40, …, 50) 및 자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명령 및 요청/응답 메시지 전송명령 등이 될 수 있다.
기기목록 생성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기기목록 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의 식별번호 및 기기명을 정렬한 기기목록을 생성한다.
한편, IEEE 1394 규격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기기가 추가연결 및 해지될 때마다 리셋 되며, 리셋시마다 외부기기의 식별 아이디가 변경될 수 있다.
기기목록 생성부(150)는 리셋시마다 변경되는 외부기기의 식별 아이디를 이용하여 기기목록을 생성한다.
출력부(160)는 기기목록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기기목록을 표시한다. 즉, 출력부(160)에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20, 30, 40, …, 50)의 식별 아이디 및 기기명이 표시된다.
제어부(130)는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20)가 선택되면, 외부기기(20)로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판단부(120)는 선택된 외부기기(2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메시지의 응답에 따 라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제어소유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외부기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타 외부기기의 출력화면을 모니터링만 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판단부(120)에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외부기기(20)로 제어소유권 등록요청 메시지를 보내어 제어소유권을 등록한다.
제어부(130)는 외부기기(20)에 제어소유권이 등록된 상태에서 외부기기(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외부기기(20)에 저장된 영상/음성신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영상/음성신호에 대한 재생명령(play), 재생종료명령(stop), 정지명령(pose)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어소유권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기기(20)에 제어신호 전송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화면상에 제어 소유권이 없음을 알리는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출력부(16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소유권 등록 요청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타 외부기기로 외부기기(20)에 대한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타 외부기기로부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외부기기(20)의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하여 외부기기(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기기(20)의 등록 저장부(23)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아이디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영상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0).
여기서, 판단과정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로 명령신호 및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외부기기에 대하여 제어소유권을 등록한다(S320). 이에 따라, 외부기기를 타 외부기기의 간섭없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와 같은 저장기기류가 되며,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와 같은 재생기기류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S410 및 S420단계는 도 3과 동일하다.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S430) 선택명령에 따라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S440).
여기서, 선택명령은 외부기기에 저장된 영상/음성신호에 대한 제어명령으로, 재생명령(play), 재생종료명령(stop), 정지명령(pose)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510),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S520)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S530), 타 외부기기로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S540). 한편,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타 외부기기의 출력신호를 모니터링만 하게 된다.
전송된 요청메시지에 대하여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S550),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S560)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화면상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며(S570)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계속 수신하게 된다(S520).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제어대상 외부기기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IEEE 1394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경우(S610), 연결된 모든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게 된다(S620). 이때, 기기목록은 외부기기의 기기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외부기기의 식별번호와 기기명을 표시한다.
표시된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가 선택되면(S630), 외부기기로 제어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메시지로 부터 선택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게 된다(S640). 이후,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소유권 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 중에서 제어하려는 외부기기에 제어소유권을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6)

  1. 외부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소유권을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제어소유권이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타 외부기기로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을 생성하는 기기목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로 상기 제어 소유권 존재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 중 적어도 하나가 되며, 상기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저장기기에 있어서,
    IEEE 1394 인터페이스부;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 중, 상기 저장기기 자체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외부기기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저장부; 및,
    상기 등록된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기기.
  10. 외부기기와 연결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어소유권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제어소유권이 등록된 상태에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외부기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 외부기기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 등록 변경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소유권 등록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한 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화면상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에 대한 기기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표시된 기기목록 중 하나의 외부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기기에 대한 제어소유권을 가지는 타 외부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엠펙 캠코더, 오디오/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AVHDD), D-VHS 중 적어도 하나가 되며, 상기 타 외부기기는 DTV, PC, 셋톱박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20060131648A 2006-12-21 2006-12-21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48A KR101320850B1 (ko) 2006-12-21 2006-12-21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7113179A EP1944972A3 (en) 2006-12-21 2007-07-26 Imag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rough registration of control ownership and method therefor
US11/836,441 US8225008B2 (en) 2006-12-21 2007-08-09 Imag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rough registration of control ownership and method thereof
CN2007101801628A CN101207770B (zh) 2006-12-21 2007-10-10 通过控制所有权注册控制外部设备的图像显示设备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648A KR101320850B1 (ko) 2006-12-21 2006-12-21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850A true KR20080057850A (ko) 2008-06-25
KR101320850B1 KR101320850B1 (ko) 2013-10-21

Family

ID=3939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648A KR101320850B1 (ko) 2006-12-21 2006-12-21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25008B2 (ko)
EP (1) EP1944972A3 (ko)
KR (1) KR101320850B1 (ko)
CN (1) CN1012077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204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처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198B2 (ja) * 2008-01-18 2012-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50A (en) * 1901-04-24 1902-02-04 Alfred S Gross Knob attachment.
CN1115822C (zh) * 1996-10-16 2003-07-23 汤姆森消费电子有限公司 利用持续时间数据控制电子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和装置
JP3382118B2 (ja) 1996-12-26 2003-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機器、情報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情報機器システム
US6665020B1 (en) * 1997-09-18 2003-12-16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via a digital bus
CN1118187C (zh) 1998-08-13 2003-08-13 思可达高技术产业化中试配套有限公司 数字化卫星网络全媒体电视
US6463540B1 (en) * 1998-11-03 2002-10-08 Hewlett-Packard Company Securing method for computer bus devices
US6925500B1 (en) * 1999-10-07 2005-08-02 Sony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medium
JP2001237862A (ja) * 2000-02-21 2001-08-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10085438A (ko) * 2000-02-23 2001-09-07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 기록매체와프로그램
JP2001243676A (ja) * 2000-02-29 2001-09-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媒体
US6704819B1 (en) * 2000-04-19 2004-03-0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sharing and arbitration
DE10140149A1 (de) * 2001-08-16 2003-02-27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Nutzungskonflikten in digitalen Netzwerken
US6973511B2 (en) * 2002-03-28 2005-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ual stage persistent reservation preemption protocol
JP4102276B2 (ja) * 2003-09-1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6042064A (ja) * 2004-07-28 2006-02-09 Sharp Corp 管理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KR100667289B1 (ko) * 2005-01-1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셋업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204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처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92541B2 (en) 2009-11-27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958978B2 (en) 2009-11-27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31953B2 (en) 2009-11-27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7770A (zh) 2008-06-25
EP1944972A2 (en) 2008-07-16
KR101320850B1 (ko) 2013-10-21
EP1944972A3 (en) 2009-09-02
US8225008B2 (en) 2012-07-17
CN101207770B (zh) 2011-10-12
US20080155131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244B2 (ja) 映像制御装置及び映像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
KR100570326B1 (ko) 전자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661488B2 (en) Network AV device and AV network system
US20040068756A1 (en) Virtual link between CE devices
EP2057838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1320920B1 (ko) 연결된 외부기기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적합한 메뉴화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9369761B2 (en) Display device and play-back device having respectiv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KR20080095720A (ko) 키 코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20150134860A1 (en) System for improving hdmi cec perform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508703B1 (ko) 디지털 컨텐츠 인증 시스템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디지털 컨텐츠 인증 제어 방법
JP2011176526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45021A (ja) 伝送システム、再生装置、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53760B2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with use of vendor ID comparison
KR101320850B1 (ko) 제어소유권을 등록하여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4661B1 (ko) 외부-영상기기의 영상출력 모드 변경기능을 구비한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095427B2 (ja) データ通信装置
EP2101485A1 (en) Intermediate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signal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mediate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signals
JP2000253001A (ja) ネットワークと機器の接続装置および方法
JP4396543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制御方法
JP2013085051A (ja) 伝送方法
JP2005039555A (ja) 被制御装置
JP2001148705A (ja) 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WO2013001879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映像機器、及び携帯端末
JP2004229079A (ja) 被制御機器
MXPA05011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by remapping keys on a us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