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63A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Google Patents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3263A KR20080053263A KR1020080047459A KR20080047459A KR20080053263A KR 20080053263 A KR20080053263 A KR 20080053263A KR 1020080047459 A KR1020080047459 A KR 1020080047459A KR 20080047459 A KR20080047459 A KR 20080047459A KR 20080053263 A KR20080053263 A KR 20080053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support
- backrest
- seat
- sta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2—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the driver standing in the vehic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002/24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o support passengers in a half-stand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60N2002/684—Joining means the back rest being mounted or joined with an easy attachment system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는 지지부와 지지 홀더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운전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와, 적어도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등받이부와 착석부중의 일방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한다. 지지 홀더는, 운전석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지지 홀더는, 상기 지지부가 지지 홀더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유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견인 트랙터, 오더 피킹 트럭(order picking truck), 리치식 포크리프트 트럭 (reach fork lift truck) 등의 일부 산업 차량은,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 운전을 제어하는 입석형 운전석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입석형 운전석 타입의 차량은, 기본적으로는 운전자용의 좌석이 없고, 따라서 운전자는 서있는 상태로 견인 또는 승강 운전을 행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132525호에는, 운전자의 운전자세의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등받이 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등받이 구조에 의하면,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로 운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운전자는 종종 입석형 산업 차량의 운전석을 통해 걷게 되는데,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등받이 기구는 운전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등받이 기구는 등받이부와 착석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운전자는 등받이부만으로는 또는 착석부만으 로는 운전을 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술한 등받이 기구는, 운전자의 신체적 상태, 피로 등에 따른 여러 가지의 운전자세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그럼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중에 등받이부와 착석부중의 일방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는 지지부와 지지 홀더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운전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와, 적어도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부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등받이부와 착석부중의 일방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한다. 지지 홀더는, 운전석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지지 홀더는, 상기 지지부가 지지 홀더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는 지지부와 지지 홀더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공유부 (shared portion) 를 구비하며, 이 공유부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운전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로서 기능하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부로서 기능한다. 지지부는 공유부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한다. 지지 홀더는, 운전석으로부터 차량 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지지 홀더는, 상기 지지부가 당해 지지 홀더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 및, 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 차량에 의하여, 운전자의 신체적 상태, 피로 등에 따른 여러 가지의 운전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산업 차량의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트랙터 (10) 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우측 및 좌측은 차량의 전방 운행 방향을 향한 운전자가 바라본 견인 트랙터 측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견인 트랙터 (10) 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견인 트랙터 (10) 의 주요부는 전륜 (24), 전방 프레임 (24), 운전석 (28), 배터리 케이싱 (34), 후륜 (32) 및 차량 연결 장치 (drawbar device; 38) 를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 (22) 에는 손잡이 (14a) 를 통해 견인 트랙터 (10) 를 운전하기 위한 조종장치 (steering; 14), 방향 전환 신호를 제공하는 방향 지시 램프 (18, 26), 전방을 비추는 헤드 램프 (20), 주차용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레버 (30), 및 그에 내장된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운전석 (28) 은 입석형이고, 그 바닥에 브레이크 페달 (36) 을 구비하며, 좌우측 각각에 입구를 갖는다. 즉, 견인 트랙터 (10) 에는 운전자를 위한 좌석이 없으며, 운전자는 서있으면서 견인 작업 등을 행한다. 배터리 케이싱 (34) 은, 그 내부에 견인 트랙터 (10) 의 전원 역할을 하는 배터리 (미도시) 를 포함하고, 그 상면에 등받이 기구 (12) 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연결 장치 (38) 는 견인 트랙터 등에서 짐을 나르는데 사용된다.
이하, 도 4 ~ 도 7 을 참조하여 등받이 기구 (12) 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등받이 기구 (12) 는 등받이부 (40), 좌석부 (56) 및 지지 홀더 (42, 52) 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 (40) 및 좌석부 (56) 는 지지부에 해당한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40) 는 U-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운전자가 기댈 수 있는 쿠션 (58) 이 제공되며, 등받이부 (40) 의 각 단부 근처에는 다수의 관통구 (40a) 가 제공된다. 또한, 좌석부 (56) 도 U-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쿠션 (54) 이 제공된다. 도 4,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 (56) 는 보강판 (41, 55) 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등받이부 (40) 에 용접되며, 이 보강판은 소정 각도로 좌석부 (56) 를 유지시키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 좌석부 (56) 의 하측에 제공된다. 양방향 화살표 (D4) 로 표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40) 의 단부는 지지 홀더 (42, 52) 에 대해 상대 이동가 능하며, 또한 이 지지 홀더 (42, 52) 로부터 탈착가능하다. 배터리 케이싱 (34) 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 홀더 (42, 52) 는 등받이부 (40) 와 좌석부 (56) 를 볼트 (44, 48) 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너트 (46, 50) 을 포함한다.
도 4 에 도시된 등받이 기구 (12) 에서, 등받이부 (40) 및 좌석부 (56) 는 볼트 (44, 48) 에 의해 지지 홀더 (42, 52) 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등받이부 (40) (구체적으로는, 쿠션(58)) 에 의해 지지되면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운전자가 좌석부 (56) (구체적으로는, 쿠션(54)) 에 의해 지지되면서 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부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볼트 (44, 48) 가 제거된 후, 등받이부 (40) 및 좌석부 (56) 가 지지 홀더 (42, 52) 로부터 상방향 (화살표 (D2) 로 표시된 방향) 으로 당겨지고, 그 다음 화살표 (D6) 로 표시한 바와 같이 180도 회전하여, 도 6 에 도시한 위치가 된다. 그 결과, 등받이부 (40) 및 좌석부 (56) 는 화살표 (D8) 로 도시된 방향으로 지지 홀더 (42, 52) 로 내려가게 되고, 볼트 (44, 48) 에 의해 지지 홀더에 체결되어, 도 7 에 도시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좌석부 (56) 는 등받이부 (40) 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 운전자는 차량의 운전중에 좌석부 (56)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40) 가 전방에 위치하면, 견인 트랙터 (10) 를 운전할 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쿠션 (58) 에 의해 등이 지지된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 (56) 가 전방에 위치하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쿠션 (54) 에 의해 둔부가 지지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기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1) 상기 등받이 기구 (12) 의 지지부 (또는 등받이부 (40) 및 착석부 (56)) 가 두 곳의 다른 위치 중 한 위치에서 지지 홀더 (42, 52) 에 장착되고 (도 4 및 도 7 참조), 지지부의 위치에 따라 운전자는 등받이부 (40) 또는 착석부 (56) 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지지 홀더에서 상기 등받이 기구 (12) 의 지지부를 등받이부 또는 착석부 (56) 가 운전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상태, 예를 들어 피로 등에 따라 등받이부 (40) 또는 착석부 (56) 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지지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상기 지지 홀더 (42, 52) 는 운전석 (28) 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 (46, 56) 가 운전석을 지나가는 운전자를 방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a2) 기계적 수단 (예를 들어 등받이부 (40) 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 (40a), 볼트 (44, 48) 및 너트 (46, 50)) 을 사용하는 높이 조절 기구를 통해 등받이부 (40) 및 착석부 (56) 를 운전자의 키에 따라 높이거나 낮춰서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 기구 (12) 는 편안한 승차감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도 10 내지 도 14 에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등받이 기구와 다른 등받이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견인 트랙터 (10) 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의 견인 트랙터 (10) 의 구조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견인 트랙터와 유사하며, 설명과 도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특징만을 주로 설명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대응부와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도 10 내지 도 12 를 통해 등받이 기구 (80) 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명백하게, 도 10 의 등받이 기구 (80) 는 도 4 의 등받이 기구 (12) 에 대응한다.
도 10 의 등받이 기구 (80) 는 지지 부재 (81) 및 지지 홀더 (84, 89) 를 포함한다. 지지부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 (81) 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으로 굽혀진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 (81) 의 각 측면의 파이프는 소정의 각도로 급각도로 휜 모양 (dogleg) 으로 굽혀진다. 상기 지지 부재 (81) 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면부호 85 로 나타난 부분은 공유부이고, 도면부호 87 로 나타난 부분은 등받이부이다. 상기 공유부 (85) 에는 운전자와 접촉하는 쿠션 (58)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 (87) 에는 유사한 쿠션 (5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81) 에는 각각 구멍 (90) 이 있는 두 개의 급각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홀더 (84, 89) 에는 상단부에 인접한 일렬의 구멍 (84a, 89a)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홀더 (84, 89) 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는 정지판 (83, 88)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 (81) 는 지지 부재 (81) 의 일 측면에 형성된 구멍 (84a, 90) 을 관통하는 나사 (82) 및 지지 부재 (81) 의 다른 측면에 형성된 구멍 (89a, 90) 을 관통하는 나사 (86) 를 통해 지지 홀더 (84, 89) 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사 (82, 86) 를 느슨하게 하여 지지 부재 (81) 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공유부 (85) 와 등받이부 (87) 중 하나가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정지판 (83, 88) 을 통해 상 기 공유부 (85) 또는 등받이부 (87) 어느 다른 하나를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유부 (85) 가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기 공유부 (85) 를 시트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지지 부재 (81) 는 하기와 같이 변하게 된다. 먼저, 지지 홀더 (84, 89) 에 지지 부재 (81) 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 (82, 86) 는 상기 지지 부재 (81) 가 나사 (82, 86)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느슨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지지 부재 (81)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난 화살표 (D1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 (87) 가 수직하게 되고, 상기 공유부 (85) 는 전방향 위치로 하강하게 되며, 그 결과 운전자는 상기 공유부 (85) 를 착석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유부 (85) 를 등받이부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실행하면 된다.
공유부 (85) 가 수직으로 위치할 때,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트랙터 (10) 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등을 쿠션 (58) 으로 지지한다. 반면, 등받이부 (87) 가 수직으로 위치할 때,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58) 으로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며, 추가적으로 견인 트랙터 (10) 의 운전 중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쿠션 (54) 으로 운전자의 등을 지지한다.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유리한 효과를 얻는다.
(b1)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 (81) 는 수직으로 위치하는 등받이부 (87) 또는 공유부 (85) 를 만들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나사 (82) 에 의해서 고정되며, 이로 인하여 차량 운전자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도 10 및 도 12). 따라서, 지지 부재 (81) 는 운전자가 공유부를 등받이부 및 착석부로 사용하길 원하는 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상태, 피로 등의 관점에서, 공유부 (85) (뿐만 아니라 등받이부 (87)) 는 차량 운전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홀더 (84, 89) 는 지지 부재 (81) 가 운전자가 운전석 (28) 을 종종 지나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운전석 (28) 후면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 (81) 는 공유부 (85) 및 등받이부 (87) 를 구비한다; 그러나, 공유부 (85) 만을 구비한 지지 부재 (81)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2) 단락 (a1) 및 (a2)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얻도록, 다른 형상, 구조, 작동 등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에 예시한 것과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로 수정될 수 있다.
(c1)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보강판 (41, 55) 은 등받이부 (40) 와 착석부 (56) 의 각이 고정되도록 착석부 (56) 밑에 용접될 수 있다(도 4, 도 6 및 도 7 참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등받이부 (40) 와 착석부 (56) 의 각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40) 는 실선으로 표시된 각 (θ2), 2점 쇄선으로 표시된 각 (θ4) 또는 어떠한 다른 각으로 착석부 (56) 를 조정하도록 회전가능한 각도 조절 손잡이 (60) 를 구비한다. 따라서, 더 편안한 운전 자세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가 감소될 수 있도록 착석부 (56) 의 각은 운전자의 형상 (특히, 둔부) 에 맞도록 조정 가능하다.
(c2)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지지 홀더 (42, 52) 는 배터리 케이싱 (34)(예를 들면 도 4) 의 상면상의 고정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지 홀더 (42, 52) 는 그 수평 자세가 변화가능하도록 조정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볼트 (62, 66) 가 각각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싱 (43) 의 상면에 구멍 (64, 68) 의 다수의 선 (line) 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적절한 구멍 (64, 68) 이 선택되며, 체결 볼트 (62, 66) 각각에 의해서 지지 홀더 (42, 52) 가 배터리 케이싱 (43) 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부 (40) 또는 착석부 (56) 의 수평 자세는 더 편안한 운전 자세를 확보함으로 운전자의 피로가 감소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화살표 (D12) 로 도시된 방향) 조정 가능하다. 상기 구조에서, 볼트 (62, 66) 및 다수의 구멍 (64, 68) 은 본 발명의 수평 배치 기구를 구성한다.
더욱이, 지지 홀더 (42, 52) 가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면, 등받이부 (40) 및 좌석부 (56) 의 수평 위치도 미끄러질 수 있다.
(c3)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U-형 등받이부 (40) 는 2개의 지지 홀더 (42, 52) 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면, 도 6). 도 17 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등받이 기구 (12) 는 정사각형 모양의 등받이부 (70) 및 등받이부 (70) 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단일 수직부 (72) 를 포함한다. 이 수직부 (72) 는 등받이부 (40)(도 6) 의 단부에 대응하고, 도 6 의 등받이부 (40) 와 같이 다수의 관통구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의 지지 홀더 (42, 52) 에 대응하는 지지 홀더 (74) 는 운전석 (28) 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상에 또한 차량의 폭방향 중심인 위치에 고정 장착된다. 등받이부 (70) 및 지지 홀더 (74) 사이의 관계는 도 5 에 도시된 등받이부 (40) 및 지지 홀더 (42) 사이의 관계에 대응하며, 등받이부 (70) 는 볼트 (76) 및 너트 (78) 에 의해 지지 홀더 (74) 에 고정된다. 등받이부 (70) 의 고정에 있어서, 등받이부 (70) 의 높이는 볼트 (76) 가 삽입되는 적절한 관통구의 선택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등받이부 (70) 및 지지 홀더 (74) 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해당한다. 게다가, 지지부를 지지 홀더 (74) 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76) 및 너트 (78) 의 사용은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술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70) 가 좌석부 (56) 의 전방에 배치되면, 견인 트랙터 (10) 의 운전시 쿠션 (58)(도 8) 에 의해 운전자의 등이 지지된다. 반면에,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 (56) 가 등받이부 (70) 의 전방에 배치되면, 견인 트랙터 (10) 를 운전하는 동안 쿠션 (54)(도 9) 에 의해 운전자의 둔부가 지지된다. 전술한 실시형태 (예컨대, 도 16 의 실시형태) 와 달리, 등받이부 (70) 는 지지 홀더 (74) 로부터 당겨질 필요가 없으며, 도 17 및 도 18 사이의 지지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180° 회전될 뿐이다. 따라서, 지지부의 위치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비하여 더욱 쉽고 빠르게 변경될 수 있다.
(c4)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 (81) 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다리꼴 정지판 (83, 88) 이 제공된다 (도 10 및 도 12).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 (81) 및 지지 홀더 (84, 89)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 다. 예를 들면,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 (83) 대신에 지지 홀더 (84) 에 정지판 (91) 이 제공되며, 정지판 (88) 대신에 지지 홀더 (89) 에 정지판 (92) 이 제공된다. 정지판 (91, 92) 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정지판 (91) 에는 8각형 프리즘 형태이며 지지 홀더 (84) 에 형성된 구멍 (84b) 안으로 결합되는 돌출부 (91a)(도 20) 가 제공된다. 정지판 (91, 92) 및 구멍 (84b) 은 본 발명의 제 2 각도 조절 기구에 대응한다.
구멍 (84b) 에 결합되는 돌출부 (91a) 의 위치에 따라, 지지 부재 (81) 의 공유부 (85) 가 정지판 (91) 과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된다. 도 21 에 도시된 예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 (91) 이 결합되면, 지지 부재 (81) 는 지지 홀더 (84, 89) 와 함께 각 (θ6) 을 형성한다. 반면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판 (91) 이 결합되면, 지지 부재 (81) 는 지지 홀더 (84, 89) 와 함께 각 (θ8)(각 (θ6) 보다 작은) 을 형성한다. 비록 정지판 (91) 이 위의 예에 설명되었지만, 정지판 (92)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 (81) 및 지지 홀더 (84, 89) 사이의 각도는 운전자의 자세 (특히, 둔부) 를 고정하기 위해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편안한 운전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가 경감될 수 있다.
(c5)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 (81) 를 지지 홀더 (84, 89) 에 유지하기 위해 나사가 사용된다 (도 11).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 (81) 를 지지 홀더 (84, 89) 에 유지하기 위해 회전 방지 부재가 사용된다.
도 22 를 참조하면, 봉형 돌출부 (93a, 93b) 를 구비한 회전 방지 부재 (93) 가 제공된다. 반면에 공유부 (85) 는 구멍 (85a) 을 갖고, 등받이부 (87) 는 구멍 (87a) 을 갖고, 지지 홀더 (89) 는 다수의 구멍 (89b) 을 갖는다. 돌출부들 (93a, 93b) 중 하나는 구멍 (90) 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구멍 (89b) 을 통해 구멍 (85a) (또는 구멍 (87a)) 에 결합된다. 회전 방지 부재 (93) 의 두 돌출부들 (93a, 93b) 를 구멍에 결합하면 지지부재 (81) 의 회전이 방지된다. 더욱이 지지 홀더 (89) 의 수직 및 길이 방향으로 구멍 (89b) 을 더 형성하면, 지지 부재 (81) 의 높이는 그 돌출부들 (93a, 93b) 이 결합되는 구멍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c6)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지지 홀더 (84, 89) 가 배터리 케이싱 (34) 의 상면의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예로서, 도 10).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홀더 (84, 89) 의 위치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c2) 와 유사한 이러한 다른 실시형태의 구조는 도 23에 도시된다. 이 케이스에서, 공유부 (85) 또는 등받이부 (87) 의 수평 위치는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하여 편안한 운전 자세를 보장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는 경감될 수 있다.
(c7)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착석부 (56) 는 경량화를 위해서 굽혀진 파이프로 만들 수 있고, 쿠션 (54) 이 설치된다 (도 7 참조).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착석부는 운전자의 둔부 뿐만 아니라 요부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부는 운전자의 등을 양쪽에서 지지하도록 팔걸이 (소위 버킷 시트 (bucket seat)) 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킷 시트 유형의 착석부는 차량이 곡선을 따라 주행할 때 더욱 안정적으로 운전자를 지지할 수 있다. 등받침부와 착석부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굽혀진 솔리드 바아로 만들 수 있다.
(c8)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산업 차량으로서 견인 트랙터 (10) 에 적용하였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견인 트랙터가 아닌 오더 피킹 트럭이나 리치식 포크 리프트 트럭과 같은 입석형 운전석의 산업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형태들에서는, 등받이부나 착석부의 높이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등받이부나 착석부의 높이 조정은 지지 홀더 (42, 52) 에 장착되는 유압 댐퍼와 에어 댐퍼 등과 같은 유압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에서는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는데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나사, 접착제 및 용접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도 역시 상기 부재들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대체 수단들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발명은 여기 주어진 상세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견인 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견인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견인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견인 트랙터의 등받이부가 사용될 때의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높이 조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될 부분이 전환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좌석부가 사용될 때의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등받이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운전자에 의하여 운전되는 견인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좌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운전자에 의하여 운전되는 견인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유부가 등받이부로서 사용될 때의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등받이 기구의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공유부가 좌석부로서 사용될 때의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등받이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운전자에 의하여 운전되는 견인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좌석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운전자에 의하여 운전되는 견인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각도 조절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배치 기구를 도시하는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형태의 지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등받이부를 보여주는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형태의 지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좌석부를 보여주는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각도 조절 기구를 갖는 등받이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절 손잡이 (knob) 의 구조를 보 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절 손잡이에 의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을 방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등받이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배치 기구를 갖는 등받이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0 : 견인 트랙터 12 : 등받이 기구
28 : 운전석 34 : 배터리 케이싱
40 : 등받이부 56 : 착석부
42, 52 : 지지 홀더 58 : 쿠션
Claims (8)
-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에 있어서,운전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와, 적어도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부를 구비하며, 등받이부와 착석부 중의 일방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운전석으로부터 차량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지지 홀더를 포함하고,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 사이의 각이 조절될 수 있고,상기 지지 홀더는, 상기 지지부가 지지 홀더로부터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착석 부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하는 위치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지지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방향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 기계적 수단 또는 유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홀더의 수평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운전자가 서있는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에 있어서,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운전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로서 기능 하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운전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 부로서 기능하는 공유부를 가지며, 상기 공유부에 의해 운전자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운전석으로부터 차량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지지 홀더를 포함하고,상기 지지 홀더와 상기 착석부 사이의 각이 조절될 수 있고,상기 지지 홀더는, 상기 지지부가 당해 지지 홀더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 회전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변화된 후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 기계적 수단 또는 유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홀더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 수평 배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95391 | 2005-10-07 | ||
JPJP-P-2005-00295391 | 2005-10-07 | ||
JPJP-P-2006-00185566 | 2006-07-05 | ||
JP2006185566A JP4961865B2 (ja) | 2005-10-07 | 2006-07-05 | 産業車輌における立席型運転席用背もたれ構造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7545A Division KR20070039465A (ko) | 2005-10-07 | 2006-10-04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3263A true KR20080053263A (ko) | 2008-06-12 |
Family
ID=37896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7545A KR20070039465A (ko) | 2005-10-07 | 2006-10-04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KR1020080047459A KR20080053263A (ko) | 2005-10-07 | 2008-05-22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7545A KR20070039465A (ko) | 2005-10-07 | 2006-10-04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461885B2 (ko) |
JP (1) | JP4961865B2 (ko) |
KR (2) | KR20070039465A (ko) |
DE (1) | DE102006047403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15504A1 (de) * | 2006-03-31 | 2007-10-04 | Wirtgen Gmbh | Sitz für einen Fahrzeugführer einer Baumaschine, sowie Baumaschine |
JP5672078B2 (ja) * | 2011-03-08 | 2015-02-1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立位姿勢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
GB2508857B (en) * | 2012-12-13 | 2020-01-22 | Nissan Motor Mfg Uk Limited | Vehicle seat assembly |
DE102014107766A1 (de) * | 2014-05-16 | 2015-11-19 | Kion Warehouse Systems Gmbh | Flurförderzeug |
JP6391089B2 (ja) * | 2014-07-28 | 2018-09-19 | コイト電工株式会社 | 座席装置 |
US10577232B2 (en) | 2018-02-28 | 2020-03-03 |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 Seating support for an industrial truck |
GB2596206B (en) * | 2020-04-30 | 2024-06-05 | Esus Mobility Sl | Electric scooter |
DE102021004436A1 (de) * | 2021-09-01 | 2023-03-02 | Torsten Fette | Elektrisches Transportmittel mit einer Vorrichtung zur Lastenaufnahm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77129A (ko) * | 1972-12-01 | 1974-07-25 | ||
JPS5948021A (ja) * | 1982-09-14 | 1984-03-19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等の操作席 |
JPH0296941A (ja) * | 1988-10-03 | 1990-04-09 | Hitachi Ltd |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とそれを用いる光学的情報記録方式 |
DE29902139U1 (de) | 1999-02-09 | 1999-05-12 | Jungheinrich Ag, 22047 Hamburg | Sitzhilfe für ein Flurförderzeug |
DE10000622A1 (de) | 2000-01-10 | 2001-07-12 | Still Wagner Gmbh & Co Kg | Flurförderzeug mit einem Klappsitz |
JP2001261293A (ja) | 2000-03-22 | 2001-09-26 | Nippon Yusoki Co Ltd | フォークリフト |
JP2001270694A (ja) * | 2000-03-28 | 2001-10-02 | Nippon Yusoki Co Ltd | フォークリフト |
JP2004083188A (ja) | 2002-08-26 | 2004-03-18 | Komatsu Forklift Co Ltd | 姿勢保持パッド |
JP2005132525A (ja) * | 2003-10-29 | 2005-05-26 | Toyota Industries Corp | 産業車輌における立席型運転席用背もたれ構造 |
-
2006
- 2006-07-05 JP JP2006185566A patent/JP4961865B2/ja active Active
- 2006-10-04 KR KR1020060097545A patent/KR2007003946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0-06 DE DE102006047403.1A patent/DE102006047403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0-06 US US11/544,154 patent/US7461885B2/en active Active
-
2008
- 2008-05-22 KR KR1020080047459A patent/KR200800532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085393A1 (en) | 2007-04-19 |
DE102006047403A1 (de) | 2007-04-19 |
JP2007126122A (ja) | 2007-05-24 |
KR20070039465A (ko) | 2007-04-12 |
JP4961865B2 (ja) | 2012-06-27 |
DE102006047403B4 (de) | 2020-07-16 |
US7461885B2 (en) | 2008-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53263A (ko) | 산업 차량에 있어서의 입석형 운전석용 등받이 기구 | |
JP2006077544A (ja) | 建設機械の運転席装置 | |
JP7523363B2 (ja) | 多目的車両 | |
EP1527944A1 (en) | Backrest assembly for standing ride | |
JP4478076B2 (ja) | トラクタのアームレスト構造 | |
CN108528580B (zh) | 用于车辆的脚踏组件 | |
JP5568269B2 (ja) | 乗用型田植機 | |
JP5099363B2 (ja) | 走行車両 | |
JP2007290521A (ja) | 産業車両における立席型運転席用座席装置 | |
JP2006341767A (ja) | 作業車両 | |
JP7057051B1 (ja) | ターレットトラック | |
US20100033003A1 (en) | Sit/stand support for a vehicle | |
JP3587039B2 (ja) | 電動車椅子のフレーム構造 | |
JPH037219Y2 (ko) | ||
JP7224279B2 (ja) | 作業車 | |
JP7183900B2 (ja) | 乗用作業車両 | |
JP2004196268A (ja) | トラクタ | |
JP3196562U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JP2693285B2 (ja) | 制御レバー装置 | |
JP3194780U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 |
JP2016210361A (ja) | 作業車両 | |
JPH10201795A (ja) | 電動車両のフレーム構造 | |
JP2002143359A (ja) | ゴルフカートの車体構造 | |
JP2004098987A (ja) | 農業用トラクタ | |
JP2010215139A (ja) | 乗用型農作業機及び乗用型田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25 Effective date: 201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