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681A -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681A
KR20080035681A KR1020087005527A KR20087005527A KR20080035681A KR 20080035681 A KR20080035681 A KR 20080035681A KR 1020087005527 A KR1020087005527 A KR 1020087005527A KR 20087005527 A KR20087005527 A KR 20087005527A KR 20080035681 A KR20080035681 A KR 20080035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pplication
liquid
container
visc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036B1 (ko
Inventor
한스 회르트
카르스텐 라모트
Original Assignee
에른스트 뮐바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른스트 뮐바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른스트 뮐바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3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는, 애플리케이터(applicator)(3)의 보조를 받아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부(7)를 통해 상기 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컨테이너(1)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1)의 벽에 있는 제2 개구부(4)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투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4)에 대하여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되는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개구부(4)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박막은 상기 제2 개구부(4)를 폐쇄하도록 그 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DEVICE FOR STORING AND APPLYING LIQUID AND/OR PASTY SUBSTANCES}
본 발명은,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로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의 보조를 받아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부를 통해 이들 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벽에 있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에 투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대하여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되는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1 163 918 A2에 공지된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하부에 물질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박막 컨테이너를 가지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이 컨테이너에 플런저가 가압되어 박막 컨테이너를 파열시킨다. 그러면 물질은 플런저의 개구부를 통해 플런저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서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여러 단점을 갖는다. 플런저(2)는, 플런저가 하우징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에 물질이 컨테이너와 플런저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1)로부터 밀봉되어야 한다. 애플리케이터가 처음부터 플런저 내에 존재하며 플런저로부터 돌출되도록 의도되는 경우(이 경우는 플런저 내부의 혼합 공간이 오염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고 단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고려됨), 애플리케이터의 돌출부는 플런저가 컨테이너로 가압될 때 방해가 된다. 이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동일한 방향, 즉 축방향으로 작용 및 배출이 일어날 때 바람직하지 않다.
DE-AS 23 24 296에는 측부로부터 혼합 공간으로 물질이 투입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혼합 공간은 폐쇄되어 있으며 물질은 플런저의 보조를 받아 노즐을 통해 배출된다. 혼합 공간에 투입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피하고 보다 양호한 취급이 가능해지는, 전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2 개구부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물질은 측부로부터 컨테이너의 공간으로 가압되고, 애플리케이터의 보조를 받아 상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물질을 컨테이너로 가압하기 위해 측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고 물질이 상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장치는 물질이 컨테이너에 투입될 때 회전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2가지 물질이 혼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2 물질 공급부가 구비되어 제2 개구부에 대하여 정반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컨테이너에 투입되고 이 제3 개구부에 대하여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가지 물질은 양측으로부터 컨테이너로 가압되어, 상호 완전하게 혼합된다. 컨테이너에는 양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컨테이너는 특별히 지지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물질 공급부가 박막 파우치(foil pouch) 내에 수납되고 제2 및 제3 개구부는 파열 가능한 박막으로 밀봉된다. 그리고 이 박막 파우치는 물질이 컨테이너로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에 가압된다. 박막 파우치는 바람직하게, 개구부 반대쪽이 개구부 쪽보다 강한 박막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박막 파우치는 올바른 쪽이 개방되게 된다.
박막 파우치 대신에, 플런저로 폐쇄되고 제1 방향과 횡방향의 제2 및 제3 개구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파열 가능한 박막으로 밀봉되는 실린더 내에 하나 이상의 물질 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물질은 처음부터 실린더 내에 수납된다. 실린더의 플런저에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 가능한 박막이 개방되고 물질은 개구부를 통해 컨테이너로 흐른다.
물질이 외측 컨테이너 벽과 박막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컨테이너에는 파열 가능한 박막이 용접되거나 접착된다. 특히 간단한 방식은, 파열 가능한 박막이 컨테이너에 플랜지식(flanged), 라벳식(rabbeted), 또는 크림프식(crimped)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결합 방식은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한 결합을 불필요하게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파열 가능한 박막은 바람직하게 소정의 파열 포인트를 갖는다.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특히 사출성형된 부품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박막은 기체 불투과성이어서, 특히 액상 물질이 건조되지 않는다. 적어도 일부의 박막은 합성 박막이다. 이들 합성 박막은 기체 불투과성을 강화시키는 알루미늄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한편으로는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되도록 컨테이너로 가압되는 하나의 성분만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컨테이너로 가압되고 컨테이너에서 혼합되는 2가지 성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내에 제3의 성분이 배치될 수도 있다.
오염을 피하기 위해, 제1 개구부는 사용 전에 예를 들어 박막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애플리케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그러나, 이 장치는 바람직하게 이미 애플리케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애플리케이터는 브러시 또는 스펀지일 수 있다. 브러시 또는 스펀지인 경우, 애플리케이터에는 다른 물질이 스며들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는 물론 컨테이너와 함께 공급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컨테이너와 연결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애플리케이터가 제1 개구부를 누출 방지식으로 폐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 전에 컨테이너가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기 위한 특별한 밀봉 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애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 전방부가 원뿔형이며, 그 이유는, 치과 분야에서 물질을 컨테이너로부터 환자의 구강에 도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터는 제1 개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터는 스냅식 끼움 고정(snap-fit lock) 연결로 컨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 시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가 소정의 항복점을 지나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에는 애플리케이터를 수용하는 튜브가 제공된다.
애플리케이터는, 물질의 가압하는 동안 및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컨테이너로부터 물질을 배출하는 동안에 모두 수직으로 유지된다. 컨테이너가 베이스 상에 놓이기 위한 저면을 가지는 경우, 컨테이너는 베이스 상에 놓였을 때 항상 수직 자세를 유지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지지면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치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은 치과용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른 도포 분야에도 적합하다. 도포 분야를 예로 들어 간단히 설명할 수 있는 장치는, 약품, 화장품, 및 접착제, 페인트, 밀봉재 및 다른 가소성 화합물과 같은 기술적 응용에 사용되며 이들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 내지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중공의 공간(2) 및 애플리케이터(3)가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구부(7)를 가지는 컨테이너(1)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3)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벽에는 다른 개구부(4)가 구비되고 그 위에 도포될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 파우치(5)가 고정된다. 박막 파우치(5)가 가압되면, 내부에 포함된 물질이 개구부(4)를 통해 공간(2)으로 유입되고 애플리케이터(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는 서로 반대쪽에 애플리케이터(3)의 길이방향과 직각이며 그 위에 박막 파우치(5)가 고정되는 2개의 다른 개구부(4)를 구비한다. 박막 파우치(5)를 압축시킴으로써, 내부의 물질들이 공간(2)으로 이동되어 서로 혼합된 후 애플리케이터(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확대한 것이다. 여기서(그리고 다른 도면에서), 성분들이 접촉될 수 있는 부재(1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브러시, 스펀지, 또는 스패튤라(spatula)일 수 있다. 스패튤라는 물론 점성 물질이 사용되는 분야에 특히 적합하다.
도 1 내지 3의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도 4는 컨테이너(1)가 실질적으로 둥근 실시예를 나타낸다. 박막 파우치(5)가 컨테이너(1)에 끼워진 후, 박막 파우치(5)의 에지 주위의 돌기(6)는 박막 파우치(5)를 고 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플랜지식 또는 라벳식으로 조여진다.
도 5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 실시예를 확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 및 8은 도 5 및 6과 유사한 도면으로, 하나의 물질 공급부만을 가지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3개의 박막 파우치(5)가 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도록 삼각형처럼 설계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각각의 박막 파우치(5)의 뒤에는 마찬가지로 개구부(4)가 있다. 3개의 개구부(4)는, 박막 파우치(5)가 파열된 후에 각각의 액체가 합쳐지도록 중공 공간(2)의 중앙에서 만난다.
도 11 및 12 또한 3개의 면을 가지는 컨테이너(1)를 나타낸다. 3가지 성분 모두를 개별적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 및 10의 실시예와는 달리, 박막(5) 뒤의 개구부(4)는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개구부(7)가 중공 공간(2) 및 애플리케이터(3)를 각각 구비한다.
도 13 및 14는 2개의 별도 중공 공간(2) 및 이들 중공 공간(2) 내에 배치되는 2개의 애플리케이터(3)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좌측의 중공 공간은 2개의 개구부(4) 및 중공 공간(2) 내에서 함께 혼합될 수 있는 내용물이 담긴 2개의 박막 파우치(5)를 구비한다. 우측의 중공 공간(2)은 단지 1개의 개구부(4) 및 1개의 박막 파우치(5)를 구비하여 1가지의 성분만이 애플리케이터(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연관된 모든 개구부(4)가 모두 중공 공간(2)으로 연결되어 4 가지의 성분이 함께 혼합될 수 있는, 4개의 박막 파우치(5)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7 및 18에서는, 각각이 중공 공간(2)으로 연결되는 4개의 파우치(5)가 구비되어 있다. 중공 공간(2)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은 별도의 애플리케이터(3)를 구비한다. 따라서 컨테이너(1) 내에서 함께 혼합될 수 없는 4가지의 액상 또는 점성 물질이 독립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9 및 20은 또 다른 실시예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확대부분단면을 도 21에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는 2개의 상호 연결된 영역을 가지며, 각각은 박막 파우치(5), 개구부(4), 중공 공간(2), 및 애플리케이터(3)의 별도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각각의 중공 공간(2)에는 1개의 박막 파우치(5)의 내용물만이 공급되며 각각의 성분은 함께 혼합되지 않는다.
도 22 내지 24는 도 19 내지 21의 실시예와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되지만 흐름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영역을 갖는다. 하나의 영역은 2개의 박막 파우치(5)를 구비하여 2가지 성분이 혼합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하나의 영역은 단지 1개의 박막 및 1개의 물질 공급부를 갖는다.
도 25 내지 27의 실시예는 서로 나란히 배열된 3개의 영역을 갖는다. 하나의 영역에서는 2가지 성분의 물질이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나머지 2개의 영역에는 단지 1개의 박막 파우치(5)가 각각 구비되어 1가지의 개별 성분만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8 및 30은, 서로 나란히 놓인 박막 파우치가 단일체로 연결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9 및 31은 이들 박막 파우치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32 및 33은, 2개의 중공 공간(2) 및 2개의 애플리케이터(3)가 전후에 배열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각의 중공 공간(2)은 개구부(4) 및 박막 파우치(5)를 구비한다. 따라서 1가지 성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4 및 35의 실시예는 도 5 및 6의 실시예와 대응되지만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36 및 37의 실시예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박막 파우치(5) 및 개구부(4)가 경사진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8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터(3)가 고정될 수 있는 스냅식 끼움 고정 장치(8)를 갖는다. 이 경우, 중공 공간(2)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9)에 의해 폐쇄된다. 이 스토퍼(9)는 애플리케이터(3)가 개구부(7)에 삽입될 때 제거된다.
도 39의 실시예는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스냅식 끼움 고정 장치(10)를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1)를 갖는다.

Claims (40)

  1.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3)의 보조를 받아 제1 방향으로 제1 개구부(7)를 통해 상기 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컨테이너(1)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1)의 벽에 있는 제2 개구부(4)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투입되고 상기 제2 개구부(4)에 대하여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되는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개구부(4)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박막은 상기 제2 개구부(4)를 폐쇄하도록 그 위에 고정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4)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4)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투입될 수 있으며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상기 제3 개구부(4)가 밀봉되는 제2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추가의 개구부(4)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개구부(4) 각각이 파열 가능한 박막 에 의해 밀봉되는, 3가지 이상의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3개의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반대쪽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개구부(4)들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들은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되는, 4개의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4)에 파열 가능한 박막이 고정된 박막 파우치(5) 내에 하나 이상의 물질 공급부가 수납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파우치(5)는, 상기 개구부(4)의 반대쪽이 상기 개구부(4) 쪽보다 더 강한 박막을 가지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가능한 박막이 상기 컨테이너(1)에 용접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가능한 박막이 상기 컨테이너(1)에 접착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가능한 박막이 상기 컨테이너(1)에 플랜지식(flanged), 라벳식(rabbeted), 또는 크림프식(crimped)으로 결합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가능한 박막은 소정의 파열 포인트를 갖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기체 불투과성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 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의 적어도 일부는 합성 박막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박막이 알루미늄 레이어를 가진,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물질 공급부가, 플런저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개구부(4)의 전방에 배치되는 실린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4)에 대하여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밀봉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사출성형 부품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는, 단일체로 함께 결합되고 각각이 애플리케이터(3)용 제1 개구부(7) 및 상기 제1 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치된 추가의 연관되는 개구부(4)를 가지며 파열 가능한 박막에 의해 수납된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영역을 갖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중공 공간(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는 연속형 박막 파우치(5)에 의해 수납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은 상이한 개수의 추가적인 개구부(4) 및 물질 공급부를 가지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또는 고정 연결부(10)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실질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실질적으로 입방형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 내부에 추가의 성분이 배치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터(3)를 포함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는 고정 부재(8)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개구부(7)는 스토퍼(9)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브러시 또는 스펀지(11)를 포함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스패튤라(spatula)(11)를 포함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패튤라는 상기 제1 개구부(7)를 폐쇄하는 스토퍼와 함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에는 다른 물질이 스며있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상기 제1 개구부(7)를 누출 방지식으로(leaktight manner) 폐쇄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전방부가 원뿔형인,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5.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6.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3)는 소정의 파열 포인트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에 연결되는,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에 상기 애플리케이터(3)를 수용하는 튜브가 구비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는 베이스 상에 놓이도록 저면을 가진,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가 지지부를 가진,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과용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해 설계된, 액상 및/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KR1020087005527A 2005-08-10 2006-08-07 액상 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KR101299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7890.0A DE102005037890B4 (de) 2005-08-10 2005-08-10 Vorrichtung zum Aufbewahren und Anwenden eines flüssigen Dentalmaterials
DE102005037890.0 2005-08-10
PCT/EP2006/007794 WO2007017225A2 (en) 2005-08-10 2006-08-07 Device for storing and applying liquid and/or pasty subst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681A true KR20080035681A (ko) 2008-04-23
KR101299036B1 KR101299036B1 (ko) 2013-08-27

Family

ID=3719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527A KR101299036B1 (ko) 2005-08-10 2006-08-07 액상 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91211B2 (ko)
EP (1) EP1912876B1 (ko)
JP (1) JP5000653B2 (ko)
KR (1) KR101299036B1 (ko)
CN (1) CN101277874A (ko)
BR (1) BRPI0614324A2 (ko)
CA (1) CA2617943C (ko)
DE (2) DE102005037890B4 (ko)
RU (1) RU2403195C2 (ko)
WO (1) WO20070172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4615U1 (de) * 2007-11-26 2008-07-10 Dentaco Dentalindustrie Und -Marketing Gmbh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s pulverförmigen oder flüssigen Stoffes
EP2072021A1 (de) 2007-12-18 2009-06-24 Ernst Mühlbauer GmbH & Co.KG Vorrichtung zur Infiltration approximaler Schmelzläsionen von Zähnen
USD872260S1 (en) * 2017-12-11 2020-01-0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Reservoi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0836A (en) * 1955-09-23 1960-03-29 Amp Inc Insulated terminal and die for making same
DE1802317B2 (de) * 1968-10-10 1976-06-16 Mehrkomponentenbehaelter fuer dentalzwecke
US3625349A (en) * 1969-03-04 1971-12-07 Zahn Porzellan Kg E Muhlbauer Duplex capsule for dental filling ingredients
DE1910885A1 (de) * 1969-03-04 1970-09-24 Zahn Porzellan Kg E Muehlbauer Zweikomponentenbehaelter fuer Zahnfuellmittel
DE2060626C3 (de) * 1969-08-01 1974-03-07 Etablissement Dentaire Ivoclar, Schaan (Liechtenstein) Mischbehälter für die Aufnahme von miteinander reagierenden Substanzen für die Herstellung von gebrauchsfertigen Dentalpräparaten
AT318132B (de) * 1969-08-01 1974-09-25 Dentaire Ivoclar Ets Mischbehälter für die Aufnahme von miteinander reagierenden Substanzen für die Herstellung von gebrauchsfertigen pastenförmigen Dentalpräparaten
DE1941178B2 (de) * 1969-08-13 1976-09-02 Zahn-Porzellan KG, E. Mühlbauer & Co, 2000 Hamburg Zweikomponentenverpackung fuer dentalzwecke
DE2157492A1 (de) * 1970-05-19 1973-05-30 Dentaire Ivoclar Ets Zusammendrueckbare folienkapsel
CH555176A (de) * 1972-05-31 1974-10-31 Espe Pharm Praep Mischbehaelter zur herstellung von dentalpraeparaten.
AU6209673A (en) * 1972-11-08 1975-05-01 Smith F C Packaging of two reactive ingredients
DE2542991A1 (de) * 1975-09-24 1977-03-31 Goodyear Gmbh Behaelter mit zu- und daran angeordnetem(n) behaelter oder behaeltern
DE2831005C2 (de) * 1978-07-14 1986-09-25 Ernst Mühlbauer KG, 2000 Hamburg Mehrkomponentenkapsel für Dentalzwecke
US4952068A (en) * 1989-03-21 1990-08-28 Flint Theodore R Static mixing device and container
US6685013B2 (en) * 1994-07-13 2004-02-03 Centrix, Inc. Single patient dose medicament dispenser with applicator
US5660273A (en) * 1994-07-13 1997-08-26 Centrix, Inc. Single patient dose medicament dispenser with applicator
JP3872860B2 (ja) * 1997-03-11 2007-01-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薬液吸収材容器
DE29714246U1 (de) * 1997-08-08 1998-12-10 Thera Ges Fuer Patente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ftragen einer fließfähigen Substanz
NL1010774C2 (nl) * 1998-03-30 2000-01-28 Wartner B V Inrichting voor het toedienen van een hoeveelheid vloeibaar koelmiddel en een toedieningselement.
US6372313B1 (en) * 1998-09-01 2002-04-16 Closure Medical Corporation Package assembly with applicator and container for adhesive materials
FR2786376B1 (fr) * 1998-11-27 2001-10-26 Oreal Pinceau de vernis a ongles et ensemble d'application de vernis a ongles muni d'un tel pinceau
DE10009627B4 (de) * 2000-03-01 2005-08-11 3M Espe Ag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sbringen einer fließfähigen Substanz und deren Verwendung
JP2001250775A (ja) 2000-03-06 2001-09-14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基板の製造治具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治具
DE50113214D1 (de) * 2000-05-10 2007-12-20 Voco Gmbh Vorrichtung zum Lagern und Applizieren ein- oder mehrkomponentiger fliessfähiger Dentalmaterialien
DE10022563B4 (de) * 2000-05-10 2006-11-09 3M Espe Ag Mehrkomponentenkapsel
WO2001085569A1 (de) * 2000-05-10 2001-11-15 3M Espe Ag Vorrichtung zum lagern und mischen pastöser massen
JP2001340356A (ja) * 2000-05-31 2001-12-11 Gc Corp 歯牙修復材用カプセル
DE10029830B4 (de) * 2000-06-16 2008-04-10 Voco Gmbh Vorrichtung zum Lagern und Applizieren einer ein- oder mehrkomponentigen fließfähigen Substanz
US6612769B2 (en) * 2000-12-13 2003-09-02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 and dispensing actuator for multiple-component compositions
US6485709B2 (en) * 2001-01-23 2002-11-26 Addent Inc. Dental bleaching gel composition, activator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 dental bleaching gel
GB2373710B (en) * 2001-03-26 2005-01-26 Patrick Arnold Lowe Instant beverage spoon
JP4230278B2 (ja) * 2002-05-29 2009-02-25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体および流動物の付着方法
DE20208450U1 (de) * 2002-05-31 2003-12-04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Ausgabe- und Dosiervorrichtung
DE10243401B4 (de) * 2002-09-18 2004-07-29 Voco Gmbh Verpackung zum Lagern von Substanz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irekt applizierbaren Gemisches zweier Substanzen aus dieser Verpackung
DE10312454B3 (de) * 2003-03-20 2005-01-13 Ivoclar Vivadent Ag Applikationsvorrichtung
US7467046B2 (en) * 2003-10-01 2008-12-16 Duke University Geranylgeranyl transferase type I (GGTase-I) structure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7943A1 (en) 2007-02-15
JP5000653B2 (ja) 2012-08-15
KR101299036B1 (ko) 2013-08-27
EP1912876B1 (en) 2010-06-09
CA2617943C (en) 2015-09-15
BRPI0614324A2 (pt) 2011-03-22
DE602006014839D1 (de) 2010-07-22
DE102005037890A1 (de) 2007-02-15
DE102005037890B4 (de) 2015-02-12
US8491211B2 (en) 2013-07-23
US20080170903A1 (en) 2008-07-17
WO2007017225A2 (en) 2007-02-15
WO2007017225A3 (en) 2007-05-31
CN101277874A (zh) 2008-10-01
JP2009504211A (ja) 2009-02-05
EP1912876A2 (en) 2008-04-23
RU2403195C2 (ru) 2010-11-10
RU2008104143A (ru)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7390B2 (ja) 粘性の物質の貯蔵及び供給のための装置
JP3734497B2 (ja) 流動性物質用のパッケージ
EP0665063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two components
KR101179892B1 (ko) 분배장치
US20080003052A1 (en) Delivery device for liquid or semi-solid materials
US8584838B2 (en) Container for mixing of components
CN110304351B (zh) 分配器
CN101087569A (zh) 用于存储和分配组合物的装置
US8181777B2 (en) Tearable applicator packaging
US20080262408A1 (en) Multi-Constituent Packaging with Applicator
KR101299036B1 (ko) 액상 또는 점성 물질의 저장 및 도포를 위한 장치
JPH11130156A (ja) 二種混合容器及び二種混合容器連結体
EP2662050B1 (en) Device for providing a dental material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7476046B2 (en) Applicator and material dispensing system
JP2002255250A (ja) 可撓性複室容器及びそれを収容したホルダー
TWI819168B (zh) 具有貯存器之多功能免觸碰塗抹器
US11602211B2 (en) Storage pouches and gray hair coverage method use
KR101756765B1 (ko) 이액분리 연결튜브
CN102227200A (zh) 用于储存和供应液体和液态药物制剂的容器和方法
KR101768399B1 (ko) 이액분리 혼합튜브
US20200354134A1 (en) Cartridges having internal capsules
JP2006096397A (ja) 塗布具付き包装体
JPH0546467Y2 (ko)
KR100840817B1 (ko) 단단한 영역을 가진 압착 가능한 용기
KR20060098394A (ko) 밀봉 유체를 함유한 도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