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636A -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병 - Google Patents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636A
KR20080046636A KR1020087003741A KR20087003741A KR20080046636A KR 20080046636 A KR20080046636 A KR 20080046636A KR 1020087003741 A KR1020087003741 A KR 1020087003741A KR 20087003741 A KR20087003741 A KR 20087003741A KR 20080046636 A KR20080046636 A KR 2008004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p
bottles
bottle
polypropylen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739B1 (ko
Inventor
존 에스. 트렌트
프란시스 제이. 랜달
테리 엠. 코바라
제임스 제이 런켈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10T428/1383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is sandwiched between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7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방향 조성물, 특히 방향유들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는 용기를 위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병들이 기술된다. 상기 mPP 병들은 그 내부의 상기 향기를 서방 분배하기 위한 온열기유닛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병들은 압출취입성형, 사출취입성형, 사출성형, 사출신장취입성형(단식 또는 복식) 또는 다른 적절한 성형 공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mPP 병들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벽코팅층 및/또는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mPP 병들은 선택적으로 불화처리될 수 있다. 상기 mPP 병들은 양호한 투명성을 가지며, 상기 병들이 생산라인에서 충진될 때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들을 갖는다.
향기, 방향유, 폴리프로필렌, 지글러-나타, 메탈로센, 촉매, 불화처리, 장벽코팅

Description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 병 {BOTTLES MADE FROM METALLOCENE POLYPROPYLENE FOR DELIVERY OF FRAGRANCES}
본 발명은 방향-함유 조성물, 특히 방향유를 저장 및 분배시키는 용기들로 사용하기 위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PP)으로 만들어진 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병은 방향(fragrance)의 서방 분배, 특히 전기 또는 배터리 구동의 온열기유닛(warmer unit)들에 사용하기 위한 분배유닛(dispensing unit)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취입성형(blow-molded) 연질 용기, 사출성형 중공 본체, 필름, 코팅 및 시트(sheet)들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방향 용기(frgrance container)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윈켈스(Winckels)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209566 A1호가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젤 또는 크림 화장품용의 포장 제품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포장 제품은 연질 용기 또는 포트(pot) 및 상기 포트 주변의 견고한 캐스팅(casting ; 주조물)을 갖는다. 상기 연질 용기는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프로필렌이 될 수 있다. 상기 견고한 구조물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윈켈스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183639 A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젤 또는 크림 화장품 제품을 위한 다부품의 변형가능한 용기를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용기의 상기 변형가능한 부품은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엑스타인(Eckstein)과 그의 동료들의 미합중국 특허 제6,645,641 B2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필름, 시트, 리드 스톡(lid stock), 파우치, 튜브 및 주머니 등과 같은 포장 구조체들을 만드는 데 유용한 중합체성 물질들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구조체는 단층 구조체 또는 다층 구조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층들은 메탈로센 등과 같은 단일 활성점 촉매(single site catalyst)로 촉매화된 프로필렌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기술되어 있는 상기 분배용기(dispensing container)들은 절첩될 수 있는 것이다.
윈켈스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45668 A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겔 또는 크림 화장품 제품들을 포장하기 위한 포트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포트는 2개의 분배구멍들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품이 풀(paste)과 같은 농도를 가지며, 중력에 의해 흐르지 않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벽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가능한 벽은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쉬람(Schram)과 그의 동료들의 미합중국 특허 제6,786,427 B2호가 또한 선행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무화기(atmizer) 장치 내에서 분산되어야 할 액체들을 담고 있는 교체가능한 액체저장기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저장기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경질 플라스틱으로 주조된 병이 될 수 있다.
그래스메더(Grasmeder)와 그의 동료들의 미합중국 특허 제6,537,478 B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여러 물품들을 사출성형하는 데 유용한, 메탈로센 촉매작용에 의해 수득된 프로필렌의 중합체를 기술하고 있다.
듀나웨이(Dunaway)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152842 A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폴리올레핀 혼합 조성물 및 예를 들어 취입성형 병 등과 같이 그로부터 생산된 제품들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중합체 혼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및 메탈로센-생성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임의의 적절한 촉매, 예를 들면, 지글러-나타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중합과정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상기 중합체 혼합물로 만들어지는 취입성형된 용기의 예들에는 세제병(detergent bottle), 무알콜음료병, 단지(jar) 및 저장용 드럼들이 있다. 다른 물품들로는 필름, 코팅 및 연포장(flexible packaging)들이 포함된다.
프릿츠(Fritze)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094468 A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결빙저항성 정수필터(freeze resistant water filter)를 기술하고 있다. 필터카트릿지 구조물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경질 폴리올레핀 중합체들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들 중합체들은 결빙 온도범위 내에서 부서지기 쉽게 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은 메탈로센 폴리 프로필렌 등과 같이 증가된 탄성의 폴리올레핀 중합체로 만들어진다.
구루무스(Gurumus)와 그의 동료들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077394 A1호가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메탈로센 촉매와 특정의 입체장애된 아민 광안정제 시스템 상에서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591,395호, 동 제5,647,053호, 동 제5,903,710호, 동 제5,909,845호, 동 제5,976,503호 및 동 제6,123,935호들이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공기정화기 장치들을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5,591,395호를 제외한 특허들 각각은 상기 장치의 용기 또는 하우징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14,915호, 동 제4,411,829호 및 동 제4,434,306호들이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방향 오일 조성물들을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6,727,332 B2호,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044106 A1호 및유럽 특허 출원 제1 422 249 A1호, 동 제0 537 130 A1호 동 제1 169 356 B1호 및 동 제1 189 985 B1호들이 또한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방향-함유 조성물, 특히 방향유를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용기에 유용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PP)으로 만들어진 병을 포함한다. 상기 mPP로 만들어진 병은 특히 방향의 서방 분배, 특히 전기 또는 배터리 구동의 온열기유닛들에 사용하기 위한 분배유닛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mPP로 만들어지며, 방향유를 보유하며, 분배유닛 내로 삽입되는 병에 관한 것이며, 상기 분배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가정용 전기콘센트(wall outlet), 자동차 파워잭(car power jack), 건전지 등과 같은 전원들에 연결되는 온열기유닛이다. 방향유가 여러 중합체 구조체들 내로 침투되고 그리고 중합체를 파괴하여 누출의 결과를 가져오며, 누출은 제품의 손실 및 인접하는 주변 물질들에 손상을 줄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mPP병은 특히 방향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담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병은 경질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메탈로센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생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들은 지글러-나타 다중 활성점 촉매로부터 생산되었다. 상기 mPP병은 취입성형, 사출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성형방법에 의해 생산된다. 상기 mPP병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벽코팅층 및/또는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벽코팅층들은 상기 병의 몸체의 내부 및/또는 외부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내부벽 및 외부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경질 병은 중량손실 시험에서 예기치 못할 정도로 양호한 결과들을 나타내었고, 양호한 투명성과 상기 병이 생산라인에서 충진될 때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들을 갖는다.
도면들 및 수반되는 상세한 설명들을 참고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관점들, 장점들 및 잇점들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그리고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방향손실율(만다린)에 대한 플라스틱 병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여러 폴리프로필렌 병들에서의 향기(하와이안 브리즈)에 대한 중량손실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3은 50℃에서의 하와이안 브리즈 향기의 중량손실에 대한 서로 다른 플라스틱으로 된 병들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4는 50℃에서의 만다린 향기의 중량손실에 대한 서로 다른 조건들 하에서의 여러 병들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그 내부에 심지의 존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병의 하나의 실시예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mPP수지로 만들어지고, 병의 내부 및 외부 상에 장벽코팅을 갖는 본 발명의 하나의 병을 나타낸다.
도 8은 병 물질과 장벽코팅 사이에 접착층을 갖는 본 발명의 하나의 병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방향-함유 조성물, 특히 방향유를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용기에 유용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PP)으로 만들어진 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향-함유 조성물은 주변 대기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담체(예를 들면, 물, 알코올 등) 또는 활성성분(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살균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방향유를 보유하는 mPP 병에 관한 것이다. 방향유들이 저장병을 이루는 중합체 내로 침투하고, 그 중합체를 파괴하여 누출의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방향유는 특히 장기간의 저장 및 분배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누출은 제품의 손실 및 주변 표면들 또는 물질들의 손상으로 인하여 필수적으로 해로운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병은 경질의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 향기의 서방 분배를 제공하기 위한 분배유닛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메탈로센 단일 활성점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들은 지글러-나타 다중 활성점 촉매로부터 생산되었다. 상기 mPP병은 취입성형, 사출성형 또는 이하에서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적절한 수단들에 의해 생산된다. 상기 mPP병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벽코팅층 및/또는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 병은 방향유에 대한 유리한 저장 및 가정용 전기콘센트, 배터리 등과 같은 적절한 전원에의 연결로 서방 분배를 제공하는 온열기 분배유닛 내로 삽입되는 데에의 사용을 예기치 못하게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상기 mPP 수지 병은 향기들의 연장된 저장을 요구하는 목적하는 다른 경질의 용기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한 목적들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의 실시예들의 관점을 위하여, 방향유를 저장하고 그리고 분배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mPP 병이 본 명세서에서 더욱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mPP 병은 중량손실 시험에서의 양호한 결과들, 그의 양호한 투명성 및 상기 병이 생산라인에서 충진될 때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들의 소유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방향유들에 대한 저장 및 분배용기로 되는 것에 대해 예기치 못한 잇점들을 제공한다. 이들 제품들 및 특징들을 이하에서 상술한다.
지글러-나타 다중 활성점 촉매로부터 만들어지는 전통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ZNPP) 대신에 메탈로센 단일 활성점 촉매로부터 만들어지는 상기 mPP 수지가 저장 및 분배용으로의 방향유들을 보유하는 경질의 병을 제조하는데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mPP 수지로 만들어진 병은 니트릴고무 상에 합체된 아크릴로니트릴(AN)-메틸아크릴레이트(MA) 공중합체들인 바렉스® 210 및 218 등과 같은 보다 가격이 저렴한 수지들로부터 만들어진 방향유용의 현재의 병을 대체할 수 있다.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다우 케미칼(Dow Chemical), 엑손모빌(ExxonMobil), 바셀(Basell) 및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Total Petrochemicals USA, Inc.)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공급업자들에 의해 생산된다. 상기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된 상기 mPP 수지가 이하에서 기술되는 소정의 분자량 및 용융유동지수(melt flow)를 가지며 따라서 자동화된 생산에 특히 적절하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생산된 토탈 엠3282엠지(Total M3282MZ) 수지를 사용하는 사출취입성형(injection blow molding ; IBM) 공정 및/또는 압출취입성형(extrusion blow molding ; EBM) 공정에 의하여 mPP 병이 제조된다. 중량손실 시험에서 예기치 못하게 양호하게 수행된 이들 mPP 병은 양호한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생산라인 상에서 향기를 갖는 방향유들로 병을 채울 때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즉, 용기적재강도(top load strength), 굴곡탄성강도(flexural modulus strength) 및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들을 보유한다.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대체로 극히 낮은 수준의 추출가능물(extractables)을 갖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mPP 수지의 상기 분자량은 대체로 상기 수지의 용융유동지수에 의해 측정된다. 특히, 상기 mPP 수지의 분자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mPP 수지의 상기 용융유동지수가 변한다. 특히, 상기 mPP 수지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mPP 수지의 상기 용융유동지수는 감소하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PP 수지는 압출취입성형에 대하여는 1 내지 10g/분, 그리고 사출취입성형에 대하여는 1 내지 40g/분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의 상기 용융유동지수는 모든 형태의 취입성형공정들에 대하여 0.5 내지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g/10분,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g/10분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 병은 취입성형, 사출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성형 공정(즉, 단식 또는 복식의 사출신장취입성형(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 ISBM) 공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압출취입성형에 대하여는, 0.5 내지 5g/10분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mPP 수지가 바람직하다. 사출취입성형에 대 하여는, 1 내지 20g/10분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mPP 수지가 상기 mPP 수지의 요구되는 강도 및 증가된 장벽특성들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성능의 개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mPP 병은 성형의 방법을 고려하지 않은 시험에 대하여 동일한 소정의 특성들 및 동일한 데이터 결과들을 나타낸다. 임의의 통상적인 성형 방법들이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 병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어 소정의 결과들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이 원래 흐릿하며 투명화제(clarifying agent) 또는 핵화제(nucleating agent)의 첨가가 상기 수지의 투명도와 견고함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제조 동안에 폴리프로필렌에 통상적으로 투명화제 또는 핵화제가 첨가된다. 투명화제 또는 핵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매우 소량으로 첨가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 속도의 증가를 야기시켜 그 형성된 결정 구조들, 소위 스페룰라이트가 핵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unnucleated polypropylene) 보다 더 작아지고 더 많은 수가 되도록 변화되도록 한다. 감소된 스페룰라이트 크기로 인하여 투명도가 강화되며, 이는 빛이 상기 물질을 통하여 통과함에 따라 빛의 산란을 감소시킨다.
제조업자들이 현재 투명화제를 첨가하고 그리고 관심의 대상이 되는 범위의 용융유동지수 내의 핵화제로 만들어진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mPP 수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화된 mPP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시험에 사용되어 본 발명의 잇점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mPP 수지는, 필요한 경우, 동일한 물리적 강도 및 장벽특성 결과들을 제공하기는 하나 낮은 투명도를 갖는, 투명화제 또는 핵화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PP 수지 병들은 mPP 단독으로 만들어진다. 이들 병들 내의 mPP 단독으로 적절한 장벽특성들을 제공된다는 결과들이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병들은 병의 내부벽 및/또는 외부벽 상에 하나의 층으로서 선택적으로 장벽코팅을 가져 특정의 방향유의 속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장벽 장벽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장벽 특성들을 강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들 강화된 장벽 특성들에는 50℃ 이상의 사용/저장 온도를 갖는 것, 상기 병으로부터 향기/조성물의 투과를 방지하는 것, 상기 병 내로 산소 투과를 방지하는 것 그리고 대기로부터 병 내로의 물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와 비교하여, 바렉스® 등과 같은 다른 수지들 또한 양호한 장벽 특성들을 제공하기는 하나, 고가이다. 특정의 수지들 또한 물질을 통한 향기 및/또는 산소의 투과 또는 물리적 특성들의 빠른 악화(즉, 환경 스트레스 균열 발생(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issues))으로 인하여 방향유를 보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다른 불리한 점들/문제점들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PP 수지 병들은 병의 벽들 상에 접착층과 같이 장벽코팅을 상기 mPP 병에 결합시키기 위한 박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mPP 병들은 장벽코팅층이 있거나 또는 없이도 강화된 장벽 특성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mPP 병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mPP 병의 내부벽 또는 외부벽 상에 장벽코팅을 갖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mPP 병들은 용제의 사용 및 상기 용제의 제거를 포함하는 장벽코팅의 적용을 위한 특별한 코팅절차들을 사용함이 없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mPP 병들은 선택적으로 접착층이 있거나 또는 없이도 장벽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mPP 수지 병들은 제품의 투과 및 그에 따른 제품의 손실을 방지하고, 특정의 향기 성분들의 원치 않는 산화를 일으키는 상기 병 내로의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병 내로의 물의 침투로 인한 중량증가를 방지하는 것과 같은 강화된 장벽특성들을 제공한다. 상기 mPP 병들의 부가적인 강화된 장벽 특성들에는 양호한 투명성 및 방향유의 분배를 위한 병들의 소정의 물리적 특성들이 포함된다. 이들 소정의 물리적 특성들에는 증가된 용기적재강도, 굴곡탄성강도 및 내충격성들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PP 병들은 또한 불소가스에의 노출에 의하는 것과 같이 불화처리될 수 있다. 불화처리는 향기 투과에 대한 장벽 특성들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불화처리는 산소 투과를 뚜렷하게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불화처리는 상기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술된다.
앞서 상술되고 그리고 이하에서 규정되는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상기 mPP 수지 병들의 성분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성분들(화학명 및 관용명/상품명) 및 함량, 각 성분의 형태 및 기능을 포함한다.
중량% 관용명 또는 상품명 화학명 형태 기능
100 내지 51% 토탈 엠3282엠지 청정화제를 갖는 메탈로센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병 물질
0 내지 100% 바렉스® 210 또는 218 니트릴고무 상에 합체된 아크릴로니트릴(AN)-메틸아크릴레이트(MA) 공중합체 중합체 병 물질에 대한 장벽코팅
0 내지 5% 불화처리 불소 표면개질제 mPP 병에 대한 장벽코팅
0 내지 10% 팬(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표면개질제 mPP 병에 대한 장벽코팅
0 내지 1% 이스트만® 접착촉진제 550-1 표면개질제 mPP 병 코팅을 위한 접착층
0 내지 10% 나일론 6 또는 66 폴리아미드 표면개질제 mPP 병에 대한 장벽코팅
0 내지 10% PET, PTT, PCT, PEN, PETG, PCTG 또는 PCTA 폴리에스터(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 표면개질제 mPP 병에 대한 장벽코팅
0 내지 10% PVDC 또는 PVC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폴리염화비닐 표면개질제 mPP 병에 대한 장벽코팅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형태의 향기들에 노출되었을 때 mPP와 ZNPP 중합체들 사이에서의 놀라운 성능 차이들이 기술된다.
실시예 1 - 팽윤시험들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방향유 성분들에 대한 메탈로센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대 지글러-나타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의 화학적 저항성
여러 향기들을 조성하는 데 전형적으로 사용되어 온 40가지 향기성분들의 시료들을 함유하는 바이알(vial)들 내에 평량한 2가지 폴리프로필렌들 즉 (1) 토탈 엠3282엠지(투명화된 mPP 수지) 및 (2) 토탈 엔오3112-2(NO3112-2 ; NA21 핵화된 지글러-나타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이하에서는 지엔-알씨피피(ZN-RCPP)로 표시함)들을 위치시켰다. 이들 폴리프로필렌 수지들 두 가지 모두는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공급되었다. 모든 시료들을 85℉(29.4℃)의 환경챔버(environmental chamber) 내에 2주 동안 위치시켰다가 꺼내고, 종이수건(paper towel)로 건조시키고 그리고 평량하였다. 중량이득(weight gain)들을 계산하고, 그 결과들을 하기 표 2(85℃에서의 침적에 의한 2주 후의 폴리프로필렌 시료들의 %중량이득 : mPP 대 ZNPP)에 나타내었다.
시료 향기성분 엠3282엠지 지엔-알씨피피
%팽윤 주의 %팽윤 주의
1 알데히드 엠엔에이 1.27% 5.74%
2 알릴아밀글리콜레이트 1.37% 3.19%
3 애플리날 0.62% 1.41%
4 벤질아세테이트 엑스트라 1.92% 2.57%
5 벤질알코올 0.60% 0.50%
6 벤질프로피오네이트 2.59% 3.53%
7 캠퍼 화이트 5.04% 변형됨 14.52% 변형됨
8 카비톨 0.62% 0.60%
9 시네올 1.37% 15.29% 변형됨
10 시트롤레롤 0.56% 0.79%
11 클로버엽유 1.31% 2.32%
12 시클라멘 알데히드 0.88% 2.07%
13 디에틸말로네이트 1.22% 0.92%
14 디히드로미르세놀 5.27% 0.77%
15 도우 디피엠 0.78% 0.78%
16 유칼립투스 오일 2.02% 14.02% 변형됨
17 개량된 유제네올 0.86% 1.83%
18 플로로시클렌 1.53% 4.47% 변형됨
19 제라니올 0.69% 0.36%
20 제라닐 아세테이트 2.03% 4.64%
21 포도오일 12.07% 12.55% 변형됨
22 헥실 아세테이트 7.78% 6.75% 변형됨
23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 1.14% 1.43%
24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0.87% 2.31%
25 자스마실렌 1.36% 3.84% 변형됨
26 라반딘오일 0.99% 2.05%
27 라벤더오일 1.23% 3.57% 변형됨
28 리구스트랄 2.27% 8.02%
29 릴리알 0.61% 1.06%
30 리날룰 0.69% 1.68%
31 리날릴 아세테이트 0.75% 2.36%
32 오렌지 플로리다 12.00% 변형됨 13.42% 변형됨
33 오렌지 테르펜 10.94% 변형됨 13.72% 변형됨
34 오르톨레이트 0.48% 1.94%
35 페퍼민트오일 1.04% 6.02% 변형됨
36 페닐에탄올 0.52% 0.13%
37 피티비씨에이취에이 1.04% 3.32% 변형됨
38 테르피네올 알파 0.92% 1.16%
39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1.28% 3.04% 변형됨
40 알릴 헵타노에이트 6.63% 7.0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엠3282엠지 mPP 수지에 의한 중량이득들은 지엔-알씨피피 수지에 비해 전체적으로 명백하게 낮았다. 표 2는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료의 물리적 변형이 어디에서 일어나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두 폴리프로필렌 형태의 시료들에 대한 포도오일(grapefruit oil), 오렌지 테르펜(orange terpenes) 및 오렌지 플로리다(orange florida)들에 대해서 10% 이상의 중량이득이 관찰되었다. 포도오일, 오렌지 테르펜 및 오렌지 플로리다들은 모두 높은 수준의 디-리모넨(D-limonene)(포도오일 90%, 오렌지 테르펜 94%)을 높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폴리프로필렌에 가용성이다. 게다가, 캠퍼 화이트(camphor white), 시네올(cineo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들에 노출된 상기 지엔-알씨피피 시료들에 대해서 또한 10% 이상의 중량이득이 관찰되었다. 캠퍼는 175℃의 용융점의 고체이고, 화이트 캠퍼 오일은 시네올, 캠퍼(camphor), 보르네올(borneol), 캠펜(camphene), 멘톨(menthol), 보르네올, 피넨(pinene) 및 디펜텐(dipentene)을 포함한다. 디펜텐은 디(D) 및 엘(L)의 광학적 이성질체 둘 다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화학적으로 리모넨과 동일하다. 따라서, 팽윤은 아마도 상기 디펜텐 및 피넨 함량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70 내지 80%의 시네올이나, 또한 캠펜, 시트로넬랄, 펜첸(fenchene) 및 펠랄드렌(phellandrene)을 포함한다. 시네올과 유칼립투스 오일 둘 다 폴리프로필렌을 팽윤시키기 때문에, 시네올이 아마도 상기 팽윤(swelling)을 야기하는 시약일 것이다.
따라서, 표 2 내의 향기 성분들의 대두분은 mPP로 만들어진 시료들의 명백한 팽윤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예외들은 높은 수준의 리모넨을 포함하는 방향유들이다. 시네올 및 아마도 디펜텐과 피넨들이 또한 문제이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병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서는 향기들은 폴리프로필렌에 가용성인 향기 성분들의 형태들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달리, 상기 병의 장벽특성들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병들에 장벽코팅(들)이 적용된다. 표 2 내의 향기 성분들에 대한 화학구조들의 대부분을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1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2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3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4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5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6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7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8
Figure 112008011590884-PCT00009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0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1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2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3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4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5
Figure 112008011590884-PCT00016
실시예 2 - 중량손실 시험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만다린 방향유(Mandarin fragrance oil)에 대한 메탈로센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대 지글러-나타 랜덤공중합체의 화학적 저항성
상기 변과 관련하여 누출 및 높은 향기 이동으로 인하여 지엔-알씨피피 병들 내에 들어 있는 상태의 만다린 향기는 체인징 패러다임(Changing Paradigms)에 의해 더 이상 판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향기는 폴리프로필렌을 통하여 이동하려는 그의 공격적 성질 때문에 그리고 향기병(fragrance bottle)들을 제조하는 데 상용적으로 사용된 지글러-나타 촉매화 랜덤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수지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입증하기 위하여 선택되었다. 표 3(여러 병들에서의 만다린 향기의 중량손실 비교)은 25g의 만다린 향기를 지엔-씨알피피, mPP 및 바렉스® 210 수지(고무 상에 합체된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들로 만들어진 향기병들 내에 담은 113일 후의 중량손실 결과들을 나타내고 있다. 바렉스® 210은 방향유들을 보유하고 그리고 이러한 오일들을 여러 종류의 전기식 온열기유닛을 사용하여 분배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상기 지엔-알씨피피는 약 5%의 에틸렌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랜덤공중합체이다. 상기 mPP는 토탈 엠3282엠지 수지라는 상품명을 갖는 메탈로센 호모 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이다. 게다가, 제조된 mPP 병들의 일부를 플루오로-시일 인터네셔널(Fluoro-Seal International)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3가지 수준(즉, 레벨 3, 레벨 5 및 슈퍼레벨 5)으로 불화처리하여 상기 mPP 병들의 내부벽 및 외부벽들 모두에의 표면 변성들이 리노넨, 캠퍼 화이트, 오렌지 플로리다, 오렌지 테르펜 및 알릴 헵타노에이트 등과 같이 보다 더 가용성인 향기 성분(이들 향기 성분들이 mPP 시료들 내에서 변형을 일으킴을 나타내는 표 2를 참고하시오)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에 적용시켰다. 이들 시료들은 상기 mPP 병들을 불소 가스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플루오로-시일 인터네셔널에 의해 불화처리되었다. 불화처리가 향기 투과에 대하여 장벽특성들을 강화시키는 한편으로 불화처리는 산소 투과를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향기 공급원 향기 명칭 병 물질 중량손실비(㎎/일)
50℃ (122℉) 40℃ (104℉) 29℃ (84℉)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지엔-알씨피피 133.5 80.0 17.0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mPP 55.0 23.0 2.3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바렉스® 210 7.0 2.8 0.7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슈퍼 5 F2 mPP 14.7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레벨 3 F2 mPP 21.3
체인징 패러다임 만다린 레벨 5 F2 mPP 18.3
심지와 뚜껑이 장착된 향기병들 내에 밀봉된 만다린 향기의 3가지 서로 다른 온도들에서의 중량손실을 거의 4개월간 모니터하였다. 2개월 후에 중량손실이 일정하게 되었으며, 반복복제들 사이에서의 재현성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방향유 병으로서 선호되는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기대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렉스® 유닛들은 어떠한 다른 폴리프로필렌 유닛들 보다 낮은 손실율을 가졌다. 그러나, 바렉스® 210 수지는 고가이며, 따라서 대체물로서 필적하는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 보다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표 3의 결과들은 mPP 병들이 지엔-알씨피피 병들에 비해 훨씬 낮은 손실율을 제공하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mPP 병들의 불화처리는 만다린 향기의 손실의 비율을 심지어 더 낮은 정도로 감소시켰다. 손실율에서의 이러한 효과를 도 1에서의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며, 도 1은 만다린 향기 손실율에 대한 플라스틱 병의 영향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mPP 수지들을 사용하여 병을 제조하는 것과 불화처리에 의하여 표면처리를 하는 것의 조합을 통하여 바렉스®의 성능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 중량손실 시험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하와이안 브리즈 방향유(Hawaiian Breeze fragrance oil)에 대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 대 지글러-나타 랜덤공중합체의 화학적 저항성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공된 토탈 엠3282엠지(청정화된 mPP) 및 토탈 엠3132-2(NA21 촉매화된 지글러-나타 랜덤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 이하의 설명 및 도 2에서는 "hPP"로 칭함) 수지들을 사용하여 박막의 벽으로 된 1온스짜리 폴리프로필렌 병들을 모나크 플라스틱 리미티드(Monarch Plastics Limited)에 의해 압출취입성형(EBM)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 병들에 다카사고 인터네셔널 코포레이션(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에 의해 생산된 하와이안 브리즈 향기를 첨가하였다. 그 후, 충진된 병들 모두를 밀봉시키고, 긴밀하게 뚜껑을 씌우고, 그리고 23℃(73.4℉), 53℃(127.4℉) 및 63℃(145.4℉)의 온도에 노출시키기에 앞서 평량하였다. 91일 간에 걸쳐 중량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온(23℃)에 노출되었을 때, 두 형태 모두의 폴리프로필렌 병들은 완전히 하와이안 브리즈 향기를 포함하고 있다. 온도가 53℃ 및 63℃로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과 지글러-나타 폴리프로필렌 사이에서의 성능 차이가 보다 분명하게 나타났다. 91일 후에, hPP 병들 내의 하와이안 브리즈의 중량손실은 mPP 병들 보다 53℃에서는 2배, 63℃에서는 1.7배 이었다.
실시예 4 - 하와이안 브리즈 및 만다린 향기에 대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의 침적코팅에 의한 화학적 저항성의 강화
침적용액들의 제조 : 바렉스® 210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시켜 각각 용액 A, 용액 B 및 용액 C로 표시되는 3%, 7% 및 10%의 서로 다른 3가지 중량%의 수준들을 준비하였다. 게다가, 상기 mPP 병 표면(내부 및 외부)들을 변성시키기 위하여 자일렌 내의 이스트만™ 접착촉진제의 1.6중량%의 용액(용액 D)을 준비하여 용액 A, 용액 B 및 용액 C들로부터 적용된 상기 코팅들이 효과적으로 상기 mPP 표면들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침적코팅 공정 : 상기 병의 코팅 공정의 제1단계는 mPP 병을 50℃로 가열된 용액 D 내로 함침시키고, 상기 병들을 용액에서 완전히 끌어내고, 이들을 먼저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계속해서 진공오븐세트(vacuum oven set) 내에서 55℃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건조 공정을 완료하였다. 계속해서 용액 D로 코팅되어 건조된 병들의 세트들을 분리하여 각 용액이 침적에 앞서 95℃로 가열된 용액 A, 용액 B 및 용액 C들 내로 함침시켰다. 일단 상기 병들이 용액 A, 용액 B 및 용액 C들 내로 함침되면, 이들을 용액으로부터 끌어내고 그리고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진공오븐세트 내에서 55℃에서 12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되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병들을 하와이안 브리즈 및 만다린 방향유들로 채워서 50℃로 조절된 온도에서의 중량손실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충진된 바렉스® 병들 및 미코팅 mPP 병들을 대조군들로 사용하였으며, 용액 A, 용액 B 및 용액 C들로부터 바렉스® 코팅된 mPP 병들과 비교하였다.
중량손실 실험 결과들 : 하와이안 브리즈 및 만다린 방향유들로 충진된 바렉스® 및 미코팅 mPP 병들과 비교하여 바렉스® 코팅된 mPP 병들의 45일 후의 중량손실 결과(각 조건 당 2개의 병들을 시험)들을 도 3 및 도 4들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들 둘 다는 바렉스® 210 수지 등과 같은 장벽층의 적용이 상기 mPP 병의 벽들을 통한 방향유들의 투과율을 아주 분명하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에서 7% 및 10%의 용액들까지의 침적코팅에 의한 장벽코팅 두께의 증가는 점진적으로 100% 바렉스® 210 수지로 만들어진 병들의 중량손실 값들에 접근하는 중량손실로 감소되었다.
실시예 5 - 중량손실 시험들에 의해 나타난 여러 방향유들에 대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의 화학적 저항성
미코팅 mPP 및 바렉스® 병들을 다카사고 인터네셔널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6가지 방향유들로 충진시켜 실온에서의 시간에 따른 중량손실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 4(조절된 실온에서 밀봉된 mPP 대 바렉스® 병들의 6개월 간의 중량손실/이득 시험)는 6개월의 기간에 걸쳐 이들 방향유들의 실질적인 중량손실 없이 오히려 상기 병 내로의 수증기의 이동으로 인한 중량이득을 나타내고 있다. 수분흡수에 대해서는, 상기 mPP 병들이 상기 바렉스® 병들을 능가한다.
향기 mPP 바렉스®
실온(72℉) 실온(72℉)
6개월 6개월
하와이안 브리즈 (+)0.006g/.024% (+)0.029g/.104%
리프레싱 스파 (+)0.026g/.093% (+)0.136g/.452%
바닐라 브리즈 (+)0.016g/.057% (+)0.265g/.934%
레인샤워 (+)0.029g/.102% (+)0.104g/.367%
애플 신나몬 (+)0.015g/.054% (+)0.209g/.738%
클린 리넨 (+)0.032g/.114% (+)0.287g/1.01%
본 발명의 상기 mPP 병들은 다양한 양들의 색소로 착색되어 착색된 병들에 여러 음영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색소를 갖지 않고 그에 따라 착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병들을 제조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 상기 mPP 수지는 앞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은 토탈 페트로케미칼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생산된 토탈 폴리프로필렌 엠3282엠지이다. 엠3282엠지는 2.3g/10분의 용융유동지수, 0.905g/㏄의 밀도, 307℉(153℃)의 용융점, 4,900프사이(33.8㎫)의 인장강도, 72%의 연신율 및 216,000프사이(1,490㎫)의 굴곡탄성강도의 특성들을 갖는다.
메탈로센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0.5 내지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병의 강도가 결정적인 인자로 고려되지 않는 경우, 메탈로센 호모중합체 폴리프로필렌에 대해 제공된 것과 동일한 범위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메탈로센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들은 mPP 수지들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병은 바람직하게는 목을 갖는 몸체를 갖는다. 상기 몸체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 내의 상기 방향유를 분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전기식 온열기유닛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collar)를 갖는 심지가 상기 병의 상기 목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mPP 병이 그 안에서 유용하게 사요되는 전기식 온열기유닛들의 예들로는 "증기 분배 기구(Vapor Dispensing Device)"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5,647,053호, "어린이 보효용의 오버캡을 갖는 심지-기반의 액체 방사 시스템(Wick-Based Liquid Emanation System With Child-Resistant Overcap)"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5,909,845호들이 있으며, 이들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이러한 온열기유닛 장치의 하나는 통상적으로 미합중국 위스콘신주 레이신 소재의 에스. 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S. C. Johnson & Son, Inc.)에 의해 글레이드®(Glade®) 플러그인®(PlugIns®)의 이름 아래에 판매되고 있다.
도 7은 상기 병들의 내부 및 외부의 양쪽 면들 상에 장벽코팅을 갖는 mPP 수지로 만들어진 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벽코팅은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병의 단지 내부 상에 또는 외부 상에만 적용될 수 있다. 적절한 장벽코팅 물질들에는 바렉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나프탈렌(PEN), 글루콜리시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glucolised PETG(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글루콜리시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glucolised PCTG(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라는 명칭으로 이스트만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코폴리에스터들 또는 펜타클로로티오아니솔(PCTA ; pentachlorothioanisole) 또는 방향유들에 대하여 유효한 장벽코팅층으로 기능하거나 또는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의 이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이 포함된다.
도 8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병 물질과 상기 장벽코팅 물질들 사이에의 접착층의 사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병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도 8에서의 상기 병은 mPP이고, 상기 접착층은 이스트만™ 접착촉진제 550-1이고, 그리고 상기 장벽코팅은 바렉스® 210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되기는 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본 발명이 상기 기술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시행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들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임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들의 관점들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방향-함유 조성물, 특히 방향유를 저장 및 분배시키는 용기들로 사용하기 위한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mPP)으로 만들어진 병을 제공한다.

Claims (16)

  1.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일체로 되는 목과, 상기 목 내에 위치하며 심지기능을 하는 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심지기능을 하는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0.5 내지 5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0.5 내지 5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0.5 내지 4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0.5 내지 4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1 내지 2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1 내지 20g/10분의 범위 이내의 용융유동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 상에 장벽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 상에 장벽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코팅 물질이 니트릴고무 상에 합체된 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루콜리시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루콜리시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펜타클로로티오아니솔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코팅 물질이 니트릴고무 상에 합체된 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루콜리시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루콜리시드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펜타클로로티오아니솔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코팅과 상기 몸체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코팅과 상기 몸체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불화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이 불화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조성물을 보유하고 그리고 분배하기 위한 병.
KR1020087003741A 2005-08-16 2006-08-16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병 KR101013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4,366 US7416766B2 (en) 2005-08-16 2005-08-16 Bottles made from metallocene polypropylene for delivery of fragrances
US11/204,366 2005-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636A true KR20080046636A (ko) 2008-05-27
KR101013739B1 KR101013739B1 (ko) 2011-02-14

Family

ID=3745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741A KR101013739B1 (ko) 2005-08-16 2006-08-16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병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416766B2 (ko)
EP (1) EP1934099B1 (ko)
KR (1) KR101013739B1 (ko)
CN (1) CN101267989B (ko)
AT (1) ATE510775T1 (ko)
AU (1) AU2006279629B2 (ko)
BR (1) BRPI0614282A2 (ko)
CA (1) CA2618917A1 (ko)
ES (1) ES2363031T3 (ko)
MX (1) MX2008002182A (ko)
WO (1) WO2007022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1927T5 (de) 2007-07-31 2010-06-24 Stella Chemifa Corp.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örpers mit Hohlstruktur
USD651088S1 (en) * 2009-12-14 2011-12-27 Kristian Buschmann Bottle
USD650681S1 (en) * 2009-12-14 2011-12-20 Kristian Buschmann Bottle
USD650683S1 (en) * 2009-12-14 2011-12-20 Kristian Buschmann Bottle
USD650684S1 (en) * 2009-12-14 2011-12-20 Kristian Buschmann Bottle
USD650682S1 (en) * 2009-12-14 2011-12-20 Kristian Buschmann Bottle
USD646573S1 (en) * 2009-12-14 2011-10-11 Kubicek Chris A Bottle
PT105270B (pt) 2010-08-26 2012-05-31 Domino Ind Ceramicas S A Camada de sílica com libertação lenta de fragrância, telha cerâmica e respectivo processo de produção
TWI511859B (zh) 2010-11-18 2015-12-11 道達爾石油化學產品研究弗呂公司 擠出吹塑製品及其生產方法
CN103991654B (zh) * 2014-04-18 2018-06-22 常州天马集团有限公司(原建材二五三厂) 用于储存混合介质的玻璃钢储罐
US10258710B1 (en) 2017-09-22 2019-04-1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for holding volatile materials
CA3076881A1 (en) * 2017-10-06 2019-04-11 Kikkoman Corporation Synthetic resin multilayer bottle
CN108904853A (zh) * 2018-08-15 2018-11-30 向祖树 一种挥发性液体物质的缓释方法与装置
USD1010454S1 (en) 2021-09-03 2024-01-09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USD1003725S1 (en) 2021-09-03 2023-11-07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4915A (en) 1979-08-03 1982-02-0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Uses in perfumery of ether derivatives of indanes
JPS57102813A (en) 1980-12-17 1982-06-26 Takasago Corp Perfume composition
EP0056109B1 (fr) 1981-01-13 1986-01-15 Firmenich Sa Utilisation de 2,6,6-triméthyl-cyclohex-2-ène-1-yl-carboxylate de méthyle à titre d'ingrédient parfumant
US5254378A (en) 1986-05-08 1993-10-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adiation resistant polypropylene 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4931230A (en) 1986-05-08 1990-06-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radiation resistant polypropylene articles
US4928881A (en) 1988-04-01 1990-05-29 Inman Mold Manufacturing Co., Inc. Air freshener
US4880675A (en) 1988-04-25 1989-11-1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ot-fillable plastic containers
EP0499216B1 (en) 1991-02-15 1998-01-07 MITSUI TOATSU CHEMICALS, Inc. Transparent impact-resistant molded articles
US5416228A (en) 1991-10-07 1995-05-16 Fina Technology,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roducing isotactic polyolefins
US6645641B2 (en) 1993-06-24 2003-11-11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Structures of polymers made from single site catalysts
KR950009104A (ko) * 1993-09-21 1995-04-21 배순훈 전자레인지의 발진상태 표시 고내등회로
USRE37150E1 (en) * 1994-08-01 2001-05-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ccupant air filter for vehicles
KR0159685B1 (ko) 1995-01-19 1998-12-15 사토 아키오 폴리프로필렌 다층블로성형체
US5591395A (en) 1995-08-03 1997-01-07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disinfecting air
WO1997008238A1 (en) 1995-08-29 1997-03-06 Exxon Chemical Patents Inc. Radiation tolerant polypropylene and its useful articles
US5647053A (en) 1995-10-11 1997-07-08 S. C. Johnson & Son, Inc. Vapor dipensing device
JP3920373B2 (ja) 1996-02-02 2007-05-3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US5909845A (en) 1996-06-28 1999-06-08 S. C. Johnson & Son, Inc. Wick-based liquid emanation system with child-resistant overcap
US5770135A (en) * 1996-07-01 1998-06-2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permeation resistant containers
USD386974S (en) 1996-10-17 1997-12-02 S. C. Johnson & Son, Inc. Combined bottle and cap
US6464106B1 (en) 1996-12-31 2002-10-15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tress crack resistant bottle
US5976503A (en) 1997-04-14 1999-11-02 S. C. Johnson & Son, Inc. Disposable plug-in air freshener with heat activated cartridge
US6123935A (en) 1997-04-14 2000-09-26 S. C. Johnson & Son, Inc.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disposable heat-activated cartridge
US5903710A (en) 1997-04-14 1999-05-11 S. C. Johnson & Son, Inc.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disposable heat-promoted cartridge
DE19738051A1 (de) 1997-09-01 1999-03-04 Targor Gmbh Spritzgieß-Artikel aus Metallocen-Polypropylen
US6316547B1 (en) 1997-09-11 2001-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sterbatch composition
EP0902072A1 (en) 1997-09-11 1999-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ss crack resistant closure
EP0905043A1 (en) 1997-09-27 1999-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chet with increased content quant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9859789C1 (de) 1998-12-23 2000-06-08 M & W Verpackungen Gmbh Recyclingfähige IML-Etikettenfolie
EP1169356B1 (en) 1999-02-19 2004-07-14 ATOFINA Research Polyolefin production
EP1031582A1 (en) 1999-02-26 2000-08-30 Fina Research S.A. Use and production of polypropylene
EP1059332A1 (en) 1999-06-10 2000-12-13 Fina Research S.A. Polypropylene with high melt strength and drawability
ATE502859T1 (de) 1999-07-23 2011-04-15 Yupo Corp Etikettierte kunststoffflasche
US20010048988A1 (en) 1999-09-28 2001-12-06 Glenn J. Forte Polyolefin bott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329454B1 (en) 1999-12-08 2001-12-11 The Dow Chemical Company Fille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6792199B2 (en) * 2000-02-25 2004-09-14 The Dial Corporation Variable temperature vaporizer
EP1138702A1 (en) 2000-03-30 2001-10-04 Fina Research S.A. Metallocene-produced polyethylene for glossy plastic containers
JP2003535175A (ja) 2000-05-26 2003-11-2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エチレンリッチ/ポリプロピレンブレンドおよびその用途
DE10039782A1 (de) * 2000-08-16 2002-02-28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Gier-und Querdynamik bei einem Straßenfahrzeug
FR2814436B1 (fr) 2000-09-25 2003-10-31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a rigidite axiale et resistance a la case ameliorees
US6747077B2 (en) 2000-10-17 2004-06-0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Stabilized metallocene polypropylene
KR100404708B1 (ko) * 2000-10-30 2003-11-07 주식회사 이생 무균 식품포장재
WO2003000790A1 (en) * 2001-06-22 2003-01-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allocene-produced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s or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s as impact modifiers
FR2828198B1 (fr) 2001-07-31 2007-02-23 Atofina Polypropylene isotactique obtenu par catalyse metallocene greffe
EP1287969A1 (en) 2001-08-24 2003-03-05 Atofina Research S.A. Injection blow moulded metallocene polyethylene container
US20040044106A1 (en) 2001-11-08 2004-03-04 Portnoy Robert C. Polypropylene for precision injection molding applications
FR2836457B1 (fr) 2002-02-26 2004-04-09 Oreal Pot deformable
ZA200301683B (en) 2002-03-04 2004-09-06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c combinations of UV absorbers for pigmented polyolefins.
FR2837176B1 (fr) 2002-03-15 2004-05-28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EP1513885B1 (en) 2002-04-26 2006-10-04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Metallocene polypropylene for rotomoulding
US20040094468A1 (en) 2002-11-20 2004-05-20 Karl Fritze Freeze resistant water filter
EP1422249A1 (en) 2002-11-20 2004-05-26 ATOFINA Research New metallocene catalyst system
US6786427B2 (en) 2002-12-19 2004-09-07 S. C. Johnson & Son, Inc. Liquid sealing arrangements for replaceable liquid reservoirs
US7137570B2 (en) 2003-02-28 2006-11-21 American Covers, Inc. Air freshener and method
ATE536892T1 (de) 2003-03-19 2011-12-15 Colgate Palmolive Co Spenderbehälter
EP1625010B1 (en) 2003-05-21 2017-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process for heat treating pressurized plastic containers
US6960375B2 (en) 2003-05-27 2005-11-0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Bottle containing recycled polymers
US7041352B2 (en) 2003-07-01 2006-05-09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rope Thermoplastic structures for the storing and transporting of organoleptic sensitive products
EP1495861A1 (en) * 2003-07-10 2005-01-12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High transparency, high impact resistance containers
FR2857292B1 (fr) 2003-07-11 2007-04-20 Oreal Recipient comportant une piece de reveteme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7337929B2 (en) 2003-07-21 2008-03-04 L'oreal Device with dual dispensing system
WO2005049447A1 (en) 2003-11-12 2005-06-02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Dual compartment flexible pouch and a fitment with dual-dispensing capabilities therefor
EP1533102A1 (en) * 2003-11-14 2005-05-25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Polypropylene processing with reduced cycle time in injection-stretch-blow moulding.
US20050142312A1 (en) 2003-12-29 2005-06-3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Bottle
TWI265090B (en) 2004-11-01 2006-11-01 Lg Chemical Ltd Multi-layer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US20060105125A1 (en) 2004-11-16 2006-05-18 Fina Technology, Inc. Polyolefin resin and its use in films, coatings and food containers
WO2006080715A1 (en) 2004-11-19 2006-08-03 Lg Chem, Ltd. Nanocomposite composition having high barrier property
WO2006080716A1 (en) 2004-12-03 2006-08-03 Lg Chem, Ltd. Tube container having barrier property
US7241850B2 (en) 2004-12-15 2007-07-10 Fina Technology, Inc. Polypropylene having improved clarity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7081285B1 (en) 2005-04-29 2006-07-25 Fina Technology, Inc. Polyethylene useful for blown films and blow molding
US7138474B1 (en) 2005-05-03 2006-11-21 Fina Technology, Inc. End use articles derived from polypropylene homopolymers and random copolymers
US20070087214A1 (en) 2005-10-14 2007-04-19 Portnoy Robert C Methods for stretch blow molding polymeric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8917A1 (en) 2007-02-22
US7416766B2 (en) 2008-08-26
ATE510775T1 (de) 2011-06-15
EP1934099B1 (en) 2011-05-25
KR101013739B1 (ko) 2011-02-14
ES2363031T3 (es) 2011-07-19
MX2008002182A (es) 2008-04-22
CN101267989B (zh) 2010-12-08
AU2006279629A1 (en) 2007-02-22
US20070042149A1 (en) 2007-02-22
WO2007022168A1 (en) 2007-02-22
BRPI0614282A2 (pt) 2011-03-22
CN101267989A (zh) 2008-09-17
EP1934099A1 (en) 2008-06-25
AU2006279629B2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739B1 (ko) 메탈로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향기의 분배를 위한병
JP6991160B2 (ja) 容器、容器インサート、および関連する容器作製方法
US4913349A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fragrances
US20020041860A1 (en) Fragranced hydrogel air freshener kits
US20080190789A1 (en) Air Freshener Package
KR20110135867A (ko) 휘발성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CA2568390A1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JPH08302080A (ja) 持続性を有するオレフィン系防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H0741402A (ja) 薬剤徐放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889285A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fragrances
EP3784365B1 (en) Blow molded bott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825837B2 (en) Dispenser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9952201B (zh) 膜涂覆的夹带矿物的聚合物及其制造方法
JP2017171334A (ja) 揮発性物質発散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1213A (ja) 揮発性薬剤含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2088A (ja) 二重構造容器
JP2004331174A (ja) 揮散性薬剤包装用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体
EP1247571A1 (fr) Nouveaux éléments actifs contenant des fibres,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et leurs applications notammment dans l'emballage
JP2020006962A (ja) 揮散性製剤包装用フイ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CA2002126A1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MX2008006306A (en) Air fresh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fragrance in head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