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632A -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632A
KR20080046632A KR1020087003070A KR20087003070A KR20080046632A KR 20080046632 A KR20080046632 A KR 20080046632A KR 1020087003070 A KR1020087003070 A KR 1020087003070A KR 20087003070 A KR20087003070 A KR 20087003070A KR 20080046632 A KR20080046632 A KR 2008004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ixing
headlamp
housing
adjustmen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604B1 (ko
Inventor
딕 케르스팅
안드레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에이치비피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비피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이치비피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4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alignment of the headlamp housing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개구 내부에 하우징(1)을 갖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고정점(2, 2')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고정점(3)을 포함하며, 이 경우 하우징(1)의 돌기부(5, 5')(tab)는 상기 상부 고정점 또는 하부 고정점에서 전조등(2, 2', 3)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그리고 제 1 조정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홀더(6)를 통해 지지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더는 가이드 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4)에 대하여 제 1 조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더(6)에는 상기 홀더(6)를 제 1 조정 방향(Y)으로 고정하기 위한 블로킹 장치(11)가 할당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THE ADJUSTABLE FIXING OF A HEAD LAMP}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개구 내부에 하우징을 갖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고정점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고정점을 포함하며, 이 경우 하우징의 돌기부(tab)는 상기 상부 고정점 또는 하부 고정점에서 전조등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그리고 제 1 조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홀더를 통해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다.
EP 0 978 416 A2호에는, 하우징 영역에서 상부 또는 하부 고정점에 전조등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이동 가능한 홀더가 제공된, 자동차의 차체 개구 내부에 하우징을 갖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홀더는 전조등 하우징의 한 돌기부의 길이 방향 홈 내부에 삽입되고, 전조등 하우징의 90°만큼 회전 후에 상기 전조등 하우징이 자동차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조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실제로 적합하다고 입증된 상기 공지된 장치는, 전조등 하우징을 지지부에 고정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고정점에서 이루어진다는 단점, 즉 통상적으로 전조등 하우징의 조정이 다른 한 방향으로 추가로 설정되는 고정점에서 이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전조등 하우징을 상호 수직으로 서있는 두 가지 방향으로 조정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둘레를 감싸는 차체부에서 사전에 결정된 접합부 파형에 상응하게 전조등 하우징을 정렬시키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상기 정렬 작업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둘레를 감싸는 차체부에 대하여 사전에 결정된 접합부 파형을 설정하기 위한 전조등 하우징의 조정 작업이 단순해지도록,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홀더가 가이드 부재를 통해 지지부에 대하여 제 1 조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를 제 1 조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블로킹 장치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전조등 하우징의 조정이 홀더에 의해 오로지 사전에 결정된 단 한 가지 조정 방향으로만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조등 하우징을 상기 조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는 정렬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전조등 하우징이 단지 제 1 조정 방향으로만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 1 조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제 2 조정 방향으로만 정렬될 수 있는 방식의 조정 수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전조등 하우징의 정렬 과정은 제 2 조정 방향과 무관하게, 제 1 조정 방향으로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차체 개구의 사전에 결정된 접합부 파형에 상응하게 이루어지는 전조등 하우징의 정렬 과정은 훨씬 더 단순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킹 장치의 록킹 해제 동작 및 록킹 동작에 의해, 홀더는 제 1 조정 방향을 따라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장치의 록킹 동작에 의해, 전조등 하우징은 제 1 조정 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가이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의 돌기부는 추가의 한 조정 방향 - 이 조정 방향을 따라서는 홀더가 차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 - 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한 가지 조정 방향으로 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한 고정점에서 조정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전조등 하우징은 홀더와 함께는 제 1 조정 방향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고, 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는 상기 제 1 조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있는 제 2 조정 방향을 따라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상기 블로킹 장치는 고정 부재 그리고 홀더에 압착 작용을 가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블로킹 장치는 바람직하게 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는 한편, 홀더는 조정 장치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지지부에 고정된 전조등 하우징의 개략적인 정면도며,
도 2는 지지부에 있는 전조등 하우징의 한 고정점의 사시도다.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실질적으로 전조등의 하우징(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의 한 지지부(4)에서 두 개의 하부 고정점(2, 2') 및 하나의 상부 고정점(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예를 들어 통합된 냉방 장치, 전조등 하우징 그리고 범퍼와 함께 자동차의 차체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한 정면 단부 모듈의 조립용 캐리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조등 하우징(1)에 연결되는, 예를 들어 엔진 보닛일 수 있는 차체 윤곽의 접합부 파형과 관련하여 전조등 하우징(1)을 재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필요하다. 대안적으로는, 지지부(4)가 자동차의 차체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는 사전에 결정된 접합부 파형을 유지하면서 자동차의 한 차체 개구 내부에서 전조등 하우징의 조정을 가능케 한다.
전조등의 하우징(1)은 상기 전조등의 발광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하는 돌기부(5, 5')를 상기 하부 고정점(2, 2')에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들은 각각 플레이트 모양의 그리고 사각형의 홀더(6)를 거쳐 제 1 조정 방향(Y)을 따라 상기 지지부(4)의 수용부(7)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홀더(6)는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레일(8)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 기 수용부(7)에 지지 되어 있다.
돌기부(5, 5')는 받침용 디스크가 제공된 나사(9, 9')를 통한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6)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돌기부(5, 5')를 홀더(6)에 나사 결합하고, 하우징(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돌기부(10)(상부 고정점(3))를 지지부(4)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을 지지부(4)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하우징(1)의 정렬이 제 1 조정 방향(Y)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홀더(6)는 상기 레일(8) 위에 간극 없는 상태로, 한편으로는 제 2 조정 방향(Z)을 따라서 지지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조정 방향(X)을 따라서 지지 되며, 이 경우 상기 두 가지 조정 방향(Z, X)은 제 1 조정 방향(Y)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있다.
홀더(6)를 하우징(1)과 함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홀더(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부재(12) 및 고정 플레이트(13)와 고정 결합 된 상태로 상기 홀더(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블로킹 장치(11)의 록킹 해제 동작이 필요하다. 상기 고정 부재(12)가 상기 홀더(6)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플레이트(13) 상에 작용하는 나사로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블로킹 장치(11)의 록킹 상태에서 고정 부재(12)를 끌어당김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13)의 상부 에지 영역(14)은 가장자리 측에서 홀더(6) 상부에 접하게 되고, 상기 홀더를 수용부(7)에 대하여 고정하게 된다. 블로킹 장치(11)의 록킹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12)가 해체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홀더(6)에 대해서는 어떠한 압착력도 고정 플레이트(13)에 의해 행사되지 않는다. 이때 홀더(6)는 상기 블로킹 장치(11)의 록킹 동작에 의해 서 정해지는 상응하는 조정 위치로 연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1)을 제 2 조정 방향(Z)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돌기부(5, 5')는 길이 방향 홀 섹션으로서 형성되었고, 상기 길이 방향 홀 섹션의 길이 방향 홀(15)은 제 2 조정 방향(Z)으로 뻗는다. 홀더(6)가 제 2 조정 방향(Z)을 따라 뻗는 가장자리 측 가이드 에지(16)를 가이드 수단으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 홀 섹션(5, 5')은 홀더(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 2 조정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홀(15)의 길이는 제 2 조정 방향(Z)을 따라가는 조정 경로를 사전에 결정한다.
길이 방향 홀 섹션(5, 5')을 홀더(6)에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9, 9')는 상기 블로킹 장치(11)의 고정 나사(12)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조정 방향(Y)으로 그리고 제 2 조정 방향(Z)으로 동일한 형태로 상호 무관하게 조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점(2, 2')의 나사(9, 9')는 상부 고정점(3)의 상부 돌기부(10)를 지지부(4)에 고정시키는 나사(17)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다. 상기 상부 돌기부(10)가 제 3 조정 방향(X)으로 뻗는 길이 방향 홀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3 조정 방향(X)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나사(17)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 3 조정 방향(X)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의 조정 동작이 결정된다.
홀더(6)는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섹션으로서 형성되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6)는 삽입된 금속 보강부를 가질 수 있다.
홀더(6)는 바람직하게 나사(9, 9')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 나선 홈을 갖는 보어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돌기부(5, 5')의 고정은, 홀더(6)의 나선 홈 이 없는 보어에 관통 삽입되어 후면 너트와 조여지는 나사(9, 9')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나사(9, 9')는 홀더(6)의 플라스틱 보어 내부에 삽입되는 자동 절삭 방식의 나선 홈 나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고정점(2, 2')에 할당된 홀더(6)는 제 1 조정 방향(Y)을 따라 이루어지는 조정을 가능케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수용부(7)의 레일(8)은 제 2 조정 방향(Z)으로 또는 제 3 조정 방향(X)으로 뻗을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그 경우에는 Y-X-평면 또는 Z-X-평면에 있는 하부 고정점(2, 2')에서 정렬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대안적인 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돌기부(5, 5')가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음으로써, 결국 하우징(1)은 조정 방향(Y, Z, X)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자동차의 차체 개구 내부에 하우징을 갖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고정점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고정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돌기부는 상기 상부 고정점 또는 하부 고정점에서 전조등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그리고 제 1 조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홀더를 통해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가이드 부재(8)를 통해 상기 지지부(4)에 대하여 제 1 조정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6)에는 상기 홀더(6)를 제 1 조정 방향(Y)으로 고정하기 위한 블로킹 장치(11)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가이드 수단(16)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하우징(1)의 돌기부(5, 5')가 제 1 조정 방향(Y)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있는 제 2 조정 방향(Z)으로 상기 홀더(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5, 5')는 길이 방향 홀 섹션으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길이 방향 홀 섹션은 제 1 조정 방향(Y)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그리고 제 2 조정 방향(Z)을 사전에 결정하는 길이 방향 홀(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11)는, 상기 홀더(6)가 제 1 조정 방향(Y)으로 연속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11)는 상기 지지부(4)에 연결된 고정 부재(12) 및 고정 플레이트(1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12)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13)가 홀더(6)에 고정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홀 섹션(5, 5')은 나사 결합에 의해 홀더(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11)의 고정 부재(12)는 상기 길이 방향 홀 섹션(5, 5')의 나사 결합부(9, 9')에 대하여 평행하게 변위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의 가이드 수단은 제 2 조정 방향(Z)으로 뻗는 가이드 에지(16)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에지는 상기 홀더(6)의 적어도 한 가장자리 측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11)의 고정 부재(12)는 고정 나사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사각형 플라스틱 섹션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087003070A 2005-08-08 2006-06-22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0997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7816.1 2005-08-08
DE102005037816A DE102005037816A1 (de) 2005-08-08 2005-08-08 Vorrichtung zur justierbaren Befestigung eines Scheinwerf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632A true KR20080046632A (ko) 2008-05-27
KR100997604B1 KR100997604B1 (ko) 2010-11-30

Family

ID=3701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070A KR100997604B1 (ko) 2005-08-08 2006-06-22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85266B2 (ko)
EP (1) EP1912827B1 (ko)
JP (1) JP4729103B2 (ko)
KR (1) KR100997604B1 (ko)
CN (1) CN101258049B (ko)
DE (1) DE102005037816A1 (ko)
ES (1) ES2576257T3 (ko)
WO (1) WO2007016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8489A1 (de) 2007-02-19 2008-09-04 Hbpo Gmbh Frontendmodul für Fahrzeuge
DE102008024377A1 (de) * 2008-05-20 2009-11-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r Leuchteinheit
DE102009029811B4 (de) * 2009-06-18 2015-04-02 Hbpo Gmbh Frontendmodul
CN102555886B (zh) * 2010-12-10 2014-11-0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灯
JP5700813B2 (ja) * 2011-04-08 2015-04-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CN102809135B (zh) * 2011-06-03 2015-07-08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具安装支架
US9150145B2 (en) * 2014-02-07 2015-10-06 Volkswagen Ag Vehicle headlight assembly with self-adjusting fasteners
US11639039B1 (en) 2016-02-04 2023-05-02 Maurice Paperi Matching pieces and kits for repairing broke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CN107314318A (zh) * 2016-04-26 2017-11-03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调整车灯组件间安装匹配度的调整结构
US11148578B2 (en) * 2018-03-25 2021-10-19 Maurice Paperi Universal mounting tabs and kits for automotive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250A (en) 1956-08-21 1958-08-05 Orenda Engines Ltd Fastening and adjustment of rear frame struts
DE3540724C1 (de) 1985-11-16 1986-12-04 Audi AG, 8070 Ingolstadt Einstelleinrichtung für ein Scheinwerfergehäuse an einem Kraftfahrzeug
FR2594761B1 (fr) 1986-02-24 1988-06-17 Cibie Projecteurs Dispositif de fixation reglable, notamment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DE4017701A1 (de) 1990-06-01 1991-12-05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JP2715643B2 (ja) 1990-09-05 1998-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US5230130A (en) 1992-08-13 1993-07-27 Roger Bishop Method of repairing damaged vehicle headlight assembly
FR2727479B1 (fr) * 1994-11-25 1997-03-28 Renault Dispositif de fixation notamment pour bloc optique
DE19636029C1 (de) 1996-09-05 1998-02-12 Bosch Gmbh Robert Frontleucht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29810988U1 (de) 1998-06-19 1999-10-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teil
DE19835047A1 (de) * 1998-08-04 2000-02-10 Hella Kg Hueck & Co Vorrichtung zur justierbaren Befestigung eines Scheinwerfers
DE19949467A1 (de) * 1999-08-21 2001-03-29 Daimler Chrysler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die Festlegung eines Funktionsteiles an einem Bauteil
DE10048279C2 (de) * 2000-09-29 2002-08-01 Audi Ag Einrichtung zum reproduzierbaren Befestigen eines ersten Bauteiles an einem zweiten Bauteil
US6695396B1 (en) * 2002-11-01 2004-0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fastener assembly
JP2004178844A (ja) * 2002-11-25 2004-06-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
FR2858290B1 (fr) 2003-07-30 2005-10-28 Faurecia Ind Ensemble de bloc-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ajustement de la position des blocs optiques, outil de reglage prevu a cet effet,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bloc-avant
DE10335878B4 (de) 2003-08-06 2008-08-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Leuchtenanordnung
FR2864013B1 (fr) 2003-12-19 2006-03-17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de parti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fixation et d'ajustement en position, et vehicule automobile pourvu d'un tel ensemble.
DE102008024377A1 (de) * 2008-05-20 2009-11-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r Leucht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37816A1 (de) 2007-02-22
ES2576257T3 (es) 2016-07-06
KR100997604B1 (ko) 2010-11-30
WO2007016888A1 (de) 2007-02-15
CN101258049A (zh) 2008-09-03
JP4729103B2 (ja) 2011-07-20
US8585266B2 (en) 2013-11-19
EP1912827A1 (de) 2008-04-23
JP2009504464A (ja) 2009-02-05
CN101258049B (zh) 2012-05-02
US20090213609A1 (en) 2009-08-27
EP1912827B1 (de)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604B1 (ko) 전조등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7338192B2 (en) Headlight fixing device
US6695396B1 (en) Adjustable fastener assembly
US8720761B2 (en) Roof rack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fastening said roof rack
KR101727480B1 (ko) 자동차용 다기능 지지대
JP2009504464A5 (ko)
ES2358930T3 (es) Módulo de parachoques.
US11353189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ounting method
JPH09315357A (ja) ボデー支持構造体とアッセンブリーテンプレートとを有する自動車
US4539626A (en) Indicator lamp and headlamp mounting to vehicle bodyworks
US20180022264A1 (en) Micro-adjustment device for lighting modules
US20020117595A1 (en) Horizontally adjustable fixture attachment system
US20050135110A1 (en) Vehicle headlight, vehicle and integrated unit comprising such a vehicle headlight
KR10090274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장착구조
CN113412204B (zh) 具有构件紧固装置的车顶
JP200104793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07137575A (ja) バックランプの車体取付装置
JPH102146A (ja) 扉の固定方法及び該扉の固定方法に用いる固定具及び該固定具の一部を構成する案内用治具
KR20070005260A (ko) 차량용 전조등 모듈
CZ20032340A3 (en) Alignment of a rail vehicle driver's cab
CN115247768A (zh) 装置、部件和机动车辆
JP2003312402A (ja) 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KR200149449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립구조
AU2007320562B2 (en) Combination Lamp Attachment Structure
CN114590209A (zh) 车辆用监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