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031A -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 Google Patents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031A
KR20080042031A KR1020070113943A KR20070113943A KR20080042031A KR 20080042031 A KR20080042031 A KR 20080042031A KR 1020070113943 A KR1020070113943 A KR 1020070113943A KR 20070113943 A KR20070113943 A KR 20070113943A KR 20080042031 A KR20080042031 A KR 2008004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mple preparation
leukotriene biosynthesis
leukotriene
preparation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621B1 (ko
Inventor
토모노리 안도
케이시로우 요시다
수수무 시무라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이 생체 내에서의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즉 코막힘, 기관지 천식 등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 알레르기성 비염

Description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Leukotriene biosynthetic suppressor and food product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분(花粉)이나 진드기 등의 항원이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비점막상에 흡인되면, 비만 세포의 표면에서 IgE 항체와 결합하여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을 주로 하는 화학 전달 물질이 방출되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 이들 화학 전달 물질에 대한 비점막의 지각 신경 종말, 혈관의 반응으로서, 재채기, 수양성 비즙(맑은 콧물), 비점막 종창(코막힘)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급성반응이라 불리는 증상이다.
항원에 노출된 후, 비점막 내에서는 비만 세포 등에서 생합성되는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에 의해 호산구를 중심으로 하는 여러 가지 염증 세포가 모이고, 주로 호산구로부터 생합성되는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의 작용에 의해 비점막 종창(코막힘)이 일어난다. 이것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지발성 반응이라 불리는 증상이며, 항원이 체내에 들어온 후 6~10시간 후에 볼 수 있다. 지발성 반응은 야 간의 취침시에 발증하는 경우가 많으며, 코막힘에 의한 호흡 곤란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QOL(quality of life)를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지발성 증상은 케미컬메디에이터로서 류코트리엔이 관여함으로써 야기된다는 것이 명백해졌으며, 류코트리엔의 생합성 억제가 이러한 증상의 개선에 유효한 방책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예를 들면, 코 알레르기 진료 가이드라인 p14~16, 2005년판 참조).
종래,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의 개선에는 항히스타민 작용을 갖는 항알레르기약이 범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비알레르기 진료 가이드라인 p70~78, 2005년판 참조). 그러나, 이러한 항알레르기약에서는 상기 비염 증상 중, 급성 증상에 대해서는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지발성 증상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들 항알레르기약은 화학 합성 제품이기 때문에, 졸음이나 어지러움 혹은 구토 등을 일으키거나, 권태감이 생기거나, 더 나아가서는 설사를 일으키거나 하는 부작용이 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예를 들면, 포켓 의약품집(2001년판), 백문사, p454 참조).
이러한 배경 하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적다는 점에서 천연물인 식물로부터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의 탐색이 수행되고 있으며, 머위(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5-179308호 공보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지만, 충분한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추출물은 아직 얻고 있지 못한 것이 현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하게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 국화과 떡쑥속 식물의 추출물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식물 추출물 중의 약효 성분을 활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는 오래 전부터 생약이나 민간요법에서 이용되고 있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맛이 뛰어나고 안전성면에서 문제가 없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은 화학 합성품으로 이루어지는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알레르 기성 비염의 코막힘 증상, 감기에 의해 코막힘, 코막힘 증상이 만성화된 만성 부비강염, 담마진, 습진ㆍ피부염, 피부 소양증, 양진, 기관지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카타르, 만성 결막염,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 관절염, 통풍(痛風),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염증성 장질환, 폐순환 승압, 편두통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이 생체 내에서의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즉 코막힘, 기관지 천식 등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국화과 떡쑥속 식물은, 떡쑥(괴쑥, 솜쑥이라고도 한다), 풀솜나물(Gnaphalium japonicum Thunb), 금떡쑥(Gnaphalium hypoleucum), 자주풀솜나물(Gnaphalium purpureum), 왜떡쑥(Gnaphalium uliginosum), 비라비라(Gnaphalium viravira) 등, 본 종속에 포함되어 있다면 식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에 제공하기 위한 식물 부위에 대해서는 꽃을 포함하는 부위이면 그 전체, 개화기 지상부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건조하여 파쇄함으로써 분말로 사용하는 것이 추출 효과가 좋아지므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기 위한 추출에 이용하는 용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열수) 외에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등의 알콜류나, 에테르, 클로로포름, 초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 용제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한 용제를,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의 유기 용제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한 용제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로서 상기 추출물을 경구로 섭취하는 것도 고려하면, 안전성의 면에서 물, 에탄올 혹은 그 혼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조건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100 ℃에서 1~5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추출액은 더 여과하여, 추출 용제를 제거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유기 용제 분획,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회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한 식물 추출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적당한 단일 액체에 용해하거나 또는 분산시켜, 또는 적당한 단일 분말과 혼합하거나 혹은 그에 흡착시켜, 경우에 따라서는, 이것에 유화제, 안정제, 분산제, 교미(嬌味)제, 보존제, 방향제, 착색제, 코팅제 등을 더 첨가하여, 정제, 액제, 주사제, 연고, 크림, 로션, 스프레이제, 에어졸제, 좌약제 등의 원하는 제형으로 하며, 경구제, 외용제, 주사제, 흡입제, 점비·점안제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첨가량은 그 형태 및 용량 등에 따라 일률 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각 제에 대하여 식물 추출물을 0.01~95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국화과 떡쑥속 식물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10 ~ 500 mg, 바람직하게는 50 ~ 300 mg의 양이 투여되도록 하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1회 내지는 6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는, 냄새, 맛이 뛰어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츄잉껌, 캔디, 정과, 구미젤리, 쵸콜렛 및 비스켓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베트 및 빙과 등의 냉과 및 음료 등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음식품에 대한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01~95 중량%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국화과 떡쑥속 식물 추출물은 생약, 식품 소재, 허브티로서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들의 추출물 및 이를 배합한 음식품의 안전성에 대하여 전혀 문제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함유하는 음식품의 제조방법 및 효능에 대하여 시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식물체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시험법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식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시료 조제예 1]
건조하여 파쇄한 풀솜나물의 꽃, 금떡쑥의 꽃, 왜떡쑥의 꽃 각각 30 g에 300 ㎖의 50% 에탄올을 첨가하고, 1시간, 9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풀솜나물 추출물은 4.7 g, 금떡쑥 추출물은 4.2 g, 왜떡쑥 추출물은 5.0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2]
건조하여 파쇄한 떡쑥의 꽃, 비라비라의 꽃 각각 10 g에 300 ㎖의 50% 에탄올을 첨가하고, 2시간, 8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떡쑥 추출물은 2.1 g, 비라비라 추출물은 1.5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3]
건조하여 파쇄한 풀솜나물의 꽃, 금떡쑥의 꽃, 왜떡쑥의 꽃 각각 30 g에 300 ㎖의 물을 첨가하고, 1시간, 9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 성 억제제를 얻었다. 풀솜나물 추출물은 4.2 g, 금떡쑥 추출물은 4.1 g, 왜떡쑥 추출물은 4.7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4]
건조하여 파쇄한 떡쑥의 개화기 지상부, 비라비라의 꽃 각각 10 g에 100 ㎖의 물을 첨가하고, 3시간, 실온에서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떡쑥 추출물은 1.4 g, 비라비라 추출물은 1.1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5]
건조하여 파쇄한 풀솜나물의 꽃, 금떡쑥의 꽃, 왜떡쑥의 꽃 각각 30 g에 300 ㎖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1시간, 실온에서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개별로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풀솜나물 추출물은 1.3 g, 금떡쑥 추출물은 1.7 g, 왜떡쑥 추출물은 1.5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6]
건조하여 파쇄한 떡쑥의 꽃, 비라비라의 꽃 각각 10 g에 300 ㎖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2시간, 70 ℃에서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떡쑥 추출물은 1.4 g, 비라비라 추출물은 1.1 g 얻어졌다.
[시료 조제예 7]
건조하여 파쇄한 떡쑥의 꽃, 비라비라 전체 각각 10 g에 100 ㎖의 100% 메탄 올을 첨가하고, 1시간, 70 ℃에서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각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 감압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얻었다. 떡쑥 추출물은 0.9 g, 비라비라 추출물은 0.7 g 얻어졌다.
[비교 시료 1]
건조하여 파쇄한 머위 10 g에 200 ㎖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2시간, 7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머위 추출물 5.56 g을 얻었다.
[비교 시료 2]
건조하여 파쇄한 떡쑥의 잎 10 g에 100 ㎖의 50% 에탄올을 첨가하여, 2시간, 7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떡쑥 추출물 2.0 g을 얻었다.
[비교 시료 3]
건조하여 파쇄한 비라비라의 줄기 10 g에 100 ㎖의 50% 에탄올을 첨가하여, 2시간, 70 ℃에서 환류 추출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 동결 건조함으로써 비라비라 추출물 1.5 g을 얻었다.
시험예 2
본 시험은 시험예 1에서 얻어진 식물 추출물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제공 시료
시험예 1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2) 시험법
시료 조제예 1~7에서 나타낸 본 발명품인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비교 시료 1에서 나타낸 비교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랫트 호염기성 세포주(RBL-2H3 세포, 자원 번호 JCRB0023)를 이용하여 생합성되는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량을 측정하여, 식물 추출물이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는, 류코트리엔 중에서 류코트리엔 C4, D4, E4, 이 세 개를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이라 부른다
RBL-2H3 세포를 소태아 혈청(10%), 페니실린(50U/㎖), 스트렙토마이신(50 ㎍/㎖)을 함유하는 EMEM 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중에서 37 ℃, 5% CO2로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시험 전날에 RBL-2H3 세포를 24혈 평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0ㅧ 105개(400 ㎕/well)씩 파종하였다. 시험 당일, 플레이트를 500 ㎕의 PIPES 완충액(119 mM NaCl, 5 mM KCl, 1 mM CaCl2, 0.4 mM MgCl2, 5.6 mM 글루코오스, 25 mM PIPES, 40 mM NaOH, 0.1% BSA, pH 7.2)으로 2회 세척하고, 시료를 첨가한 PIPES 완충액을 200㎕ 첨가하여 37 ℃에서 10분간 가온하였다. 다음으로 10 ㎕의 자극제(칼슘이오노포아 A23187:최종농도 5μM)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0분간 얼음 냉각하여 반응을 멈춘 후에 상청액 180 ㎕를 회수, 1000 rpm으로 3분 간 원심 분리하여 상청액 150 ㎕를 얻었다.
얻어진 상청액 중에 포함되는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량(류코트리엔 C4, D4 및 E4 각 양의 합계)을 케이만 케미컬사제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 EIA 키트로 측정하고, 각 시료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율을 이하의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율(%)=[(C-B-S)/C-B)]ㅧ 100
단, S=시료와 자극제를 첨가한 경우의 류코트리엔 생합성량, C=자극제만을 첨가한 경우의 류코트리엔 생합성량, B=시료 및 자극제를 모두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류코트리엔 생합성량으로 한다.
3) 시험 결과
각각의 시료의 100㎍/㎖ 농도에서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율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율(%)
풀솜나물 추출물(시료 조제예 1) 84.8
금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1) 82.5
왜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1) 85.8
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2) 99.5
비라비라 추출물(시료 조제예 2) 99.8
풀솜나물 추출물(시료 조제예 3) 66.6
금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3) 68.4
왜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3) 70.2
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4) 55.2
비라비라 추출물(시료 조제예 4) 80.4
풀솜나물 추출물(시료 조제예 5) 82.4
금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5) 80.3
왜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5) 83.1
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6) 98.0
비라비라 추출물(시료 조제예 6) 98.5
떡쑥 추출물(시료 조제예 7) 90.6
비라비라 추출물(시료 조제예 7) 60.2
머위 추출물(비교 시료 1) 25.4
떡쑥 추출물(비교 시료 2) 20.5
비라비라 추출물(비교 시료 3) 18.4
실험예 2로부터, 본 발명의 풀솜나물, 금떡쑥, 왜떡쑥, 떡쑥 및 비라비라의 꽃을 포함하는 부위로부터 제작된 추출물은 강한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해졌다. 비교 시료에 나타낸 머위 추출물, 떡쑥 추출물 및 비라비라 추출물의 뉴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활성은 약한 것이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품의 범위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조제예 1 내지 7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 산제, 흡입제, 점비약, 츄잉껌, 캔디, 쵸콜렛, 비스켓, 구미젤리, 정과, 아이스크림, 샤베트, 음료를 통상법으로 조제하였다. 이하에 그 처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하기 처방에 따라 정제를 조제하였다.
D-만니톨 42.6 중량%
유당 42.6 중량%
결정 셀룰로오스 8.5 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3 중량%
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 2.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정제는 정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정제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정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
하기 처방에 따라 산제를 조제하였다.
유당 62.5 중량%
감자 전분 12.5 중량%
시료 조제예 5의 풀솜나물 추출물 25.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산제는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5의 풀솜나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5의 풀솜나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산제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3
하기 처방에 따라 산제를 조제하였다.
유당 2.5 중량%
감자 전분 2.5 중량%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95.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산제는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3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산제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산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4
하기 처방에 따라 흡입제를 조제하였다.
에탄올 5.0 중량%
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 1.0 중량%
L-멘톨 2.0 중량%
물 92.0 중량%
총 100.0 중량%
본 흡입제는 흡입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4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흡입제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흡입제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5
하기 처방에 따라 점비약을 조제하였다.
살리실산메틸 0.03 g
말레인산크롤페닐아민 0.3 g
dl-염산메틸에페드린 0.3 g
폴리솔베이트80 0.2 g
염화벤잘코늄 0.01 g
염화나트륨 0.6 g
1N 수산화나트륨 적당량
시료 조제예 1의 금떡쑥 추출물 0.01 g
물 적당량
총 100.0 ㎖
(pH 6.5)
본 점비약은 점비약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5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1의 금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1의 금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점비약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점비약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6
하기 처방에 따라 츄잉껌을 조제하였다.
껌 베이스 20.0 중량%
설탕 54.7 중량%
글루코오스 15.0 중량%
물엿 9.3 중량%
향료 0.5 중량%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0.5 중량%
총 100.0 중량%
본 츄잉껌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6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츄잉껌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
하기 처방에 따라 츄잉껌을 조제하였다.
껌 베이스 20.0 중량%
설탕 54.5 중량%
글루코오스 10.0 중량%
물엿 13.0 중량%
향료 0.5 중량%
시료 조제에 2의 비라비라 추출물 1.0 중량%
시료 조제예 5의 왜떡쑥 추출물 1.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츄잉껌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츄잉껌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또한, 시료 조제예 5의 왜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5의 왜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츄잉껌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8
하기 처방에 따라 츄잉껌을 조제하였다.
껌 베이스 20.0 중량%
설탕 50.5 중량%
글루코오스 14.0 중량%
물엿 13.0 중량%
향료 0.5 중량%
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 2.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츄잉껌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8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츄잉껌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츄잉껌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9
하기 처방에 따라 캔디를 조제하였다.
설탕 50.0 중량%
물엿 33.0 중량%
구연산 1.0 중량%
향료 0.2 중량%
L-멘톨 1.0 중량%
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 0.4 중량%
물 14.4 중량%
총 100.0 중량%
본 캔디는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9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캔디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0
하기 처방에 따라 캔디를 조제하였다.
설탕 38.0 중량%
물엿 42.0 중량%
구연산 1.0 중량%
향료 0.2 중량%
시료 조제예 6의 비라비라 추출물 0.4 중량%
물 18.4 중량%
총 100.0 중량%
본 캔디는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0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6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6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캔디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캔디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1
하기 처방에 따라 쵸콜렛을 조제하였다.
카카오비터 20.0 중량%
전지분유 20.0 중량%
카카오버터 17.0 중량%
분당(粉糖) 41.85 중량%
레시틴 0.45 중량%
향료 0.1 중량%
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 0.6 중량%
총 100.0 중량%
본 쵸콜렛은 쵸콜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0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쵸콜렛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쵸콜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2
하기 처방에 따라 비스켓을 조제하였다.
설탕 31.7 중량%
소맥분 26.8 중량%
얼레짓가루 26.8 중량%
버터 3.2 중량%
달걀 10.2 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3 중량%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0.5 중량%
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 0.5 중량%
총 100.0 중량%
본 비스켓은 비스켓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2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비스켓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또한, 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비스켓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비스켓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3
하기 처방에 따라 구미젤리를 조제하였다.
폴리덱스트로오스 수용액 40.0 중량%
솔비톨 수용액 8.0 중량%
파라티노오스 수용액 9.0 중량%
말토오스 수용액 20.0 중량%
트레할로스 수용액 11.0 중량%
젤라틴 10.0 중량%
주석산 1.0 중량%
시료 조제예 4의 떡쑥 추출물 1.0 중량%
총 100.0 중량%
본 구미젤리는 구미젤리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3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4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4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구미젤리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구미젤리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4
하기 처방에 따라 정과를 조제하였다.
설탕 76.1 중량%
글루코오스 19.0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2 중량%
향료 0.15 중량%
시료 조제예 6의 떡쑥 추출물 0.1 중량%
물 4.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정과는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4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6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6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정과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5
하기 처방에 따라 정과를 조제하였다.
설탕 74.7 중량%
유당 18.9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5 중량%
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 2.0 중량%
물 4.25 중량%
총 100.0 중량%
본 정과는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5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7의 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정과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6
하기 처방에 따라 정과를 조제하였다.
설탕 56.7 중량%
유당 18.9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5 중량%
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 20.0 중량%
물 4.25 중량%
총 100.0 중량%
본 정과는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6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7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정과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정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7
하기 처방에 따라 타블렛을 조제하였다.
설탕 35.85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5 중량%
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 60.0 중량%
물 4.0 중량%
총 100.0 중량%
본 타블렛은 타블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7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2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타블렛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타블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8
하기 처방에 따라 타블렛을 조제하였다.
설탕 2.9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1 중량%
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 95.0 중량%
물 2.0 중량%
총 100.0 중량%
본 타블렛은 타블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8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3의 금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타블렛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타블렛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9
하기 처방에 따라 아이스크림을 조제하였다.
난황 11.0 중량%
설탕 14.0 중량%
우유 37.0 중량%
생크림 37.0 중량%
바닐라빈즈 0.5 중량%
시료 조제예 5의 금떡쑥 추출물 0.5 중량%
총 100.0 중량%
본 아이스크림은 아이스크림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9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5의 금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5의 금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아이스크림을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아이스크림으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0
하기 처방에 따라 샤베트를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16.0 중량%
설탕 31.0 중량%
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 3.0 중량%
물 50.0 중량%
총 100.0 중량%
본 샤베트는 샤베트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0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1의 왜떡쑥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샤베트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샤베트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1
하기 처방에 따라 음료를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30.0 중량%
이성질화당 15.33 중량%
구연산 0.1 중량%
비타민 C 0.04 중량%
향료 0.1 중량%
시료 조제예 4의 비라비라 추출물 0.01 중량%
물 54.42 중량%
총 100.0 중량%
본 음료는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1과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4의 비라비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4의 비라비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음료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2
하기 처방에 따라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레이프 과즙 25.0 중량%
이성질화당 15.33 중량%
구연산 0.1 중량%
비타민 C 0.05 중량%
향료 0.1 중량%
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 0.001 중량%
물 적당량
총 100.0 중량%
본 음료는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2와 같은 배합 비율로, 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 대신에 시료 조제예 1 내지 7의 각 추출물(시료 조제예 3의 풀솜나물 추출물을 제외)을 배합한 음료를 각각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들은 음료로서의 성질을 해치는 일 없이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시험예 5: 독성시험
국화과 떡쑥속 중 풀솜나물, 금떡쑥, 왜떡쑥, 떡쑥, 비라비라 각각의 꽃 추출물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활성물질 1 ~ 1000 ㎎을 24 마리의 생쥐에게 복강 내 투여하여 행동 관찰 후 24시간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독성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었다. 1000 ㎎ 미만의 용량을 투여한 생쥐의 경우는 모두 생존하였으며, 행동 관찰상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던 생쥐와 비교하여 통계학상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laims (6)

  1.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과 떡쑥속이 떡쑥 및 비라비라(Gnaphalium viravira)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는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천식 예방 및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를 0.01 ~ 9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KR1020070113943A 2006-11-08 2007-11-08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KR10096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2402A JP2008115138A (ja) 2006-11-08 2006-11-08 ロイコトリエン産生抑制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JPJP-P-2006-00302402 2006-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031A true KR20080042031A (ko) 2008-05-14
KR100963621B1 KR100963621B1 (ko) 2010-06-15

Family

ID=3950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943A KR100963621B1 (ko) 2006-11-08 2007-11-08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15138A (ko)
KR (1) KR100963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5270B (zh) * 2010-12-01 2015-11-25 韦红光 一种治疗痛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516866B1 (ko) * 2013-04-24 2015-05-04 스킨큐어(주) 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4324284A (zh) * 2014-10-17 2015-02-04 郭云芳 一种治疗过敏性结膜炎的中药浸膏及其制备方法
CN105288192A (zh) * 2015-11-25 2016-02-03 范葵 一种山慈菇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679A (ja) 1996-11-05 1998-05-26 Noevir Co Ltd ケミカルメディエーター遊離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医薬品並びに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15138A (ja) 2008-05-22
KR100963621B1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69404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trachelospermi caulis extract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44013B1 (ko) 백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09354A (ko) 드라이 아이 예방·치료제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0963621B1 (ko)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KR20160125019A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2657B1 (ko) 테트라세라 로우레이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JP4491065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2191165B1 (ko) 무 뿌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38142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5116A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00302A (ko)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2317B1 (ko) 탱자 및 물엿을 발효시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 식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0662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037785A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510158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용 조성물
KR102187877B1 (ko) 감국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2131823A (ja) 線毛運動活性化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