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414B1 -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414B1
KR101362414B1 KR1020120116925A KR20120116925A KR101362414B1 KR 101362414 B1 KR101362414 B1 KR 101362414B1 KR 1020120116925 A KR1020120116925 A KR 1020120116925A KR 20120116925 A KR20120116925 A KR 20120116925A KR 101362414 B1 KR101362414 B1 KR 10136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isconnection
storage area
detection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민
강명묵
황성서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소정의 값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과정;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갱신하는 과정;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선 검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utomobile Battery Circui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연결회로와 관련하여 배터리전원 공급이 개시되는 경우, 직전에 차량의 주행 중 배터리의 회로에 비정상적인 단선이 발생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12 V의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 시동을 걸 때 기동 전동기와 점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의 다수의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시동키가 오프(OFF)되는 경우 보조배터리로부터 차량 내의 각종 제어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일부의 제어장치는 다음번 주행을 위한 소정의 제어값을 저장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특정 제어장치의 경우, 시동키가 오프되는 경우 모터를 구동하는 하이브리드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를 저장한다.
하지만, 차량의 진동, 외부적 충격 등의 외란(Disturbance) 및 배터리회로 접촉불량 등에 의하여 보조배터리와 제어장치 사이의 배터리회로에 순간적인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자동차의 보조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보조배터리로부터 전원이 다시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보조배터리를 인위적으로 다시 연결하거나 순간적으로 배터리회로가 단선이 되었다가 다시 연결되거나, 시동키를 온(ON)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보조배터리에 의해 제어장치에 전원이 다시 공급되었을 때, 제어장치에서는 이전의 전원 오프의 원인이 배터리회로의 문제로 인한 것인지 또는 정상적인 시동키의 오프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전의 차량전원 오프의 원인이 보조배터리 회로의 단선에 의한 것인지 또는 시동키의 오프에 따른 것인지 여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연결회로와 관련하여 배터리전원 공급이 개시되는 경우, 직전에 차량의 주행 중 배터리의 회로에 비정상적인 단선이 발생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를 구분하고자 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이 가능한 한 길어지도록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를 설계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의 갱신시에 두 저장영역 사이의 값의 관계를 2진 보수로 설정함으로써 두 저장영역의 실제 값을 확인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갱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동일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시동키전환 탐지부;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1갱신부; 및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선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갱신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Complement)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2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갱신되는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시동키전환 탐지부;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갱신하는 제1갱신부; 및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선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되는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의 값은 서로 2진 보수 관계일 수 있다.
갱신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2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갱신되는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갱신되는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인 경우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주행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주행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선 검출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동일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과정;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고 상기 단선발생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선 검출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과정;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갱신하는 과정;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고 상기 단선발생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과정에서 저장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서로 2진 보수 관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인 경우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주행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주행정보 출력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연결회로와 관련하여 배터리전원 공급이 개시되는 경우, 직전에 차량의 주행 중 배터리의 회로에 비정상적인 단선이 발생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갱신함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두 영역을 할당하여 번갈아서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길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의 갱신시에 두 저장영역 사이의 값의 관계를 2진 보수로 설정함으로써 두 저장영역의 실제 값을 확인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갱신이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1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보조배터리 회로의 단선여부, 시동키의 온/오프 여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110)의 데이터 값이 주행 중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10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장치(100)는 비휘발성 메모리(110), 데이터저장부(120), 시동키전환 탐지부(130), 제1갱신부(140), 단선 검출부(150), 제2갱신부(160) 및 주행데이터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선 검출장치(100)가 비휘발성메모리(110), 데이터저장부(120), 시동키전환 탐지부(130), 제1갱신부(140), 단선검출부(150), 제2갱신부(160) 및 주행정보 출력부(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단선 검출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110)는 차량의 주행중에 취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EEPROM(Ele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 다양한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20)는 차량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110)의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동일한 소정의 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16진수인 0x5A의 동일한 값을 저장한다. 여기에 저장하는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시동키전환 탐지부(130)는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시동키전환 탐지부(130)는, 차량을 운행중인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기 위하여 시동키를 돌려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이를 탐지한다.
제1갱신부(140)는,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 사실을 탐지한 경우,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한다. 이 경우 제1갱신부(14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0xA5로 갱신한다. 즉, 갱신된 제1저장영역(111)의 값(0xA5)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0x5A)에 대한 2진 보수(Complement) 관계일 수 있다.
단선검출부(150)는 단선 검출장치(100)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동작이 시작된다.
단선검출부(15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 단선 검출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발생 정보에는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며,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발생 정보에는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단선발생 정보에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즉 단선검출부(150)에서 단선발생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고 있으므로 제2갱신부(160)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여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초기화한다. 이때, 갱신되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112)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을 갖는다. 예컨대 제2저장영역(112)이 갱신되기 전의 값이 0x5A라면 갱신된 후에는 0xA5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갱신함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두 영역(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을 할당하여 번갈아서 갱신(제1갱신부(140) 및 제2갱신부(160))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길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저장영역(111)의 값 또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갱신시에 두 저장영역 사이의 값의 관계를 2진 보수로 설정함으로써 제1저장영역(111)의 값 또는 제2저장영역(112)의 실제 값을 확인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갱신이 가능하도록 단선검출 장치(100)의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하는 효과가 있다.
단선발생 정보에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즉, 단선검출부(150)에서 단선발생이 검출된 경우, 제2갱신부(160)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제2갱신부(160)에 의해 갱신되지 않고 원래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시동키 전환에 의한 방법이 아닌 배터리회로 접촉불량에 의해 배터리회로와 단선 검출장치(100)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시동키의 오프 전환이 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시동키의 오프 전환이 탐지되지 않으므로 제1저장영역(111)의 값이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되는 제1갱신부(140)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제1저장영역(111)의 값이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유지된다.
단선검출부(150)에 의해 생성된 단선발생 정보는 주행정보 출력부(170)에서 수신된다. 주행정보 출력부(170)가 수신한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경우 소정의 주행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택시회사에서 운행하는 차량에 구비된 소정의 택시운행 기록장치가 택시 운전기사가 시동키를 오프할 때마다 주행거리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경우에, 차량의 시동이 비정상적으로 오프가 되는 경우에는 주행거리가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정보 출력부(170)는, 단선검출부(150)에 의해 생성된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내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행거리를 기록하는 주행기록장치로부터 주행데이터를 읽어 택시운행 기록장치 대신 주행거리를 기록함으로써 차량의 운행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의 기록이 누락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데이터 저장부(170)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는 주행거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정의 주행관련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행정보 출력부(170)는 단선이 발생했음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주행 중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저장부(120)는 차량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110)의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서로 다른 소정의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영역(111)에는 16진수인 0x5A, 제2저장영역(112)에는 16진수인 0xA5의 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저장하는 값은 서로 2진 보수(Complement) 관계의 값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20)가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서로 다른 소정의 값을 저장하는 경우, 제1갱신부(140)는,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 사실을 탐지하여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한다. 이 경우 제1갱신부(14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0xA5로 갱신한다. 즉, 갱신된 제1저장영역(111)의 값(0xA5)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0x5A)에 대한 2진 보수 관계일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20)가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서로 다른 소정의 값을 저장하는 경우, 단선검출부(15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 단선 검출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발생 정보에는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며,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발생 정보에는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단선발생 정보에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즉 단선검출부(150)에서 단선발생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고 있으므로 제2갱신부(160)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여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초기화한다. 이때, 갱신되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112)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을 갖는다. 예컨대 제2저장영역(112)이 갱신되기 전의 값이 0x5A라면 갱신된 후에는 0xA5 값을 갖는다.
여기서도, 단선발생 정보에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즉, 단선검출부(150)에서 단선발생이 검출된 경우, 제2갱신부(160)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제2갱신부(160)에 의해 갱신되지 않고 원래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즉,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원래의 0x5A 값을 유지한다.
도 2는 보조배터리 회로의 단선여부, 시동키의 온/오프 여부 및 비휘발성 메모리(110)의 데이터 값이 주행 중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2에서 차량의 출고시 또는 차량 정비 시에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각각 0xFF로 설정된다.
최초로 시동키를 온 하는 경우(1)에 데이터저장부(120)에 의해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은 각각 0x5A로 초기화된다.
주행중에 순간적으로 배터리회로에 단선이 생긴 후(2) 다시 배터리회로가 정상 연결된 경우(3) 다시 단선 검출장치(100)는 활성화된다. 이때, 단선검출부(15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동일한 값이므로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이 주행이 계속되어 시동키의 오프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4), 제1갱신부(14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상이한 값(0xA5)으로 갱신한다(5).
시점 (5) 이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56), 단선 검출장치(100)는 활성화되고, 단선검출부(15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이므로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제2갱신부(160)에 의해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한다(7).
도 2의 그래프 설명에서와 유사하게, 단선검출부(150)는 시점 (8)에서 단선발생을 검출하고 주행을 계속한다. 시점 (8) 이후 주행을 계속하다가 시동키를 오프하는 경우(9), 제1갱신부(14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상이한 값(0xA5)으로 갱신한다(10). 그리고, 시동키가 오프 상태이었다가 다시 온이 되면(11), 단선검출부(150)는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이므로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제2갱신부(160)에 의해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동일한 값(0x5A)으로 갱신한다(12).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은, 데이터저장부(120)에 의해 차량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동일한 소정의 값을 저장하고(S301),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고(S302), 시동키 전환이 탐지된 경우, 제1갱신부(140)에 의해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고(S303), 단선 검출장치(100)가 활성화되는 경우 단선검출부(150)에 의해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하고(S304)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검출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S305)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한다(S306).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가 생성된 후, 제2갱신부(160)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한다(S307).
과정 S307과는 달리, 단선발생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2갱신부(160)의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가 생성된 후, 주행정보 출력부(170)는 단선이 발생했음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중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행정보를 출력한다(S308).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검출 방법은, 데이터저장부(120)에 의해 차량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에 상이한 소정의 값을 저장하고(S401), 시동키전환 탐지부(130)에 의해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고(S402), 시동키 전환이 탐지된 경우, 제1갱신부(140)에 의해 제1저장영역(111)의 값을 제2저장영역(112)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고(S403), 단선 검출장치(100)가 활성화되는 경우 단선검출부(150)에 의해 제1저장영역(111)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비교하고(S404)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검출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S405) 제1저장영역(111)의 값 및 제2저장영역(112)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한다(S406).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가 생성된 후, 제2갱신부(160)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한다(S407).
과정 S407과는 달리, 단선발생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2저장영역(112)의 값을 제1저장영역(111)의 값과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2갱신부(160)의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가 생성된 후, 주행정보 출력부(170)는 단선이 발생했음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이 주행 중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행정보를 출력한다(S408).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연결회로와 관련하여 배터리전원 공급이 개시되는 경우, 직전에 차량의 주행 중 배터리의 회로에 비정상적인 단선이 발생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의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단선 검출장치
110: 비휘발성 메모리
111: 제1저장영역
112: 제2저장영역
120: 데이터저장부
130: 시동키전환 탐지부
140: 제1갱신부
150: 단선검출부
160: 제2갱신부
170: 주행데이터 저장부(170)

Claims (15)

  1.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동일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시동키전환 탐지부;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1갱신부; 및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선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갱신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Complement)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2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갱신되는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5.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시동키전환 탐지부;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갱신하는 제1갱신부; 및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선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갱신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1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제2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갱신되는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갱신되기 전의 제2저장영역의 값에 대한 2진 보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장치는,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인 경우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주행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주행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장치.
  10. 단선 검출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동일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과정;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12. 단선 검출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배터리회로의 단선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메모리의 제1저장영역 및 제2저장영역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키가 온(ON) 상태로부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과정;
    상기 전환이 탐지된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을 갱신하는 과정;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선 검출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회로에 대한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 단선 미발생을 의미하는 단선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시동키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단선 검출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을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과 상이한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과정에서 저장되는 상기 제1저장영역의 값 및 상기 제2저장영역의 값은 서로 2진 보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검출방법은,
    상기 단선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선발생 정보가 단선발생을 의미하는 정보인 경우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주행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주행정보 출력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검출방법.
KR1020120116925A 2012-10-19 2012-10-19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6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25A KR101362414B1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25A KR101362414B1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414B1 true KR101362414B1 (ko) 2014-02-14

Family

ID=5027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925A KR101362414B1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4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414A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WO2019088423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021A (ko) * 2003-10-11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상태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37815A (ko) * 2006-10-27 2008-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14605A (ko) * 2011-04-07 2012-10-17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021A (ko) * 2003-10-11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상태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37815A (ko) * 2006-10-27 2008-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가 진단/복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14605A (ko) * 2011-04-07 2012-10-17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414A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WO2019088423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KR102660390B1 (ko) 2017-11-01 2024-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0673B1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5206737B2 (ja) 電子制御装置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US8209078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180309590A1 (en) Method for protecting configuration data from a data bus transceiver, data bus transceiver and data bus system
JP2018195932A (ja) 暗号鍵の処理を行う車両用システム及び電子制御装置
KR101231976B1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17132A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use of a non-volatile memory in a motor vehicle computer for monitoring a functional member
JP2013214303A (ja) 車両用機器制御データの読み取り方法、同データの書き込み方法、および車両用機器のデータの保存装置
KR101362414B1 (ko) 차량의 배터리회로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6205795A (ja) 電源制御装置
US20200195016A1 (en) Precharge controller
JP2011093389A (ja) 制御システム、電子装置、制御装置及び装置起動方法
CN108068736B (zh) 车载存储设备的电源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1897352B1 (ko) 차량의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
JP2012174367A (ja) 電池識別装置
JP4254622B2 (ja) 車載無線通信機
CN112526329A (zh) 一种继电器粘连诊断方法及电池管理系统
WO2018079537A1 (ja) 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データ保護方法
JP2019215628A (ja) 車載装置、車載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274474B1 (ko) 차량용 데이터 관리방법 및 장치
JP2015058885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JP2009196588A (ja) 車両用制御装置、電気車両及び車両用制御装置の故障検出方法
CN113928120A (zh) 车辆电池管理系统及方法
JP2005088676A (ja) 車両通信診断装置および診断方法
JP6207991B2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