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182A -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182A
KR20080044182A KR1020070115987A KR20070115987A KR20080044182A KR 20080044182 A KR20080044182 A KR 20080044182A KR 1020070115987 A KR1020070115987 A KR 1020070115987A KR 20070115987 A KR20070115987 A KR 20070115987A KR 20080044182 A KR20080044182 A KR 2008004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polyol
coating composition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밤프레히트
마르쿠스 메히텔
토마스 클림마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4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신규의 조성물, 및 이를 코팅, 특히 내스크래치성 상도층(topcoat) 제조용 코팅 조성물에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팅 조성물,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내스크래치성, 상도층

Description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고찰
본 출원은 35 U.S. C. §119(a)-(d)에 의거하여 2006년 11월 15일자 출원된 독일 특허 출원 제 10 2006호를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내스크래치성 상도층용 코팅 조성물에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스크래치성 상도층, 특히 자동차 상도층 분야 및 자동차 보수 분야에 사용되는 상도층은 수년동안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이와 같은 도료 시스템은 스크래치(scratch)를 덜 일으키는 특성(예: 세차시) 뿐만 아니라, 용제 및 산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에는 용제 및 화학물질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갖는 동시에 특히 우수한 내스크래치성과 탁월한 내후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는 2액형(2-component, 2K) 폴리우레탄(PUR) 시스템에 대한 시장이 개척되었다.
폴리에스테르류와의 혼합물로 존재하기도 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이와 같 은 시스템에 폴리올 결합제로서 주로 사용된다.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교제로서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2액형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은 전반적인 특성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수준을 달성하였지만, 특히 진한 색채의 경우에 세차시에 잦은 세척후에 투명 코팅(clearcoat)에서 스크래치가 자주 관찰된다. 도막의 탄성에 따라서, 스크래치가 경시적으로 희미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소위 역류(reflow)로 언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류 양상을 개선하고자 투명 코팅 도막의 탄성을 증가시킬 경우, 도료는 표면 경도를 잃게 되고, 용제 및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 특히 산에 대한 내성이 손상된다 [Carl Hanser Verlag, Munich, MO Metalloberflache 54 (2000) 60-64]. 그러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주로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고탄성 폴리에스테르와의 조합을 통해서 폴리올 성분의 탄성을 증가시킴으로써 2액형 PUR 도료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DE-A 198 24 118호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경화되어 접착력이 우수한 급속 건조성 코팅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저용매(low-solvent) 결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제는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높기 때문에 산에 대한 내성이 부적절하여 자동차 상도층에 사용하는데 부적합하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O96/20968호에는 자동차 및 화물차에 사용되는 코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코팅 조성물은 알킬-치환된 시클로지방족 (메트)아 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알킬-치환된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복수의 히드록시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에스테르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한다. 그러나, 이 조성물에 사용된 올리고에스테르는 그 제조 방법의 결과에 따라 1차 히드록시기 이외에도 비교적 많은 수의 2차 히드록시기를 함유한다. 그리고 저점도(<3,000 mPa.s/23℃) 코팅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양의 상기 에스테르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 60 중량%)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코팅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매우 느린 속도로만 경화하므로,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속 소자와 같은 열 민감성 기재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EP-A 0 896 991호에는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10 중량% 이하이고 히드록시가가 40 내지 125 mg KOH/g인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가교 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PUR 도료는 용제와 화학물질에 대해 적합한 내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더욱이, 고형분이 70 중량%일 때 점도가 3,000 내지 5,000 mPa.s (23℃)인데, 이와 같은 점도는 너무 높아서 고형분 함량이 높은 PUR 도료를 제조할 수가 없다.
다른 문헌, 예를 들면, EP 1 101 780 A호, EP 819 710 A호 및 EP 778 298호에는, 주로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올 결합제로서 사용되는 다른 폴리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용 반응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관해서 개괄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혼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특이적인 장점에 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상기 혼합물 시스템의 정량적인 조성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의 분자량 및 OH 작용기 수에 관한 정보는 전혀 없다.
2005년 5월에 발행된 Research Disclosure에 실린 익명의 간행물 493099호의 제 584면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및 이것과 기타 폴리올과의 임의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폴리우레탄 코팅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도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특성, 예를 들면, 우수한 접착력, 고광택, 경도의 향상, 흐름성, 내알칼리성, 가요성, 탄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포괄적으로 언급되어 있으나, 해당하는 시험 결과나 증거는 실려있지 않다. 당해 도료의 내스크래치성의 개선에 관해서는 어떠한 정보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도층 시스템의 내산성 및 내용제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스크래치성 면에서 현저한 향상을 나타내는 신규의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수평균 분자량(Mn)이 200 내지 5,000 g/mol인 1종 이상의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5 내지 95 중량%; 및 (B) 수평균 분자량 Mn이 200 내지 5,000 g/mol인 1종 이상의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95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와 (B)의 합계량은 100 중량%인 결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의 특정 조합을 코팅 조성물용 제제에 사용함으로써, 내용제성과 내화학성을 동등하게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동시에 현저하게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상도층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A) 성분으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3,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 g/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500 g/mol인 지방족 올리고 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성분으로는, OH 작용기 수가 1.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4, 가장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3인 전술한 유형의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양은 1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성분 (A)가 15 내지 6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A)에 사용되는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의 제조 방법은,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단량체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OH 작용기 수가 2.0 이상인 폴리올, 예컨대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2-도데칸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등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제조 방법의 일례가 EP 1 404 740 B1호의 실시예 1 내지 5 및 EP-A 1 477 508 A1호의 실시예 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결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200 내지 2,000 g/mol이고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의 분자량이 300 내지 1,500 g/mol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B) 성분으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3,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 g/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500 g/mol인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성분으로는, OH 작용기 수가 1.5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인 전술한 유형의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의 양은 90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성분 (B)는 8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8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B)로 사용된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 방법은, 시클릭 락톤, 예컨대 ε-카프로락톤 또는 γ-부티로락톤과 OH 작용기 수가 2.0 이상인 폴리올, 예컨대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12-도데칸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등과의 반응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제조 방법의 일례가 EP 1 404 740 B1호의 실시예 1 내지 5 및 EP 1 477 508 A1호의 실시예 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조성물에 있어서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200 내지 2,000 g/mol이고 1,4-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A)와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B)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조성물은 그 자체 그대로 코팅 조성물 및 도료, 특히 내스크래치성 상도층을 제조하기 위한 가교 결합 수지용 결합제 및 반응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조성물은 당해 코팅 조성물 및 도료에 추가의 폴리올 성분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C)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C)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기타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올레핀류, 예컨대 1-옥텐 및/또는 1-데켄과의 알킬, 아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면 헥시온(Hexion)에서 시판하는 베오바(VeoVa)® 9 및/또는 베오바® 10,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폴리부타디엔 및 가교 반응을 할 수 있는 기들을 함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아미노작용성 에스테르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OH기-반응성 가교 수지(D)는, 예컨대 문헌 [J. Prakt. Chem. 336(1994) 185-200], DE-A 16 70 666호, 19 54 093호, 24 14 413호, 24 52 532호, 26 41 380 호, 37 00 209호, 39 00 053호 및 39 28 503호 또는 EP-A 336 205호, 339 396호 및 798 29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단순한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아르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트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비우레트,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및/또는 옥사디아진트리온 구조로 변형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임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량이 140 내지 400 g/mol 범위인 소정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 이들은 포스겐화 또는 무(無)포스겐 방법에 의해서, 예를 들면 우레탄 열분해 반응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아르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구조로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며, 이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는, 1,4-디이소시아네이토부탄,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HDI), 2-메틸-1,5-디이소시아네이토펜탄, 1,5-디이소시아네이토-2,2-디메틸펜탄, 2,2,4- 및 2,4,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1,10-디이소시아네이토데칸, 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1-이소시아네이토-1-메틸-4(3)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 1,3- 및 1,4-비스-(2-이소시아네이토-프로프-2-일)-벤젠(TMXDI), 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TDI), 2,4'- 및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MDI), 1,5-디이소시아네이토나프탈렌 또는 이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 다.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구조로만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전술한 유형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HDI, IPDI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아가, 소위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HDI, IPDI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임시로 보호하기 위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보호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잘 알려진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문헌 [Houben 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XIV/2, p. 61-70]에 설명되어 있다.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임의로 촉매의 존재하에서 가열할 때 제거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을 보호제로서 고려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제의 예로서는 입체 장애 아민류,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N-t-부틸-N-벤질아민, 카프로락탐, 부탄온옥심, 다양한 치환 패턴을 가진 이미다졸류, 피라졸류, 예컨대 3,5-디메틸피라졸, 트리아졸 및 테트라졸, 뿐만 아니라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t-부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추후 반응 과정에서 보호 제가 제거되지 않고 중간체로서 일시적으로 형성된 중간 단계 생성물이 반응 완결시까지 반응하도록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는 시클로펜탄온-2-카르복시에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상기 화합물은 열가교 반응에서 완전히 반응하여 중합체 네트워크로 전환되며 다시 제거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에, 성분 (D) 뿐만 아니라OH 또는 NH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기들을 함유하는 다른 반응성 화합물을 추가의 가교제 성분으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서는, 아미노 수지를 들 수 있다.
도료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반응 생성물 또는 우레아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반응 생성물이 아미노 수지로서 사료될 수 있다. 에테르화되지 않았거나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4개인 포화 모노알코올에 의해 에테르화된 통상의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반응 생성물이 적당하다. 다른 가교제 성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NCO-반응성 히드록시기를 가진 결합제의 양은 이에 알맞게 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성분 (A) 내지 (C)와 성분 (D)를 반응시키는데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알루미늄, 주석, 아연, 티타늄, 망간, 철, 비스무스 또는 지르코늄과 같은 원소의 시판되는 유기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아연 옥토에이트, 또는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3급 아민, 예를 들면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도 촉매로서 적합하다.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80℃,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범위의 온도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성분 (D)와 성분 (A) 내지 (C)와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A)와 (B)의 폴리올 혼합물 이외에도, 폴리우레탄 도료 기술을 통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아민계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은 통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또는 앞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A)와 (B)의 폴리올 조성물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그 자체로서 잘 알려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C)를 추가의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반응 희석제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생성물, 예를 들면 알디민 또는 케타민, 또는 유리 상태이지만 반응성이 감소된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생성물, 예를 들면 아스파르트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민계 반응성 희석제는 하나 이상의 (보호된) 아미노기를 함유하므로, 가교 반응 과정에서 중합체 도막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다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아민계 반응성 희석제를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성분 (A) 내지 (C)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추가의 화합물들의 양은 상기 성분 (A) 내지 (C)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를 초과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 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폴리올 성분 (A) 내지 (C)를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조성물의 유일한 폴리올 성분들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 내지 (C) 및 임의로 사용되는 추가의 가교제 및 경화제에 대한 성분 (D)의 비율은, 유리된 상태의 NCO기 및 임의로 보호된 NCO기: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의 NCO/OH 비율이 0.3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비율이다.
성분 (A) 내지 (C) 및 (D)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조성물에는 코팅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안료, 추가의 유기 광 안정제, 라디칼 억제제, 도료 첨가제, 예컨대 분산제, 유동 촉진제, 증점제, 소포제 및 기타 보조제, 접착력 증진제, 살진균제, 살균제, 안정화제 또는 억제제 및 추가의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조성물은, 자동차 OEM 코팅, 자동차 보수, 대형 차량 도장, 수지 도장, 일반적인 공업용 도장, 바닥 코팅 및/또는 목재/가구 도장 등의 분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A)와 (B)의 폴리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코팅 및 피복된 기재를 제공한다.
실시예
데스모펜(Desmophen)® A 870: 독일 레베르쿠젠(Leverkusen)에 소재하는 바이엘 매터리얼 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 Science AG)에서 시판하는 히드록시 기 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중 약 70%이고 DIN 53 240/2에 따른 히드록시기 함량이 약 2.95%이다.
데스모펜® VP LS 2971: 독일 레베르쿠젠(Leverkusen)에 소재하는 바이엘 매터리얼 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 Science AG)에서 시판하는 탄성 부여된 히드록시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중 약 80%이고 DIN 53 240/2에 따른 히드록시기 함량이 약 3.8%이다.
데스모두르(Desmodur)® N 3600: 독일 레베르쿠젠(Leverkusen)에 소재하는 바이엘 매터리얼 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 Science AG)에서 시판하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100 중량%, DIN EN ISO 11909에 따른 NCO 함량이 23 중량%이다.
데스모두르® N 3390 BA: 독일 레베르쿠젠(Leverkusen)에 소재하는 바이엘 매터리얼 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 Science AG)에서 시판하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중 90 중량%, DIN EN ISO 11909에 따른 NCO 함량이 19.6 중량%이다.
히드록시가(OH가)는 DIN 53240-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독일에 소재하는 파르(Paar)에서 시판하는 "MCR51" 회전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DIN EN ISO 3219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산가는 DIN EN ISO 211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색상 지수(APHA)는 DIN EN 1557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A1
1,6-헥산디올/1,4-부탄디올을 주성분으로 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2,000 g/mol인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1,4-부탄디올 1,390 g과 1,6-헥산디올 608 g을, 이트륨(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7 g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 914 g과 함께 80℃에서 분류 컬럼, 교반기 및 수용기를 구비한 6리터 가압 반응기에 넣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 시간동안 질소 대기하에 150℃로 가열하고, 환류하에 교반하면서 2 시간동안 상기 온도로 유지시키고, 압력을 3.9 바아(절대 압력)로 상승시켰다. 이어서, 분해 생성물인,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혼합된 메탄올을 증류에 의해서 제거하고, 압력을 4 시간에 걸쳐서 총 압력 2.2 바아만큼 연속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어서, 증류 작업을 완결하고, 디메틸 카보네이트 914 g을 평량해서 150℃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더 넣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하에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로 유지시키고, 압력을 3.9 바아(절대 압력)로 상승시켰다. 이어서, 분해 생성물인,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혼합된 메탄올을 증류에 의해서 다시 제거하고, 압력을 4 시간에 걸쳐서 총 압력 2.2 바아만큼 연속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어서, 증류 작업을 완결하고, 디메틸 카보네이트 782 g을 평량해서 150℃에서 반응 혼합물에 더 넣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로 유지시키고, 압력을 3.5 바아(절대 압력)까지 상승시켰다. 이어서, 분해 생성물인,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혼합된 메탄올을 증류에 의해서 다시 제거하고, 압력을 4 시간에 걸쳐서 표준 압력까지 감소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 시간에 걸쳐서 180℃까지 가열하고, 교반시키면서 2 시간동안 상기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온도를 130℃로 저하시키고, 질소 기류(5리터/시간)를 반응 혼합물에 통과시키면서 압력을 20 mbar로 저하시켰다. 이어서, 온도를 4 시간 이내에 18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로 6 시간동안 유지시켰다. 그 동안에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혼합된 메탄올을 다시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통기 처리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갖는 무색의 왁스상인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얻었다:
Mn= 1,968 g/mol; OH가= 57 mg KOH/g; 점도: 75℃에서 3,513 mPa.s, 하젠 (Hazen) 색상 지수: 47 APHA.
실시예 2: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A2
3-메틸-1,5-펜탄디올을 주성분으로 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650 g/mol인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0리터 가압 반응기에, 1,6-헥산디올 대신에 3-메틸-1,5-펜탄디올 34,092g과 이테르븀(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8.0 g을 먼저 넣고,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3단계에 걸쳐서, 두 번은 10,223 g의 양으로, 그리고 한번은 7,147 g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갖는 무색의 액체상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얻었다:
Mn= 675 g/mol; OH가= 166.0 mg KOH/g; 점도: 23℃에서 4,146 mPa.s, 하젠 색상 지수: 17 APHA.
실시예 3: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A3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250(분자량 250 g/mol)을 주성분으로 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1,000 g/mol인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리터 가압 반응기에, 1,6-헥산디올 대신에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250 3,259 g과 이트륨(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7 g을 먼저 넣고,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3단계에 걸쳐서, 두 번은 439 g의 양으로, 그리고 한번은 376 g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갖는 무색의 액체상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얻었다:
Mn= 1,002 g/mol; OH가= 112 mg KOH/g; 점도: 23℃에서 1,360 mPa.s, 하젠 색상 지수: 13 APHA.
실시예 4: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A4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1,4-부탄디올을 주성분으로 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500 g/mol인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리터 가압 반응기에, 1,6-헥산디올 대신에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119 g, 1,4-부탄디올 1,325 g 및 이트륨(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8 g을 먼저 넣고,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3단계에 걸쳐서, 두 번은 1,012 g의 양으로, 그리고 한번은 867 g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갖는 무색의 액체상 올리고카보네이트 디올을 얻었다:
Mn= 492 g/mol; OH가= 228 mg KOH/g; 점도: 23℃에서 87,700 mPa.s, 하젠 색상 지수: 35 APHA.
실시예 5: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1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3,155 g, ε-카프로락톤 1,345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99.5 중량%, 23℃에서 점도: 4,100 mPa.s, 산가: 0.5 mg KOH/g, 히드록시가: 881 mg KOH/g, 히드록시 함량: 26.7 중량%, 하젠 색상 지수: 44 APHA.
실시예 6: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2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2,747 g, ε-카프로락톤 1,753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99.5 중량%, 23℃에서 점도: 3,300 mPa.s, 산가: 1.0 mg KOH/g, 히드록시가: 766 mg KOH/g, 히드록시 함량: 23.2 중량%, 하젠 색상 지수: 72 APHA.
실시예 7: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3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1,977 g, ε-카프로락톤 2,523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99.6 중량%, 23℃에서 점도: 2,080 mPa.s, 산가: 0.6 mg KOH/g, 히드록시가: 542 mg KOH/g, 히드록시 함량: 16.4 중량%, 하젠 색상 지수: 48 APHA.
실시예 8: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4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1,407 g, ε-카프로락톤 3,593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100.0 중량%, 23℃에서 점도: 1,730 mPa.s, 산가: 0.5 mg KOH/g, 히드록시가: 356 mg KOH/g, 히드록시 함량: 10.8 중량%, 하젠 색상 지수: 17 APHA.
실시예 9: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5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트리메틸올프로판 737 g, ε-카프로락톤 3,763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99.8 중량%, 23℃에서 점도: 1,750 mPa.s, 산가: 0.9 mg KOH/g, 히드록시가: 202 mg KOH/g, 히드록시 함량: 6.1 중량%, 하젠 색상 지수: 28 APHA.
실시예 10: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B6
글리세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글리세롤 2,010 g, ε-카프로락톤 2,490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BTL) 2.25 g을 평량해서 실시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반응기에 넣었다. 용기내 내용물을 160℃로 가열하고, 16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20℃로 냉각시켜서, 다음과 같은 특성치를 가진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고형분: 100.0 중량%, 23℃에서 점도: 980 mPa.s, 산가: 1.2 mg KOH/g, 히드록시가: 811 mg KOH/g, 히드록시 함량: 24.6 중량%, 하젠 색상 지수: 23 APHA.
실시예 11∼18:
본 발명에 의한 (A)와 (B)로 이루어진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A)와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B)를 1리터 유리 플라스크에서 질소 대기하에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특성 데이터를 측정한 후에, 차후 적용예에 이용할 수 있도록 보관해 두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성분들 (AB1) 내지 (AB8)의 고체 수지에 대한 중량% 단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제시하였고, 상응하는 특성 데이터는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혼합물 (AB1) 내지 (AB8)의 중량% 단위 조성, 고체 수지 기준
폴리올 혼합물 AB1 AB2 AB3 AB4 AB5 AB6 AB7 AB8
성분 a1 7.7 - - - - - - 45.5
성분 a2 - - - 33.3 - 25.0 - -
성분 a3 - - 33.3 - 50.0 - - -
성분 a4 - 66.7 - - - - 40.0 -
성분 b1 - - - 66.7 - - 60.0 -
성분 b2 - - - - - 75.0 - -
성분 b3 - - - - 50.0 - - -
성분 b4 92.3 - - - - - - 54.5
성분 b5 - - 66.7 - - - - -
성분 b6 - 33.3 - - - - - -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혼합물 (AB1) 내지 (AB8)의 특성 데이터
폴리올 혼합물 AB1 AB2 AB3 AB4 AB5 AB6 AB7 AB8
고형분 (중량%) 100 98.8 100 99.5 100 99.7 99.2 99.6
23℃에서 점도(mPa.s) 2150 19700 1440 4550 1830 3690 10800 8140
산가 (mg KOH/g) 0.5 0.4 0.4 0.2 0.3 0.4 0.2 0.1
OH가 (mg KOH/g) 328 418 175 656 328 607 595 217
OH 함량, 고체 수지(%) 9.9 12.7 5.3 18.8 9.9 18.4 18.0 6.6
실시예 19∼21:
히드록시 작용기를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C)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지 않은 것)
본 실시예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들은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A)와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B)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 조성물(AB)에 대한 비교용으로 사용한 것이다.
공중합체 ( C1 ) 내지 ( C3 )에 대한 제조방법의 상세한 설명
제 1 액을 교반기, 증류 장치, 계량 펌프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개시제에 대한 공급 용기 및 자동 온도 제어 장치를 구비한 5 리터 스테인리스 스틸 가압 반응기에 넣고, 소정의 중합 반응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서, 동시에 시작하여, 제 2 액(단량체 혼합물)을 3시간내에 첨가하고, 제 3 액(개시제 용액)을 3.5 시간내에 첨가하였으며, 중합 반응 온도를 일정하게(±2℃) 유지시켰다. 이어서, 60분동안 상기 중합 반응 온도에서 교반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형분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고형분은 70±1%이었다. 고형분이 68% 이하일 경우에는, 30분동안 150℃에서 원래의 개시제 양의 5%를 사용하여 활성화 후처리를 수행하였다. 고형분이 68% 내지 69%일 경우에는, 70±1%까지 증류를 수행하였다. 이어서, 공중합체를 여과하였다 (Supra T5500, 소공 크기 25-72 ㎛, 사이츠-필터-베르크 게엠베하(Seitz-Filter-Werke GmbH), 독일 바드 크루즈나흐 소재). 제 1 액 내지 제 3 액에 대한 조성 및 생성물의 특성을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공중합체 C1 C2 C3
제 1 액
부틸 아세테이트 - - 25.00
나프타 용매 1001) 25.00 25.00 -
제 2 액
스티렌 10.79 11.89 27.44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1.81 21.81 23.00
부틸 아크릴레이트 33.51 33.51 17.04
폴리부타디엔 Nisso® B 10002) 0.95 - -
폴리부타디엔 Lithene® AL3 ) - 0.95 -
아크릴산 1.09 - 0.68
제 3 액
디-t-부틸 퍼옥사이드 2.84 2.84 2.84
부틸 아세테이트 - - 4.00
나프타 용매 1001) 4.00 4.00 -
중합 반응 온도(℃) 160 160 170
특성
고형분(중량%) 70.5 69.4 70.1
23℃에서 점도(mPa.s) 3710 1140 3582
산가, 제조된 상태(mg KOH/g) 10.1 1.8 7.8
OH가, 제조된 상태(mg KOH/g) 91 93 97
OH 함량, 고체 수지(중량%) 3.9 4.1 4.2
하젠 색상 지수, 제조된 상태(APHA) 24 19 15
모든 정량 데이터는 중량% 단위로 기재한 것이다.
1) 뮐하임 안 데르 루르 D-445478에 소재하는 DHC 솔벤트 케미 게엠베하(DHC Solvent Chemie GmbH)에서 시판하는 제품.
2) 일본에 소재하는 니뽄 소다(Nippon Soda)의 시판 제품.
3) 프랑크프루트/마인에 소재하는 신토머 게엠베하(Synthomer GmbH)의 시판 제품.
적용예
실시예 22:
기재(성분 22 ABC )의 제조
베이실론(Baysilone)® OL 17(랑겐필드에 소재하는 보르세 게엠베하(Borchers GmbH)에서 시판함, MPA중 10% 용액) 1.4 g, 티누빈(Tinuvin)® 292(람페르타임에 소재하는 시바 스페지알리타텐케미 람페르타임 게엠베하(Ciba Spezialitatenchemie Lampertheim GmbH)에서 시판함, MPA중 50% 용액) 2.8 g, 티누빈® 382/4 (람페르타임에 소재하는 시바 스페지알리타텐케미 람페르타임 게엠베하에서 시판함, MPA중 50% 용액) 4.2 g, 모다플로우(Modaflow)® (뮐하임/R에 소재하는 브렌타그 아게(Brenntag AG)에서 시판함, MAP중 1% 용액) 1.4 g, 및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와 나프타 용매 100의 1:1 혼합물 34.8 g을 폴리올 AB3 36 g과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C2) 84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120.0 g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시켰다.
경화제 용액(성분 22D)의 제조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와 나프타 용매 100의 1:1 혼합물 23.4 g을 데스모두르® N3600 43.4 g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시켰다.
실시예 23∼25 및 비교예 V1 V2:
실시예 2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단, 하기 표 4 및 표 5(비교예 V1 및 V2)에 제시된 원료들을 사용하였다.
기재 23 ABC 24 ABC 25 ABC
폴리올 AB(사용량, g 단위) 60 g AB4 80 g AB5 55 g AB8
폴리아크릴레이트 C(사용량, g 단위) 40 g C2 20 g C3 45 g C1
총 초기 중량(g) 100.0 100.0 100.0
베이실론® OL 17 (10% MPA) (g) 1.28 1.41 1.29
티누빈® 292 (50% MPA) (g) 2.57 2.83 2.58
티누빈® 382/4 (50% MPA) (g) 3.85 4.24 3.87
모다플로우® (1% MPA) (g) 1.28 1.41 1.29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용매 나프타 100 (1:1) (g) 42.31 56.47 42.81
경화제 23D 24D 25D
데스모두르® N3600 (g) 122.35 - -
데스모두르® N3390 BA(g) - 101.77 57.65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용매 나프타 100 (1:1) (g) 76.52 45.34 23.78
비교예 V1 V2
기재
데스모펜® A870 (g) 64.6 86.9
데스모펜® VP LS 2971 (g) 18.9 --
베이실론® OL 17 (10% 크실렌) (g) 0.9 0.9
티누빈® 292 (10% 크실렌) (g) 9.1 9.1
티누빈® 1130 (10% 크실렌) (g) 18.1 18.1
모다플로우® (1% 크실렌) (g) 0.9 0.9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용매 나프타 100 (1:1) (g) 11.9 8.7
부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g) -- 3.6
경화제
데스모두르® N3390 BA (g) 33.8 33.1
1-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2/용매 나프타 100 (1:1) (g) 11.9 8.6
기재와 경화제의 혼합 및 혼합물 도포: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 ABC(기재) 및 D(경화제)를 각 실시예별로 함께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시켰다. 이어서, 각 혼합물을 에어건을 사용해서 흑색 하도층으로 미리 피복된 코일 피복 시트에 도포하고, 실온하에 공기에 10분동안 노출시킨 후에, 순환 기류 오븐에서 140℃하에 30분동안 소성시켰다. 건조 필름 두께가 약 40 ㎛인 선명한 고광택 코팅을 수득했다. 코팅의 도료 특성을 측정해서 하기 표 에 제시하였다.
코팅의 도료 특성
실시예 22 23 24 25 비교예 1 비교예 2
유리상의 진자 경도 183 175 169 178 182 197
FAM/크실렌, 10분 2/2 2/2 2/2 2/2 2/2 2/2
흐림도 10 9 9 10 11 10
내스크래치성
처리전 광택(20°) 88 86 89 88 91 92
10주기후 광택(20°) 78 83 74 80 58 52
상대 잔류 광택(%) 89 96 83 91 63 56
60℃에서 2시간 역류후 광택 82 84 81 83 75 76
역류후 상대 잔류 광택(%) 93 98 91 94 82 82
내화학성
나무 수지 36 38 38 38 36 38
판크레아틴 36 36 36 36 36 36
미네랄 제거수 43 46 45 44 40 44
NaOH, 1% 42 46 44 42 42 42
H2SO4, 1% 43 44 45 43 41 45
테스트 방법 :
진자 경도:
진자 경도는 DIN EN ISO 152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석유에 대한 내성:
VDA 621-412(테스트 A 4.1.1 Y 및 4.1.3 Y)에 근거하여 DIN 51 635에 따라 FAM 테스트 연료 및 크실렌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노출 시간을 10분으로 하였다.
내스크래치성 :
내스트래치성은 DIN 55668-"Testing the scratch reistance of coatings with a laboratory wash unit"에 대한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광택도는 10회의 왕복 타격 처리 주기 이전과 이후, 그리고 60℃에서 2시간 동안 다시 저장한 후에(역류 양상), DIN 67 530에 의거하여 반사도계의 수치로서 측정하였다.
내화학성:
내화학성은 온도구배 오븐(gradient oven)에서 DIN EN ISO 2812/5(draft)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25의 본 발명에 의한 코팅은 역류 이전과 이후에 비교예 1과 2의 코팅에 비해서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의 내화학성은 비교예 1과 2의 코팅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뿐,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형예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A) 수평균 분자량(Mn)이 200 내지 5,000 g/mol인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 5 내지 95 중량%; 및
    (B) 수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5,000 g/mol인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 95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와 (B)의 합계량은 100 중량%인 결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양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성분 (B)의 양은 80 내지 50 중량%인 결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올리고카보네이트 폴리올중 1종 이상은 분자량이 200 내지 2,000 g/mol 범위이고,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화합물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인 결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올리고에스테르 폴리올중 1종 이상은 분자량이 200 내지 2,000 g/mol 범위이고, ε-카프로락톤과,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화합물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인 결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따른 결합제 조성물 및 가교제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성분을 더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성분이 1종 이상의 아미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코팅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성분이 HDI, IPDI 및/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가진 1종 이상의 임의로 보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네이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코팅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유리 NCO 기와 임의로 보호된 NCO 기 :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의 NCO/OH 비율이 0.5 내지 1.2인 코팅 조성물.
  10. 제 5 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사용해서 얻은 코팅.
  11. 제 10 항에 따른 코팅으로 피복된 기재.
KR1020070115987A 2006-11-15 2007-11-14 코팅 조성물 KR20080044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3741.6 2006-11-15
DE102006053741A DE102006053741A1 (de) 2006-11-15 2006-11-15 Beschichtungsmit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82A true KR20080044182A (ko) 2008-05-20

Family

ID=3914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87A KR20080044182A (ko) 2006-11-15 2007-11-14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80114133A1 (ko)
EP (1) EP1923414B1 (ko)
JP (1) JP5542301B2 (ko)
KR (1) KR20080044182A (ko)
CN (1) CN101182387A (ko)
DE (1) DE102006053741A1 (ko)
ES (1) ES2462547T3 (ko)
PL (1) PL192341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3740A1 (de) * 2006-11-15 2008-05-21 Bayer Materialscience Ag Beschichtungsmittel
CN105792947B (zh) * 2013-12-11 2018-05-29 关西涂料株式会社 多层涂膜形成方法
US20170247567A1 (en) * 2014-09-19 2017-08-31 Jotun A/S Composition
US10214660B2 (en) 2015-02-10 2019-02-26 Basf Coatings Gmbh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ings produced therefrom for improving erosion resistance
CN105885649A (zh) * 2016-06-22 2016-08-24 漳州鑫展旺化工有限公司 一种高耐重涂水性涂料
JP2018053122A (ja) * 2016-09-29 2018-04-05 旭化成株式会社 塗料組成物
WO2024058011A1 (ja) * 2022-09-15 2024-03-21 東洋紡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5651507A (zh) * 2022-11-18 2023-01-31 杭州立威化工涂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笔记本的高抗油污弹性涂料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2532C3 (de) * 1974-11-06 1978-08-2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en mit Isocyanurat-Struktur
DE2641380C2 (de) * 1976-09-15 1989-11-23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en mit Isocyanuratstruktur
DE3700209A1 (de) * 1987-01-07 1988-07-2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en mit biuretstruktur
DE3811350A1 (de) * 1988-04-02 1989-10-1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uratpolyisocyanaten,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DE3814167A1 (de) * 1988-04-27 1989-11-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polyisocyanaten und ihre verwendung
DE3900053A1 (de) * 1989-01-03 1990-07-1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dion- und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polyisocyanaten,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eltlichen polyisocyanate und ihre verwendung in zweikomponenten-polyurethanlacken
DE3928503A1 (de) * 1989-08-29 1991-03-0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oesungen von isocyanuratgruppen aufweisenden polyisocyanaten in lackloesungsmitteln und ihre verwendung
JPH0749558B2 (ja) * 1990-08-01 1995-05-31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ガラス保護塗料組成物
DE4216536A1 (de) * 1992-05-19 1993-11-25 Bayer Ag Wasserverdünnbare Polyesterpolyole und ihre Verwendung
JPH08120223A (ja) * 1994-10-25 1996-05-14 Okamoto Ind Inc 弾性成形型用の表面被覆剤
IL116255A (en) * 1995-01-05 2004-02-19 Du Pont High-solids coating composition
DE19545634A1 (de) * 1995-12-07 1997-06-12 Bayer Ag Festkörperreiche Bindemittelkombinationen
DE19611849A1 (de) * 1996-03-26 1997-10-02 Bayer Ag Neue Isocyanattrimerisate und Isocyanattrimerisatmischung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628444A1 (de) * 1996-07-15 1998-01-22 Bayer Ag Neue festkörperreiche 2 K-PUR-Bindemittelkombinationen
US6545119B2 (en) * 1999-03-08 2003-04-0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s therefor
JP4325556B2 (ja) * 2002-10-01 2009-09-02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ール混合物および該混合物より得られる反応性ホットメルト組成物ならびに該組成物を使用して得られる成形品
DE10322620A1 (de) * 2003-05-20 2004-12-16 Bayer Materialscience Ag Festkörperreiche Bindemittelkombinationen für kratzfeste Decklacke
JP2005023181A (ja) * 2003-07-01 2005-01-27 Ube Ind Ltd ポリオール混合物、該混合物より得られる反応性ホットメルト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より得られる成型品
JP5132029B2 (ja) * 2004-06-30 2013-01-3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塗料組成物
DE602006017677D1 (de) * 2005-04-22 2010-12-02 Asahi Glass Co Ltd Isocyanatterminiertes urethanprepolymer,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nd klebstoff, der das urethanprepolymer enthält
DE102005026863A1 (de) * 2005-06-10 2006-12-14 Bayer Materialscience Ag Oligocarbonat-haltige Beschichtungsmittel für kratzfeste Decklac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53741A1 (de) 2008-05-21
US20080114133A1 (en) 2008-05-15
EP1923414B1 (de) 2014-03-19
PL1923414T3 (pl) 2014-08-29
EP1923414A3 (de) 2010-04-28
ES2462547T3 (es) 2014-05-23
US20090247711A1 (en) 2009-10-01
EP1923414A2 (de) 2008-05-21
JP5542301B2 (ja) 2014-07-09
JP2008163312A (ja) 2008-07-17
CN101182387A (zh)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831B1 (ko) 코팅 조성물
ES2363244T3 (es) Agentes de recubrimiento que contienen oligocarbonato para lacas de recubrimiento reistentes a los arañazos.
US8378053B2 (en) Aliphatic polyisocyanate prepolymers and polyurethane resin coating compositions using the same
KR20080044182A (ko) 코팅 조성물
KR20040100983A (ko) 내스크래치성 상도를 위한 고형분 함량이 높은 결합제조합물
WO1999007764A1 (e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oxazolidine functional compound and an isocyanate functional compound comprising a uretdione and/or allophanate structure
EP2507282B1 (en)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KR20060054132A (ko)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EP3768755A1 (en) Compositions using polyuretdione resins
WO2015038449A1 (en)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CA2387987A1 (en) Stable powder coating compositions
US20040197481A1 (en) Novel low viscosity prepolymers with low diisocyanate monomer content for moisture cure coatings
US11440988B2 (en) Polyuretdione-containing resin blend compositions
CA2184236A1 (en)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containing polyisocyanates prepared from 1,4-diisocyanato-butane and their use
US20080064829A1 (en) Preparation and use of biuret-containing polyisocyanates as cross-linking agents for coatings
MXPA06006466A (en) Oligocarbonate-containing coating compositions for scratch-resistant topco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