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263A -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 Google Patents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263A
KR20080043263A KR1020070115379A KR20070115379A KR20080043263A KR 20080043263 A KR20080043263 A KR 20080043263A KR 1020070115379 A KR1020070115379 A KR 1020070115379A KR 20070115379 A KR20070115379 A KR 20070115379A KR 20080043263 A KR20080043263 A KR 20080043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e
fabric
packaging
pack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369B1 (ko
Inventor
미노루 타무라
미쓰유키 사토
시게루 다나카
히로시 엔도
Original Assignee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65B2220/20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the primary packaging being bags, the secondary packaging being further bags, the primary bags being either finished or formed concurrently with the secondary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30Devices, e.g. jaws,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e.g. for subdividing fill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는, 포장재 반송 수단과,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과, 절단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포장재 반송 수단은 일방의 포장재 원단을 상측 반송 라인을 따라 반송시키고, 다른 일방의 포장재 원단을 하측 반송 라인을 따라 반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은 반송 중의 각 포장재 사이에 각각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 수단은 각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 원단이 일정 부분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이들 피포장 시트 원단을 절단하여 피포장 시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Sheet feeding apparatus and sheet wrap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상으로 형성된 피포장 시트를 포장할 때에 사용되는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분체(粉體)나 시트상의 피포장재를 봉지 형태로 형성된 포장체 내에 포장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분체를 포장 봉지에 충전 포장하는 예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5-59936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장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포장기는 포장 봉지를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공급하는 포장 봉지 공급 장치와, 공급된 포장 봉지 안으로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공급 장치와, 분체가 공급된 포장 봉지를 밀봉하는 히트 씰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분체 공급 장치는 포장 봉지 안으로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이 공급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 수단은 분체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호퍼와, 호퍼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포장 봉지 안으로 공급하는 슈트(포머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슈트(chute)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슈트 내에 마련된 통로에 분체를 자연 낙하시켜 포장 봉지 안으로 안 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체 공급 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상으로 형성된 피포장 시트를 포장 봉지에 공급하는 시트 포장기가 있다. 즉, 슈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는 포장 봉지 안으로 슈트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배치하고, 피포장 시트를 포장 봉지와 같은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슈트 안으로 낙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트 포장기로서,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기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기(300)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하여 형성된 피포장 시트(152a)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360)와, 시트 공급 장치(360)로부터 공급된 피포장 시트(152a)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350)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공급 장치(360)는 슈트(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슈트(31)에는 복수의 통로(618)가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618)는 피포장 시트(152a)를 포장재(102a, 102a)와 같은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자연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트 공급 장치(360)는 피포장 시트(152a)가 경량인 것이어도 피포장 시트(152a)를 포장재(102a, 102a)와 같은 방향으로 포장재(102a, 102a) 사이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슈트는 대량의 분체를 한 번에 포장 봉지 안으로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로가 상당히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통로의 내벽면과 기립한 상태의 피포장 시트의 주위 사이에는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의 포장기를 피포장 시트의 포장에 적용하면, 피포장 시트가 경량인 것인 경우에는 공기 저항을 크게 받아 방향이 바뀌게 되며, 그 상태 그대로 포장 봉지 안으로 공급된다. 그 결과, 포장 봉지 안으로 공급된 피포장 시트는 밀봉 시에 절곡되어 버리므로, 완성된 포장체는 제품으로서 통용될 수 없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시트 공급 장치(360)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젖어 있으면 피포장 시트(152a)를 자연 낙하시켰을 때에 슈트(31)의 통로(618)에 피포장 시트(152a)가 붙거나 걸리므로 포장재(102a, 102a) 사이에 피포장 시트(152a)를 공급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시트 공급 장치(360)는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시트 공급 장치 및 시트 포장기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 원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장재를, 삽입되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방향으로 구부려 반송시키는 포장재 반송 수단과, 반송 중의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삽입하도록 반송시키는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과,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이 반송 중의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일정 부분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삽입측을 절단하여 피포장 시트를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피포장 시트가 포장재 사이에 직접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개시 위치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위치 사이에, 이 절단 위치를 통과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삽입 개시 위 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절단 위치를 통과한 피포장 시트 원단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되어 포장재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포장재 반송 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이 수평 상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장재를 상하측으로부터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방향으로 구부려 반송시키기 위한 상측 반송 라인과 하측 반송 라인을 구비하고, 이 하측 반송 라인은, 상기 상측 반송 라인보다 상기 절단 위치측에서 구부러져 탑재부를 가지고, 이 탑재부는, 이 탑재부 위를 통과하는 일방의 포장재에 상기 절단 위치를 통과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탑재하여 상기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하측 반송 라인의 구성 부재인 탑재부와 겸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절단측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측의 움직임이 한 쌍의 포장재로 규제됨과 함께,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절단측의 움직임이 규제 수단으로 규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위치보다 비절단측에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관통시키고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절단 위치를 거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는 통로가 마련되고, 이 통로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 상기 비절단측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규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규제 수단은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의 구성 부재인 가이드 부재와 겸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삽입 개시 위치를 향하여 통과시키는 홈을 가진 가이드 부재 본체와, 상기 홈과 함께 상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된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는 피포장 시트 원단을 가이드 부재에 세팅할 때에, 커버를 벗겨내어 가이드 부재 본체의 홈에 피포장 시트 원단을 통과시킨 후, 커버를 가이드 부재 본체에 부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로를 외부로부터 목시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상태가 외부로부터 확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와, 이 시트 공급 장치에 의해 피포장 시트를 사이에 둔 한 쌍의 포장재를 합착시켜 포장체를 형성하는 포장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피포장 시트는 포장재 사이에 직접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피포장 시트를 포장재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피포장 시트를 포장재 사이에 직접 공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이 젖어 있는 경우에도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절단 위치를 통과한 피포장 시트 원단을 가이드 수단에 의해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여 포장재 사이에 삽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 원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수단을 포장재 반송 수단의 하측 반송 라인의 구성 부재인 탑재부와 겸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측의 움직임을 한 쌍의 포장재로 규제함과 함께,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절단측의 움직임을 규제 수단으로 규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규제 수단을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의 구성 부재인 가이드 부재와 겸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 부재 본체와, 가이드 부재 본체에 탈착가능한 커버로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피포장 시트 원단을 가이드 부재에 세팅할 때에, 커버를 벗겨내어 가이드 부재 본체의 홈에 피포장 시트 원단을 통과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세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상태가 외부로부터 확인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이 가이드 부재에 걸리더라도 작업자가 곧바로 피포장 시트 원단을 가이드 부재에 다시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는, 피포장 시트 원단의 반송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피포장 시트를 포장재 사이에 직접 공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는, 피포장 시트 원단이 젖어 있는 경우에도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는,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포장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가 가지는 그 밖의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시트 포장기(1)의 모식도이다. 이 시트 포장기(1)는, 한 번에 6개의 포장체(500)를 제조하는 6열식 가로형 포장기이다. 여기서, 각 포장체(500)는 포장 봉지(120)와, 피포장 시트(152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 봉지(120)는 한 쌍의 포장재(102a, 102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트 포장기(1)에 있어서는 포장 자재로서 2개의 포장재 롤(100)과, 6개의 피포장 시트 롤(150)이 사용되고 있다.
각 포장재 롤(100)은, 각각 릴(101)과,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포장재 원단 세트(102)는 릴(101)에 감겨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포장재 원단 세트(102)는 2장의 포장재 원단(121, 121)이 가로로 접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포장재 원단(121)은 6장의 포장재(102a)가 가로로 접속된 것(포장재 세트(121a))이 세로로 다수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피포장 시트 롤(150)은, 각각 릴(151)과,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은 릴(151)에 감겨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피포장 시트(152a)는 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소정의 길이로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구체적인 피포장 시트(152a)의 예로서는, 산소 검지제 시트가 있다. 이 산소 검지제 시트는, 산소 검지제 시트 원단을 소정 길이로 폭 방향으로 절단함 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이 산소 검지제 시트 원단은 띠 모양의 종이제 시트에 산소 검지액을 함침시킨 것을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시트 포장기(1)는, 지지체(2)와, 저류대(3)와, 포장기 본체(4)와, 제어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2)는, 포장기 본체(4)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 지지체(2)는, 플로어(W)에 마련되어 있으며, 공급측 지지부(21)와, 포장측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측 지지부(21)와 포장측 지지부(22)는 전후로 결합되어 있다. 공급측 지지부(21)는, 지지체(2)의 전방측(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공급측)을 구성하고 있다. 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전후측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지지부(21)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21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측 지지부(21)의 전단(前端)의 중간부에는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권출 위치 A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지지부(21)의 후단의 중간부에는 권출 위치 A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공급 위치 B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지지부(21)의 후단의 하단부에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하측 공급 위치 P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지지부(21)의 후단의 상단부에는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의 상측 공급 위치 Q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지지부(21)의 후단의 중간부에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공급 위치 B보다 하방에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의 중간 공급 위치 R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포장측 지지부(22)는, 지지체(2)의 후방측(피포장 시트(152a)의 포장 측)을 구성하고 있다. 이 포장측 지지부(22)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와, 3개의 다리부(24, 25, 26)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측 지지부 본체(23)는, 공급측 지지부(21)의 상부로부터 중간부에 걸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전후측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23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23S)의 전방의 중간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위치 B의 후방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 방향(X)을 따라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각 위치(C~F)가 설정되어 있다. 각 위치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절단 위치 C, 탑재 개시 위치 D, 삽입 개시 위치 E, 삽입 종료 위치 F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후단에는 삽입 종료 위치 F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6개의 포장체(500)의 배출 위치 G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4, 25)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저면의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전부에 마련된 다리부(24)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측 공급 위치 P와 대응하는 위치에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삽입관통로(24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6)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저면의 우측(도 1의 안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 다리부(26)는 쌍방의 다리부(24, 25)의 우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장측 지지부(22)와 플로어(W)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S)에는 2개의 지지축(261)이 전후로 배열된 상태로 우단이 다리부(26)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축(261)에는 상기 포장재 롤(100)이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저류대(3)는, 지지체(2)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플로어(W)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저류대(3)는 완성된 포장체(500)를 저류하도록 저류대(3)의 높이가 배출 위치 G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포장기 본체(4)는 지지체(2)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 포장기 본체(4)는 피포장 시트 공급 수단(4a)과, 포장 수단(4b)을 구비하고 있다.
피포장 시트 공급 수단(4a)은, 포장재 원단(121, 121)(포장재 세트(121a, 121a)) 사이에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한 번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피포장 시트 공급 수단(4a)은 포장재 반송 수단(6)과,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과, 절단 수단(8)과, 절단 개시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포장재 반송 수단(6)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전방에서 후방(화살표 X)으로 수평 상태로 삽입되도록, 포장재 원단(121, 121)을 반송시키는 것이다. 이 포장재 반송 수단(6)은 반송 라인(60)과, 반송 라인(60)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라인(60)은, 포장재 원단(121, 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반송 라인(60)은 제1의 반송 라인(61)과, 제2의 반송 라인(62)과, 제3의 반송 라인(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반송 라인(61)은,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하측의 수용 공간(S)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1의 반송 라인(61)은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제1의 반송 라인(61)은 접속 수단(611)과, 복수의 권출용 가 이드 롤러(612)와, 복수의 공급용 가이드 롤러(613)와, 상기 삽입관통로(24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공급 위치 P가 설정되어 있다.
접속 수단(611)은, 수용 공간(S)에 있어서 2개의 포장재 롤(100, 10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접속 수단(611)은 접속 수단 본체(611a)와, 공급용 가이드 롤러(611b, 611b)와, 접속용 가이드 롤러(611c, 611c)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수단 본체(611a)는, 역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 수단 본체(611a)는 2장의 포장재 원단 세트(102, 102)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용 가이드 롤러(611b, 611b)는, 접속 수단 본체(611a) 내의 상부에서 전방과 후방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가이드 롤러(611b, 611b)는 양단측이 접속 수단 본체(611a)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11b)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용 가이드 롤러(611c, 611c)는, 접속 수단 본체(611a) 내의 상부의 중간부에 공급용 가이드 롤러(611b, 611b)와 전후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가이드 롤러(611c, 611c)는 양단측이 접속 수단 본체(611a)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롤러(611c, 611c)는 접속용 가이드 롤러(611c, 611c) 사이에 2장의 포장재 원단 세트(102, 102)가 통과하도록 그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11c)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수단(611)은, 쌍방의 공급용 가이드 롤러(611b, 611b)로부터 접속용 가이드 롤러(611c, 611c) 사이로 공급된 2장의 포장재 원단 세트(102, 102)를 접속 수단 본체(611a)에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권출용 가이드 롤러(612)는, 접속 수단(611)과 쌍방의 포장재 롤(100, 1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12)는 우단측이 다리부(2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12)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급용 가이드 롤러(613)는, 접속 수단 본체(611a)의 전방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13)는 우단측이 다리부(2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13)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반송 라인(61)은, 일방의 포장재 롤(100)측에 마련된 복수의 권출용 가이드 롤러(612) 중에서, 이 포장재 롤(100)에 가장 가까운 권출용 가이드 롤러(612)를 시작단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1의 반송 라인(61)은 시작단으로 한 권출용 가이드 롤러(612)로부터, 그 이외의 권출용 가이드 롤러(612), 공급용 가이드 롤러(611b), 접속용 가이드 롤러(611c, 611c) 사이, 복수의 공급용 가이드 롤러(613), 삽입관통로(241), 하측 공급 위치 P의 순으로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의 반송 라인(62)은, 공급측 지지부(21)의 수용 공간(21S)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2의 반송 라인(62)은 하측 반송 라인(64)과 상측 반송 라인(65)으 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반송 라인(64)은, 수용 공간(21S)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하측 반송 라인(64)은 포장재 원단 세트(102)와, 이 포장재 원단 세트(102)로부터 분단된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측 반송 라인(64)은 슬리터(slitter)(641)와,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와, 복수의 포장재 원단 세트 공급용 가이드 롤러(642)와,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와, 복수의 포장재 원단 공급용 가이드 롤러(6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공급 위치 P와 상기 중간 공급 위치 R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슬리터(641)는, 수용 공간(21S)의 하부에 있어서 하측 공급 위치 P와 중간 공급 위치 R 사이에서 공급측 지지부(2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리터(641)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2장의 포장재 원단(121, 121)으로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는, 슬리터(64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상하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포장재 원단 세트 공급용 가이드 롤러(642)는, 하측 공급 위치 P의 전측 근방으로부터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의 전방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42)는 우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 고, 각 가이드 롤러(642)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는, 슬리터(6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는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는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44)는,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포장재 원단 공급용 가이드 롤러(644)는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와 중간 공급 위치 R 사이에 포장재 원단(121)이 사행 주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44)는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반송 라인(64)은, 하측 공급 위치 P를 거쳐 제1의 반송 라인(6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반송 라인(64)은 하측 공급 위치 P로부터 복수의 포장재 원단 세트 공급용 가이드 롤러(642),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 사이, 슬리터(641),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 포장재 원단 공급용 가이드 롤러(644), 중간 공급 위치 R 순으로 포장재 원단 세트(102) 및 포장재 원단(121)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측 반송 라인(65)은, 수용 공간(21S)의 하부에서 상부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상측 반송 라인(65)은 포장재 원단 세트(102)로부터 분단된 다른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상측 반송 라인(65)은 상기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와, 복수의 제1 공급용 가이드 롤러(651)와, 제2 공급용 가이드 롤러(6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측 반송 라인(65)에는 상기 상측 공급 위치 Q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공급용 가이드 롤러(651)는, 수용 공간(21S)의 상부에 있어서 상측 공급 위치 Q보다 하방에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51)는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51)는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공급용 가이드 롤러(652)는, 수용 공간(21S)의 상부에 있어서 제1 공급용 가이드 롤러(65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롤러(652)는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전후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롤러(652)는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공급측 지지부(2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반송 라인(65)은,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를 거쳐 하측 반송 라인(6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반송 라인(65)은 이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로부터, 복수의 제1 공급용 가이드 롤러(651), 제2 공급용 가이드 롤러(652), 상측 공급 위치 Q의 순으로 포장재 원단(121)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의 반송 라인(63)은, 포장재 원단(121, 121) 사이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삽입되도록 포장재 원단(121, 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 이다. 이 제3의 반송 라인(63)은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수용 공간(23S)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의 반송 라인(63)은 상측 반송 라인(66)과 하측 반송 라인(6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반송 라인(66)은,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상측 반송 라인(66)은 수용 공간(23S)의 전방의 상반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상측 반송 라인(66)은 상측 가이드 부재(661)와, 복수의 상측 가이드 롤러(662)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로 구성되고, 시작단측에 상기 상측 공급 위치 Q를 배치하고 있다.
상측 가이드 부재(66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개시 위치 E의 상방에서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측 가이드 부재(661)는 상하로 연장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가이드 부재(661)는 전면(661a)과 하면(661b)으로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측 가이드 롤러(662)는, 상측 가이드 부재(66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62)는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62)는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는, 상측 가이드 부재(66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는 포장재 원단(121, 121)을 상하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 리고,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는 포장재 원단(121, 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반송 라인(66)은, 상측 공급 위치 Q를 거쳐 제2의 반송 라인(62)의 상측 반송 라인(6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반송 라인(66)은 이 상측 공급 위치 Q로부터 복수의 상측 가이드 롤러(662), 상측 가이드 부재(661),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 사이 순으로 포장재 원단(121)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측 반송 라인(66)은 삽입 개시 위치 E를 중심으로 상방으로부터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 방향(X)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반송 라인(67)은,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하측 반송 라인(67)은 상측 반송 라인(66)과 대향하도록 수용 공간(23S)의 하반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 반송 라인(67)은 상기 중간 공급 위치 R과, 하측 가이드 부재(671)와, 복수의 하측 가이드 롤러(672)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부재(671)는,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보다 전방에서, 그리고 상측 가이드 부재(661)의 하방에서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부재(671)는 탑재 개시 위치 D를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삽입 방향(X)을 따라 굴곡된 역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측 가이드 부재(671)는 상측 가이드 부재(66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역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가이드 부재(671)는 전 면(671a)과 상면(671b)으로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가이드 부재(671)에는, 상측 가이드 부재(661)보다 전방(절단 위치 C측)에 탑재부(67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탑재부(6711)는 탑재부(6711) 위를 통과하는 포장재 원단(121)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좌우로 배열되어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하측 가이드 롤러(672)는, 하측 가이드 부재(67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672)는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672)는 포장재 원단(121)을 지지하면서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반송 라인(67)은, 중간 공급 위치 R을 거쳐 제2의 반송 라인(62)의 하측 반송 라인(6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반송 라인(67)은 중간 공급 위치 R로부터 복수의 가이드 롤러(672), 하측 가이드 부재(671),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 사이 순으로 포장재 원단(121)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측 반송 라인(67)은 탑재 개시 위치 D를 중심으로 하방으로부터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 방향(X)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쌍방의 반송 라인(66, 67)에 있어서 상측 가이드 부재(661)의 하면(661b)으로부터 포장측 권출 롤러(602)로 통과하는 포장재 원단(121)과, 하측 가이드 부재(671)의 상면(671b)으로부터 포장측 권출 롤러(602)로 통과하는 포장재 원단(121) 사이에는 삽입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68)는 전단이 상기 삽입 개시 위치 E(삽입구)로 설정되고, 후단측이 상기 삽입 종료 위치 F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부(68)는 삽입 개시 위치 E로부터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삽입 종료 위치 F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라인(60)의 구동 수단은, 상기 공급측 권출 롤러(601, 601)와 상기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쌍방의 권출 롤러(601, 601, 602, 602)가 포장재 원단(121)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포장재 원단 세트(102)가 포장재 롤(100)로부터 권출되어, 제1의 반송 라인(61)으로부터 제2의 반송 라인의 하측 반송 라인(64)으로 반송되어 가고,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에서 2장의 포장재 원단(121)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은 제2의 반송 라인(62)의 상측 반송 라인(65)을 개재하여 제3의 반송 라인(63)의 상측 반송 라인(66) 위를 상방으로부터 삽입 방향(X)을 따라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일방의 포장재 원단(121)은 제2의 반송 라인(62)의 하측 반송 라인(64)을 개재하여 제3의 반송 라인(63)의 하측 반송 라인(67) 위를 하방으로부터 삽입 방향(X)을 따라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은, 반송 중의 포장재 원단(121, 121)의 사이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삽입하도록 반송시키는 것이다. 이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은 반송 라인(71)과 반송 라인(71)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라인(7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배열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반송 라인(7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수용 공간(21S)의 중간부의 전방으로부터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수용 공간(23S)의 전방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송 라인(71)은 복수의 가이드 롤러(711)와, 권출 롤러(712, 712)와, 가이드 부재(713)와, 포장재 반송 수단(6)의 상측 가이드 부재(661)와, 포장재 반송 수단(6)의 하측 가이드 부재(671)로 구성되고, 이 반송 라인(71) 내에 상기 절단 위치 C가 있다.
복수의 가이드 롤러(711)는, 수용 공간(21S)의 중간부의 전방에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롤러(711)는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롤러(711)는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지지하면서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반송 방향(X)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출 롤러(712, 712)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7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권출 롤러(712, 712)는 좌우에 배열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상하로부터 협지하도록 양단측이 공급측 지지부(21)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권출 롤러(712, 712)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13)는, 권출 롤러(712, 7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713)는 공급 위치 B에 위치를 맞추어 공급측 지지부(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부재(713)는 삽입 방향(X)으로 연장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측이 절단 위치 C를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부재(71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본체(714)와 커버(71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 본체(714)는 금속제이다. 이 가이드 부재 본체(714)는, 삽입 방향(X)으로 연장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측이 절단 위치 C를 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우측면(7141)에는 요홈부(71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상면(7143)에는 6개의 홈(7144)이 관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6개의 홈(7144)은 좌우에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홈(7144)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통과하도록 일단측을 절단 위치 C를 향하게 하여 삽입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7143)의 중앙 부분과 전방에는 위치 결정 핀(7145)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핀(7145)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15)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상면(7143)에 탑재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715)는 아크릴제이다. 그리고, 이 커버(715)는 삽입 방향(X)으로 연장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측이 절단 위치 C를 향하고 있다. 또한, 이 커버(715)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상면(7143)에 탑재된 상태로 6개의 홈(7144)의 양단이 개방되도록 가이드 부재 본체(714)보다 전후의 길이가 짧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15)와 6개의 홈(7144)에 의해 가이드 부재(713)에는 6개의 통로(71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7131)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삽입 방향(X)을 따라 삽입관통시켜, 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 위치 C를 거쳐 삽입 개시 위치 E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통로(7131)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절단 시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비절단측(1522)(도 4의 (a) 참조)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15)의 우측면(7151)에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요홈부(7142)와 같은 위치에 요홈부(715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요홈부(7152)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요홈부(7142)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15)의 상면(7153)의 중앙 부분과 전방에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위치 결정 핀(7145)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위치 결정 홀(7155)이 마련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홀(7155)은, 위치 결정 핀(7145)이 삽입관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715)는 각 위치 결정 홀(7155)에 위치 결정 핀(7145)을 통과시킴으로써, 가이드 부재 본체(714)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라인(71)에 있어서 절단 위치 C는 가이드 부재(7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단 위치 C의 후방에는 하측 가이드 부재(671)와 상측 가이드 부재(66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라인(71)은 권출 위치 A로부터 복수의 가이드 롤러(711), 권출 롤러(712, 712), 가이드 부재(713)(공급 위치 B), 절단 위치 C, 하측 가이드 부재(671)(탑재 개시 위치 D), 상측 가이드 부재(661)와 하측 가이드 부재(671) 사이(삽입 개시 위치 E, 삽입 종료 위치 F) 순으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송 라인(71)의 구동 수단은 권출 롤러(712, 7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권출 롤러(712, 712)가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각각 릴(151)로부터 권출되어, 반송 라인(71)을 따라 반송 방향(X)으로 반송되어 가고, 포장재 원단(121, 121)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단 수단(8)은,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한꺼번에 절단하여, 한 번에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절단 수단(8)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의 가이드 부재(713)와 포장재 반송 수단(6)의 하측 가이드 부재(67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수단(8)은 상측 커터(81)와, 하측 커터(82)와, 규제 부재(규제 수단)(83)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커터(81)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반송 라인(71)의 상방에 있어서 절단 위치 C보다 후방측(절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 커터(81)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도 1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커터(81)의 칼날(811)은 절단 위치 C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칼날(811)은 절단 위치 C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커터(82)는, 절단 위치 C보다 전방측(비절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커터(82)는 반송 라인(71)을 횡단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포장측 지지부 본체(23)(도 1 참조)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비절단 시에 이 하측 커터(82)는 반송 라인(71)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때에 하측 커터(82)의 칼날(821)(도 4의 (a) 참조)은 절단 위치 C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칼날(821)은 절단 위치 C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 수단(8)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절단 시에 이 하측 커터(82)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쌍방의 칼날(811, 821)이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 위치 C에서 한꺼번에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83)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절단 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비절단측(1522)(도 4 참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규제 부재(83)는 하측 커터(82)와의 사이에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삽입관통되도록 하측 커터(82)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규제 부재(83)는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걸치도록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규제 부재(83)의 양단부(831, 831)가 하측 커터(82)의 상단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 개시 검출 수단은, 하측 커터(82)의 동작 개시의 타이밍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절단 개시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반송 라인(71)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방법, 포장재 세트(121a, 121a)(6조의 포장재(102a, 102a))가 반송 라인(60)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방법, 3개의 권출 롤러(601, 601, 602, 602, 712, 712)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횟수(소정 각도) 회전한 것을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포장 수단(4b)은,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수용 공간(23S)에 마련되 어 있다. 이 포장 수단(4b)은 포장 수단 본체(9)와, 포장체 사행 수정 수단(10)과, 포장체 선별 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포장 수단 본체(9)는, 6장의 피포장 시트(152a)가 공급된 포장재 세트(121a, 121a)를 합착하여 한 번에 6개의 포장체(50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포장 수단 본체(9)는 포장체 형성 라인(90)과, 포장체 형성 라인(90)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포장체 형성 라인(90)은, 수용 공간(23S)에 마련되어 있다. 이 포장체 형성 라인(90)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와,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와,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와, 슬리터(93, 93)와, 로터리 커터(94, 94)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에 배출 위치 G가 배치되어 있다.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는,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의 후방에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히트 씰러(91, 91)는 각각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는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포장재 세트(121a, 121a)에 있어서, 각 포장재(102a, 102a)의 좌우 단부를 한 번에 열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는,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의 후방에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히트 씰러(92, 92)는 각각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는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포장재 세트(121a, 121a)에 있어서, 전후 단부를 열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6개의 포장체(500)가 좌우 접속된 것(포장체 세트(501))이 형성된다.
슬리터(93, 93)는,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의 후방에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슬리터(93, 93)는 각각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터(93, 93)는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포장체 세트(501)에 있어서 각 포장체(500)의 좌우측의 접속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터리 커터(94, 94)는, 슬리터(93, 93)의 후방에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방의 로터리 커터(94, 94)는 각각 양단측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리 커터(94, 94)는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포장체 세트(501)에 있어서 각 포장체(500)와 전방의 포장체(500)와의 접속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체 형성 라인(90)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 사이를 거쳐 제3의 반송 라인(6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체 형성 라인(90)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 사이로부터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 사이,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 사이, 슬리터(93, 93) 사이, 로터리 커터(94, 94) 사이, 배출 위치 G의 순으로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협지한 포장재 세트(121a, 121a) 및 포장체 세트(50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구동 수단은,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와,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와,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부재(602, 602, 91, 91, 92, 92)가 반송 방향(X)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협지한 포장재 세트(121a, 121a) 및 포장체 세트(501)가 포장체 형성 라인(90)을 따라 반송 방향(X)으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장체 사행 수정 수단(10)은, 반송 중의 포장체 세트(501)의 사행을 수정하는 것이다. 이 사행 수정 수단(10)은 사행 검출 센서(11, 11)와, 하측 롤러(12, 12)와, 상측 롤러(13, 13)를 구비하고 있다.
사행 검출 센서(11, 11)는,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와, 슬리터(93, 93) 사이에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마련되어 있다. 이 사행 검출 센서(11, 11)는 포장체 세트(501)가 포장체 세트(501)의 반송 방향(X)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사행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측 롤러(12, 12)는, 사행 검출 센서(11, 11)보다 후방에,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하측 롤러(12)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롤러(12, 12)는 반송 방향(X)으로 회전하면서 반송 중의 포장체 세트(501)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측 롤러(13, 13)는, 하측 롤러(12, 12)와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상측 롤러(13)는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 롤러(13)는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대향하는 하측 롤 러(12)에서 반송 중의 포장체 세트(501)의 좌우 단부를 협지하면서 반송 방향(X)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장체 선별 수단(15)은, 완성된 포장체(500)의 선별을 행하는 것이다. 이 포장체 선별 수단(15)은 선별용 카메라(16)와 회수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선별용 카메라(16)는, 포장측 권출 롤러(602, 602)와,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 사이에,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상방에 배치되어 포장측 지지부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선별용 카메라(16)는 포장재 세트(121a, 121a) 사이에 공급된 6장의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수부(17)는, 저류대(3)에 있어서 배출 위치 G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회수부(17)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17S)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17S)은 다수의 포장체(500)가 수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수부(17)의 상면에는 개구부(171)가 수용 공간(17S)과 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부(171)는 다수의 포장체(500)가 통과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수부(17)의 상면에는 덮개(17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덮개(172)는 개구부(171)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장치(5)는, 공급측 지지부(21)의 전방에 결합하여 플로어(W)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5)는 권출 위치 A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의 상면(51)에는 피포장 시트 롤(150)이 지지 부재(52)를 거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반송 방향(X)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52)에는, 스토퍼(5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53)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에 일정한 텐션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스토퍼(53)는 지지 아암(54)과, 스토퍼 본체(55)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아암(54)은, 그 일단측이 지지 부재(52)의 일단측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피포장 시트롤(150)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 본체(55)는 회동 아암(56)과, 가압부(57)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아암(56)은, 그 일단측이 지지 아암(54)의 타단측에 회동축(58)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57)는, 회동 아암(56)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가압부(57)는 릴(151)을 가압하도록 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 장치(5)는, 피포장 시트 공급 수단(4a)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장치(5)는 접속 수단(611), 슬리터(641), 각 권출 롤러(601, 601, 602, 602, 712, 71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이것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하측 커터(82)와 상기 절단 개시 검출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절단 개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하측 커터(8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피포장 시트 공급 수단(4a)에서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1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포장 수단(4b)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장치(5)는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 슬리터(93, 93), 로터리 커터(94, 9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이것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사행 검출 센서(11, 11)와, 상측 롤러(13, 1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사행 검출 센서(11, 11)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측 롤러(1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선별용 카메라(16)와 회수부(17)의 덮개(17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선별용 카메라(1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덮개(17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5)는 포장 수단(4b)에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b)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 의한 피포장 시트(152a)의 포장 순서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먼저, 포장재 원단 세트(102)의 세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포장재 롤(100)로부터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인출하여, 이 포장재 원단 세트(102)를 제1의 반송 라인(61), 제2의 반송 라인(62), 제3의 반송 라인(63), 포장체 형성 라인(90) 순으로 통과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세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6개의 피포장 시트 롤(150)로부터 각각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인출하여 반송 라인(71)의 권출 위치 A, 각 가이드 롤러(711), 권출 롤러(712, 712)까지 통과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커버(715)의 요홈부(7152)(도 2 참조)를 가지고, 커버(715)를 가이드 부재 본체(714)로부터 벗겨낸 후,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각 홈(7144)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통과시킨다. 마지막으로, 작업 자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위치 결정 핀(7145)에 커버(715)의 위치 결정 홀(7155)을 통과시키고, 가이드 부재 본체(714)에 커버(715)를 탑재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어 장치(5)를 ON으로 한다. 그러면, 포장재 반송 수단(6)의 권출 롤러(601, 601, 602, 602)와, 슬리터(641)와,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의 권출 롤러(712, 712)와, 포장 수단 본체(9)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가로로 접속된 상태로 포장재 롤(100)로부터 순차적으로 권출되어, 제1의 반송 라인(61)을 통과하여 제2의 반송 라인(62)의 하측 반송 라인(64)으로 보내진다. 하측 반송 라인(64)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슬리터(93, 93)에 의해 분단된다. 분단된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분기용 가이드 롤러(643)를 경계로 하여 일방이 상측 반송 라인(65)으로 보내지고, 다른 일방이 하측 반송 라인(64)으로 보내진다.
상측 반송 라인(65)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는, 제3의 반송 라인(63)의 상측 반송 라인(66)으로 보내진다. 상측 반송 라인(66)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는 삽입 개시 위치 E에서 삽입 방향(X)으로 굴곡되어(도 4 참조), 포장체 형성 라인(90)으로 보내진다. 또한, 하측 반송 라인(64)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는 제3의 반송 라인(63)의 하측 반송 라인(67)으로 보내진다. 하측 반송 라인(67)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는 탑재 개시 위치 D에서 삽입 방향(X)으로 굴곡되어(도 4 참조), 포장체 형성 라인(90)으로 보내진다.
또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은, 각각 피포장 시트 롤(150)로부터 권출되어 반송 라인(71)으로 보내진다. 반송 라인(71)으로 보내진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재 개시 위치 D로부터 하측 반송 라인(67)의 탑재부(6711) 위를 지나는 포장재 세트(121a)에 탑재되어 삽입 개시 위치 E로 보내진다. 그리고,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선단이 소정 위치(예를 들어, 삽입 개시 위치 E)에 도달했을 때, 하측 커터(82)가 상방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삽입부(68)에 일정 부분까지 삽입되었을 때(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선단이 삽입 종료 위치 F에 도달했을 때)에, 하측 커터(82)는 절단 위치 C를 통과하여 상측 커터(81)와 함께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비삽입측을 절단한다. 그러면, 6장의 피포장 시트(152a)가 각각 포장재(102a, 102a)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4의 (b) 및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피포장 시트(152a)는 포장재(102a, 102a)가 삽입 방향(X)으로 반송됨에 따라, 포장재(102a, 102a)에 완전히 협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6장의 피포장 시트(152a)를 완전히 협지한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포장체 형성 라인(90)으로 보내진다.
또한, 하측 커터(82)는,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 하측 커터(82)는 피포장 시트 롤(150)에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소정량 권출될 때까지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나타낸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형성 라인(90)으로 보내진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선별용 카메라(16)의 아래를 통과한 후, 세로 씰용 히트 씰러(91, 91)에 의해 각 포장재(102a, 102a)의 좌우 단부가 합착된다. 이어서, 포장재 세트(121a, 121a)는 가로 씰용 히트 씰러(92, 92)에 의해 각 포장재(102a, 102a)의 전후 단부가 합착된다. 이에 의해, 6장의 포장체(500)가 좌우에 접속된 것(포장체 세트(501))이 형성된다. 형성된 포장체 세트(501)는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후방으로 보내진다.
이어서, 포장체 세트(501)는, 사행 검출 센서(11, 11)에 의해 그 방향이 검출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5)는 사행 검출 센서(11, 11)의 검출 결과로부터 포장체 세트(501)의 방향이 포장체 형성 라인(90)의 방향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사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행한 측의 반대측에 있는 상측 롤러(13)를 하방으로 구동시킨다. 이 상측 롤러(13)는 대향하는 하측 롤러(12)와 함께 포장체 세트(501)에서 사행한 측의 반대측을 협지한다.
이에 의해, 포장체 세트(501)의 방향이 사행한 측의 반대측으로 서서히 구부러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5)는 포장체 세트(501)의 방향이 제조 라인(90)의 방향과 같게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사행이 수정되었을 때)에, 상측 롤러(13)를 상방으로 구동시켜 원래 위치로 되돌린다.
이어서, 포장체 세트(501)는, 슬리터(93, 93)에 의해 각 포장체(500)의 좌우 단부가 분단된 후, 로터리 커터(94, 94)에 의해 각 포장체(500)의 전단부가 전방의 각 포장체(500)의 후단부와 분단된다. 이에 의해, 포장체 세트(501)는 6장의 포장 체(500)로 분리된다. 분리된 각 포장체(500)는 저류대(3)로 배출된다.
또한, 이때에 포장체(500)의 선별을 행한다. 제어 장치(5)는 선별용 카메라(16)의 검출 결과에 의해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그 피포장 시트(152a)를 포함하는 포장체 세트(501)가 로터리 커터(94, 94)를 통과하기 직전에 덮개(172)를 개방 구동시켜 개구부(171)를 연다. 이에 의해,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난 피포장 시트(152a)를 포함하는 포장체(500)(불량품)가 회수부(17)의 수용 공간(17S)에 수용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순서에 따라 포장체(500)는 연속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 있어서는,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를 이용하지 않고 피포장 시트(152a)를 포장재(102a, 102a) 사이에 직접 공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젖어 있는 경우에도, 포장재(102a, 102a) 사이에 피포장 시트(152a)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포장재(102a, 102a)에 협지시킨 상태로 절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포장 시트(152a)는 그 형성 직후부터 포장재(102a, 120a)에 협지되어 있다. 따라서, 피포장 시트(152a)는 포장재(102a, 102a)에 완전히 협지될 때까지 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포장체(500)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 있어서는, 커터(81, 82)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선단이 삽입 개시 위치 E에 도달했을 때에, 커터(81, 82)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재질을 종이, 포장재(102a)의 재질을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두께를 Tf, 포장재(102a)의 두께를 Tp, 포장체(500)의 최대 두께를 T, 상측 가이드 부재(661)와 하측 가이드 부재(671) 사이의 거리를 Δd로 하면,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각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포장재(102a, 102a)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 = Tp + Tf × 2
300㎛ ≤ T ≤ 800㎛
0.7T ≤ Δd ≤ 1.1T
또한, 수학식 1에 나타낸 조건하에 있어서, 삽입되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량이 1㎜ 이상일 때에, 커터(81, 82)가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량이 1㎜ 미만인 경우에는, 포장재(102a, 102a)에 의한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협지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절단했을 때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공급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큰 폭으로 어긋나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탑재부(6711) 위를 지나는 하측의 포장재 세트(121a)에 절단 위치 C를 통과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탑재하여 삽입 개시 위치 E로 안내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각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포장재(102a, 102a)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 탑재부(6711)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하측 반송 라인(67)의 구성 부재(하측 가이드 부재(671))로 구성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비용을 억제하면서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수단은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삽입 개시 위치 E로 안내하는 것이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하측 가이드 부재(671)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가이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측 가이드 부재(671) 대신에 역 L자 모양으로 배치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서는, 포장재 세트(121a, 121a) 사이에 삽입된 6개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절단될 때까지 하측의 포장재 세트(121a)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므로,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피포장 시트 원단(152)은 절단 시에 절단측(1521)이 포장재(102a, 102a)로 협지됨으로써 그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비절단측(1522)은 절단 시에 규제 부재(83)와 가이드 부재(713)의 통로(7131)에 닿음으로써 그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쌍방의 커터(81, 82)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규제 수단을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7)의 구성 부재(가이드 부재(713))와 겸용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피포장 시트(152a)의 공급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713)는 탈착가능한 커버(71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커버(715)를 벗겨냄으로써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세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버(715)는 아크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로(7131)가 상방으로부터 목시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통로(7131)를 통과하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통로(7131)에 피포장 시트 원단(152)이 걸리더라도 작업자가 곧바로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다시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기(1)에 있어서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반송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로(7131)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의 홈(7144)을 기준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로(7131)의 형성 시에는 가이드 부재 본체(714)가 되는 원(元)부재의 표면을 가공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 부재(713)에 있어서는, 통로(7131)의 형성에 수반되는 섬세한 가공 작업이 경감되므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통로(7131)가 외부로부터 목시가능하면 가이드 부재의 커버로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아크릴제의 커버(715) 외에 유리제의 커버 등 투명성을 가지는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의 경우에는, 모두 투명재로 형성하면 통로가 외부로부터 목시가능해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커버재로서, 예를 들어, 커버를 투명재로 형성하지 않고, 홈(714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수평 상태로 삽입시키도록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피포장 시트 원단(152)의 삽입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포장 시트 원단(152)을 수직으로 삽입시키는 경우 등에도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열식 시트 포장기(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의 복수열식 포장기나 단열식 포장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에서는 피포장 시트의 공급 성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트 공급 장치 및 시트 포장기의 기술 분야에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시트 포장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공급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S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포장 시트의 공급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포장 시트 원단의 협지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시트 포장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8)

  1.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피포장 시트 원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장재를, 삽입되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방향으로 구부려 반송시키는 포장재 반송 수단과,
    반송 중의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삽입하도록 반송시키는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과,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이 반송 중의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일정 부분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삽입측을 절단하여 피포장 시트를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개시 위치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위치 사이에, 이 절단 위치를 통과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반송 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포장재 사이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 단이 수평 상태로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장재를 상하측으로부터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방향으로 구부려 반송시키기 위한 상측 반송 라인과 하측 반송 라인을 구비하고,
    이 하측 반송 라인은, 상기 상측 반송 라인보다 상기 절단 위치측에서 구부러져 탑재부를 가지고, 이 탑재부는, 이 탑재부 위를 통과하는 일방의 포장재에 상기 절단 위치를 통과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탑재하여 상기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비절단측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 반송 수단은,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위치보다 비절단측에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관통시키고 이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절단 위치를 거쳐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삽입 개시 위치까지 안내하는 통로가 마련되고, 이 통로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의 절단 시에 상기 비절단측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규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피포장 시트 원단을 상기 삽입 개시 위치를 향하여 통과시키는 홈을 가진 가이드 부재 본체와,
    상기 홈과 함께 상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된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로를 외부로부터 목시(目視)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공급 장치와,
    이 시트 공급 장치에 의해 피포장 시트를 사이에 둔 한 쌍의 포장재를 합착시켜 포장체를 형성하는 포장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포장기.
KR1020070115379A 2006-11-13 2007-11-13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KR100943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7264 2006-11-13
JPJP-P-2006-00307264 2006-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263A true KR20080043263A (ko) 2008-05-16
KR100943369B1 KR100943369B1 (ko) 2010-02-18

Family

ID=3944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379A KR100943369B1 (ko) 2006-11-13 2007-11-13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29659B2 (ko)
KR (1) KR100943369B1 (ko)
CN (1) CN101181938B (ko)
TW (1) TW2008335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7611B (zh) * 2013-05-30 2015-02-04 天津市普光医用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护指型消毒片的高效湿片包装机
CN105059597B (zh) * 2015-08-09 2018-03-02 浙江泰林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包装设备
CN106785070B (zh) * 2017-01-18 2023-03-10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快速包膜装置及其方法
CN112693668A (zh) * 2021-01-12 2021-04-23 张成裕 一种医用纱布自动包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884B2 (ko) * 1973-04-12 1980-05-07
JPS5498462U (ko) * 1977-12-21 1979-07-11
JPS55116436A (en) * 1979-03-01 1980-09-08 Mitsubishi Gas Chem Co Inc Preparation of deoxidation agent
JPS63202437A (ja) * 1987-02-17 1988-08-22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開閉フアスナ−付き包装袋体並びに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472123A (ja) * 1990-07-02 1992-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弾性のある不定形品の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
DE19800682B4 (de) * 1998-01-10 2004-07-0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imärverpackung für film- oder oblatenförmige Darreichungsformen
JP2000006924A (ja) 1998-06-15 2000-01-11 Hanagata:Kk 包装装置
AUPR706401A0 (en) * 2001-08-16 2001-09-06 Airwrap Pty Limited A wrapping device
WO2005021382A1 (en) * 2003-09-03 2005-03-10 Siemens Ag A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nd polywrapping articles
JP3981098B2 (ja) * 2004-04-05 2007-09-26 允 鈴木 食品の包装方法及び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43600A (ja) 2008-06-26
CN101181938B (zh) 2010-06-02
JP5229659B2 (ja) 2013-07-03
TWI331977B (ko) 2010-10-21
TW200833559A (en) 2008-08-16
KR100943369B1 (ko) 2010-02-18
CN101181938A (zh)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91693A (ja) フィルムスプライサ
KR100943369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KR20110031904A (ko) 포장지 접속장치, 포장지 접속방법 및 포장장치
US9505189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flexible pouches from a continuous web of film
CZ295113B6 (cs) Zařízení a způsob pro výrobu a balení fóliových sáčků
CN114013745B (zh) 床垫包装设备及包装方法
JP2003112704A (ja) 予備成形装置
JP5452150B2 (ja) 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自動接合方法及びスプライサー
KR100654332B1 (ko) 샌드위치 포장대의 포장장치
WO2005037650A1 (ja) フイルム自動切換装置
JP5090212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
US7323018B2 (en) Process and device for jacketing of battery plates
AU2006205456C1 (en) Film roll
JPH04114819A (ja) テープによる結束装置
CN217673428U (zh) 包装机用的包装装置
JP7289120B2 (ja) 包装機用の包装材供給装置及びその包装材供給装置を備えた横ピロー包装機
JPH0699913A (ja) 包装装置
JP6145383B2 (ja) チューブ状フィルムの繋ぎ装置および繋ぎ方法
JP3147066B2 (ja) ストレッチ包装機
JP5569005B2 (ja) 包装装置
JP2839170B2 (ja) フィルム包装装置
CN115196072A (zh) 一种电机用自动包装生产线
US20090304998A1 (en) Film roll
KR200157145Y1 (ko) 포장백 제조기의 자동 묶음 절단장치
JPH0285172A (ja) 開封テープを設けたシュリンク包装体並びに開封テープの接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