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478A -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478A
KR20080048478A KR1020087005821A KR20087005821A KR20080048478A KR 20080048478 A KR20080048478 A KR 20080048478A KR 1020087005821 A KR1020087005821 A KR 1020087005821A KR 20087005821 A KR20087005821 A KR 20087005821A KR 20080048478 A KR20080048478 A KR 2008004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terface device
opening
cross memb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018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브루나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8004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2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ventilation channels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5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the housing or parts thereof being integrated in other devices, e.g.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5Features of dashboards
    • B60K2360/658Dashboard parts used as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길이를 따라 채널(13)을 형성하는 단면 형상의 빔(12)을 포함하는 유형의 것이다. 전술한 채널은, 그것의 측면들 중 하나에 개구(14)가 설치되며, 단단한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덕트(15)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또한,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마우스에 의해 형성되며 약간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개구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 덕트의 개구는 상기 채널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 내의 개구의 마우스를 상기 크로스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공기 벤트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부재가,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14)를 통하여 연장되는 슬리브 형상의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7005821
대시보드, 크로스부재, 벤트, 덕트, 인터페이스 장치, 빔

Description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AERAULIC CROSSMEMB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부재는, 그 길이를 따라 채널을 형성하는 단면부재 형상의 빔(beam)을 포함하는 유형이며, 상기 채널은, 그것의 측면들 중 하나에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에 정렬 배치되는 마우스에 의해 형성되며 약간 더 작은 크기의 개구를 마찬가지로 구비하는 딱딱한 절연 물질의 덕트를 포함한다.
통풍 크로스부재는 차량들에서, 특히 대시보드 패널 크로스부재들(dashboard panel crossmembers)의 요소들로서, 찾아볼 수 있다.
차량의 강도와 관련된 그것들의 기능들에 더하여, 그것들은 에어컨 또는 히터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대시보드 패널에 배치되는 벤트(vent)들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그러한 공기의 흐름을 객실로 전달하기 위한 절연 물질의 덕트를 포함하며, 이때 그것의 온도 특성들은 유지된다.
상기 크로스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금속 튜브를 따라 직접 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은 이송되고 있는 공기로부터 상당량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유발한다. 따라서 그러한 금속 튜브를 금속만큼 전도성이 좋지 않은 물질과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풍 크로스부재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금속 크로스부재 내에 배치 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통풍 덕트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재질의 통풍 크로스부재가 제작될 수 있는 다수의 기술들이 있다.
첫 번째 기술에서는, 상기 내부 덕트가 관형의 금속 크로스부재 내에서 플라스틱 물질로 오버몰딩된다(overmolded). 이러한 기술은 개발하기 복잡하다.
두 번째 기술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덕트가 상기 채널 내로 삽입된다.
첫 번째 변형에서, 상기 덕트는, 그것의 제조 도중, 예를 들어 그것이 상호 끼워맞춰지는 두 개의 금속성 반쪽 쉘들로부터 제조될 때, 상기 채널 내로 삽입된다. 그러한 환경들 하에서, 상기 덕트는, 통상적으로 상기 벤트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두 번째 변형에서, 상기 금속 빔이 우선 제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의 존을 구비한다.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관형 채널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크로스부재 내로 도입되며, 결과적으로 그것은 어떠한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세 번째 변형에서, 상기 통풍 크로스부재는, 크로스부재의 단면이 6-형상 또는 8-형상을 형성하도록, 금속 시트(sheet)를 접음으로써 제조된다. 폐쇄 영역은, 또는 8-형상에서의 폐쇄 영역들 중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의 덕트가 슬라이딩에 의해 도입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더욱이, 6-형상의 단면 부재의 상부는 또한, 그것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관형의 영역으로 고려되며, 그것은 또한 가스의 채널링(channeling)을 위한 절연 물질의 덕트를 포함한다.
벤트를 위해 제공되는 위치에서, 개구는 채널에 그리고 또한 덕트에 형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두 개의 전술한 변형 제조 기술들에서, 덕트의 개구는 채널 내에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통풍 구속들을 충족하면서 상기 덕트를 상기 벤트에 연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부재는, 빔의 길이를 따라 채널을 형성하는 단면 부재 형상의 빔을 포함하는 유형이며, 상기 채널은, 그것의 측면들 중 하나에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와 정렬 배치되는 마우스에 의해 형성되고 약간 더 작은 크기의 개구를 마찬가지로 구비하는 단단한 절연 물질의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개구의 상기 마우스를 상기 크로스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벤트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슬리브 형상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ㆍ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덕트의 상기 마우스를 클램핑하기 위한 두 개의 립들을 갖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ㆍ 상기 립들은 비작동 상태일 때 상기 마우스의 벽의 두께보다 덜 이격된다;
ㆍ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것의 외측면 상에, 상기 채널의 상기 외측면을 대향 지지하는 숄더를 포함한다;
ㆍ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것의 외측면 상에, 상기 채널의 내측면을 대향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클립-고정 텅들을 포함한다;
ㆍ 상기 숄더 및 상기 클립-고정 텅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채널을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의 모서리를 클랩핑한다;
ㆍ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벤트 사이의 실링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변형 가능한 물질의 외측 개스킷을 포함한다;
ㆍ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5 mm 내지 20 mm 사이의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써 주어진 그리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작성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풍 크로스부재를 그것의 인터페이스 장치와 함께 포함하는, 그리고 벤트를 포함하는, 차량 대시보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부재의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로스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크로스부재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크로스부재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비동작 상태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크로스부재 상에 위치된 경우 도 6a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대시보드 패널(1; dashboard panel)은, 차량을 위한 구조적 기능 즉, 차량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것을 수행하는 통풍 크로스부재(2; ventilation crossmember)를 포함한다. 그것은 또한 공기를 차량의 승객들에게 이송하기에 적합하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것은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 또는 에어백 안전 장치와 같은 몇몇 부품들을 지지한다.
상기 대시보드 패널(1)은 통풍 크로스부재(2)에 지지되는 커버(3)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3)는 대시보드 패널의 외측 형상을 형성하며 그것은 몇몇 부재들을 지지한다. 특히, 그것은 통풍 크로스부재(2)로부터 객실의 내부로 공기를 나르기 위해 커버(3)를 통과하는 벤트들(4; vents)을 지지한다.
상기 벤트(4)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커버(3)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동하는 플랩(7; flap)이 끼워맞춰지는 네크(6; neck)에 의해 통풍 크로스부재(2)를 향해 커버(3) 뒤쪽으로 연장되는, 그릴(5; grille)을 포함한다. 상기 네크(6)는 대략 관형의 덕트에 의해 구성되며 외측으로 향하는 연결 칼라(8)를 구비한다.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2)는, 도 2를 참조하면, 채널(13)을 형성하는 단면 부재 형상의 빔(12; beam)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채널은 그것의 측면들 중 하나에 개구(14)를 구비한다.
그것은, 채널 내의 개구에 위치하며 약간 더 작은 크기의 개구를 또한 구비하는, 단단한 절연 물질의 덕트(15)를 포함한다.
상기 통풍 크로스부재는 또한 슬리브 형상의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상기 채널의 개구(14)에 위치한다.
상기 벤트(4)는 상기 칼라(8)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에 결합된다.
상기 덕트(15)의 개구는, 도 3, 4, 5, 6a 및 6b를 참조하면, 고리 형상의 마우스(18; mouth)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화살표(P)에 의해 주어진 방향에 대해 앞쪽에 위치한 그것의 표면 상에, 상기 덕트의 마우스(18)를 클램핑하는 두 개의 립(20, 21; lip)을 갖는 개스킷(19; gasket)을 포함한다. 상기 립들(20, 21)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립들(20, 21)은, 비작동일 때 즉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가 상기 마우스(18)에 결합되지 않을 때의 상기 립들(20, 21) 사이의 최소 공간보다 더 큰 폭의 바닥(23)을 갖는 그루브(22; groove)를 형성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또한, 그것의 외측면(24) 상에서, 복수의 클립-고정 텅(26; clip-fastener tongue)과 더불어 숄더(25)를 갖는다.
클립-고정 텅(26)을 포함하는 영역들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측면(24)과 상기 채널(13)의 개구(14)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가 비작동일 때의 텅들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외측 표면(24)이 배치되며, 그리하여 상기 클립-고정 텅들은 상기 채널(13)의 내측면에 대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화살표(P)에 의해 주어지는 방향에 대해 뒷쪽에 있는 그것의 표면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인터페이스 장치(16)와 벤트(4) 사이의 실링을 제공하기 위해, 벤트의 네크의 칼라 (8)의 외측 영역의 형상과 유사한 변형 가능한 물질의 개스킷(27)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의 축방향 길이, 즉 그것의 화살표(P)의 축을 따르는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0 mm의 범위에 있다.
조립 도중,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화살표(P) 방향으로 채널의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18)의 벽의 두께보다 덜 이격된 상기 립들(20, 21)은 상기 마우스(18)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 효과 하에서 벌려지게 된다. 립들이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기 때문에, 그것들은 칼라(8) 쪽으로 가깝게 죄어지며, 그리하여 상기 덕트(15)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 사이의 실링을 제공한다.
상기 클립-고정 텅들(26)은, 그것들이 상기 개구의 모서리를 지나갈 때 후퇴됨으로써, 상기 채널(13)의 개구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숄더(25)가 상기 채널(13)의 외측면에 대향 지지할 때까지, 눌려진다. 그 순간에, 상기 클립-고정 텅들(26)은 상기 채널(13) 내에 배치되며, 그것들은 그것들의 비작동 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채널(13)에서의 개구의 모서리는 그리하여 상기 숄더(25)와 상기 클립-고정 텅들(26)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를 상기 빔(12)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 이 가능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가 또한 상기 립 개스킷(19)을 통하여 상기 덕트(15)에 또한 고정됨으로 인하여, 상기 덕트(15)를 상기 빔(12)에 바람직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개스킷(27)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인터페이스 장치(16)의 후면이 아니라, 상기 네크(6)의 칼라(8)에 부착된다. 그리하여 상기 벤트(4)는 가압되는 상기 개스킷(27)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에 연결된다.

Claims (9)

  1.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부재는, 빔의 길이를 따라 채널(13)을 형성하는 단면 부재 형상의 상기 빔(12)을 포함하는 유형이며,
    상기 채널은, 그것의 측면들 중 하나에 개구(14)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와 정렬 배치되는 마우스(18)에 의해 형성되고 약간 더 작은 크기의 개구를 마찬가지로 구비하는 단단한 절연 물질의 덕트(15)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부재(2)는, 상기 덕트의 상기 개구의 상기 마우스(18)를 상기 크로스부재(2)의 외측에 배치된 벤트(17)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14)를 통과하는 슬리브 형상의 인터페이스 장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상기 덕트의 상기 마우스(18)를 클램핑하기 위한 두 개의 립들(20, 21)을 갖는 개스킷(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립들(20, 21)은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18)의 벽의 두께보다 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그것의 외측면(24) 상에, 상기 채널의 상기 외측면을 대향 지지하는 숄더(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그것의 외측면(24) 상에, 상기 채널의 내측면을 대향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클림-고정 텅들(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25) 및 상기 클립-고정 텅들(26)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가 상기 채널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채널(13)의 상기 개구의 모서리를 클랩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6)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벤트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변형 가능한 물질의 외측 개스킷(27)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5 mm 내지 20 mm 사이의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로스부재;
    상기 크로스부재(2)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3); 및
    상기 커버(3)를 통과하며 상기 통풍 크로스부재(2)에 연결되는 벤트(4);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시보드 패널.
KR1020087005821A 2005-08-31 2006-08-16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KR101379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8941 2005-08-31
FR0508941A FR2890029B1 (fr) 2005-08-31 2005-08-31 Traverse ae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2006/001950 WO2007026063A1 (fr) 2005-08-31 2006-08-16 Traverse ae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478A true KR20080048478A (ko) 2008-06-02
KR101379018B1 KR101379018B1 (ko) 2014-03-28

Family

ID=363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821A KR101379018B1 (ko) 2005-08-31 2006-08-16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99211B2 (ko)
EP (1) EP1919724B1 (ko)
KR (1) KR101379018B1 (ko)
AT (1) ATE542691T1 (ko)
ES (1) ES2380490T3 (ko)
FR (1) FR2890029B1 (ko)
WO (1) WO2007026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1684A1 (de) * 2002-03-15 2003-10-16 Johnson Contr Interiors Gmbh Dichtungselement
US8107238B2 (en) 2005-09-19 2012-01-31 Chatsworth Products, Inc. Ducted exhaust equipment enclosure
US7804685B2 (en) 2005-09-19 2010-09-28 Chatsworth Products, Inc. Ducted exhaust equipment enclosure
DE102006037303A1 (de) * 2006-08-08 2008-02-14 Behr Gmbh & Co. Kg Bauteil für einen Träger eines Fahrzeugs
US8109812B2 (en) * 2007-12-14 2012-02-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tor vehicle instrument panel assembly having a conduit with a gasket support lip
NZ592064A (en) 2008-12-10 2014-05-30 Resmed Ltd Headgear for masks
DE102011100687A1 (de) * 2011-05-06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Instrumententafelanordnung
US20160229257A1 (en) * 2015-02-10 2016-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nd vehicle cabin air extraction system
JP6684999B2 (ja) * 2016-08-30 2020-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電装置付送風装置
JP6958388B2 (ja) * 2018-01-27 2021-11-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611Y2 (ko) * 1978-03-29 1982-06-16
DE3500358A1 (de) * 1985-01-08 1986-07-1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Mit einem faltenbalgabschnitt versehene schlauchverbindung
DE4232847A1 (de) * 1992-09-30 1994-03-31 Audi Ag Armaturenbrett für ein Kraftfahrzeug
JPH0678017U (ja) * 1993-04-16 1994-11-01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排気用ダクトのシール構造
US5364159A (en) * 1993-06-15 1994-11-15 Davidson Textron Inc. Structural instrument panel carrier assembly
FR2725404B1 (fr) * 1994-10-06 1996-11-15 Peugeot Circuit de repartition d'air, notamment pour la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US5503178A (en) * 1994-11-18 1996-04-02 Trw, Inc. Pressure relief valve, airbag deployment
US5538293A (en) * 1994-11-18 1996-07-23 Thinking Vents, Inc. Secondary duc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forced air ventilation system
JPH1044762A (ja) * 1996-08-01 1998-02-17 Inoac Corp リィンフォースバーを有する乗用車
DE19703519C1 (de) * 1997-01-31 1998-04-16 Daimler Benz Ag Klimagehäuse für eine Klimaanlage für Fahrzeuge
FR2789043B1 (fr) * 1999-01-29 2001-06-08 Valeo Climatisation Poutre transversale de support d'une planche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a conduit d'air integre
DE10005718A1 (de) * 2000-02-09 2001-08-16 Volkswagen Ag Zugleich als Strömungsmittelleitug dienender Hohlträger
JP2002087047A (ja) * 2000-07-14 2002-03-26 Denso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JP2003112516A (ja) * 2001-10-04 2003-04-15 Denso Corp 車両用ダクト構造
FR2831489B1 (fr) * 2001-10-31 2004-05-28 Sai Automotive Allibert Ind Procede pour realiser deux planches de bord utilisant deux structures aerauliques
JP3952913B2 (ja) * 2002-09-05 2007-08-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ダクト接続構造
FR2845947B1 (fr) * 2002-10-18 2006-02-10 Renault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air
DE102004029910B3 (de) * 2004-06-21 2006-02-09 J. Eberspächer GmbH & Co. KG Anschlussrohr, insbesondere für ein Luftführungssystem in einem Fahrzeug
DE102004032950A1 (de) * 2004-07-07 2006-01-26 Beh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insbesondere eines Querträgers für ein Fahrzeug und Bauteil sowie Verwendung eines Bauteils
US7022008B1 (en) * 2005-01-06 2006-04-0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ir duct seal for HVAC case
EP1685989A3 (en) * 2005-01-26 2007-05-02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irflow distribution structure of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9211B2 (en) 2016-11-22
FR2890029B1 (fr) 2007-11-30
FR2890029A1 (fr) 2007-03-02
EP1919724A1 (fr) 2008-05-14
WO2007026063A1 (fr) 2007-03-08
KR101379018B1 (ko) 2014-03-28
EP1919724B1 (fr) 2012-01-25
ATE542691T1 (de) 2012-02-15
ES2380490T3 (es) 2012-05-14
US20080217963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018B1 (ko) 차량용 통풍 크로스부재
JP4976029B2 (ja) 防火壁のための改善されたガスケットをもつ自動車用空気処理アセンブリ
EP1483125B1 (en) Headliner ventilation system with headliner air duct integrated with pillar air duct
WO2014013851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2009101991A (ja) 通気装置
US7044537B2 (en) Air duct assembly
US11052875B2 (en) Defrost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597943B2 (en) Swing arc HVAC duct
JP6187033B2 (ja) センターコンソール構造
JP390039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AU2008222167B2 (en) Defroster nozzle
US20200130458A1 (en) Apparatus allowing wider range of distribution of air from a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 a motor vehicle
JP2006038322A (ja) ダクトおよびダクト連結構造
US20090188329A1 (en) In-Molded Venturi for a Vehicle HVAC System
JP6546470B2 (ja) 空調ダクトの接続構造
JP4281699B2 (ja) 車両用ヒーターダクト構造
KR20000023356A (ko) 디프로스터덕트의 설치구조
US20120289140A1 (en) Air outlet for ventilating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US10086680B2 (en) Integrated sunroof drainage conduit
JP4378588B2 (ja) 空気案内ダクト
JP2002154314A (ja) 空調用ダクトの接続構造
CN115520142A (zh) 侧除霜器的排气口结构
CN217048185U (zh) 风道结构、空调系统及车辆
US8109812B2 (en) Motor vehicle instrument panel assembly having a conduit with a gasket support lip
JP5601491B2 (ja) カバー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