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815A -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815A
KR20080037815A KR1020060104945A KR20060104945A KR20080037815A KR 20080037815 A KR20080037815 A KR 20080037815A KR 1020060104945 A KR1020060104945 A KR 1020060104945A KR 20060104945 A KR20060104945 A KR 20060104945A KR 20080037815 A KR20080037815 A KR 2008003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ing
vehicle
recording memory
value
control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384B1 (ko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운행 정보를 기록한 램 영역에 대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별로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된 내용을 근거로 하여 훼손된 정보를 복구하거나, 전자제어장치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검토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내의 각 전자장치에 대한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 자가 진단/복구 작업 시에 필요로 하는 값이 저장되는 정보기록 메모리와, 일정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와,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서브 레귤레이터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제어 로직을 읽어 와서 소정의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는, 플래그 영역, 체크 섬 영역, 제어 로직의 버전(version) 값이 기록된 버전 영역, 정보기록 영역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60104945
차량,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ECU, 메모리, 운행, 정보, 비휘발성, 체크 섬

Description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Self-diagnosis/recovery ECU in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기록 메모리의 내부 할당 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에서 자가 진단/복구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처리부 11: 프로그램 메모리
12: 정보기록 메모리 13: 메인 레귤레이터
14: 서브 레귤레이터 15: 점화 스위치
16: 배터리
본 발명은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록한 램 영역에 대하여, 여러 가지 원인별로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된 내용을 근거로 하여 훼손된 정보를 복구하거나, 전자제어장치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검토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로 이루어지는 파워트레인과 샤시 및 바디로 구성되며, 이들 각 구성 요소에는 안정되고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역할, 종류, 개수는 각 차량의 요구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이러한 전자제어장치는 제어 과정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별도의 영역에 보관하며 관리하게 된다. 이 정보들은 상기한 전자제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며, 정보의 특성상 특정 시점에서 갱신 및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장소로 램(RAM)을 사용한다.
상기한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램 영역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이므로,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정보를 손실하게 된다. 차량에 있어 상시 전원은 차량용 배터리이며, 상기 차량용 배터리는 탈거나 교체 기타의 이유 등으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노후화나 교체 기타의 이유 등으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 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노후화나 기타의 이유로 이상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고, 이 노이즈 또한 운행 정보를 기록하는 램(RAM) 영역에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제어 장치의 제어 로직의 변경에 따른 제어장치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경우, 이전의 운행정보와 호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기록하는 램 영역의 정보는 항시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운행 정보를 기록한 램 영역에 대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별로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된 내용을 근거로 하여 훼손된 정보를 복구하거나, 전자제어장치에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검토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시동의 점화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점화 스위치와, 차량내의 각 전자장치에 대한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 자가 진단/복구 작업 시에 필요로 하는 값이 저장되는 정보기록 메모리와, 일정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전압을 소정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에 상시적으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서브 레귤레이터와, 상기 점화 스위치가 온(On)될 시에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제어 로직을 읽어 와서 소정의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는, 배터리 탈거 여부를 검사할 때 사용되는 값이 기록된 플래그 영역, 노이즈 및 무결성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체크 섬(check sum) 값이 기록된 체크 섬 영역, 제어 로직 호환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제어 로직의 버전(version) 값이 기록된 버전 영역,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가 저장되는 정보기록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점화 시동이 걸려 전자제어장치내의 제어 로직이 부팅되는 단계와, 배터리 탈거 여부를 체크하여 배터리 탈거된 적이 있을 시에는 차량운행 정보가 저장된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현재 체크 섬 값이 이전의 체크 섬 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현재 구동되고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과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기록 메모리(12),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인 중앙처리부(10;CPU), 전자제어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 로직을 내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11),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레귤레이터(13), 서브 레귤레이터(14), 상기 메인 레귤레이터(13) 및 서브 레귤레이터(1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 및 메인 레귤레이터에 전원 공급 스위칭을 제어하는 점화 스위치(15;IG key)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에서, 프로그램 메모리(11)에 내장되는 제어 로직이 정상 동작을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보의 예로는 운전자의 운전 습관,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에서의 동작 이력, 오동작 이력 등, 차량의 운행에 있어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점화 스위치(15)가 오프(Off) 되어도 유지 되어야 한다. 또한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변동이 가능해야 하므로, 이 정보들은 본 시스템의 동작 중 어느 때라도 수정 및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가 정보기록 메모리(12)에 저장된다.
차량의 운행을 위해 운전자가 점화스위치 온(IG Key On) 하면, 배터리의 전원 이 메인 레귤레이터(13)에 인가된다. 그러면 메인 레귤레이터(13)는 배터리(16)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예컨대, DC 12 Volt)을 중앙처리부(10)와 프로그램 메모리(11)가 동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전압(예컨대, DC 5 Volt)로 낮추어 중앙처리부(10)와 프로그램 메모리(1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부(10)와 프로그램 메모리(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가 진단/복구 동작이 시작된다.
이와는 별개로, 서브 레귤레이터(14)는 배터리(1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화 스위치(15)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정보기록 메모리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압(예컨대, DC 5 Volt)으로 변환하여 정보기록 메모리(12)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12)는 상시 전원 인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정보기록 메모리(12)에 상시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보기록 메모리(12)의 요구 조건상, 읽기만 가능한 ROM은 정보기록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부적합하기 때문에,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M)로서 구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램(RAM)은 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경우에만 정보를 저장한다. RAM을 이용한 정보기록 메모리(12)는 시 전원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정보기록 메모리(12)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VRAM) 역시 램(RAM)의 일종이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 역시 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경우에만 정보를 저장 하므로,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구현되는 정보기록 메모리는 상시 전원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12)의 내부 메모리 할당 맵을 도 2에 도시하였는데, 정보기록 메모리는 크게 헤더 영역(21)과 정보기록 영역(2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정보기록 영역(22)에는 차량 운행 시에 발생되는 각종 차량운행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헤더 영역(21)은 차량운행 관련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자가 진단/복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배터리 탈거 여부를 검사할 때 사용되는 플래그 값이 기록된 플래그 영역(23), 노이즈 및 무결성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체크 섬(check sum) 값이 기록된 체크 섬 영역(24), 제어 로직 호환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제어 로직의 버전(version) 값이 기록된 버전 영역(25)을 구비한다.
상기 플래그 영역(23)에는 미리 약속된 일정 패턴의 플래그 값(예컨대, 0xA55A)을 기록해 놓고, 시스템 시작 시에 이러한 패턴을 검사하여 배터리 탈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플래그 영역(23)에 기록되어 있는 플래그 값과 제어 로직이 가지고 있는 플래그 값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배터리 탈거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일정 패턴의 플래그 값으로는 OxA55A와 같이 랜덤하게 자연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적은 데이터 값을 기록해 놓는다. 상기 OxA55A의 경우 0과 1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이기 때문에 현실에서 랜덤하게 자연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적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진단/복구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차량 운행을 위하여 점화 스위치(15; IG key)가 온(On)이 되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DC 12Volt의 전원을 메인 레귤레이터가 DC 5Volt 전원으로 감압 하여, 중 앙처리부(10; CPU) 및 프로그램 메모리(11)에 공급 하게 되고, 이때부터 중앙처리부(10)는 프로그램 메모리(11)로 부터 동작 코드를 읽어와 제어 기능을 수행 하게 된다. 이때, 점화 스위치(15)의 온/오프(On/Off) 여부에 상관없이 정보기록 메모리(12)는 서브 레귤레이터(14)를 통하여 배터리(16)로부터 전원을 상시 공급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현된 전자제어장치에서 점화 스위치가 온(On)이 되면 시스템이 동작을 시작한다(S30). 시스템이 동작을 시작(S30)하면 먼저 배터리 탈거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40)와 노이즈에 대한 처리를 위한 체크 섬을 대조하는 단계(S50)가 진행된다.
정보기록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가 탈거 되었을 경우 정보기록 메모리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 할 수 없다. 따라서 정보기록 메모리의 특정위치에 있는 플래그 영역(23)에 미리 약속된 일정 패턴의 플래그 값(예컨대, 0xA55A)을 기록해 놓고, 시스템 시작 시에 이러한 패턴을 검사(S41)하여 배터리 탈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플래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플래그 값과 제어 로직이 가지고 있는 플래그 값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S42)하여 배터리 탈거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약속된 일정 패턴이 발견 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가 탈거 되었거나 정보기록 영역의 물리적 손상 등을 고려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탈거된 적이 있음을 또 다른 정보 메모리에 기록(S43)한 후 정보기록 메모리에 대한 물리적 검사(S70;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만약, 약속된 패턴이 발견되면, 배터리 탈거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인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저장된 정보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체크 섬(check-sum) 단계(S50)로 넘어간다.
상기 체크 섬 단계(S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동작을 마치고(차량 주행 후, IG OFF 상태), 현 드라이빙 사이클 내에서 변동된 정보기록 메모리 영역의 정보에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변동된 정보에 대해 체크 섬(check-sum)을 실시(S51)하여, 정보기록 메모리의 특정 위치인 체크 섬 영역에 체크 섬 값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다음 드라이빙 사이클 에서 다시 체크 섬을 구하여, 이전 체크 섬 값과 비교(S52)하여, 이상이 없으면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계속 다음 단계(S60)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단계에서 에러(error)가 감지된다면, 정보기록 메모리 영역의 물리적 손상 등을 고려 할 수 있으므로 체크 섬 값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또 다른 정보 메모리에 기록(S53)한 후 정보기록 메모리에 대한 물리적 검사(S70)를 실시하게 된다.
배터리 탈거 검사 단계(S40)나 체크 섬 단계(S50)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오류가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손상에 따른 것인지를 검사하여야 한다(S70). 물리적 검사 방법은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값을 쓰고, 그 값에 대하여 체크 섬을 산술적으로 계산(S71)한 다음,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전체 영역에 대해 기록된 값을 읽어서 계산된 값과 비교(S72)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만약 물리적으로 정보기록 메모리의 영역이 파괴 되었을 경우, 읽고 쓰는 기능 자체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고, 자체 복구가 불가능 하다. 이는 본 제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 교체가 수반되어야 하는 심각한 오류이므로 해당 오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S74)하고 제어 로직이 이를 감지하여 시스템 정지 등의 응급 동작 모드로 전환토록 하여야 한다(S82). 만약 물리적 검사에서 오류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단순한 노이즈 등에 의한 오류로 판단하고 정보기록 메모리 전체 영역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한다(S90).
정보기록 메모리에 대한 체크 섬 단계(S50)에서 오류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다음 단계로서 프로그램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로직과의 호환성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S60). 호환성 검사의 방식은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특정 위치에 있는 버전 영역(25)에 제어 로직의 버전을 기록해 놓고, 제어 로직이 알고 있는 버전과 버전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 로직 버전을 비교(S61)하여 판단(S62)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어기에서 제어 로직이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프로그램 메모리(11) 영역 전체를 재 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로직이 변경 되었으므로, 헤더 영역에 있는 정보도 변경이 있을 수 있으므로, 헤더 영역 자체는 오류가 없더라도, 갱신된 제어 로직에 맞는 데이터로 초기화가 필요하다. 만약 제어 로직의 버전과 정보기록 메모리의 버전이 다를 경우, 제어 로직의 정상 동작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헤더 영역에 대한 초기화가 필요하다. 상기 초기화는 플래그 영역에 특정 값을 기록하는 단계(S91)와, 버전 영역에 새로운 버전 값을 기록하는 단계(S92)와, 체크 이상 카운터를 1증가시키는 단계(S93)로서 이루어진다.
정보기록 메모리에 대한 모든 처리 과정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에러 카운터(Error Count) 값을 1씩 증가(S93) 한다. 그리고 오류가 없이 모든 검사과정이 종료 되었을 경우 에러 카운터 값을 1씩 감소한다(S80). 제어 로직에서는 이 값을 참조하여, 스캔 툴이나 기타 여러 방법으로 제어기의 동작 중에 정보기록 메모리에서 오류가 얼마나 빈번히 일어나는지를 점검 할 수 있다. 이 값들은 OBD 등과 연동하여 자가 진단(Self-Diagnosis)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모든 과정이 이상 없이 종료 되면 본 제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81).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탈거로 인한 정보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배터리 탈거 판단 시에 자가 복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크 섬을 통하여 노이즈 등에 저항력을 향상시키며 자가 복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 검사를 통하여 정보기록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 로직과의 호환성 검사로 인하여 제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러 카운팅 기능을 통한 자가 진단 기능을 강화하였다.

Claims (11)

  1. 차량 시동의 점화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점화 스위치와,
    차량내의 각 전자장치에 대한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 자가 진단/복구 작업 시에 필요로 하는 값이 저장되는 정보기록 메모리와,
    일정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전압을 소정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에 상시적으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서브 레귤레이터와,
    상기 점화 스위치가 온(On)될 시에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제어 로직을 읽어 와서 소정의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는, 배터리 탈거 여부를 검사할 때 사용되는 값이 기록된 플래그 영역, 노이즈 및 무결성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체크 섬(check sum) 값이 기록된 체크 섬 영역, 제어 로직 호환 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제어 로직의 버전(version) 값이 기록된 버전 영역, 차량 운행 중의 운행기록 및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가 저장되는 정보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점화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만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전압을 소정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와 중앙처리부에 변환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메인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자제어장치는,
    제어 로직이 부팅되면 배터리 탈거 이력이 있을 시에는 차량운행 정보가 저장된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며, 현재 체크 섬 값이 이전의 체크 섬 값과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며, 현재 구동되고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과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자가 진단/복구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한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5. 차량 점화 시동이 걸려 전자제어장치내의 제어 로직이 부팅되는 제1단계와,
    배터리 탈거 여부를 체크하여 배터리 탈거된 적이 있을 시에는 차량운행 정보가 저장된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제2단계와,
    현재 체크 섬 값이 이전의 체크 섬 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 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의 물리적 오류를 검사한 후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제3단계와,
    현재 구동되고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과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배터리 탈거 여부를 체크하는 것은,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내의 플래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특정 플래그 값을 읽어 와서 상기 제어 로직이 가지고 있는 플래그 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배터리 탈거된 적이 있음을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현재 체크 섬 값이 이전의 체크 섬 값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체크 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현재의 체크 섬 값과 사이클링 이전의 체크 섬 값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체크 섬 값이 일치하지 않음을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과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버전이 일치하지 않다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의 전체 영역에 임의의 특정 값을 기록한 후 상기 특정 값에 대한 체크 섬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특정 값을 다시 읽어 와서 체크 섬을 연산한 후, 체크 섬 값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정보기록 메모리 내에 물리적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것은, 상기 정보기록 메모리내의 플래그 영역에 특정 플래그 값을 기록하며, 현재 구동되고 있는 제어 로직의 버전을 갱신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값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체크 섬 값이 일치 하지 않거나, 상기 제어 로직의 버전 값이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에러 카운터(Error Count) 값을 1씩 증가 하며, 오류가 없이 모든 검사 과정이 종료 되었을 시에는 에러 카운터 값을 1씩 감소하는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자가 진단/복구 방법.
KR1020060104945A 2006-10-27 2006-10-27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83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945A KR100836384B1 (ko) 2006-10-27 2006-10-27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945A KR100836384B1 (ko) 2006-10-27 2006-10-27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815A true KR20080037815A (ko) 2008-05-02
KR100836384B1 KR100836384B1 (ko) 2008-06-09

Family

ID=3964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945A KR100836384B1 (ko) 2006-10-27 2006-10-27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96B1 (ko) * 2011-10-31 2013-04-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주행 시험 장치 및 차량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KR101362414B1 (ko) * 2012-10-19 2014-02-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04568B1 (ko) * 2015-09-07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용 배터리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7905A (ko) * 2017-07-31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Dc-dc 전압 컨버터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갖는 차량 전기 시스템을 위한 진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14B1 (ko) 2011-12-23 2013-05-2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ecu 탈착 확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11U (ko) * 1998-11-27 2000-06-26 이형도 차량용 전자 제어장치
KR20000073031A (ko) * 1999-05-04 2000-12-05 김영환 전자제어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96B1 (ko) * 2011-10-31 2013-04-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주행 시험 장치 및 차량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KR101362414B1 (ko) * 2012-10-19 2014-02-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04568B1 (ko) * 2015-09-07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용 배터리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7905A (ko) * 2017-07-31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Dc-dc 전압 컨버터 및 전압 레귤레이터를 갖는 차량 전기 시스템을 위한 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384B1 (ko) 200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320B2 (ja) 車両用記憶管理装置
TWI505277B (zh) 在一儲存元件內追蹤錯誤資料的系統與方法
US9728276B2 (en) Integrated circuits with built-in self test mechanism
KR100836384B1 (ko)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H09230929A (ja) 車載コントローラ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JP4281808B2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50214B2 (ja) 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停電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を復旧する方法
JP2868001B1 (ja) ディスクアレイ装置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WO2018079537A1 (ja) 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データ保護方法
JP6663371B2 (ja) 電子制御装置
CN111066002A (zh) 用于确定机动车辆的控制单元的驾驶数据的完整性的方法
JP2006017468A (ja) データ記録装置
JPH09161493A (ja) 書換え可能な不揮発性メモリの管理方法
JP4041216B2 (ja) 異常検出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JP7029366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KR100887499B1 (ko)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 강유전체 메모리를 이용한동작 시간 카운터의 저장 오류 복구 방법
JP2018134964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JP2017007539A (ja) 制御装置
JP2002047998A (ja) 車両用制御装置
JPH08153397A (ja) Eepromのデータ再書込制御装置
US7366970B2 (en) Method and test device for detecting addressing errors in control units
KR101317154B1 (ko) 이피에스 시스템 메모리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623649B1 (ko) 공급 전원 이상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정보 유효성 판단 방법
JP6921296B2 (ja) 電子制御装置
JP2001331382A (ja) 不揮発性メモリ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