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934A -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934A
KR20080051934A KR1020060123794A KR20060123794A KR20080051934A KR 20080051934 A KR20080051934 A KR 20080051934A KR 1020060123794 A KR1020060123794 A KR 1020060123794A KR 20060123794 A KR20060123794 A KR 20060123794A KR 20080051934 A KR20080051934 A KR 2008005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main body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006B1 (ko
Inventor
주정용
강일권
박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006B1/ko
Priority to US11/750,063 priority patent/US7783230B2/en
Priority to EP07113272.4A priority patent/EP1930790B8/en
Priority to CN2007101531968A priority patent/CN101196712B/zh
Publication of KR2008005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매체를 이동시키면서 화상을 전사받도록 하는 인쇄매체 이송체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와; 전사유닛 본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및 분리시 사용되는 본체 손잡이와; 전사유닛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유닛;을 포함하며, 로킹/해제유닛은 본체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조작되어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 전사유닛, 커버, 로킹, 손잡이

Description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a transfer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유닛 및 전사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킹/해제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 도 6 및 도 7은 커버유닛에서 전사유닛을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화상형성장치 본체 11..급지 카세트
12..현상유닛 13..감광매체
14..정착유닛 20..커버유닛
21..가이드부재 23..커버본체
30..전사유닛 31..전사유닛 본체
32..가이드돌기 33..인쇄매체 이송체
35..본체 손잡이 36..손잡이 브라켓
40.로킹/해제유닛 41..조작 손잡이
42..회동부재 43..후크부재
44..가압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유닛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달받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흑백 칼라의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 화상형성장치와,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그 현상방식에 따라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중에서 전자 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감광드럼 및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유닛과,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은 소정의 전사유닛을 통해서 인쇄매체로 전사되거나, 또는 직접 인쇄매체로 전사될 수 있다. 칼라 화상의 경우에는 중간전사벨 트와 같은 전사매체를 포함하는 전사유닛을 통해 칼라화상을 중첩전사 시킨 후, 인쇄매체로 최종 칼라 화상을 전사시킨다. 모노 타입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직접 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닛은, 중간전사벨트와, 중간전사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 및 중간전사벨트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전사유닛은, 감광매체에 상기 중간전사매체가 접촉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다. 상기 전사유닛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사유닛의 본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를 잡고 전사유닛 본체를 화상형성장치 내로 슬라이딩시켜 밀어넣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를 열고, 전사유닛을 화상형성장치 내에 장착 및 분리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사유닛을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사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로킹시키거나 로킹을 해제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로킹해제 버튼 또는 로킹해제 레버 등을 동작시킨 뒤, 전사유닛의 하우징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고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사유닛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사유닛은, 인쇄매체를 이동 시키면서 화상을 전사받도록 하는 인쇄매체 이송체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및 분리시 사용되는 본체 손잡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본체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조작되어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본체 손잡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를 지지하며,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며,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 및 해제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되는 자세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손잡이는 상기 전사유닛 본체의 외측에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본체 손잡이의 내부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는 한 쌍이 상기 회동부재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 본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는 상기 커버에 장착시 상기 커버와의 장착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로킹 및 로킹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의 분리를 위해 상기 전사유닛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사유닛과 화상형성장치 본체 사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유닛은, 화상을 전사받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체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 마련된 본체 손잡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는, 메인 케이싱과; 상기 메인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이 장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의 장착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이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가 마련된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 이송체는,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에 마주하여 주행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유닛(20)과, 상기 커버유닛(20)에 장착 및 분리되는 전사유닛(30)과, 로킹/해제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인쇄매체(이하 용지(P)라 함)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1)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K, C, M, Y 칼라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유닛(12)이 마련된다.상기 각 현상유닛(12)은 전위차이를 이용하여 현상롤러로부터 토너 입자를 받아 감광매체(13)에 형성되는 정전잠상 위에 일정한 이미지를 만들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광매체(13)는 드럼타입이다. 감광매체(13)의 표면에는 미도시된 레이저 주사유닛으로부터 주사되는 레이저 주사광에 의해 원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13)에 형성된 칼라화상 또는 단일칼라의 화상은 상기 감광매체(13)와 상기 전사유닛(30) 사이로 이송되는 용지(P)로 직접 전사된다. 상기와 같이 화상을 전사받은 용지(P)는 정착유닛(14)을 경유하면서, 고온 및 고압으로 정착된 뒤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양면인쇄를 위한 듀플렉스 경로로 이송된다.
상기 커버유닛(20)은, 상기 전사유닛(30)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와, 상기 본체(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본체(23)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1)도 상기 커버본체(23)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전사유닛(30)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한다. 이 가이드부재(21)에는 전사유닛(30)의 장착 및 분리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a)를 가진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1)는 그 회동축(21b)을 커버본체(23)의 회동축과 공유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1)는 일정 각도는 커버본체(23)와 함께 회동될 수 있으며, 커버본체(23)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본체(23)는 상기 전사유닛(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에 소정 각도 회동되어 개폐되게 설치된다. 즉, 커버본체(23)는 전사유닛(30)을 장착 및 분리시, 개방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열린다. 또한, 커버본체(23)와 전사유닛(30) 사이에는 용지의 양면인쇄시 용지의 반전이송을 위한 듀플렉스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23)는 전사유닛(30)과 감광매체(13) 사이의 잼제거를 위해서도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3)에는 상기 로킹/해제유닛(40)의 로킹결합을 위한 한 쌍의 로킹돌기(23a)가 마련된다. 상기 로킹돌기(23a)는 커버본체(23)의 전사유닛(30)에 마주하는 일면에 인입현성된 로킹홈(23b) 내에 마련된다.
상기 전사유닛(30)은 상기 커버유닛(20)에 지지된 채 본체(10) 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전사유닛(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 본체(31)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31) 내에 설치되는 인쇄매체 이송체(33)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유닛 본체(31)의 하단부 양측 각각에는 상기 커버유닛(20)의 가이 드부재(21)에 지지되는 가이드돌기(32)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돌기(3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1)의 가이드부(21a)에 끼워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 본체(31)에는 본체 손잡이(35)가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손잡이(35)는 전사유닛 본체(31)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로 인입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의 본체 손잡이(35)는, 전사유닛 본체(31)에 결합되는 손잡이 커버(36) 및 손잡이 브라켓(37)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 커버(36)에 본체 손잡이에 해당되는 구멍 즉,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브라켓(37)은 본체 손잡이(35)의 내측 벽면에 해당된다.
상기 인쇄매체 이송체(33)는 전사유닛 본체(31) 내부에서 미도시된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게 설치된 이송벨트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체(33)는 대략 수평주행 구간에 해당되는 부분이 본체(31)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부로 노줄된 이송체(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3)에 접촉된다. 따라서, 이송체(33)와 감광매체(13) 사이로 공급된 용지(P)는 이송체(33)가 주행시, 이송체(33)와 함께 이송되면서 감광매체(13)로부터 화상을 전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전사유닛(30)은 상기 손잡이(35)를 잡은 상태에서, 운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킹/해제유닛(40)은, 상기 전사유닛(30)을 본체(10)에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커버유닛(20)에 전사유닛(30)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로킹/해제유닛(40)은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손잡이(35)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손잡 이(41)와, 상기 조작 손잡이(41)를 지지하며 상기 전사유닛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부재(42) 양단 각각에 연결된 후크부재(43)와, 가압부재(44)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 손잡이(41)는 전사유닛 본체(31)의 본체 손잡이(35) 내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35)에 손을 넣고 본체 손잡이(35)를 잡으면, 조작 손잡이(41)가 함께 잡히게 된다.
상기 조작 손잡이(41)는 회동부재(42)의 대략 중앙 부분에 결합된다. 이 회동부재(42)는 조작 손잡이(41)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부재(42)의 양단에는 상기 후크부재(43)가 결합된다. 이 후크부재(43)는 전사유닛(30)의 양측에서 커버유닛(20)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후크부재(43)는 회동부재(42)와 함께 회동 가능하다. 이 후크부재(43)는 커버본체(23)에 마련된 로킹돌기(23a)에 걸리는 후크홈(43a)을 가진다. 상기 후크홈(43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23)의 로킹홈(23b)에 삽입된 후크부재(43)가 로킹홈(23b)에서 빠지지 않고 로킹돌기(23a)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44)는 일단은 조작 손잡이(41)에 접촉되고, 타단은 손잡이 ㅋ커버(36)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 가압부재(44)는 조작 손잡이(41)를 일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후크부재(43)가 로킹돌기(23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상태는 전사유닛(30)이 본체(10) 내부에 장착된 상태이다. 즉, 전사유닛(30)은 커버유닛(20)의 가이드부재(2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커버유닛(20)에 밀려서 현상유닛(12)과 커버유닛(20) 사이에 지지된 상태이다. 커버유닛(20)을 본체(10)에 대해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유닛(20)의 커버본체(23)가 전사유닛(30)을 현상유닛(12) 측으로 밀착시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사유닛(3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먼저 커버유닛(2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개방시킨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닛(20)의 커버본체(23)만 소정 각도 먼저 회동되어 열린다. 즉, 전사유닛(30)은 가이드부재(21)에 하단이 지지된 채, 감광매체(13)와 계속해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전사유닛(30)의 후크부재(43)는 가압부재(44)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되어 로킹돌기(23a)에 걸리게 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유닛(20)을 더 열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닛(20)에 의해 전사유닛(30)이 이끌려서 함께 회동되어 감광매체(13)와 분리된다. 즉, 후크부재(43)가 로킹돌기(23a)에 걸린 상태이므로, 전사유닛(30)이 커버유닛(20)에 이끌려 회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의 상태에서 본체 손잡이(35)에 사용자의 손을 넣는다. 그런 다음, 상기 조작 손잡이(41)와 전사유닛 본체(30) 즉, 손잡이 커버(36)를 함께 잡는다. 그러면, 잡는 힘에 의해 조작 손잡이(41)가 회동됨으로써, 후크부재(43)는 로킹돌기(23a)와의 로킹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전사유닛(30)을 도 7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B)으로 이동시키면 전사유닛(30)은 커버본체(23)와의 로킹결합이 해제되어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본체(23)와 분리된 전사유닛(30)은 본체 손잡이(35)를 그대로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 즉, 화살표 C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전사유닛(30)은 가이드부재(21)와도 완전히 분리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사유닛(30)을 분리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장착하는 동작의 경우에는 분리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먼저,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35)와 조작손잡이(41)를 함께 잡은 상태에서, 전사유닛(30)을 가이드부재(21)에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전사유닛(30)을 커버본체(23) 쪽으로 회동시켜 놓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23)에 전사유닛(30)이 로킹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커버유닛(20)을 닫으면, 도 5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전사유닛(30)과 커버유닛(20)이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전사유닛(30)과 커버유닛(20) 간의 로킹결합 및 분리를 위한 로킹/해제유닛(40)을 전사유닛(30)의 본체 손잡이(35)를 잡는 동작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전사유닛(30)을 분리 및 장착하는 동작이 간편해지고 편리한 이점이 있다. 즉, 커버유닛(2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사유닛(30)의 본체 손잡이(35)를 한번만 잡게 되면, 전사유닛(30)과 커버유닛(20) 간의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으며, 해제된 전사유닛(30)을 커버유닛(20)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로킹을 해제하는 동작과, 로킹해제된 전사유닛을 분리하는 동작을 분리하여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사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전사유닛의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전사유닛과 커버유닛 즉, 화상형성장치 본체와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사유닛의 분리시, 전사유닛의 손잡이를 잡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전사유닛과 커버유닛간의 로킹결합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잡고 있던 손잡이를 들어올리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전사유닛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사유닛을 분리 및 장착하는 동작이 간단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사유닛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사유닛이 커버유닛과 결합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전사유닛을 현상유닛과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인쇄매체를 이동시키면서 화상을 전사받도록 하는 인쇄매체 이송체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및 분리시 사용되는 본체 손잡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본체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조작되어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본체 손잡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를 지지하며,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며,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 및 해제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되는 자세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손잡이는 상기 전사유닛 본체의 외측에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본체 손잡이의 내부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한 쌍이 상기 회동부재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 본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는 상기 커버에 장착시 상기 커버와의 장착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8.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로킹 및 로킹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유닛의 분리를 위해 상기 전사유닛에 마련된 손잡이를 잡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사유닛과 화상형성장치 본체 사이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화상을 전사받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체를 수용하는 전사유닛 본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 마련된 본체 손잡이와;
    상기 전사유닛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로킹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로킹/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유닛은,
    상기 본체 손잡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를 지지하며, 상기 전사유닛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며,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 및 해제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로킹결합되는 자세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손잡이는 상기 전사유닛 본체의 외측에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본체 손잡이의 내부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한 쌍이 상기 회동부재의 양단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는,
    메인 케이싱과;
    상기 메인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이 장착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메인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의 장착위치 및 자세를 가이드하여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메인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사유닛이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가 마련된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이송체는,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매체에 마주하여 주행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123794A 2006-12-07 2006-12-07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KR101306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794A KR101306006B1 (ko) 2006-12-07 2006-12-07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US11/750,063 US7783230B2 (en) 2006-12-07 2007-05-17 Transfer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07113272.4A EP1930790B8 (en) 2006-12-07 2007-07-26 Transfer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2007101531968A CN101196712B (zh) 2006-12-07 2007-09-29 转印单元、具有该转印单元的成像设备以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794A KR101306006B1 (ko) 2006-12-07 2006-12-07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934A true KR20080051934A (ko) 2008-06-11
KR101306006B1 KR101306006B1 (ko) 2013-09-12

Family

ID=3916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794A KR101306006B1 (ko) 2006-12-07 2006-12-07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3230B2 (ko)
EP (1) EP1930790B8 (ko)
KR (1) KR101306006B1 (ko)
CN (1) CN101196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4609B2 (ja) * 2007-03-30 2012-09-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56497B2 (ja) * 2008-06-18 2013-03-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連結機構
US8571439B2 (en) * 2009-10-16 2013-10-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7038B2 (ja) * 2010-05-31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08011A (ja) * 2011-05-20 2013-01-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6132133B2 (ja) * 2012-07-05 2017-05-24 株式会社リコー ユニット落下防止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1779B2 (ja) * 2013-09-20 2017-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ート給送装置
JP2015118367A (ja) * 2013-11-14 2015-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62428B2 (ja) * 2014-05-30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2640B2 (ja) * 2015-09-30 2018-05-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開閉カバー付き装置
JP6859038B2 (ja) * 2016-07-12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90955B2 (ja) * 2016-11-25 2021-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63858B2 (ja) * 2019-03-14 2023-04-2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307528B2 (en) * 2020-05-26 2022-04-1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locking mechanism for a un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543A (ja) * 1996-05-31 1997-12-16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321048A (ja) * 1998-05-16 1999-11-24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68052B2 (ja) 1999-06-21 2005-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0403186C (zh) 2001-12-18 2008-07-16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带组件及图像形成系统
JP4193545B2 (ja) 2003-03-31 2008-1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6712A (zh) 2008-06-11
EP1930790B1 (en) 2017-03-08
US7783230B2 (en) 2010-08-24
EP1930790B8 (en) 2017-08-30
US20080138111A1 (en) 2008-06-12
KR101306006B1 (ko) 2013-09-12
EP1930790A1 (en) 2008-06-11
CN101196712B (zh)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006B1 (ko) 전사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588434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20120107015A1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detachable developing device unit
JP2002062698A (ja) 画像形成機
JP2010224061A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112146A (ja)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25663B2 (ja) 像担持体着脱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216692A (ja) 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6604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securing removable unit
JP20182055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18003A (ja) 中間転写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46796B2 (ja) 画像形成装置
JP6944635B2 (ja)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05261B2 (ja) 給紙カ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4814A (ja) 画像形成装置
US11117765B2 (en) Printing medium guide
JP5821681B2 (ja) 画像形成装置
JP4130979B2 (ja) 画像形成装置
JP51480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49594A (ja) 画像形成装置
JP6380298B2 (ja) 画像形成装置
JP655521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3707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装置
JPH112315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205519A (ja)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