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547A -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547A
KR20080055547A KR1020060129018A KR20060129018A KR20080055547A KR 20080055547 A KR20080055547 A KR 20080055547A KR 1020060129018 A KR1020060129018 A KR 1020060129018A KR 20060129018 A KR20060129018 A KR 20060129018A KR 20080055547 A KR20080055547 A KR 2008005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veyor
lifting frame
mov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302B1 (ko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2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코일을 이웃한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코일 이송 대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팅프레임; 상기 리프팅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리프팅프레임에 고정된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이동하도록 고정 설치된 원통 모양의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이루는 설비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코일을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컨베이어, 코일, 이송, 유압실린더, 간섭

Description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Coil transfer apparatus between conveyors}
도1a 내지 도1e는 종래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의 작용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가 컨베이어 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4a 내지 도4g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컨베이어 10 : 레일
20 : 이동대차 22 : 슬라이딩구멍
30 : 유압실린더 34 : 커버
35 : 슬라이딩홈 40 : 리프팅프레임
42, 44 : 랙 50 : 연결축
52, 54 : 피니언 56 : 구동모터
C : 코일
본 발명은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 사이에서 코일의 이송을 담당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를 이용한 원료나 제품 등의 이송 시스템은 제철소 등에서 널리 이용되며, 특히 종 또는 횡으로 여러 개의 컨베이어를 배치하여 원료나 제품 들을 필요 개소로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컨베이어를 갖는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하여는, 컨베이어 사이에 장착되어 일측 컨베이어에서 원료나 제품 등을 받아 타측 컨베이어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예컨대, 제철소에서는 중량물인 코일을 여러 개의 컨베이어를 갖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송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코일을 일측 컨베이어에서 타측 컨베이어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가 코일 이송 대차 장치이다.
종래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컨베이어(1)에 실려 이송되는 코일(C)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어 유지되며, 이 코일(C)이 코일 이송 대차 장치인 코일 트랜스퍼에 의해 제2 컨베이어(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트랜스퍼는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대차(3)와, 상하 승강하도록 상기 이동대차(3)에 장착된 코일리프팅비임(4)을 포함한다.
도1b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대차(3)가 제1 컨베이어(1) 쪽으로 이동하여 그 이동대차(3)의 코일리프팅비임(4)의 제1 컨베이어(1)의 코일(C) 하부로 끼워 넣는다.
계속하여, 도1c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리프팅비임(4)을 상승시켜 코일(C)을 제1 컨베이어(1)의 상부로 이동시키며, 또한 도1d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대차(3)를 제2 컨베이어(2)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1e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리프팅비임(4)을 하강시켜 코일(C)을 제2 컨베이어(2)의 상부에 올려놓음으로써 코일(C)을 제1 컨베이어(1)에서 제2 컨베이어(2)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그 설치 및 운용에 많은 제약을 가지는바, 이는 이동대차(3) 및 코일리프팅비임(4)이 제2 컨베이어(2)를 이루는 설비구조물과 간섭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설치가 복잡한 것에 기인하며, 이동대차(3)와 코일리 프팅비임(4)의 운용시 컨베이어와의 간섭에 의해 컨베이어의 고장 발생이 잦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이루는 설비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코일을 컨베이어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코일을 이웃한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코일 이송 대차 장치로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팅프레임; 상기 리프팅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리프팅프레임에 고정된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이동하도록 고정 설치된 원통 모양의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은 컨베이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일정 거리 벗어나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대차는 중앙 하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된 부위의 양측이 상기 레일에 각각 얹혀지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프레임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랙을 가지며, 상기 랙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이 맞물려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랙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랙의 각각에 맞물려 결합된 2개의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는 그 길이방향의 전후방으로 각각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리프팅프레임이 연결되어 상대 이동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컨베이어(1)를 통해 이송된 코일(C)을 제2 컨베이어(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2)의 상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20)를 갖는다.
상기 레일(10)은 제1 컨베이어(1)를 통해 이송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 한 코일(C)의 하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2)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레일(10)을 제1 컨베이어(1) 및 제2 컨베이어(2)를 이루는 설비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10)은 제2 컨베이어(2)의 폭 방향 양측에서 일정 거리 벗어나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대차(20)는 중앙 하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된 부위의 양측이 상기 레일(10)에 각각 얹혀지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20)에는 제2 컨베이어(2)의 주행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유압실린더(30)가 장착되며, 이 유압실린더(30)는 제2 컨베이어(2)의 주행 방향에 대한 전, 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32)를 갖는다.
또한, 상기 로드(32)에는 원통형 커버(34)가 감싸진 모양으로 설치되며, 이 원통형 커버(34)도 제2 컨베이어(2)의 주행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로드(32) 및 그 로드(32)에 설치된 원통형 커버(34)가 제2 컨베이어(2)의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전, 후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30)는 상기 이동대차(2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팅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프레임(40)은 적어도 하나의 랙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는 상하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2개의 랙(42)(44)을 가지며, 상기 랙(42)(44)의 각각은 상기 이동대차(20)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슬라이딩구멍(22)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들 랙(42)(44)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랙(42)의 하단 부위가 상기 유압실린더(3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작동시 커버(3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커버(34)에는 상기 랙(42)이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35)이 형성된다.
이러한 랙(42)(44)에는 각각 피니언(52)(54)이 맞물려 장착되고, 상기 피니언(52)(54)은 연결축(50)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50)은 상기 이동대차(20)에 장착된 구동모터(56)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는 도3에 도시된 상태에서 대기한다.
즉, 이동대차(20)은 제2 컨베이어(2)의 상부에 위치하며, 리프팅프레임(40)은 커버(34)가 코일(C)의 중앙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에 있도록 유지되며, 실린더(30)의 양측 로드(3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돌출된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컨베이어(1)에 의해 코일(C)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면, 도4a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대차(20)는 레일(10)을 따라 제1 컨베이어(1), 즉 코일(C)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버(34)의 일부가 코일(C)의 중앙으로 끼워진다.
계속하여, 실린더(30)를 구동하여 커버(34)를 코일(C)의 중앙 내측으로 충분히 끼워지도록 이동시키며, 이 상태가 도4b에 도시된다.
이렇게 커버(34)가 코일(C)의 중앙 내측에 충분히 끼워지며, 도4c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모터(56)의 회전에 의해 리프팅프레임(40)을 상승시키며, 이렇게 리프팅프레임(40)이 상승하면 코일(C)도 제1 컨베이어(1)의 상부로 적정 높이 상승한다.
계속하여, 도4d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대차(20)를 제2 컨베이어(2) 쪽으로 이동시키며,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대차(20)가 이동된 후, 도4e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모터(56)를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리프팅프레임(40)을 하강시킨다.
이렇게 리프팅프레임(40)이 하강되면 코일(C)도 함께 하강하여 제2 컨베이어(2)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코일(C)이 제2 컨베이어(2)에 놓이면, 도4f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실린더(30)를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동하여 원통(30)을 코일(C)의 중앙 내부로부터 완전히 빼낸다.
그리고, 원통(30)이 코일(C)의 중앙 내부에서 완전히 빼내지면 구동모터(56)를 다시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리프팅프레임(40)을 상승시켜 원통(30)이 코일(C)의 이송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코일(C)이 제2 컨베이어(2)에 놓이면 제2 컨베이어(2)의 가동에 의해 코일(C)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이루는 설비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코일을 제1 컨베이어에서 제2 컨베이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이송 대차 장치의 설치 및 운용이 컨베이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코일 이송 설비의 고장 발생 빈도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코일을 이웃한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코일 이송 대차 장치로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리프팅프레임;
    상기 리프팅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리프팅프레임에 고정된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함께 이동하도록 고정 설치된 원통 모양의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컨베이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일정 거리 벗어나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대차는 중앙 하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된 부위의 양측이 상기 레일에 각각 얹혀지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프레임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랙을 가지며, 상기 랙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이 맞물려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랙의 각각에 맞물려 결합된 2개의 피니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그 길이방향의 전후방으로 각각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리프팅프레임이 연결되어 상대 이동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슬라이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KR1020060129018A 2006-12-15 2006-12-15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KR10085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18A KR100856302B1 (ko) 2006-12-15 2006-12-15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18A KR100856302B1 (ko) 2006-12-15 2006-12-15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547A true KR20080055547A (ko) 2008-06-19
KR100856302B1 KR100856302B1 (ko) 2008-09-03

Family

ID=3980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18A KR100856302B1 (ko) 2006-12-15 2006-12-15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599A (zh) * 2021-11-23 2022-02-25 卜青青 一种防水卷材快速切割装置
CN114083599B (zh) * 2021-11-23 2024-06-04 卜青青 一种防水卷材快速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657B1 (ko) 2019-06-12 2020-04-02 방동일 자재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504B1 (ko) * 1988-12-28 1995-07-31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 모도체인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JPH115626A (ja) 1997-06-16 1999-01-12 Yasukawa Plant Eng Kk 母材料コイルの自動供給装置
KR100923551B1 (ko) * 2002-12-23 2009-10-2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용 결함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599A (zh) * 2021-11-23 2022-02-25 卜青青 一种防水卷材快速切割装置
CN114083599B (zh) * 2021-11-23 2024-06-04 卜青青 一种防水卷材快速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302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CN103922099A (zh) 集装箱地板铺装设备以及铺装方法
CN203048073U (zh) 集装箱地板铺装设备
JP5327655B2 (ja) 搬送設備
CN212739499U (zh) 一种制砖系统砖板转运升降轨道车
CN107350699B (zh) 一种焊接转运翻转变位装置及翻转焊接箱型梁的方法
KR100856302B1 (ko)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CN115158953B (zh) 一种硅棒仓储出料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JPH1171098A (ja) 鉄道車両の持ち上げ装置
CN109604836B (zh) 板材自动切割装置
JP4696963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3203310A (ja) 車両昇降装置、車両整備システム及び車両整備方法
JP6218044B2 (ja) 台車式搬送装置
KR100960261B1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JP2901945B2 (ja) 鋼材積込装置
CN108147312B (zh) 专用移载小车自动升降装置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219566709U (zh) 一种铁托盘箱的可转向链条输送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CN213444764U (zh) 车架转运装置
CN220482681U (zh) 一种油压机换模装置
CN214517551U (zh) 一种轮毂铸造生产用模具中转装置
CN217625825U (zh) 一种rgv伸缩小车
CN210048184U (zh) 一种管材集装箱自动装车的设备
CN212952761U (zh) 一种自动上落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