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623A -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623A
KR20080035623A KR1020087003385A KR20087003385A KR20080035623A KR 20080035623 A KR20080035623 A KR 20080035623A KR 1020087003385 A KR1020087003385 A KR 1020087003385A KR 20087003385 A KR20087003385 A KR 20087003385A KR 20080035623 A KR20080035623 A KR 2008003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imated error
wireless device
error value
value
mov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544B1 (ko
Inventor
게이조 나가따
미끼오 오바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30)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31)와, 취득한 위치 정보에 대한 추정 오차값을 취득하는 추정 오차값 취득부(33)와,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는 이동 상태 결정부(34)와, 취득된 추정 오차값으로 결정된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36)를 구비한다.
무선 장치, 위치 정보 취득부, 이동 상태 결정부, 추정 오차값 취득부, 위치 결정부

Descrip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자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장치에서는, 측위 지점의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서는, 충분한 측위 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없어, 충분한 측위 정밀도로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정보(이하, 측위 좌표점)에 대해 평균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측위 지점의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GPS 위성의 배치의 영향 등에 의해, 예를 들면 측위 좌표점이, 진짜의 좌표점에 대해 오프셋값을 갖는 경우, 측위 좌표점에 대해 평균화 처리를 실시한 결과는, 진짜의 좌표점에는 근사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 장치가, 이동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의 좌표점과 과거의 좌표점을 평균한 결과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면, 측위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측위 지점의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GPS 위성의 배치의 영향 등에 의해, 측위 좌표점이, 진짜의 좌표점에 대해 오프셋값을 갖는 경우라도, 또한 무선 장치가, 이동 상태인 경우라도, 충분한 측위 정밀도로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무선 장치로서, 상기 무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추정 오차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정 오차값 취득부와,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상태 결정부와, 취득된 상기 추정 오차값으로 결정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고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고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 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중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중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거리를 누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거리 누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저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누적된 이동 거리가 이동 거리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저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동일 추정 오차 랭크 내에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갱신된 횟수가 제1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가, 전회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보다도 높은 경우, 상기 추정 오 차값의 최소값이 갱신된 횟수는, 리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갱신되지 않았던 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추정 오차값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위치 정보를 측정할 때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저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저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중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중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GPS 측위 기능을 탑재한 휴대 통신 단말기나 차량에 탑재되는 GPS 수신 장치 등이 해당된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의 일례로서, WCDMA 방식의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휴대 통신 단말기(30A)는 안테나(1, 2)와, WCDMA RF 회로(3)와, WCDMA 베이스 밴드 회로(4)와, CPU(5)와, GPS RF 회로(6)와, 시계(7)와, LCD(8)와, 키패드(9)와, 스피커(10)와, 마이크(1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안테나(1)로 수신된 신호는, WCDMA RF 회로(3)에서 증폭ㆍ선택되어, WCDMA 베이스 밴드 회로(4)에 입력된다. 그 후, 이러한 신호는 WCDMA 베이스 밴드 회로(4)에서 복조되어, CPU(5)에 송신된다.
또한, GPS RF 회로(GPS 모듈)(6)는, 안테나(2)에 의해 수신된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ㆍ해석하여,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위치 정보로서 CPU(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PU(5)는, 키패드(9)를 통한 유저 입력이나 시계(7)로부터의 시각 정보에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GPS RF 회로(6)에 지시하고, GPSRF 회로(6)에 의해 취득된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위치 정보를 LCD(8)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PU(5)는,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측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GPS RF 회로(6)에 의해 취득된 휴대 통신 단말기(30A)의 위치 정보를, WCDMA 베이스 밴드 회로(4)와 WCDMA RF 회로(3)와 안테나(1)를 통하여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의 기능 블록을 도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는 위치 정보 취득부(31)와, 위치 정보 기억부(32)와, 추정 오차값 취득부(33)와, 이동 상태 결정부(34)와, 이동 거리 누적부(35)와, 위치 결정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취득부(31)와, 이동 상태 결정부(32)와, 추정 오차값 취득부(33)와, 이동 거리 누적부(35)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GPS 측위 기능부에 접속되어 있다.
위치 정보 취득부(31)는, GPS 측위 기능 등의 측위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정보 기억부(32)는, 위치 정보 취득부(31)에 의해 취득된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기억부(32)는,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과거에 취득된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를 기억해 두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추정 오차값 취득부(33)는, 위치 정보 취득부(31)에 의해 취득된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추정 오차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추정 오차값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추정 오차값을 이용하여 측위 정밀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추정 오차값은, 측위 좌표점이, 진짜의 좌표점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에 대해서 나타내는 값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짜의 좌표점은, 예를 들면 표준 정규 분포에 따르는 것으로 한 경우, 0.68이나 0.95 등의 확률로, 측위 좌표점을 중심으로 하여 추정 오차값을 반경으로 하는 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 추정 오차값이 작을수록, 위치 정보 취득부(31)에 의해 취득된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가 진짜의 좌표점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추정 오차값 취득부(33)는,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과거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을 기억해 두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동 상태 결정부(34)는,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상태 결정부(34)는, GPS 위성으로부터 취득한 무선 장치(30)의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고속 이동 상태(예를 들면, 15m/sec 이상)」, 「중속 이동 상태(예를 들면, 1m/sec 이상 15m/sec 미만)」, 「저속 이동 상태(예를 들면, 0.1m/sec 이상 1m/sec 미만)」, 「정지 상태(예를 들면, 0.1m/sec 미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거리 누적부(35)는, 무선 장치(30)의 이동 거리를 누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거리 누적부(35)는, 리세트하도록 지시될 때까지, 또는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무선 장치(30)의 이동 거리를 누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추정 오차값과,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결정된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동작)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01에서, 이동 상태 결정부(34)는, GPS 측위 기능부로부터 무선 장치(30)의 이동 속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무선 장치(30)의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를 결정한다.
한편, 스텝 S102에서, 위치 정보 취득부(31)는, GPS 측위 기능부로부터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를 취득하고, 스텝 S103에서, 추정 오차값 취득부(33)는, 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다.
스텝 S104에서, 위치 결정부(36)는,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 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위치 결정부(36)는,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S105에서, 이동 속도별의 위치 결정 처리를 행한다. 한편, 위치 결정부(36)는,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스텝 S106에서, 추정 오차값별의 위치 결정 처리를 행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텝 S105에서 행해지는 이동 속도별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상술하고,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스텝 S106에서 행해지는 추정 오차값별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상술한다.
첫째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저속 이동 상태」인 경우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01에서, 위치 결정부(36)는 금회의 측위에서 얻어진 좌표점(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 C에 대한 추정 오차값 C와,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비교한다.
추정 오차값 C가, 최소 추정 오차값 Y보다도 작은 경우, 스텝 S202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C를 최소 추정 오차값 Y에 대입한다. 한편,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이동 거리 누적부(35)에 의해 축적되어 있는 누적 이동 거리와, 이동 거리 임계값 N31을 비교한다. 누적 이동 거리가, 이동 거리 임계값 N31보다도 큰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204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와, 저속용 오차 임계값 N32를 비교한다. 최소 추정 오차값 Y가, 저속용 오차 임계값 N32보다도 작은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5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205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저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누적된 이동 거리(누적 이동 거리)가 이동 거리 임계값 N31보다도 큰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 Y)이 저속용 오차 임계값 N32보다도 작은 경우에, 위치 결정부(36)는, 그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 이동 상태」에서의 무선 장치(30)는, 현재의 측위 좌표점 C뿐만 아니라, 과거의 측위 좌표점 A, B에 대해서도 고려한 후에,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 이동 상태」에서의 무선 장치(30)는,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할 때에 참조하는 측위 좌표점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둘째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중속 이동 상태」인 경우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301에서, 위치 결정부(36)는, 금회의 측위에서 얻어진 좌표점(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 C에 대한 추정 오차값 C와, 현지점의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비교한다.
추정 오차값 C가, 최소 추정 오차값 Y보다도 작은 경우, 스텝 S302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C를 최소 추정 오차값 Y에 대입한다. 한편,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3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와, 중속용 오차 임계값 N4를 비교한다. 최소 추정 오차값 Y가, 중속용 오차 임계값 N4보다도 작은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30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304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중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 Y)이 중속용 오차 임계값 N4보다도 작은 경우에, 위치 결정부(36)는, 그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속 이동 상태」에서의 무선 장치(30)는, 현재의 측위 좌표점 C뿐만 아니라, 과거의 측위 좌표점 B에 대해서도 고려한 후에,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셋째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고속 이동 상태」인 경우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401에서, 위치 결정부(36)는, 금회의 측위에서 얻어진 좌표점(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 C에 대한 추정 오차값 C와, 고속용 오차 임계값 N5를 비교한다. 최소 추정 오차값 Y가, 고속용 오차 임계값 N5보 다도 작은 경우, 스텝 S402에서, 위치 결정부(36)는, 금회의 측위에서 얻어진 좌표점 C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한다.
한편, 그 이외의 경우, 스텝 S403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C를 최소 추정 오차값 Y에 대입하고,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고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고속용 오차 임계값 N5보다도 작은 경우에, 위치 결정부(36)는, 그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이동 상태」에서의 무선 장치(30)는, 과거의 측위 좌표점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측위 좌표점 C만을 고려한 후에,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넷째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추정 오차값별의 위치 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501에서, 위치 결정부(36)는, 금회의 측위에서 얻어진 좌표점(무선 장치(30)의 위치 정보) C에 대한 추정 오차값 C가, 과거의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정밀도 랭크(추정 오차 랭크)보다도 높은(추정 오차값이 작은) 추정 오차 랭크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예」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2로 진행하고, 「아니오」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정밀도 랭크는, 취득된 추정 오차값을,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추정 오차값이 10m 미만인 경우, 정밀도 랭크는 「A 랭크」이며, 추정 오차값이 10m 이상 50m 미만인 경우, 정밀도 랭크는 「B랭크」이며, 추정 오차값이 50m 이상인 경우, 정밀도 랭크는 「C 랭크」인 것으로 한다.
스텝 S502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갱신 횟수를 리세트한다.
스텝 S503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C와,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비교한다. 추정 오차값 C가, 최소 추정 오차값 Y보다도 작은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8로 진행한다.
스텝 S504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 C를 최소 추정 오차값 Y에 대입함으로써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갱신한다.
스텝 S505에서, 위치 결정부(36)는, 현시점에서의 최소 추정 오차값 Y가 갱신되지 않은 횟수(최소 추정 오차값 Y의 비갱신 횟수)를 리세트한다.
스텝 S506에서, 위치 결정부(36)는, 동일한 정밀도 랭크(추정 오차 랭크) 내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갱신 횟수가 제1 임계값 N1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갱신 횟수가 제1 임계값 N1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7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7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한다.
스텝 S508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비갱신 횟수가 제2 임계값 N2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비갱신 횟수가 제2 임계값 N2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9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지 않고 종료되고, 도 4의 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9에서, 위치 결정부(36)는, 유지하고 있는 최소 추정 오차값 Y를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GPS 측위의 시각 Tk에서, B 랭크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갱신 횟수가 「N1」회에 도달하였으므로, 위치 결정부(36)는 측위를 종료하고,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동일 추정 오차 랭크 내에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이 갱신된 횟수가 제1 임계값 N1에 도달한 경우, 위치 결정부(36)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최소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부(36)는, 동일 정밀도 랭크(도 12의 예에서는 B 랭크)의 범위 내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을 「N1」회 갱신한 경우, 금후의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 신에 의해, 측위 정밀도가 향상될 확률이 낮다고 판단하여 측위를 종료하고, 그 시점에서의 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GPS 측위의 시각 T4에서의 추정 오차값이, 과거의 추정 오차값(GPS 측위의 시각 T0 내지 T3에서의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B 랭크 또는 C 랭크)보다도 높은 추정 오차 랭크(A 랭크)에 속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의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갱신 횟수는 리세트된다(「0」으로 된다). 그 결과, GPS 측위의 시각 T4에서의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신 횟수는 「3」이 아니라 「1」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동일 추정 오차 랭크 내에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이 갱신된 횟수가 제1 임계값 N1에 도달한 경우, 위치 결정부(36)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최소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득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가, 전회 취득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보다도 높은 경우,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이 갱신된 횟수는, 리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부(36)는, 새롭게 관측된 추정 오차값이, 그 때까지 관측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보다도 높은 추정 오차 랭크(추정 오차값이 작은 추정 오차 랭크)에 속하는 경우, 현시점에서의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 신 횟수를 리세트하고, 이후 높은 추정 오차 랭크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신 횟수를 관측한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36)는, 「B 랭크」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을 4회 갱신한 후에, 보다 정밀도가 높은 「A 랭크」에 속하는 추정 오차값을 관측한 경우, 지금까지의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신 횟수를 「0」으로 되돌리고, 이후 「B 랭크」가 아니라 「A 랭크」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신 횟수를 관측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GPS 측위의 시각 Tk에서, 최소 추정 오차값 Y의 비갱신 횟수가 「N2」회에 도달하였으므로, 위치 결정부(36)는 측위를 종료하고,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상태 결정부(34)에 의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최소 추정 오차값)이 갱신되지 않았던 횟수가 제2 임계값 N2에 도달한 경우, 위치 결정부(36)는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부(36)는, 최소 추정 오차값이 갱신되지 않았던 횟수가 「N2」회에 도달한 경우, 금후의 최소 추정 오차값의 갱신에 의해, 측위 정밀도가 향상될 확률이 낮다고 판단하여 측위를 종료하고, 그 시점에서의 측위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36)는, 상술한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의 결정 방법 이외에, 측위 시각이 미리 제한된 시간 Tmax에 도달한 경우에는, 유지하고 있는 최 소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좌표점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의 작용ㆍ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장치에 의하면,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와 GPS 측위 기능 등에 의해 취득한 위치 정보(측위 좌표점)에 대한 추정 오차값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측위 지점의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GPS 위성의 배치의 영향이나 무선 장치(30)의 이동 상태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측위 정밀도로 그 무선 장치(30)의 존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이동 시에서의 고속, 중속, 저속의 수치, 및 정밀도 랭크의 수치를,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기술 이외로 설정한 경우라도, 발명의 효과에 변함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측위 지점의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GPS 위성의 배치의 영향 등에 의해, 측위 좌표점이, 진짜의 좌표점에 대해 오프셋값을 갖는 경우라도, 또한 무선 장치가, 이동 상태인 경우라도, 충분한 측위 정밀도로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무선 장치로서,
    상기 무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취득한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추정 오차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추정 오차값 취득부와,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상태 결정부와,
    취득된 상기 추정 오차값과 결정된 상기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고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고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중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중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거리를 누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거리 누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저속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누적된 이동 거리가 이동 거리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 또한 소정 기간 내에 취득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저속용 오차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상기 위치 결정부는, 그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동일 추정 오차 랭크 내에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갱 신된 횟수가 제1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는, 마지막으로 갱신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가, 전회 취득된 추정 오차값이 속하는 추정 오차 랭크보다도 높은 경우, 상기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갱신된 횟수는, 리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결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의 이동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한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이 갱신되지 않았던 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결정부는, 추정 오차값의 최소값을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무선 장치의 존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KR1020087003385A 2005-08-12 2008-02-12 무선 장치 KR101260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5073A JP3920298B2 (ja) 2005-08-12 2005-08-12 無線装置
JPJP-P-2005-00235073 2005-08-12
PCT/JP2006/315737 WO2007020848A1 (ja) 2005-08-12 2006-08-09 無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623A true KR20080035623A (ko) 2008-04-23
KR101260544B1 KR101260544B1 (ko) 2013-05-06

Family

ID=3775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385A KR101260544B1 (ko) 2005-08-12 2008-02-12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2154B2 (ko)
JP (1) JP3920298B2 (ko)
KR (1) KR101260544B1 (ko)
CN (1) CN101263400B (ko)
TW (1) TW200712534A (ko)
WO (1) WO20070208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44B1 (ko) * 2011-11-18 2013-12-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상태 예측 시스템 및 이동 상태 예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6874B (en) 2007-07-26 2009-11-11 Ind Tech Res Inst Magnetic separation device
US8489111B2 (en) 2007-08-14 2013-07-16 Mpanion, Inc. Real-time location and presence using a push-location client and server
US8050690B2 (en) 2007-08-14 2011-11-01 Mpanion, Inc. Location based presence and privacy management
US8583079B2 (en) 2007-08-14 2013-11-12 Mpanion, Inc. Rich presence status based on location, activity, availability and transit status of a user
ITTO20110284A1 (it) * 2011-03-29 2011-06-28 Sisvel Technology Srl Procedimento di localizzazione cooperativa e relativi apparati
CN102905284A (zh) * 2011-07-27 2013-01-30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异构网中ue移动状态判定的方法
CN102355718B (zh) * 2011-08-08 2013-12-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联合高干扰指示和过载指示的上行干扰协调方法
JP6079034B2 (ja) * 2012-08-07 2017-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停止継続判定方法及び停止継続判定装置
DE112013006521T5 (de) * 2013-01-28 2015-10-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DE102013104727A1 (de) * 2013-05-07 2014-11-13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Bestimmen der Position einer beweglichen Kommunikationseinrichtung
CN103727946B (zh) * 2013-12-20 2016-06-01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浮动车地图匹配数据预处理方法及系统
CN105791496B (zh) * 2014-12-24 2019-07-05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状态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480A (ja) * 1993-06-04 1995-03-03 Koden Electr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5590043A (en) * 1993-06-17 1996-12-31 Trimble Navigation Limit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filter
US5935191A (en) * 1994-11-08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avig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JP3533745B2 (ja) 1995-03-30 2004-05-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移動体測位装置
JP2000002759A (ja) 1998-06-16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装置
US20030146871A1 (en) * 1998-11-24 2003-08-07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signal direction and time difference of arrival
JP2002257564A (ja) 2001-03-06 2002-09-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精度と計測時刻の異なる複数の位置情報に基づく位置推定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77528A (ja) 2001-03-21 2002-09-25 Sanyo Electric Co Ltd Gps受信機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情報端末
JP2003121528A (ja) 2001-10-10 2003-04-23 Keisoku Joho System Kk Gps測位装置及び測位方法
JP3651598B2 (ja) * 2002-01-07 2005-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装置及び位置情報システム
US6891500B2 (en) * 2002-03-18 2005-05-10 Christopher J. Hall Method and apparatus for geolo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4165407B2 (ja) 2004-01-30 2008-10-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方法、位置推定プログラム及び位置推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44B1 (ko) * 2011-11-18 2013-12-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상태 예측 시스템 및 이동 상태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3400B (zh) 2012-07-11
JP2007051869A (ja) 2007-03-01
KR101260544B1 (ko) 2013-05-06
CN101263400A (zh) 2008-09-10
TWI294039B (ko) 2008-03-01
US8032154B2 (en) 2011-10-04
WO2007020848A1 (ja) 2007-02-22
TW200712534A (en) 2007-04-01
US20090042584A1 (en) 2009-02-12
JP3920298B2 (ja)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44B1 (ko) 무선 장치
EP2680039B1 (en) Indoor/outdoor differentiation using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s
EP2862002B1 (en) Adaptive passive scanning and/or active prob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US11015936B2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EP2229016B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A2692960C (en) Automatic activation of speed measurement in mobile device based on available motion
JP5869185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内のモーションモデルに作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5123662A (ja) 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1234177B1 (ko)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EP3268766A1 (en) Determination of device location in crowded indoor environments
US98976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position of a receiver in a network of beacons
CA29265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device clock management
JP2009042045A (ja) 情報端末
KR20150125533A (ko) 무선 위치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7533123B (zh) 无线通信环境中的通信设备的定位方法和定位服务器
KR101631121B1 (ko)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
CN101925104A (zh) 一种定位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通信系统
US9654927B2 (en) Motion detection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N105793724A (zh) 提高wi-fi技术定位精度的方法和装置
JP6201987B2 (ja) 携帯端末、位置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位置情報検索方法
KR101515512B1 (ko) 도달 시간 차이 기반의 위치 추정 방법
KR20100055266A (ko) 위치측정 장치 및 위치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