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696A -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696A
KR20080051696A KR1020060123256A KR20060123256A KR20080051696A KR 20080051696 A KR20080051696 A KR 20080051696A KR 1020060123256 A KR1020060123256 A KR 1020060123256A KR 20060123256 A KR20060123256 A KR 20060123256A KR 20080051696 A KR20080051696 A KR 2008005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ock
slider
steer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696A/ko
Publication of KR2008005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3Countermeasures against the physical destruction of the steering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그니션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스티어링 칼럼과 평행하게 배치된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끼워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스티어링 샤프트를 향해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로크 바와; 상기 로크 바에 형성된 스토퍼 홈에 삽입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간섭되는 스토퍼 핀과; 상기 스토퍼 핀과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1스토퍼 스프링과; 상기 로크 바를 감싸는 로크 바디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2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를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탄지하는 제2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로크 바디가 파손되어 슬라이더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로크 바디의 제거 및 슬라이딩이 구속되어 차량 도난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를 제공한다.
스티어링 로크, 로크 바, 로크 바디, 슬라이더, 도난 방지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Steering Lock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의 제거시 차량 도난 방지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이그니션 노브 54 ; 슬라이더
56 ; 로크 바 62 ; 로크 바디
70 ; 제1스토퍼 72 ; 스토퍼 핀
74 ; 제1스토퍼 스프링 76 ; 제2스토퍼
78 ; 제2스토퍼 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크 바디가 부러지더라도 로크 바를 제거할 수 없도록 한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 소유자임을 인증한 퍼스널 IC카드를 소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잡으면 바로 로크(Lock)상태인 도어를 자동으로 언로크(Unlock)시키고, 운전자가 탑승하면 스티어링 휠 및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시동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그니션 노브의 잠금을 해제하여 차량의 시동를 허가하는 PIC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전자가 보다 더 편안하게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PIC시스템 차량은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중이면, 이그니션 노브 및 스티어링 휠의 조작을 로크(Lock)시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스티어링 로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는 스티어링 칼럼(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이그니션 노브(4)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캠 샤프트(6)와, 상기 캠 샤프트(6)에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직교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토록 끼워진 슬라이더(8)와, 상기 슬라이더(8)의 스티어링 칼럼(2) 측 끝 단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8)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2) 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로크 링(2a)에 삽입되는 로크 바(10)와, 상기 슬라이더(8)의 캠 샤프트(6) 측 끝단과 로크 바디(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8)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2) 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힘을 부여하는 압축 스프링(14)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크 바(10)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2)에 밀착되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을 잠금한다.
또한, 스티어링 로크는 상기 슬라이더(8)의 캠 샤프트(6) 측 끝단에 상기 이그니션 노브(4)를 향해 돌출된 로크 핀(16)과, 상기 이그니션 로브(4)가 시동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크 핀(16)을 상기 스티어링 칼럼(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18)과, 상기 캠 샤프트(6)와 이그니션 노브(4)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레버가 주차단에 위치하고 이그니션 노브(6)가 로크 단계이면 상기 이그니션 노브(4)의 회전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캠 샤프트(6)를 이그니션 노브(4)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솔레노이드(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그니션 노브(4)가 시동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크 핀(16)과 캠(18)의 상호 결합관계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8) 및 로크 바(10)가 제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1)의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시동중이면, 상기 이그니션 노브(4)가 악세서리 스위치(ACC)단계 또는 온(ON)단계에 위치하고 있고, 로크 핀(16)이 스티어링 칼럼(2)과 대향되는 방향 에서 상기 캠(18)에 걸려있기 때문에 슬라이더(8) 및 로크 바(10)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2)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며, 상기 슬라이더(8)와 로크 바디(12) 사이에 압축 스프링(14)이 압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주차단으로 조작되고 이그니션 노브(4)가 로크단계에 위치하면, 상기 솔레노이드(20)가 작동하여 이그니션 노브(4)의 조작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캠 샤프트(6)를 이그니션 노브(4) 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캠(18)이 로크 핀(16)으로부터 이격되어 슬라이더(8) 및 로크 바(10)가 압축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기 스티어링 칼럼(2)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 바(10)가 압축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동 허가를 받지 않은 자가 전기회로의 연결로 시동조작을 행했더라도 상기 스티어링 칼럼(2)과 로크 바(10)의 마찰에 의해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스티어링 휠(1)을 조금만 회전시키면 상기 로크 바(10)가 압축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 링(2a)에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회전을 완전히 구속하므로 정상적으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없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퍼스널 IC카드를 소지한 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솔레노이드(20)가 이그니션 노브(4)의 잠금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시동이 가능토록 하고, 운전자가 이그니션 노브(4)를 로크단계에서 온(ON)단계로 조작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샤프트(6)가 이그니션 노브(4)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0)에 의해 다시 슬라이더(8)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캠(18)의 형상에 의해 상기 로크 핀(16)이 상기 캠(18)에 다시 걸림되면서 슬라이더(8) 및 로크 바(10)가 스티어링 칼럼(2)으로부터 떨어져 스티어링 휠(1)의 조작이 가능하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로크는 차량 도난의 목적으로 화살표 A와 같이 지지바를 삽입하여 로크 바디(12)를 비틀면 상기 로크 바(10)와 슬라이드(8)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로크 바디(12)의 목 부분이 쉽게 부러지면서 상기 로크 바(10)가 노출되어 쉽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도난 방지를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크 바디가 부러지면, 로크 바디에 구비된 스토퍼가 로크 바에 형성된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로크 바의 제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는 이그니션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스티어링 칼럼과 평행하게 배치된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끼워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스티어링 샤프트를 향해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로크 바와; 상기 로크 바에 형성된 스토퍼 홈에 삽입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간섭되는 스토퍼 핀과; 상기 스토퍼 핀과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1스토퍼 스프링과; 상기 로크 바를 감싸는 로크 바디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2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를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탄지하는 제2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 핀의 걸림턱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턱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토퍼 스프링은 상기 제1스토퍼의 걸림턱 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크 바디는 상기 로크 바디와 슬라이드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이 병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의 제거시 차량 도난 방지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는 이그니션 노브(50)와, 상기 이그니 션 노브(5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스티어링 칼럼(미도시)과 평행하게 배치된 캠 샤프트(미도시)와, 상기 캠 샤프트에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토록 끼워진 슬라이더(54)와, 상기 슬라이더(54)의 스티어링 칼럼 측 끝단에 고정되어 조향작용을 제한시키는 로크 바(56)와, 상기 슬라이더(54)의 캠 샤프트 측 끝단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54)를 스티어링 칼럼을 향해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더(54)와 캠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더(54)를 슬라이딩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스티어링 로크의 외관을 이루는 로크 바디(62)와, 상기 로크 바디(62)의 파손시 도난 방지를 위한 도난 방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크 바디(62)는 상기 로크 바디(62)에 외력 작용시, 상기 슬라이더(54)와 로크 바(56) 사이 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그에 상당하는 부분이 병목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로크 바디(62)에는 상기 슬라이더(54)와 로크 바(56)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병목 홈(62A)이 형성된다. 상기 병목 홈(62A)은 상기 슬라이더(54) 쪽에 위치된다.
상기 도난 방지 수단은 상기 로크 바(56)에 형성된 스토퍼 홈(56A)에 삽입된 제1스토퍼(70)와, 상기 제1스토퍼(70)와 상기 슬라이더(5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토퍼(70)와 간섭되는 스토퍼 핀(72)과, 상기 스토퍼 핀(72)과 제1스토퍼(70) 사이에 위치된 제1스토퍼 스프링(74)과, 상기 로크 바디(62)와 상기 제1스토퍼(70) 사이에 위치된 제2스토퍼(76)와, 상기 제2스토퍼(76)를 상기 제1스토퍼(70)를 향해 탄지하는 제2스토퍼 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70)는 상기 스토퍼 홈(56A)에서 상기 로크 바(56)의 두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홈(56A)보다 그 두께가 더 작다. 상기 제1스토퍼(70)는 상기 스토퍼 핀(72)의 걸림턱(72A)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턱 홈(70A)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핀(7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70)의 걸림턱 홈(70A)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토퍼(76)가 상기 스토퍼 홈(56A)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토퍼(70)가 제2스토퍼(76)를 받칠 수 있도록 지지되게 하는 걸림턱(72A)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토퍼 스프링(74)은 상기 제1스토퍼(70)의 걸림턱 홈(70A)에 삽입된다.
상기 제2스토퍼(76)는 상기 스토퍼 홈(56A)과 대응되도록 상기 로크 바디(62)에 형성된 제2스토퍼 홈(62B)에 삽입된다.
상기 제2스토퍼 스프링(78)은 상기 제2스토퍼 홈(62B)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의 도난방지수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70)는 상기 스토퍼 핀(7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스토퍼(76)가 상기 로크 바디(56)의 스토퍼 홈(56A)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스토퍼(76)를 지지하고 있는다. 따라서 상기 로크 바(56)가 상기 제2스토퍼(76)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54)와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하지만, 도난 방지 목적으로 상기 로크 바디(62)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기 로크 바디(62)의 병목 홈(62A) 부분이 파손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 바디(62)의 파손된 부분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54)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54)가 제거되면, 동시에 상기 제1스토퍼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핀(72)이 상기 제1스토퍼(70)로부터 튕겨 나가고, 상기 제2스토퍼 스프링(7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스토퍼(76)가 상기 제1스토퍼(70)를 밀면서 상기 로크 바(56)의 스토퍼 홈(56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 바(56)가 상기 제2스토퍼(76)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로크 바(56)가 제거되지 못한다. 따라서 로크 바디(62)가 파손되고, 상기 슬라이더(54)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로크 바(56)가 계속 스티어링 칼럼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도난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는 로크 바디가 파손되어 슬라이더가 제거되면, 이와 동시에 로크 바디에 결합된 제2스토퍼가 로크 바디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로크 바디와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 로크 바디의 제거 및 슬라이딩이 방지되어 차량 도난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그니션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스티어링 칼럼과 평행하게 배치된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끼워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스티어링 샤프트를 향해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선택적으로 물림되는 로크 바와; 상기 로크 바에 형성된 스토퍼 홈에 삽입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간섭되는 스토퍼 핀과; 상기 스토퍼 핀과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1스토퍼 스프링과; 상기 로크 바를 감싸는 로크 바디와 상기 제1스토퍼 사이에 위치된 제2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를 상기 제1스토퍼를 향해 탄지하는 제2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퍼 핀의 걸림턱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턱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 스프링은 상기 제1스토퍼의 걸림턱 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바디는 상기 로크 바디와 슬라이드 사이와 대응되는 부분이 병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KR1020060123256A 2006-12-06 2006-12-06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KR20080051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56A KR20080051696A (ko) 2006-12-06 2006-12-06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56A KR20080051696A (ko) 2006-12-06 2006-12-06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696A true KR20080051696A (ko) 2008-06-11

Family

ID=3980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256A KR20080051696A (ko) 2006-12-06 2006-12-06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ko)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ko)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55726A (ja) シリンダ錠装置
KR20090033799A (ko) 전동 스티어링 락 장치
JP555013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0225922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2054334A (ja) ラッチ・ボルト制止手段付きステアリング・コラム盗難防止装置
JP4490734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08050664A1 (fr) Dispositif de serrure à pêne blocage
US8176760B2 (en) Key interlock device for steering column lock device
JP48381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60257285A1 (en) Anti-the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KR20080051696A (ko)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JP4733449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KR20140093207A (ko) 스티어링 칼럼용 도난 방지 장치 및 관련 스티어링 칼럼
JP2008184079A (ja) 変速レバー機構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488177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53315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090027449A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JP4657837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733450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KR20040092179A (ko) 차량용 스티어링 로크
KR100591304B1 (ko)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
JP555156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56601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33451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