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853A -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 - Google Patents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853A
KR20080044853A KR1020087005533A KR20087005533A KR20080044853A KR 20080044853 A KR20080044853 A KR 20080044853A KR 1020087005533 A KR1020087005533 A KR 1020087005533A KR 20087005533 A KR20087005533 A KR 20087005533A KR 20080044853 A KR20080044853 A KR 2008004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lows
ping
ball
shell
p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035B1 (ko
Inventor
토마스 볼하임
인 숙 유
Original Assignee
인 숙 유 인터내셔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아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5470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4485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 숙 유 인터내셔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아이피엠 filed Critical 인 숙 유 인터내셔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아이피엠
Publication of KR2008004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편으로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직경이 38.5에서 48mm 사이, 중량이 2.0에서 4.5gram 사이, 그리고 껍질의 두께가 대략 0.20mm에서 1.30mm인, 다시 말해 껍질이 합성수지로 만들어졌고, 그 기본 성분으로 유기의, 교차·결합하지 않은 중합체인, 그 주요 연결고리로 탄소 원자와 헤테로 원자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를 이용해 만든 탁구공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한편으로 그런 탁구공의 생산공정 절차에 관한 것으로, 다시 말해 그것은 첫 번째 절차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껍질의 조각이 만들어지고, 다음 절차로 그 조각을 접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CELLULOID-FREE TABLE-TENNIS BALL}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특히 직경이 38.5에서 48mm 사이, 중량이 2.0에서 4.5gram 사이, 그리고 껍질의 두께가 대략 0.20mm에서 1.30mm인, 다시 말해 껍질이 주구성분으로 유기의, 교차·결합하지 않은 중합체인 합성수지로 만든 탁구공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한편으로 그런 탁구공의 생산공정 절차에 관한 것이다.
대략 1930년부터 세계적으로 셀룰로이드는 탁구공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셀룰로이드에는 결정적인 단점들이 있다. 복잡한 생산공정에 따른 매우 많은 분해용제의 사용, 파생제품의 어려운 생산 그리고 폭파 위험 등이 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오늘날 셀룰로이드는 동아시아 국가에서만 거의 한정적으로 생산·가공되어지고 있고, 또한 사고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탁구공의 경우, 이런 이유들로 인해 세계 시장이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생산에 완전히 의존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인 셀룰로이드 특성으로 인해 생기는 생산의 오차를 선수들이 감당해야 하는 문제들도 증가하고 있다.
세계탁구연맹(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 ITTF)에 탁구공에 관한 일련의 규정들이 있다. 이것은 Technical Leaflet T3에 적혀있다. 여기에 현 재 다음과 같은 것들이 규정되어 있다.:
1) 직경 : 39.5mm에서 40.5mm
2) 중량 : 2.67g에서 2.77g
3) 방향 전환 : 1m의 코스에서 굴러가는 속도가 대략 0.3m/sec일 때 175mm 이상 차이가 나면 안 된다.
4) 극의 경도 : 직경이 20mm인 피스톤으로 10mm/min의 속력으로, 그리고 50N의 압력으로 누를 경우, 공의 극은 0.71에서 0.84mm 사이가 눌려져야 한다.
5) 적도의 경도 : 극의 경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측정: 측정가치는 0.72에서 0.84mm 사이
6) 극과 적도 측정시의 경도 허용치 : 0.15mm 보다 작아야 한다.
7) 경도 표준편차 : 0.06mm 보다 작아야 한다.
8) 반동 : 305mm 높이에서 철판 위에 공을 떨어뜨릴 때, 공이 튀어오르는 반동의 높이가 240mm에서 260mm 사이여야 한다.
요구되어 지는 품질의 직경과 중량, 그리고 방향 전환은 위의 국제적인 규정에 의해 광범위하게 정의되어 있고, 4에서 8에 적혀있는 메카니칼 특성은 여태까지 사용되어 오던 셀룰로이드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시장성이 있는 공의 일반적인 메카니칼 특성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진다.
-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완전히, 그리고 전혀 보이지 않게 변형의 회복
- 백좌굴이 없고, 압력에 의한 재료의 무변화
- 최고 250km/h까지의 상대적인 속도로 고무로 씌워진 표면과의 충돌시의 견 고성
- 최고 120km/h까지의 상대적인 속도로 단단하고 코팅이 되어진 표면과의 충돌시의 견고성
- 위에 설명된 접촉시나리오에 따라 5000번 거듭되는 충돌시 재료와 접합된 곳의 파괴 저항력
- 매초당 최고 180번 회전시 견고성
마찬가지로 경기시 공의 느낌, 주관적인 느낌에 따른 공의 경도, 그리고 공의 반동 정도 등 선수들의 의견 또한 공의 수락에 아주 중요하다. 당연히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셀룰로이드로 인해 어떤 아주 고정된 개념이 생겼고, 그것으로 인해 새로운 물질은 항상 비교·측정되어야 한다. 또한 결정적인 특성 중 하나는 소리인데 단단한 표면 (예를 들면 탁자 등) 위에서 부딪혔을 때 나는 소리이다.
1980년대에 Dunlop, UK 회사가, 그리고 1990년에 Double Fish, China 회사가 셀룰로이드를 대체할 물질의 개발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 시도들은 현재까지 모두 실패했다. 그 실패의 원인은 셀룰로이드에 있는 특유의 특성 프로필을 신물질이 적중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Dunlop 회사의 GB 1 222 901에 의하면 탁구공의 재료로 styrene-acrylnitrile-acrylic elastomers가 쓰여 있다. 그 공은 1980년대에 실험적으로 경기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다시 되돌아가지 않는 물질 변형(좌굴)으로 인해 생산을 다시 접어야 했다. 그 이후로는 셀룰로이드를 대체할 수 있는 경기 특성을 가진 공이 나타나지 않았다.
DE 103 15 154 A1에는 합성수지를 사용한 탁구공의 껍질에 육안으로 보이는 구조 요소의 통합이 쓰여 있다. 이 특허는 공의 기본 합성수지만을 쓴 것이 아니고, 그것의 변형 가능성 또한 묘사하고 있다.
이것들은 지금까지 셀룰로이드와 거의 비슷한 경기특성을 대체할 재료를 찾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탁구공의 경기 특성에는 공이 튀어오르는 반동, 부딪힐 때 나는 소리, 공 표면 여러 부분의 경도, 표면의 마찰, 탁구채에 부딪혔을 때의 느낌, 회전력 등이 있다.
여태까지의 기술력의 불합리함으로부터 나오는 문제는 셀룰로이드가 아니지만 셀룰로이드와 상응한 메카니칼 특성을 갖는 기본 재료를, 그리고 경기 특성을 허락하는 공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이 발명을 초래했다. 게다가 오늘날 보편적인 산업 생산 형태인 대규모 탁구공의 생산도 가능하게 한다.
이 문제의 해결은 원자고리로 탄소원자 뿐만 아니라 헤테로 원자를 갖는 유기체의 중합체로 인해 성취된다.
이런 합성수지 재료들의 투입을 통해 생산의 불편한 셀룰로이드 탁구공의 생산과 가능한 고유한 경기 특성을 유지하는 물질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그것을 통해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인 생산도 가능하다.
주 연결고리를 제외한 곳에 질소원자가 없는 유기적 중합체가 좋은 재료로 증명되었다. 주 연결고리 외부에 질소가 있을 경우 재료 특성에 부정적인 변화를 준다.
본 발명에 의해 무균질 재료보다 다루기 쉽고 균질의 구조를 갖는 충전제나 강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열가소성 물질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거한 재료의 주구성분은 가능한 작은 물흡수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특히 DIN EN ISO 62에 의한 보통기후조건에서의 물흡수력이 1.0% 보다 작아야 한다. 이것에 의해 팽창의 가능성이 차단된다.
다른 한편으로 발명에 의거한 재료의 주구성분은 DIN EN ISO 2039-1에 의해 120MPa 또 그보다 더한 압력에 의해 눌려져야 한다. 그래야 요구에 상응하는 탁구공을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이 발명은 DIN EN ISO 1183에 의해 주구성분이 1.22g/㎤ 또는 그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다. 이것을 통해 미리 껍질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탁구공의 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료의 주구성분은 지속적인 사용 온도로 8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열 노출시 충분히 회귀할 수 있어야 한다.(기술적인 열가소성 물질, 고온 열가소성 물질) 더 좋은 것은 150℃ 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견딜 때이다.(고온온도 열가소성 물질)
만약 주구성분이 반결정체라면, 부분적으로 중합체의 평행 고리로 인해 아주 높은 견고성이 형성되고, 이것은 얇은 껍질에 아주 중요하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껍질의 주구성분은 다음과 같은 물질들이다. : Polyoxymethylene(POM),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sulphone(PSU), polyether imide(PEI), polyetherether ketone(PEEK), polyethylene naphthalate(PEN), Polzbutylene naphthalate(PB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물질의 혼성중합체이다. 이 합성수지들은 여러 가지 주형 절차, 예를 들어 열성형법 또는 주입 주형법을 통해 쉽게 공정이 가능하고, 기본 주성분의 목적된 변경을 통해, 또는 상응하는 조제를 통해 계속 변경할 수 있고, 조절시킬 수 있다. 아주 많은 테스트 시리즈에서 여러 가지의 합성수지들이 그들의 메카니칼 정보를 통해 선택되어 졌고, 제정된 크기와 무게에 상응하는 탁구공들을 만들고 실험했다. 그 결과 부분적 방향성이 있는 Polyesterne와 POM이 특별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주형물질이 여기에서 설명한 합성수지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또는 조제에 의한 것이라면, 이것을 통해 아주 좋은 특성 프로필을 가진 재료를 창조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필요하다면 특정하게 설정되어진 탁구공의 메카니칼 특성은 규산염, 층이 있는 규산염, 나노 튜브, 또는 구형의 나노 입자를 가지는 주형물의 변경을 통해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다른 개발의 가능성으로 껍질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조성을 지닐 수 있다. 더 나아가 껍질의 두께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생산 과정시 (예를 들어 두 개의 반구를 접착시) 생기는 불균등 또는 비등방석을 보완·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해 여러 개의 또는 특히 2개의 껍질을 아주 효율적으로 붙일 수 있다.
최적의 특성을 가진 탁구공이란, 305mm 높이에서 공을 돌판 위에 떨어뜨렸을 때 반동의 높이가 220mm에서 280mm 사이이고, 공 외부를 20mm 직경의 피스톤으로, 50N 압력으로 누를 때 가역의 변형이 0.65mm에서 0.90mm 사이일 때 그리고 공의 여러 부분의 표준편차가 0.20mm 보다 작을 때이다.
본 발명에 의거한 탁구공의 생산공정 과정은 첫 번째 단계로 여러 개의 껍질 조각들을 생산하는 것이고, 그 다음 단계로 그것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것이다.
새로 발견한 재료는 특히 접합에 용이한데, 신 성형기술의 적용을 통해 용접부분을 현저하게 또는 완전히 피할 수 있다. 필요 시 외부에 나온 접합 잔여 부분을 제거한다.
그 껍질들 또는 껍질 조각들은 예를 들면 열성형법(예를 들면 평평한 판모양)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이 절차는 경우에 따라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은 공정가능 온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재료를 쉽게 다룰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사출성형법을 통해 액체 또는 풀 같은 재료로 껍질들 또는 껍질 조각들을 변형 절차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이런 경우 두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히 원하는 두께의 공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껍질의 조각들을 접착, 용접 또는 끼우는 방법으로 접합시키기를 권하고 있다. 첫 번째 공정 과정을 통해서는 접합이 단단한 탁구공을 만들 수 있고, 나머지 공정 과정을 통해서는 껍질의 두께를 정확히 정의할 수 있다. 충분히 두껍고 강한 접합부분을 통해 두 껍질의 공은 공의 깨짐 없이는 두 개로 나뉘어질 수 없어야 한다.
더욱이 껍질 조각들을 직접 기계를 사용하여 접합함으로써 공정의 어려움을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특히 좋은 것은 합성 사출성형법 또는 공동몸체 사출성형법이다.
현대적인 합성수지 가공 기술의 투입을 통해 특히 극과 적도 부분의 껍질 두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출성형 절차에서 접합시 생기는 비등방성을 보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명의 가르침에 의하면 공의 한 단계 또는 여러 단계의 생산과정에서 사용하는 온도는 110℃ 또는 그보다 높아야 하고, 최적으로는 140℃ 이상일 때다. 이때 특히 열가소성 물질을 잘 다룰 수 있다.
본 발명에 기본 의거한 계속되는 특징, 특성 그리고 장점들은 계속되는 설명에 의해 우선 구체화할 수 있다.
예1)
탁구공은 사출성형법을 사용하여 플라스마 표면 처리 후 polyvinyl butyral 속건성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만든 두 PEI 반구들로 만들어졌다.
예2)
탁구공은 사출성형법을 사용하여 플라스마 표면 처리 후 에폭시 수지로 접착시켜서 만든 두 PEI 반구들로 만들어졌다.
예3)
탁구공은 에폭시 수지로 표면 처리한 열성형법으로 만들어진 두 POM 반구들 로 만들어졌다.

Claims (28)

  1.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특히 직경이 38.5에서 45mm인, 중량이 2.0에서 4.5g이고, 두께가 대략 0.2mm에서 1.3mm인, 그리고 그 껍질이 합성수지의 주요성분으로 탄소를 함유하고 결합하지 않은 중합체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는데 주 원자고리로 탄소 원자뿐만 아니라 헤테로 원자를 가지는 유기의 중합체이다.
  2. 청구항 1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유기의 중합체는 열가소성 물질이다.
  3. 청구항 1과 청구항 2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질산족을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의 중합체이다.
  4. 청구항 1에서 3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주요 연결고리를 제외하고는 질산원자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의 중합체이다.
  5.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충전제나 강화제가 없는 균질의 열가소성 물질이다.
  6.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주구성분을 통해 다음과 같이 특징 지어질 수 있는데, 그것이 DIN EN ISO 62에 의해 보통기후조건에서 물흡수력에 1.0% 보다 작다.
  7.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재료의 주구성분이 DIN EN ISO 2039-1에 의해 120MPa 또는 그보다 센 압력으로 누를 때 눌려지는 것이다.
  8.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재료의 주구성분이 DIN EN ISO 1183에 의해 밀도가 1.22g/㎤ 이거나 더 높다.
  9.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재료의 주구성분이 지속적인 사용 온도로 80℃이거나 더 높다.(열가소성 물질, 고온열가소성 물질)
  10.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재료의 주구성분이 반결정체이다.
  11.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이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재료의 주구성분이 지속적인 사용 온도로 150℃ 이거나 더 높다.(고온도온도열가소성 물질)
  12.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껍질의 주구성분은 다음에 열거한 것들이다. : Polyoxymethylene(POM),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Polysulphone(PSU), Polyether imide(PEI), Polyetherether ketone(PEEK), Polyethylene naphthalate(PEN), Polybutylene naphthalate(PB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 위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들이 혼합된 혼성중합체이다.
  13. 청구항 12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주형 재료는 위에 열거한 합성수지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또는 조제물이다.
  14.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나노증량제, 특히, 규산염층 또는 구형의 나노미립자를 가지고 있는 주형재가 변경·개조된 것이다.
  15.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의 내부에 직물의 짜임 또는 구조성이 있다.
  16.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의 외부에 직물의 짜임 또는 구조성이 있다.
  17.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 두께의 변화 또는 변동을 조절할 수 있다.
  18. 앞에 한번 또는 여러 번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특히 회전 주형 방식으로 제조된 탁구공은 두 개의 껍질이 아닌 한 개의 껍질로 만들어진다.
  19. 청구항 1에서 17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여러 껍질로 이루어진, 특히 두 개의 껍질로 이루어진 탁구공은 그 두 껍질이 접합되어진다.
  20.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한 탁구공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305mm 높이에서 탁구공을 표준석판 위로 떨어뜨렸을 때 220mm 내지 280mm 높이로 튀어 오르고, 직경이 20mm가 되는 물체로 50N 힘으로 공의 외부를 눌렀을 때 공의 가역변형이 0.65mm 내지 0.90mm여야 한다. 이때 표준편차는 공의 여러 부분에서 0.20mm 보다 작아야 한다.
  21. 탁구공의 생산절차는 앞에 열거한 청구항들에 의해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 여러 개의 껍질 조각이 생산되어 지고, 다음 단계에서 접합되어 진다.
  22. 청구항 21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탁구공의 껍질은 초기재료의 변형을 통해, 예를 들면 열성형법을 통해 평편한 판으로 제작되어 진다.
  23. 청구항 21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은 예를 들면 사출성형법을 통해 액체나 죽 같은 재료를 가지고 만들어진다.
  24. 청구항 21에서 23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의 조각들은 접착제, 용접 또는 클립시스템으로 접합되어 진다.
  25. 청구항 21에서 24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의 조각들은 회전용접법, 초음파용접법, 유도용접법 또는 레이저용접법 등으로 접합되어 진다.
  26. 청구항 21에서 25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그 껍질들은 직접 기계에서 접합되어 지는데, 특히 좋은 것으로 합성 사출성형법 또는 공동몸체 사출성형법이 있다.
  27. 청구항 21에서 26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형상 절차에서 특히, 사출성형법을 통해 껍질의 두께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28. 청구항 21에서 27에 의해 생산절차는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는데, 탁구공의 생산시 한 단계 또는 여러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온도는 110℃ 또는 그보다 더 높은 온도를 사용할 수 있고, 최적으로는 140℃ 이상일 때이다.
KR1020087005533A 2005-09-15 2006-09-14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 KR101331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4178A DE102005044178A1 (de) 2005-09-15 2005-09-15 Tischtennisball
DE102005044178.5 2005-09-15
PCT/EP2006/008963 WO2007031315A1 (de) 2005-09-15 2006-09-14 Zelluloidfreier tischtennis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853A true KR20080044853A (ko) 2008-05-21
KR101331035B1 KR101331035B1 (ko) 2013-11-20

Family

ID=3754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33A KR101331035B1 (ko) 2005-09-15 2006-09-14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05183B2 (ko)
EP (1) EP1924331B1 (ko)
JP (1) JP5078894B2 (ko)
KR (1) KR101331035B1 (ko)
CN (1) CN101272830B (ko)
AT (1) ATE554832T1 (ko)
DE (1) DE102005044178A1 (ko)
WO (1) WO2007031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4178A1 (de) * 2005-09-15 2007-03-29 Thomas Dr. Wollheim Tischtennisball
CN101850170B (zh) 2009-03-31 2014-04-16 张辉伦 一种整体无缝结构的乒乓球
CN102838782B (zh) * 2012-09-06 2015-04-22 无锡市科恩塑胶有限公司 一种替代赛璐珞的乒乓球用材料及制造方法
CN102896788A (zh) * 2012-10-17 2013-01-30 丁杭峰 一种注塑成型的无赛璐珞乒乓球
CN103157255A (zh) * 2012-12-26 2013-06-19 缪国平 运动用球
WO2014175132A1 (ja) 2013-04-26 2014-10-30 日本卓球株式会社 卓球ボールおよび卓球ボール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150045161A1 (en) 2013-08-06 2015-02-12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ellulose Acetate Table Tennis Balls and Processes for Making
CN103394180B (zh) * 2013-08-12 2016-02-17 信阳农林学院 抗形变乒乓球制作方法
JP6363786B2 (ja) * 2014-03-21 2018-07-25 ヴェーナー・プラスティ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セルロイドを含まない実質的に球状の中空体及びその製造
DE102015003699A1 (de) 2014-03-21 2015-09-24 Weener Plastik Gmbh Zelluloidfreier im Wesentlichen kugelförmiger Hohlkörper und dessen Fertigung
FR3039076B1 (fr) * 2015-07-22 2017-09-01 Decathlon Sa Balle de tennis de ta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05080081A (zh) * 2015-07-28 2015-11-25 上海红双喜股份有限公司 一种乒乓球二个半球连接结构和制造方法
CN105037990A (zh) * 2015-08-27 2015-11-11 浙江曙光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乒乓球用纳米无机填料改性聚苯乙烯及其制备方法
CN105111671B (zh) * 2015-09-28 2018-01-09 无锡市科恩塑胶有限公司 一种乒乓球及其制备方法
CN105694339B (zh) * 2016-03-14 2019-05-10 赵帅 一种制备乒乓球的方法、制备材料及乒乓球
CN108042990B (zh) * 2018-02-09 2022-12-13 华北理工大学 一种训练用乒乓球及其成型装置
CN109568905A (zh) * 2018-12-11 2019-04-05 盐城市艾斯特体育器材有限公司 一种长寿命的乒乓球
CN109796760A (zh) * 2018-12-11 2019-05-24 盐城市艾斯特体育器材有限公司 一种环保的乒乓球
CN109810449B (zh) * 2018-12-27 2021-08-17 聚石化学(苏州)有限公司 一种乒乓球用as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786792B2 (en) * 2022-02-26 2023-10-17 Play Everywhere Sports, Llc Table tennis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3894A (en) * 1948-04-21 1953-04-07 Raytheon Mfg Co Plastic welding
GB1131322A (en) * 1964-10-14 1968-10-23 Dunlop Co Ltd Apparatus for forming hollow plastic articles
US3617589A (en) 1964-10-14 1971-11-02 James Jones Hinton Method for manufacturing table-tennis balls
BE756475Q (fr) * 1964-10-14 1971-03-01 Dunlop Co Ltd Balles de tennis de table
GB1222901A (en) * 1968-07-04 1971-02-17 Dunlop Co Ltd Hollow plastic articles
JPS5017897A (ko) * 1973-05-30 1975-02-25
DE2611919A1 (de) * 1975-03-27 1976-10-14 Uop Inc Verfahren zur gegenstromkontaktbehandlung von gasen und fluessigkeiten und kontaktkoerper hierfuer
JPS5481936A (en) * 1977-12-10 1979-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Table tennis ball
DE3438227A1 (de) * 1984-10-18 1986-04-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schtennisbaellen
CN1057790A (zh) * 1990-06-26 1992-01-15 广州市文教体育用品工业公司 改性聚苯乙烯乒乓球
JP2002035189A (ja) 2000-07-26 2002-02-05 Haaguru:Kk 卓球用のボール及び卓球セット
CN1410250A (zh) * 2001-09-25 2003-04-16 骆益群 一种新型乒乓球和其制备方法
US20100210745A1 (en) * 2002-09-09 2010-08-19 Reactive Surfaces, Ltd. Molecular Healing of Polymeric Materials, Coatings, Plastics, Elastomers, Composites, Laminates, Adhesives, and Sealants by Active Enzymes
DE10315154A1 (de) * 2003-04-03 2004-10-14 Kuhn, Joachim, Dr. Tischtennisball mit Struktur- und Formelementen in der Schale
DE102005044178A1 (de) * 2005-09-15 2007-03-29 Thomas Dr. Wollheim Tischtennisb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218938B2 (en) 2017-11-24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05183B2 (en) 2012-01-31
EP1924331A1 (de) 2008-05-28
WO2007031315A1 (de) 2007-03-22
JP2009507589A (ja) 2009-02-26
CN101272830B (zh) 2013-03-27
ATE554832T1 (de) 2012-05-15
JP5078894B2 (ja) 2012-11-21
KR101331035B1 (ko) 2013-11-20
EP1924331B1 (de) 2012-04-25
US20100009791A1 (en) 2010-01-14
DE102005044178A1 (de) 2007-03-29
CN101272830A (zh)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035B1 (ko) 셀룰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탁구공
JP5970019B2 (ja) フォーム状の内側コアおよび熱可塑性の外側コア層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用のコア組立体
JP5953327B2 (ja) ゴルフボール用のフォーム状内側コアを具備する多層コア
JP6259350B2 (ja) フォーム状および熱硬化性の層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用の多層コア
KR20160135807A (ko) 셀룰로이드-무함유의 실질적으로 구형인 중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320725A (ja) 硬質のロジン−変性ポリマーを含むゴルフボール
JP6089192B2 (ja) 選択的重量分配されたフォーム状センタを具備する多層ゴルフボール
US712413A (en) Golf-ball.
JP6259355B2 (ja) フォーム状センタおよび熱可塑性外側層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コア
JP2014213204A (ja) フォーム状の内側コアおよび熱硬化性の外側コア層を具備するゴルフボール
JP2008136872A (ja) ゴルフボール層に対するエンジニアリング熱可塑性加硫ゴムの使用
US943383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golf balls having multi-layered covers
CN108025203B (zh) 乒乓球及其制造方法
US20080064535A1 (en) Weighted Training Ball
US696368A (en) Manufacture of golf-balls.
US712411A (en) Golf-ball.
KR100761709B1 (ko) 비거리를 증가시킨 골프공 및 그 제조방법
JP2001079117A (ja) ゴルフボール
JPS61228040A (ja) 遊技ボ−ル用ゴム組成物
US699623A (en) Manufacture of golf-balls.
US699088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golf-balls.
EP1234601A2 (en) Uniformly weighted golf ball
GB2479241A (en) Cricket ball
JPH02167180A (ja) ツーピースゴルフボール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