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745A -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745A
KR20080040745A KR1020087004993A KR20087004993A KR20080040745A KR 20080040745 A KR20080040745 A KR 20080040745A KR 1020087004993 A KR1020087004993 A KR 1020087004993A KR 20087004993 A KR20087004993 A KR 20087004993A KR 20080040745 A KR20080040745 A KR 2008004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ard
housing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오따로오 다께우찌
도모나리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와 정합되며, 하우징과 복수개의 단자를 가진다. 단자와 하우징은 기준면에서 상호 작용하여 단자를 하우징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하우징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형 공동을 가지는 기다란 리세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동은 공동의 일 측면에 기준면과, 상기 공동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 정렬 개구를 구비한 단자 보유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는 단자 수납형 공동에 배치된다. 각각의 단자는 U 형상 보유부와,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고 이에 접촉 돌출부를 갖는 L 형상 탄성 접촉뷰를 포함한다. 회로 부재와 상호 접속되는 미부가 또한 제공된다.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레그부와,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부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을 견고하게 수납하도록 치수화된 U 형상 보유부를 포함한다. 제1 레그부는 단자 수납형 공동 내에 단자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기준면을 따라 위치되어 결합되고, 단자 정렬 돌출부는 공동 내에 단자가 추가로 위치 설정되어 고정되도록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어 단자 정렬 개구로 돌출된다.
커넥터, 하우징, 단자, U 형상 보유부,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기준면

Description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BOARD-TO-BOARD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2개의 평행한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함께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한 쌍의 정합 커넥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합 커넥터는 2개의 회로 기판의 상호 대면하는 표면에 부착되어 돌출되어 있다.
도6은 종래의 이런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301은 (도시되지 않은) 제1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를 지시한다. 제1 커넥터(301)는 (도시되지 않은) 제2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제2 커넥터에 정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회로 기판의 도전성 회로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1 커넥터(301)는 제2 커넥터의 대응 단자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자(302)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302)는 제1 커넥터(301)의 하우징의 내부면에 고정된 보유부(308)와, 상기 보유부(308)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하는 중간부(303)를 가진다. 보유부(308)와 중간부(303)는 하우징의 일부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단자(302)는 제1 커넥터(301) 내에 유지된다. 보유 바브(retention barb: 309)는 보유부(308)에 형성된다. 보유 바브(309)는 하우징으로 바이트(bite)되거나 스카이브(skive)되어, 하우징 내에서 단자를 유지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단자(302)의 미부(304)는 제1 회로 기판의 표면상에 있는 대응 도전성 회로에 납땜된다.
접촉 빔(305)은 보유부(308)에 연결되고 중간부(3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촉 빔(305)은 대체로 L형상이고, 상기 접촉 빔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 돌출부(306)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301)가 (도시되지 않은) 제2 커넥터에 정합되면, 제2 커넥터의 대응 단자는 제1 커넥터(301)의 리세스부(307)로 인입되고, 각각의 제1 단자의 접촉 돌출부(306)는 각각의 제2 커넥터의 대응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의 도전성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 각각의 단자(302)는 보유부(308)와 중간부(303)에 의해 제1 커넥터(301)의 하우징에 정착된다. 접촉 돌출부(306)는 보유부로부터 하우징으로 연장되거나, 바이트되거나, 또는 스카이브되며, 이런 스카이브의 깊이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없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접촉 돌출부(306)의 위치가 일정하게 위치될 수 없고, 이로 인해 제1 커넥터는 비교적 불량한 치수 정밀도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세스(307)의 내향면은 기준면 또는 기준으로서 사용되고, 접촉 빔(305)과 접촉 돌출부(306)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위치된다. 그러나, 보유 바브가 리세스(307)의 내향면을 따라 하우징으로 스카이브되고, 이런 스카이브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바브(308)의 위치는 하우징 내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촉 빔(305)과 접촉 돌출부(306)의 위치도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자(302)의 접촉 빔(305)의 치수 정밀도가 높다 하더라도, 하우징에 대한 접촉 빔(305)과 접촉 돌출부(306)의 위치는 유지되기 어렵고, 이는 제1 커넥터(301)와 제2 커넥터의 적절한 정합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301)로부터 제2 커넥터를 정합 해제할 시에, 상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접촉 돌출부(306)에 작용한다. 상향으로 가해지는 이런 힘은 접촉 빔(305)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이런 회전 모멘트는 보유부(308)와 보유 바브(309)에 힘을 전달하며, 이에 의해 단자가 하우징의 대응 리세스부(307)의 내향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보유 바브(309)와 단자(302)가 하우징에 대해 느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전술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각각의 제1 커넥터가 L 형상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역 U 형상 보유부를 포함하는 신뢰성 높은 기판 대 기판 쌍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자는 정합면 측으로부터 단자들을 가압 끼워 맞춤하여 제1 커넥터의 하우징에 부착된다. 이런 방향으로부터 단자를 삽입하는 것, 또는 "상부로부터의 장착"은 커넥터의 필연적인 장착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단자의 전체적인 위치를 안정화하며, 정합 해제시에 야기될 수도 있는 단자의 들림 현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단자가 배치되는 수납형 리세스와 삽입 리세스의 일 측면에 인접한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정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된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2 커넥터의 삽입 돌출부는 제1 커넥터의 수납형 리세스에 삽입된다. 측벽부는 수납형 리세스 쪽의 측면에 형성되며 삽입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 정착 구멍과, 상기 수납형 리세스로부터 이격되고 삽입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 정착 구멍의 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기준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단자는 L 형상 접촉부와 역 U 형상 보유부를 포함한다. L 형상 제1 접촉부는 제1 수직부와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상기 제1 수직부는 측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납형 리세스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상기 제2 수직부는 측벽부 쪽으로 향하는 수납형 리세스의 대향 측에 배치된다. 보유부는 삽입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납형 리세스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는 단자의 기준면을 포함한다. 단자의 기준면은 하우징의 기준면과 접촉된다. 말단부를 갖는 제1 레그부는 제1 단자 정착 구멍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부는 제1 레그부와 협동하여 측벽부를 파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레그부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측벽부는 수납형 리세스에 대향하여 측벽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레그부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2 레그부는 제2 레그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납땜 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의 삽입 돌출부가 수납형 리세스로 삽입되면, 각각의 제1 단자는 탄성 변형되고 확장되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삽입 돌출부를 파지한다. 제1 커넥터는 제1 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한다. 제1 단자는 삽입 돌출부의 삽입 방향으로 홈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다른 커넥터와 정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개의 단자를 가진다. 단자와 하우징은 단자가 하우징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기준면에서 상호 작용한다.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단자 수납형 공동을 갖는 기다란 리세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동은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 기준면을 갖는 단자 보유부와, 상기 공동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 정렬 개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는 단자 수납형 공동에 배치된다. 각각의 단자는 U 형상 보유부와,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는 L 형상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L 형상 탄성 접촉부는 접촉 돌출부를 가진다. 회로 부재와 상호 접속하기 위한 미부가 또한 제공된다.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와 이들 사이에 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상기 레그부들 사이에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을 견고하게 수납하도록 치수화된다. 제1 레그부는 단자 수납형 공동 내에 단자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기준면을 따라 위치되고 정렬되며, 단자 정렬 돌출부는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고 단자 정렬 개구로 돌출되어 단자를 공동 내에 추가로 위치시켜 고정한다.
단자 정렬 개구의 일부는 기준면과 동일선 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준면은 대체로 평면이고 리세스와 대면한다. 단자 정렬 돌출부는 U 형상 보유부의 제1 레그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단자 정렬 개구 내에 가압 끼워 맞춤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자 정렬 개구는 공동으로부터 커넥터의 장착면으로 연장되는 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 형상 보유부는 역 U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역 U 형상 보유부의 제2 레그부는 상기 역 U 형상 보유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는 대체로 접촉 돌출부와 대면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는 정합축을 따라 정합되고, 이격되어 있는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와 단자 정렬 돌출부 모두는 상기 정합축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격되어 있는 제2 레그부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은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첨부된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시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도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제1 커넥터에 사용된 2개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1 및 도2의 제1 커넥터와 정합하는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정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정합하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이다. 이들 커넥터는 각각의 회로 기판 또는 회로 부재(51, 52)의 표면에 장착되는 표면 장착형 커넥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향, 하향,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각각의 부분들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용어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방향을 나타내고,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방향이 변경되면, 이에 상응하여 다른 방향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넥터 주 본체 또는 제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은 정합면에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형의 오목부 또는 슬롯을 구비한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 형상이며, 제2 커넥터(30)는 상기 직사각형의 오목부 또는 슬롯으로 삽입된다. 제1 커넥터(10)가 약 12㎜의 길이와, 약 3.5㎜의 폭과, 약 1.7㎜의 깊이를 가지지만, 그 크기는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오목부에서, 리지부(ridge portion) 또는 중앙 돌출부(13)는 제1 하우징(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리지부(13)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14)는 제1 하우징(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측벽부(14)는 리지 부(13)로부터 이격되어 리지부(13)의 대향 측들 상에 위치된다. 리지부(13)와 측벽부(14)는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다란 홈부 또는 수납형 리세스(12)가 리지부(13)의 양측에 형성됨으로, 각각의 수납형 리세스(12)는 리지부(13)와 대응 측벽부(14) 사이에 위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2)는 회로 기판(51)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11)의 장착면(11b)에 대응하는 바닥에 있는 바닥 벽부(11a)에 의해 폐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개의 리지부(13)가 제공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리지부가 제공되거나 또는 리지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리지부의 개수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리지부(13)가 약 0.8㎜의 폭을 가지지만, 그 크기는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자(21)를 수납하기 위한 공동 또는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은, 상기 공동 또는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이 리지부(13)의 대향 측면에 그리고 홈부(12)의 바닥면 위에서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0개의 단자 수납형 슬롯(15)은 리지부(13)의 각각의 측면에 그리고 대응 홈부(12)의 바닥면 위에서 약 0.4㎜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의 단자(21)는 리지부(13)의 각각의 측면에서 약 0.4㎜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20개의 단자 수납형 슬롯(15) 내에 수용된다.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은 단자(21)가 슬롯(15)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이런 슬롯의 상부 개구를 따라 테이퍼진 인입면 또는 홈(16)을 포함한다.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과 제1 단자 인입면(16)은 하우징(11)의 일부로서 일체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1 단자 정렬 구멍(17)은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과 연통하고 정합 커넥터의 정합 방향("B"; 도1 참조)으로 바닥벽(11b)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제1 단자 정렬 구멍(17)의 내부면의 일부와 대응 단자 결합부(14a)의 내측면은 동일선 상에서 공통 평탄면(14b)을 형성하며, 상기 공통 평탄면(14b)은 하우징의 기준면 또는 기준으로서 작용한다. 이런 기준면(14b)은 제1 하우징(11)과 제1 단자(21) 사이의 위치 관계를 정의하는 기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기준면(14b)은 평면이고 삽입 돌출부(32)의 삽입 방향으로, 즉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정합 방향(B)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단자(21)의 결합 돌출부(22d)와 결합되는 결합부 또는 견부(14c)는 각각의 결합부(14a)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제1 단자(21)의 구조는 도1 및 도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단자(21)는 보유부(22)와 접촉부(24)를 가지며,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스탬핑 가공하거나 브래킹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자(21)는 전체적으로 또는 대체로 평면이며, 스탬핑 가공되어 형성되는 단자는 금속 시트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보유부(22)는 역 U 형상 프로파일을 가지며, 연결부 또는 브릿지부(22f)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레그부(22a, 22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그부(22a, 22c)는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연결부(22f)로부터 장착면(11b)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된다. 제1 레그부(22a)는 기준면(14b)을 따라 하우징(11) 내에 위치되고, 제2 레그부(22c)는 하우징의 단자 결합부(14a)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제1 레그부(22a)의 외측면은 평탄하고 단자 기준면(22b)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기준 면(22b)은 기준면(14b)과 결합하여 하우징(11)과 단자(21) 사이의 위치 관계를 한정한다. 제1 하우징(11)의 결합부(14c)와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22d)는 하우징에 단자를 유지하는 제2 레그부(22c)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납땜 미부(22e)는 제2 레그부(22c)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납땜 미부(22e)는 제1 하우징(11)의 장착면(11b)으로부터 돌출되고, 납땜 미부의 하부 돌출 단부면은 회로 기판(51)의 표면에 있는 도전성 회로 또는 패드에 납땜된다.
접촉부(24)는, 리지부(1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정합 방향(B)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24a)를 구비하는 대체로 L 형상 프로파일을 가진다. 수직부(24a)는 리지부(13)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 수용 슬롯(15)으로 수용된다. 문자 L의 수평부에 해당하는 바닥부(24e)는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수직부(24a)와 바닥부(24e)는 결합되어 편향 가능한 스프링 아암을 형성한다. 제1 접촉부(24b)는 제1 수직부(24a)의 상단부 부근에 형성되고, 제2 돌출부(24d)는 보유부(22)의 제1 레그부(22a)의 상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4b, 24d)는 서로에 대해 대면하도록 돌출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4b, 24d)는 정합 방향을 따라 대체로 동일한 위치 또는 높이에 위치된다.
납땜 미부(22e)의 하부 단부면으로부터 제1 돌출부(24b)로 연장되는 제1 단자(21)에 따른 경로는 길고, 대체로 경화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납땜의 위킹(wick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즉, 납땜이 납땜 미부(22e)로부터 제1 돌출부(24b)로 이동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각각의 단자(2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위쪽에서 또는 "상부로 부터의 장착"에 의해 하우징(11)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단자(21)는 대응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과 대응 인입면(16)으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제1 레그부(22a)와 제2 레그부(22c)는 단자 결합부(14a)의 대향 측면 상에 파지되어, 하우징(11)에 제1 단자(21)를 보유한다. 조립되는 동안, 각각의 단자(21)는 하우징(11)의 정합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레그부(22a, 22c)가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각각의 단자(2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하향 이동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부 측으로부터 하우징(11)으로 삽입된다. 보유부(22)는 측벽부(14)의 상부면에 형성된 대응 홈(16)에 수납되고, 제1 레그부(22a)의 말단부는 제1 단자 정렬 구멍(17)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제2 레그부(22c)의 결합 돌출부(22d)는 활주하여 하우징(11)의 결합부(14c)와 결합 접촉됨으로써, 단자(21)가 하우징(11)으로부터 상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단자(21)가 하우징(11)에 고정되면, 접촉부(24)의 바닥부(24e)는 대응 홈부(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에 수납된다. 제1 돌출부(24b)는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으로부터 홈부(12)로 돌출되며, 제2 돌출부(24d)는 제1 단자 수납형 슬롯(15)에 위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단자의 기준면(22b)은 하우징의 기준면(14b)과 접촉하여, 하우징(11)에 대해 단자(21)를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접촉부(24)는 탄성을 띠며 정합 커넥터와(30)의 정합 및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와 정합되면, 제1 수직부(24a)와 바닥부(24e)는 탄성 변형된다. 편향 시에, 제1 돌출부(24b)는 리지부(13)를 가압한다. 접촉부(24)는 접촉부의 탄성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제1 돌출부(24b)와 제2 돌출부(24d)가 제2 단자(41)와 삽입 돌출부(32)를 각각 파지하도록 한다. 보유부(22)는 제1 레그부(22a)와 제2 레그부(22c) 사이에서 단자 결합부(14a)를 파지함으로써 양측으로부터 단자 결합부(14a)를 파지한다. 제1 레그부(22a)의 캔틸레버식 팁 단부는 제1 단자 정렬 구멍(17)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따라서, 접촉부(24)가 제2 커넥터(30)와 결합하여 탄성 변형되어도, 보유부(22)는 변형되지 않으며, 단자의 기준면(22b)은 하우징(11)에 대해 굴곡되거나 편향되지 않는다. 이런 구조를 통해서, 균일한 접촉이 단자의 기준면(22b)과 하우징의 기준면(14b) 사이에 유지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전체적인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특징은 제1 단자(21)가 납땜 미부(22e)를 제외하고 제1 커넥터(10)의 하부면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홈부(12)는 장착면 측의 바닥 벽부(11a)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도전성 회로는 제1 커넥터의 하우징(11)의 하부 정합면(11b) 아래에서 회로 기판(51)의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접촉부(24)의 제1 접촉부(24b)가 제2 단자(41)의 접촉부(44b)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접촉 압력은 보유부(22)의 납땜 미부(22e) 또는 결합 돌출부(22d)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정합되어도, 힘은 납땜 미부(22e)와 회로 기판(51) 사이의 납땜 접합부에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납땜 접합부에서 균열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4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넥터의 주 본체 또는 제2 하우징(31)을 포함하는, 정합하는 제2 커넥터(30)의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약 10 ㎜의 길이와, 3 ㎜의 폭과, 약 1.1 ㎜의 두께를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의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그 크기는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의 기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측벽(32)과, 상기 측벽의 대향 단부에 있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가진다. 이런 측벽과 단부벽은 제2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홈부(33)를 형성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측벽(32)은 제1 커넥터(10)의 리세스(12)로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1개의 삽입 돌출부 또는 3개 이상의 삽입 돌출부가 하우징을 변경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홈부(33)는 약 0.8 ㎜의 폭을 가지며, 그 크기는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1)은 수지를 이용하여 제2 단자(41)를 부분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오버 몰딩(over-molding)을 통해 형성된다.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접촉부(44)는 측벽 또는 삽입 돌출부(32)에 매설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44)의 표면이 내측면(44b)과, 도4의 상부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 돌출부(32)의 중간면(44c)에 노출된다. 각각의 제2 단자(41)는 제2 하우징(31)의 대향 측면 중에서 어느 일 측면의 하부 에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납땜 미부(43)를 가진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20개의 단자(41)는 약 0.4 ㎜의 간격을 두고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2 단자(41)의 간격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5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함께 정합되어 이들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51, 52)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각각의 제2 단자(41)는 납땜 미부(43)와 접촉부(44)를 가지며, 전기 도전성 시트 금속을 스탬핑 가공하여 형성된다. 접촉부(44)는 대체로 J 형상 프로파일을 가지며, 홈부(33)의 삽입 돌출부(32)의 내측면에 노출되는 표면을 갖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44b)와, 측벽 또는 삽입 돌출부(32)에 매설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부(44a)를 가진다. 말단부(44a)가 삽입 돌출부(32)에 매설되기 때문에, 제2 단자(41)는 제2 하우징(31)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측벽부(44b)와 말단부(44a) 사이의 중간부(44c)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 돌출부(32)의 상부면(도4에 도시)에 노출된다. [홈부(33)쪽의 측부에 있는] 납땜 미부(43)의 내측 단부는 제2 접촉부(44)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납땜 미부(43)는 회로 기판(52)의 표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회로 또는 패드에 납땜되도록 구성된다.
접촉부(44)의 측벽부(44b)의 표면은 대응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와 접촉되는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와 정합되면,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는 접촉부(44)의 평탄한 접촉부(44b)와 접촉된다. 접촉부(44)의 접촉부(44b)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1 돌출부(24b)는 접촉부(44b)의 표면을 연속적으로 와이퍼(wipe)하여, 소형 커넥터에서 특히 중요한 충분한 수준의 와이핑 효과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4b)와 접촉부(44) 사이의 양호한 전기 접속이 가능하다.
제2 하우징(31)이 오버 몰딩을 통해 형성되어 납땜 미부(43)와 접촉부(44) 사이의 접합부를 커버하기 때문에, 납땜 공정 동안에 납땜은 납땜 미부(43)로부터 접촉부(44b)의 표면으로 제2 단자(41)를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정합되기 전에,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제1 커넥터(10)의 정합면과 제2 커넥터(30)의 정합면이 서로에 대해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의 정합면과 제2 커넥터(30)의 정합면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며,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를 지지하는 회로 기판(51)과 제2 커넥터(30)를 지지하는 회로 기판(52)도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서로를 향해 상대 이동되고,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정합된다. 정합되는 동안, 제1 커넥터(10)의 리지부(13)는 제2 커넥터(30)의 홈부(33)로 삽입되고, 제2 커넥터(30)의 삽입 돌출부 또는 측벽(32)은 제1 커넥터(10)의 대응 홈부(12)로 삽입된다.
그 결과,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접촉부(24)의 제1 돌출부(24b)는 대응 제2 단자(41)의 접촉부(44)의 접촉부(44b)와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접촉부(24)의 제2 돌출부(24d)는 삽입 돌출부(32)의 외측면과 결합된다. 도5는 명료함을 위해 제2 돌출부(24d)와 삽입 돌출부(32)의 외측면 사이에 갭을 나타내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접촉부(24) 중에서 대면하는 제1 돌출부(24b)와 제2 돌출부(24d)의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접촉부(44)의 접촉부(44b)와 삽입 돌출부(3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정합의 결과로서, 제2 커넥터(30)의 삽입 돌출부(32)는 제1 커넥터(10)의 대응 홈부(12)로 삽입되어, 접촉부(24)의 스프링 아암을 편향시키고, 제1 단자(21)의 대면하는 제1 돌출부(24b)와 제2 돌출부(24d)의 표 면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2 단자(41)가 장착되는 삽입 돌출부(32)는 제1 수직부(24a)의 제1 돌출부(24b)와 제1 레그부(22a)의 제2 돌출부(24d)에 의해 파지된다.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접촉부(24) 중에서 제1 돌출부(24b)의 단부는 대응 제2 단자(41)의 접촉부(44) 중에서 접촉부(44b)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커넥터(30)의 각각의 삽입 돌출부(32)는 제1 커넥터(10)의 대응 홈부(12)로 삽입되고, 제1 단자(21)의 제1 접촉부(24) 중에서 제1 돌출부(24b)의 팁부는 접촉부(44b)의 평탄한 표면을 따라 활주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스크랩핑(scraping) 또는 와이핑 효과가 생성되어, 제1 돌출부(24b)의 팁 단부와 접촉부(44b)의 표면에 부착되어 전기적 연속성을 방해하는 먼지 및 산화물과 같은 물질이 와이핑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신뢰성 높은 전기적 연속성이 접촉부에서 보장된다.
제2 커넥터(30)로부터 제1 커넥터(10)를 결합 해제할 시에,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견인된다. 그 결과, 제2 커넥터(30)의 삽입 돌출부(32)가 제1 커넥터(10)의 각각의 홈부(12)로부터 상향으로 견인되고, 이와 동시에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접촉부(24) 중에서 제1 돌출부(24b)와 제2 돌출부(24d)에 의해 파지된다. 하우징의 기준면(14b)으로부터 단자의 기준면(22b)을 분리하도록 시도하기 위해, 상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이 제1 돌출부(24b)에 작용하고 회전 모멘트가 접촉부(24)에 작용한다. 그러나, 제1 레그부(22a)의 팁 단부가 제1 단자 정렬 구멍(17)으로 가압 끼워 맞춤되기 때문에, 보 유부(22)는 탄성 변형되지 않으며, 단자의 기준면(22b)은 기준면(14b)에 대해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합 및 정합 해제 시에, 제1 단자(21)의 전체적인 위치는 매우 안정적이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 및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간주되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6)

  1. 제2 커넥터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이며,
    기다란 절연성 하우징과,
    복수개의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절연성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다란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형 공동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공동은 공동의 일 측면에 기준면을 갖는 단자 보유벽과 상기 공동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 정렬 개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도전성 단자는 단자 수납형 공동에 배열되고, 각각의 단자는 U 형상 보유부와,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촉 돌출부를 갖는 L 형상 탄성 접촉부와, 회로 기판과 상호 접속하는 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와, 상기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 보유벽을 견고하게 수납하도록 치수화되고,
    상기 제1 레그부는 상기 단자 수납형 공동 내에 상기 단자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상기 기준면을 따라 위치되고 결합되며, 단자 정렬 돌출부가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 정렬 개구로 돌출되어 상기 공동 내에 상기 단자 를 추가로 위치시켜 고정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렬 개구의 일부는 상기 기준면과 동일선 상에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기준면은 대체로 평면이고 상기 리세스와 대면하며, 상기 단자 정렬 개구의 일부는 대체로 평면인 상기 기준면과 동일선 상에 있고,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는 상기 U 형상 보유부의 상기 제1 레그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정렬 개구 내에 가압 끼워 맞춤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렬 개구는 상기 공동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장착면으로 연장되는 보어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역 U 형상이고, 상기 제2 레그부에는 접촉 돌출부와 대체로 대면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역 U 형상이고, 상기 제2 레그부에는 접촉 돌출부와 대체로 대면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정합축을 따라 정합되고, 이격되 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부와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 모두는 상기 정합축에 대체로 평행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정합축을 따라 정합되고, 이격 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부와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 모두는 상기 정합축에 대체로 평행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는 제2 레그부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은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될 때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는 제2 레그부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은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될 때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1. 정합축을 따라 제2 커넥터와 정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이며,
    정합면과 상기 정합면에 대향하는 장착면을 갖는 기다란 절연성 하우징과,
    복수개의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기다란 리세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리세스를 따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형 공동을 구비하고, 각각의 공동은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 기준면을 가지며 상기 리세스와 대면하는 단자 보유벽과, 상기 공동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 정렬 개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도전성 단자는 단자 수납형 공동에 배열되며, 각각의 단자는 역 U 형상 보유부와, 단자 정렬 돌출부와, L 형상 탄성 접촉부와, 납땜 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와 상기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U 형상 보유부는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레그부와 제2 레그부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 보유벽을 견고하게 수납하도록 치수화되며, 상기 제1 레그부는 상기 단자 수납형 공동 내에 상기 단자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상기 기준면을 따라 위치되고 결합되며,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는 상기 U 형상 보유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 정렬 개구로 돌출되어 상기 공동 내에 상기 단자를 추가로 위치시켜 고정하며,
    상기 L 형상 탄성 접촉부는 상기 역 U 형상 보유부의 상기 제1 레그부로부터 연장되며 접촉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납땜 미부는 회로 부재와의 상호 접속을 위해 상기 역 U 형상 보유부의 상기 제2 레그부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준면은 대체로 평면이고, 상기 단자 정렬 개구의 일부는 대체로 평면인 상기 기준면과 동일선 상에 있고,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는 상기 U 형상 보유부의 상기 제1 레그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정렬 개구 내에 가압 끼워 맞춤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정렬 개구는 상기 공동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상기 장착면으로 연장되는 보어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그부는 접촉 돌출부와 대체로 대면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부와 상기 단자 정렬 돌출부 모두는 상기 정합축에 대체로 평행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는 제2 레그부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단자 보유벽은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20087004993A 2005-08-03 2006-08-03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080040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4859A JP4545062B2 (ja) 2005-08-03 2005-08-03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JP-P-2005-00224859 2005-08-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527A Division KR20100101007A (ko) 2005-08-03 2006-08-03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745A true KR20080040745A (ko) 2008-05-08

Family

ID=375474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93A KR20080040745A (ko) 2005-08-03 2006-08-03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20107017527A KR20100101007A (ko) 2005-08-03 2006-08-03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527A KR20100101007A (ko) 2005-08-03 2006-08-03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3024B2 (ko)
JP (1) JP4545062B2 (ko)
KR (2) KR20080040745A (ko)
CN (1) CN101305502B (ko)
FI (1) FI20085168L (ko)
SE (1) SE0800482L (ko)
WO (1) WO20070167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036B2 (ja) * 2007-06-06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911735B2 (ja) * 2009-08-18 2012-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86885B2 (ja) 2009-09-14 2014-05-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DE102009056171A1 (de) * 2009-11-27 2011-06-16 Ept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elektrische und elektronische Schaltelemente
JP5732250B2 (ja) * 2010-12-28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装置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KR20150084563A (ko) * 2014-01-14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6327973B2 (ja) *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9728872B2 (en) * 2014-09-22 2017-08-08 Xiaomi Inc Connector plug, connector socket, and connector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91251B2 (ja) *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06247B1 (ko) * 2018-07-30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53123B2 (ja) * 2019-10-11 2023-09-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2023027599A (ja) * 2021-08-17 2023-03-0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199B2 (ja) 1996-03-14 2000-04-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JP3617220B2 (ja)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TW428812U (en) 1999-10-15 2001-04-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642705B2 (ja) * 1999-11-11 2005-04-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422738Y (zh) * 2000-03-31 2001-03-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JP2002008753A (ja) 2000-06-1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6729890B2 (en) 2000-12-29 2004-05-04 Molex Incorporated Reduced-size board-to-board connector
US6464515B1 (en) 2001-11-28 2002-10-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spe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JP3753687B2 (ja) 2002-09-30 2006-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16503B2 (ja) 2002-11-01 2008-07-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TW559360U (en) * 2003-01-22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827588B1 (en) 2003-06-12 2004-12-0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793506B1 (en)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64314B1 (en) * 2003-09-24 2004-07-20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Multiple-contact micron connector
JP3875677B2 (ja)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384274B1 (en) * 2007-08-03 2008-06-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800482L (sv) 2008-04-25
KR20100101007A (ko) 2010-09-15
WO2007016706A2 (en) 2007-02-08
JP2007042410A (ja) 2007-02-15
WO2007016706A3 (en) 2007-04-12
FI20085168L (fi) 2008-02-25
JP4545062B2 (ja) 2010-09-15
US7833024B2 (en) 2010-11-16
US20090318029A1 (en) 2009-12-24
CN101305502A (zh) 2008-11-12
CN101305502B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0745A (ko)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7748994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7931477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pair with solder barrier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JP3122168U (ja) 電気コネクタ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828559B2 (en) Board-to board connector assembly
US8480434B2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8454397B2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US738754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US2010013006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08013901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00076849A (ko) 전기커넥터
JP2009218221A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201108518A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302916A (ja) 中間電気コネクタ
JP200711557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261601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582876Y2 (ja) 電気コネクタ
KR100536617B1 (ko) 커넥터
TWI749611B (zh) 低高度邊緣連接器及使用其的連接器系統
US798086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050095906A1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retaining means
JP200711557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