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426A - 보강 금구 - Google Patents

보강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426A
KR20080033426A KR1020087003983A KR20087003983A KR20080033426A KR 20080033426 A KR20080033426 A KR 20080033426A KR 1020087003983 A KR1020087003983 A KR 1020087003983A KR 20087003983 A KR20087003983 A KR 20087003983A KR 20080033426 A KR20080033426 A KR 2008003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ntainer
hooking
shap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977B1 (ko
Inventor
마사루 니시가키
Original Assignee
아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8Reinforcements of dissimilar materials, e.g. metal frames in p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32Details of wooden walls;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9/34Joints; Local reinforcements
    • B65D9/36Batt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운반용 용기의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보강 금구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직으로 위를 향해 만곡된 스트립(12)을 구비한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위쪽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 보강 금구(10)의 위쪽을 향하는 힘에 의해 상기 운반용 용기(20)에 수용되는 중량물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수용하기 전에 장착하면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의 팽출이 방지되고, 또한 이미 저면(20b)이 팽출된 운반용 용기(20)에 관해서도 상기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저면(20b)의 변형에 의한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보강 금구

Description

보강 금구{METAL REINFORCEMENT FITTING}
본 발명은 보강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반용 용기의 보강 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품의 유통에 빠질 수 없는 운반용 용기는 수지로 형성된 것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운반용 용기는 일본 특허공개 2000-2260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저면에 복수의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용기 저면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들 보강 리브의 폭을 굵게 하거나, 교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저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0-226021호
그러나, 이 수지제의 운반용 용기는 특히 수용물이 열이나 중량을 가진 것이라면 바닥부가 열로 팽출되어 수용물을 꺼낸 후에도 그 형상을 유지해버린다.
이렇게 변형된 운반용 용기는 불안정해서 운반시에 전도의 원인이 된다. 또한, 열이나 중량에 의해 변형된 운반용 용기는 재이용할 수 없어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되기 때문에, 쓰고 버리게 되어 있는 현 상태로는 환경 문제가 중시되고 있는 지금의 흐름에 역행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운반용 용기의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보강 금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저면측으로부터 상기 운반 용기의 측면 형상에 걸친 형상으로 띠상으로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저면측의 측면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단부에서 후킹(hooking)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hooking part)와 상기 저면을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하는 스트립(strip)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1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양단에 후킹부를 구비한 스트립을 장착해서 저면을 보강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운반용 용기는 위쪽이 개구된 대략 상자 형상의 용기이다. 상기 운반용 용기의 상기 개구측의 측면에는 플랜지를 갖고 있다. 또한, 동종의 운반용 용기를 스테킹(stacking)할 때에 상하에 위치하는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측과 위쪽의 개구부가 후킹되도록 저면측의 사방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외측으로 돌출해서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플랜지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용기의 저면측의 측면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에 상기 후킹부의 갈고리 형상 부분을 후킹한다. 상기 후킹부는 상기 운반용 용기에 있어서의 마주보는 2변에 각각 하나씩 배치해서 한 쌍의 후킹부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한 쌍의 후킹부를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을 가로로 가설해서 연결하여 상기 저면에 장착된다.
상기 운반용 용기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은 열을 가진 수용물이 수용되었을 시에 수지의 열가소성에 의해 연화된다. 한편, 상기 후킹부와 상기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금구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의 연화 온도에서 연화되는 일 없이 상기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상기 보강 금구에 있어서의 스트립의 길이는 상기 운반용 용기의 길이 방향 및 짧은 쪽 방향 중 어느 하나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고, 그 길이가 일치한 방향을 상기 보강 금구의 장착 방향으로 한다.
제 2 항에 관한 발명은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운반용 용기의 위쪽 개구부의 외주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단부에서 후킹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와,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과 저면을 따라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コ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스트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2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양단에 후킹부를 구비한 대략 コ자 형상의 스트립을 장착해서 저면을 보강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일반적인 운반용 용기에 있어서 저면측의 측면 주변에 플랜지를 가지지 않는 것에 대하여 장착한다. 상기 후킹부는 위쪽 개구로부터 소정길이 외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개구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플랜지에 상기 갈고리형 형상 부분을 후킹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은, 상기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플랜지에 후킹한 후킹부를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과 양 측면의 형상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연결해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립의 저면 부분은 그 양단부를 상기 후킹부에서 동 스트립의 측면 부분을 통해서 지지된다.
또한, 제 3 항에 관한 발명은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에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고서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와,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과 저면을 따라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コ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스트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3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양단에 나사 구멍을 형성한 후킹부를 구비한 스트립을 장착해서 저면을 보강한다.
여기에서, 상기 저면을 상기 스트립으로 가로로 가설해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후킹부는 한 쌍으로 스트립의 양단을 측면에 고정하도록 상기 운반용 용기의마주보는 측면에 대향해서 배치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후킹부는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에서 위쪽의 개구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저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다만,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저면에 균등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저면의 보강 상태에 치우침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스트립의 양단부를 균등한 힘으로 위쪽에 후킹해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는 측면에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4 항에 관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서 만곡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4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립은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서 만곡된 형상으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접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립은 그 양단에 구비된 후킹부에 의해 동 스트립의 양단이 소정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된 상기 스트립의 만곡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저면에는 접촉시킨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서 바이어싱 포오스(baiasing force)가 가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운반용 용기에 중량물이나 열을 가지는 것 등을 수용해서 상기 저면에 아래를 향하는 힘이 가해진 상황에 있어서도 상기 위를 향하는 힘에 의해 아래를 향하는 힘이 상쇄되어 상기 저면이 팽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 5 항에 관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후킹부는 굴곡된 부위의 구부러진 곳과 교차하도록 볼록 측면으로부터 오목 측면을 향해서 밀어낸 단면이 산 형상인 리브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5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후킹부의 굴곡 부위마다 각각 굴곡된 부위의 구부러진 곳과 교차하도록 볼록 측면으로부터 오목 측면을 향해서 밀어낸 단면이 산 형상인 리브를 형성해서 상기 굴곡 부위를 보강한다.
상기 리브 형상 부위는 상기 굴곡 부위에 두께를 더해서 상기 굴곡 부위를 구성하는 면에 대해 굴곡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시에 상기 면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한이 된다.
또한, 제 6 항에 관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 또는 만곡시켜서 비평판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6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갖는 비평판으로 한 스트립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휘어진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트립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상기 위치에서 폭 방향의 단면은 요철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은 단면 평판은 아니게 됨으로써 굽힘 강성이 커진다. 즉, 상기 스트립은 비평판이 됨으로써 외력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상기 스트립이 비평판으로 되도록 단면이 요철 형상으로 되면 된다.
상기 요철 형상을 구비한 비평판으로서의 일례로서 제 7 항에 관한 발명은, 제 6 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립은 폭 방향의 단부를 굴곡시켜서 대략 コ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7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스트립을 폭 방향의 양단을 굴곡시켜서 형성해 비평판으로 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상기 비평판으로서의 예로서 제 8 항에 관한 발명은, 제 6 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으로 연설되는 이랑(ridge)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8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폭의 이랑 형상의 연접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이랑 형상은 상기 스트립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방 방향으로 소정 폭의 반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스트립은 비평판으로 된다.
여기에서, 스트립은 균등하게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스트립 내에 상술한 요철 형상을 구비해서 비평판이 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이랑 형상의 폭은 폭 방향중심에 대하여 임의이다. 또한, 2개의 같은 길이의 이랑 형상을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되도록 평행하게 배치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립에는 상기 운반용 용기에 장착되었을 시에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한 바이어싱 포오스가 가해지도록 스프링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제 9 항에 관한 발명은 제 1 항부터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트립은 스프링성을 갖도록 열처리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9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립은 열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자유롭게 경도를 조정해서 스프링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을 구비한 보강 금구를 철에 소정의 합금을 부가해서 강도나 인성을 강화한 특수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수강으로 형성해서 열처리를 행해 자유롭게 경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트립에 강한 스프링성을 가지도록 하면 좋다.
또한, 제 10 항에 관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복수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 10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스트립이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서 평행하게 늘어서도록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저면의 원하는 위치나 광범위를 임의로 보강할 수 있으면 되고, 장착 방향이 같은 상기 보강 금구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면 된다.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저면의 복수의 원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해도 좋고, 광범위하게 팽창된 위치에 대하여 복수의 보강 금구로 누르도록 장착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운반용 용기의 저면을 들어올려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제 4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의 스프링성으로 운반용 용기의 저면을 들어올려 상기 스트립 주변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 변형된 것은 동 보강 금구를 장착함으로써 형상을 개선할 수도 있다.
제 5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보강 금구에 있어서의 후킹부의 각 굴곡 부위에서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6 항 내지 제 8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의 굽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다.
제 9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이 접촉하는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대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0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운반용 용기의 저면의 팽창에 대하여 광범위에 걸쳐서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보강 금구 및 운반용 용기의 저면측으로부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보강 금구 위쪽으로부터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3은 보강 금구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보강 금구의 위쪽으로부터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보강 금구의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6은 운반용 용기 저면의 휨 방향을 나타내는 저면측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7은 운반용 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8은 복수 장착한 상태에서의 운반용 용기 저면측으로부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운반용 용기 상방측으로부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운반용 용기 상방측으로부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 : 보강 금구 11 : 후킹부
11a : 갈고리 형상 11b : 후킹 베이스부(hooking base)
12 : 스트립 12a : 폭 방향의 양단
13a : 제 1 굴곡 부위 13b : 제 2 굴곡 부위
14a,14b : 보강 부위 20 : 운반용 용기
20a : 개구부 20b : 저면
20b1,20b2 : 저면 20c : 측면
21 : 상방측 플랜지 22 : 저면측 플랜지
이하, 하기의 순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실시예 :
(2) 변형예 :
(3) 정리 :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금구(10)와 운반용 용기(20)의 저면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반용 용기(20)는 수지로 형성되어서 위쪽이 개구된 대략 상자 형상이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 금구(10)는 도 1과 같이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저면에 아래쪽으로부터 장착된다.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상방측의 측면에는 개구부(20a)로부터 연속해서 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외측으로 돌출해서 개구부(20a)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방측 플랜지(21)를 갖고 있다. 또한, 동 운반용 용기(20)의 저면측의 측면에는 상방측 플랜지(21)와 같은 길이 외측으로 돌출해서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저면측 플랜지(22)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동종의 운반용 용기(20)를 적층할 시에 위 에 위치하는 운반용 용기(20)의 저면측 플랜지(22)보다 아래쪽 부분의 측면과 저면(20b)이 아래에 위치하는 운반용 용기(20)의 위쪽 개구부(20a)에 들어간다. 그리고, 운반용 용기(20)는 상기 개구부(20a)에 연속하는 상방측 플랜지(21)의 윗면과 상기 저면측 플랜지(22)의 밑면이 접촉해서 적층된다.
보강 금구(10)는 열처리를 가해 강한 스프링성을 가진 특수강으로 형성되고,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킹부(11)와 동 후킹부(11)를 같은 폭으로 연결하는 스트립(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12)은 소정 폭으로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짧은 쪽 방향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상기 스트립(12)의 길이 방향 좌우의 양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각 제 1 굴곡 부위(13a)를 형성해서 상기 후킹부(11)에 있어서의 후킹 베이스부(11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킹 베이스부(11b)는 그 위쪽을 향한 좌우 각각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제 2 굴곡 부위(13b)를 형성한다. 상기 후킹 베이스부(11b)는 상기 제 2 굴곡 부위(13b)를 통해서 상기 스트립(12)의 내측 방향을 향해서 그 단부를 향한 단면 반원형의 갈고리 형상(11a)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상기 보강 금구(10)는 상기 스트립(12)이 그 양단에서 제 1 굴곡 부위(13a)를 통해서 상기 갈고리 형상(11a)의 후킹측을 마주보게 해서 상기 스트립(12)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상기 후킹부(11)를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킹부(11)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굴곡 부위(13a)와 상기 제 2 굴곡 부위(13b)의 폭 방향의 좌우 대칭의 위치에 1개소씩 보강 부위(14a,14b)를 형성하고 있다. 보강 부위(14a,14b)는 굴곡된 부위의 접혀진 부분과 교차하도록 볼록 측면으로부터 오목 측면을 향해서 밀어낸 리브로, 단면은 산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위(14a,14b)는 상술한 리브 형상으로 상기 제 1 굴곡 부위(13a)와 제 2 굴곡 부위(13b)의 일부에 두께를 더해서 각각의 굴곡 각도를 메움으로써 각 굴곡 부위를 구성하는 면에 대해 굴곡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시에 상기 면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한이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부위(14a,14b)는 상기 제 1 굴곡 부위(13a) 및 제 2 굴곡 부위(13b)에 힘이 가해졌을 시에 각 굴곡 부위에서의 구부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스트립(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 부위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11)를 연결하고,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위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부에서의 높이는 상기 갈고리 형상(11a)과 상기 후킹 베이스부(11b)의 제 2 굴곡 부위(13b)까지 도달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12)은 폭 방향의 양단(12a)을 전폭에 대하여 6분의 1씩을 아래쪽을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시켜서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스트립(12)의 폭 방향의 단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해 비평판으로 함으로써 상기 스트립(12)의 굽힘 강성을 크게 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도록 보강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스트립(12)의 요철 형상의 변형으로서 도 4, 도 5에 보강 금구(110)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112)의 길이 방향으로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방 방향으로 전폭에 대하여 3분의 1의 폭의 반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 이랑 형상의 연접 부분(11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운반용 용기(20)에의 상기 보강 금구(10)의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 상기 운반용 용기(20)에 있어서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저면측 개략단면을 나타낸다.
우선,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을 도면 중에 화살표(C)로 나타낸 개구부(20a) 방향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상기 저면(20b)의 짧은 쪽 방향은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내측 방향(도면 중의 화살표(B))을 향해서 휘고, 도면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저면(20b1)과 같이 활 형상이 되어 상기 저면(20b1)의 폭은 누르기 전의 저면(20b)보다 협폭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저면(20b)에 장착되는 상기 보강 금구(10)의 스트립(12)의 길이는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짧은 쪽 방향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고 있고, 활 형상으로 된 상기 저면(20b1)은 상기 스트립보다 협폭으로 되게 된다.
그래서 우선, 상기 보강 금구(10)의 후킹부(11)를 저면(20b1)측을 향해 한쪽 후킹부(11)를 한쪽의 저면측 플랜지(22)에 후킹한다. 이때, 상기 저면(20b1)은 상기 스트립보다 협폭이기 때문에 상기 보강 금구(10)는 한쪽을 후킹하면서 활 형상으로 된 저면(20b1)에 가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 금구(10)를 저면(20b1)에 가설한 상태로 상기 저 면(20b1)으로의 가압을 멈추면, 활 형상으로 된 저면(20b1)은 원래의 평형한 상태로 되돌아오고, 동시에 후킹되지 않았던 다른 쪽의 후킹부(11), 후킹되지 않은 측의 저면 플랜지(22)가 들어간다.
이상과 같이, 상기 보강 금구(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면(20b)에 장착된다.
도 7은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보강 금구(10)를 장착한 개략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반용 용기(20)에 중량물 등을 수용했을 경우의 저면(20b2)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상기 운반용 용기(20)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을 가져 수용물의 무게나 열로 연화되어서 간이하게 변형되어 버린다. 특히, 상기 중량물 등의 무게를 한면으로 받는 일이 많은 저면(20b)은 상기 수용물의 무게나 열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저면(20b2)과 같이 팽출한다.
그러나, 상기 저면(20b)에 장착되는 상기 보강 금구(10)는 특수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의 연화 온도에서 연화되는 일 없이 상기 저면(20b)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측면(20c)은 상기 수용물에 무게가 가해지는 일도 적고, 상기 측면(20c)에 형성되는 상기 저면측 플랜지(22)는 수용물의 무게와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보강 금구(10)는 상기 저면측 플랜지(22) 에 후킹되는 상기 후킹부(11) 상기 수용물의 무게와 열에 의해 불안정해지는 일 없이 상기 스트립으로 상기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20b)에는 상기 스트립(12)이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서 만곡되어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면 중의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저면(20b)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금구(10)의 장착에 의해 상기 저면(20b)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위쪽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 보강 금구(10)의 위쪽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상기 운반용 용기(20)에 수용되는 중량물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수용하기 전에 장착하면 상기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이 팽창 방지가 되고, 또한 이미 저면(20b)이 팽출된 운반용 용기(20)에 관해서도 상기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저면(20b)의 변형에 의한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강 금구(10)를 하나의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복수 장착할 수도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보강 금구(10a,10b,10c)의 길이는 운반용 용기(20)에 있어서의 짧은 쪽 방향의 길이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보강 금구(10a)는 저면(20b)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장착되고, 보강 금구(1Ob,1Oc)는 상기 보강 금구(1Oa)와 평행하게 그 양측에서 각각 상기 저면(20b) 의 길이 방향의 단부 부근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해서 상기 저면(20b)을 복수로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강 금구(10)를 3개 장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상기 운반용 용기(20)에 수용되는 수용물의 형상 등에 따라 선택해 쓰는 것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저면(20b)에 있어서 특정 부위에 중량이 치우치는 것 같은 수용물이라면 저면(20b)의 상기 위치마다 상기 보강 금구(10)를 각각 장착하면, 상기 위치의 팽출을 방지해서 상기 저면(20b)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용 용기(20)가 커 보강 금구(10) 하나로는 상기 저면(20b)의 팽출을 전부 억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 금구(10)를 복수로, 균등하게 장착함으로써 저면(20b)의 넓은 범위에서 팽출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보강 금구(10)를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겹쳐서 장착하는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저면(20b)의 짧은 쪽 방향과 같은 길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 1 보강 금구(30)와 길이 방향과 같은 길이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 2 보강 금구(40)를 사용한다. 우선, 상기 제 1 보강 금구(30)를 상기 저면(20b)의 짧은 쪽 방향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 1 보강 금구(30)의 후킹부(31)는 저면(20b)의 길이 방향의 측면(20c)에 형성된 저면 플랜지(22)에 후킹한다.
한편, 상기 제 2 보강 금구(40)는 상기 저면(20b)에서 제 1 보강 금구(30)와 제 2 보강 금구(40)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대략 직행하도록 스트립(32,42) 부분을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 2 보강 금구(40)의 후킹부(41)는 저면(20b)의 짧은 쪽 방향에 형성된 저면 플랜지(22)에 후킹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보강 금구(30,40)의 상기 저면(20b)으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보강 금구(30)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시킨 스트립(32)의 폭 방향 양단(32a)을 상기 스트립(32,42)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42)의 폭에서 개략 오목 형상으로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보강 금구(30)와 제 2 보강 금구(40)가 겹쳐졌을 시에는 상기 양단(32a)의 상기 대략 오목 형상으로 마찬가지로 아래쪽을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시킨 스트립(42)의 폭 방향의 양단(32a)이 정합해서 제 2 보강 금구(40,42)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금구(30,40)를 저면(20b)에 장착하는 순서에 의해 양단(32a) 및 양단(42a)의 어느 쪽에 상기 대략 오목 형상을 형성할지는 임의적이고, 양쪽에 상기 대략 오목 형상을 형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저면(20b)에 상기 보강 금구(10)를 대략 십자형상으로 장착해서 저면(20b)의 보강을 함으로써 저면(20b)의 팽출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강 금구(10)를 서로 겹쳐서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장착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저면(20b)의 대각선분의 길이를 가진 동 형상의 제 3 보강 금구(50)와 제 4 보강 금구(60)를 사용한다. 상기 제 3 보강 금구(50)의 양단은 각각 제 3 보강 금구(50)의 길이 8분의 1의 위치로부터 폭 방향으로 동 폭으로 두 갈 래로 되어 있다. 상기 두 갈래(52b)는 제 3 보강 금구(5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왼쪽으로 45도, 오른쪽으로 45 각도로 각각 벌어져 있고, 각 선단에는 도 3에 나타낸 후킹부(11)와 동 형상의 후킹부(51)를 갖고 있다. 상기 제 4 보강 금구(40)의 양단에 형성되는 두 갈래(62b) 및 후킹부(61)에 관해서도 같은 형상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제 3 보강 금구(50) 및 제 4 보강 금구(40)의 상기 저면(20b)으로의 장착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 3 보강 금구(50)를 상기 저면(20b)의 대각선상으로 배치한다. 그러면, 제 3 보강 금구(50) 양단의 상기 두 갈래(52b)는 제 3 보강 금구(50)를 배치한 저면(20b)의 대각이 되는 각을 향해서 각각 90도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 3 보강 금구(50) 양단에 있어서의 두 갈래(52b)의 우측은 저면(20b)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측면(20c)과 대략 직교하고, 그 선단에 형성된 후킹부(51)는 저면측에 형성된 저면측 플랜지(22)에 대하여 후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 보강 금구(50) 양단에 있어서의 두 갈래(52b)의 좌측은 저면(20b)에 있어서의 짧은 쪽 방향의 측면(20c)과 대략 직교하고, 그 선단에 형성된 상기 후킹부(51)는 저면(20b)의 짧은 쪽 방향의 측면(20c)에 형성된 저면 플랜지(22)에 후킹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상기 후킹부(51)가 저면측 플랜지(22)에 후킹되어 상기 제 3 보강 금구(50)는 저면(2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4 보강 금구(60)는 상기 제 3 보강 금구(50)를 장착한 저면(20b)의 각과는 마주 대하는 각에 대하여 구성되는 대각선상에 배치하고, 상기 제 3 보강 금구(50)와 마찬가지로 후킹부(61)를 각 측면(20c)에 형성된 저면 플랜지(22)에 후킹하는 것에 의해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제 4 보강 금구(60)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제 3 보강 금구(50)와 겹치고, 제 3 보강 금구(50)와 제 4 보강 금구(60)로 상기 저면(20b)에 대략 X자 형상을 형성해서 상기 저면(20b)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제 3 보강 금구(50)와 제 4 보강 금구(60)가 서로 겹치는 스트립(52,62)의 폭 방향의 양단(52a,62a) 부분에서 상술한 개략 오목 형상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후킹부(51,61)는 운반용 용기(20)의 대략 직각으로 연속한 2 측면(20c)과 상기 저면(20b)으로 이루어지는 각 부분에 후킹할 수 있으면 형상은 임의이다.
이상과 같이, 저면(20b)에 보강 금구(10)를 두 개 장착해 대략 십자형상이나 대략 X자 형상을 형성해서 보강하는 설명을 했지만, 이것들은 스트립(11) 부분에서 두 개의 보강 금구(10)가 결합해서 일체로 된 네 갈래 형상의 보강 금구라도 좋다.
(2) 변형예 :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보강 금구(210)를 운반용 용기(220)에 장착했을 시의 개략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반용 용기(220)는 상방측 플랜지(221)를 구비하고 있지만, 저면측 플랜지를 가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운반용 용기(220)에서는 후킹부(211)를 저면측의 측면에서 후킹시킬 수 없으므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보강 금구(210)의 후킹부(211)를 상기 상방측 플랜지(221)에 후킹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금구(210)에 있어서의 스트립(212)을 상기 운반용 용기(220)의 저면(220b)으로부터 양 측면(220c)을 통해서 상기 후킹부(211)에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후킹부(211)의 갈고리 형상(211a) 및 후킹 베이스부(211b)는 상기 상방측 플랜지(221)의 형상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후킹 베이스부(211b)로부터는 스트립(212)이 상기 측면(220c)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저면(220b)에 있어서의 스트립(212)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폭 방향의 단부를 굴곡시켜서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비평판으로 해서 강도를 보충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212)은 그 양단을 상기 후킹부(211)에서 후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측면(220c)에 위치하는 스트립(212)을 통해 상기 저면(220b)에서 그 양단을 끌어올려서 저면(220b)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그러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트립(212)과 그 양단에 위치하는 후킹부(211)에 의한 스프링성이 상기 운반용 용기(220)의 저면측에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용 용기(220)에 수용된 중량물에 의한 상기 저면(220b)에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운반용 용기(220)에 저면측 플랜지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보강 금구(21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저면(220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보강 금구(310)의 장착을 하기 위해서 후킹이 가능하게 되는 적당한 부위를 가지지 않는 운반용 용기(320)에서 보강 금구(310)를 저면측의 측면(320c)에서 후킹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변형예에 관한 보강 금구(310)를 운반용 용기(320)에 장착했을 시의 개략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반용 용기(320)는 상술한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저면측 플랜지를 가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보강 금구(310)에 있어서의 후킹부(311)의 단부에 나사 구멍(311c)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운반용 용기(320)에는 상기 보강 금구(310)를 장착했을 시에 상기 나사 구멍(311c)이 대응하는 위치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나사 구멍을 형성해 두고, 이들을 나사 결합시켜서 고정한다.
상기 저면(320b)에 있어서의 스트립(312)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폭 방향의 단부를 굴곡시켜서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비평판으로 해서 강도를 보충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312)은 그 양단을 상기 후킹부(311)의 운반용 용기(320)의 측면(320c)으로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저면(320b)에서 그 양단을 끌어올려서 저면(320b)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그러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트립(312)과 그 양단에 위치하는 후킹부(311)에 의한 스프링성이 상기 운반용 용기(320)의 저면측에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용 용기(320)에 수용된 중량물에 의한 상기 저면(320b)에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후킹이 가능해지는 적당한 부위를 가지지 않는 운반용 용기(320)인 경우에도 그 측면(320c)에 나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강 금구(310)의 장착이 가능해지고, 상기 저면(320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3) 정리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상향으로 만곡된 스트립(12)을 구비한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운반용 용기(20)의 저면(20b)에 위쪽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 보강 금구(10)의 위쪽을 향하는 힘에 의해 상기 운반용 용기(20)에 수용되는 중량물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수용하기 전에 장착하면 해당 운반용 용기(20) 저면(20b)의 팽출이 방지되고, 또한 이미 저면(20b)이 팽출된 운반용 용기(20)에 관해서도 상기 보강 금구(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저면(20b)의 변형에 의한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저면측으로부터 상기 운반 용기의 측면 형상에 걸친 형상으로 띠상으로 위쪽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저면측의 측면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단부에서 후킹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 및
    상기 저면을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하는 스트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2.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운반용 용기의 위쪽 개구부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단면이 갈고리 형상인 단부에서 후킹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 및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과 저면에 걸쳐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대략 コ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스트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3. 수지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보강 금구로서: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에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고서 마주보는 한 쌍의 후킹부; 및
    상기 운반용 용기의 측면과 저면에 걸쳐 가로로 가설해서 상기 한 쌍의 후킹 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대략 コ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스트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를 항해서 만곡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부는 굴곡된 부위의 접혀진 부분과 교차하도록 볼록 측면으로부터 오목 측면을 향해서 밀어낸 단면이 산 형상인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을따라 굴곡 또는 만곡시켜서 비평판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폭 방향의 단부를 굴곡시켜서 대략 コ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길이 방향으로 연설되는 이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스프링성을 갖도록 열처리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운반용 용기의 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복수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금구.
KR1020087003983A 2006-04-26 2006-04-26 보강 운반용 용기 KR101042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8747 WO2007129377A1 (ja) 2006-04-26 2006-04-26 補強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426A true KR20080033426A (ko) 2008-04-16
KR101042977B1 KR101042977B1 (ko) 2011-06-20

Family

ID=3866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983A KR101042977B1 (ko) 2006-04-26 2006-04-26 보강 운반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67165B2 (ko)
EP (1) EP2011738B1 (ko)
KR (1) KR101042977B1 (ko)
CN (1) CN100572206C (ko)
BR (1) BRPI0614495A2 (ko)
DE (1) DE602006021074D1 (ko)
PL (1) PL2011738T3 (ko)
WO (1) WO2007129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89U (ko) * 2017-02-20 2018-02-07 박창수 적재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9191A1 (de) * 2014-01-31 2015-07-31 Utz Georg Holding Ag Stapelbarer Behälter für die Lagerung und den Transport von Waren.
DE102018007807A1 (de) * 2018-10-02 2020-04-02 Almut Ilse Kellermann Behälter mit Verstärkungsvorrichtung
CN110342062B (zh) * 2019-07-29 2023-07-04 蜂井包装工业无锡有限公司 围板箱配套用托盘加强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574A (en) * 1902-02-26 1906-01-23 William N Sewell Collapsible box.
US1578557A (en) * 1925-07-09 1926-03-30 Isaac E Sexton Jacket-securing means for jacketed cans
US1757814A (en) * 1927-08-17 1930-05-06 Charles Henry Mckeon Container
US2071663A (en) * 1935-06-03 1937-02-23 David C Shepard Cover fastener
NL49509C (ko) * 1937-11-15
US2225592A (en) * 1938-03-02 1940-12-17 United Carr Fastener Corp Fastener attached structure and fastener for the same
US2388650A (en) * 1944-02-26 1945-11-06 Philco Radio & Television Corp Radio tube clamp
US2656577A (en) * 1950-01-13 1953-10-27 United Carr Fastener Corp Attaching clip
NL6716113A (ko) * 1967-02-16 1968-08-19
JPS5426272Y2 (ko) * 1973-06-26 1979-08-31
JPS5960127U (ja) 1982-10-13 1984-04-19 ホクト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ナ
DE3709190A1 (de) * 1987-03-20 1988-09-29 Schaefer Gmbh Fritz Stapelfaehiger, kastenfoermiger behaelter
DE9100093U1 (ko) * 1991-01-05 1991-03-28 Isl Schaumstoff-Technik Gmbh, 6806 Viernheim, De
US6065629A (en) * 1998-08-19 2000-05-23 Handi-Foil Corporation Roasting rack and pan/cover assembly
JP2000226021A (ja) 1999-02-03 2000-08-15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6213005B1 (en) * 1999-12-06 2001-04-10 Aleksandr Sherman Reinforced cooking pan
JP3571005B2 (ja) * 2001-05-01 2004-09-29 株式会社山本商店 土木工事用のフレックスコンテナ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89U (ko) * 2017-02-20 2018-02-07 박창수 적재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1738B1 (en) 2011-03-30
PL2011738T3 (pl) 2011-10-31
DE602006021074D1 (de) 2011-05-12
EP2011738A4 (en) 2009-03-18
US7967165B2 (en) 2011-06-28
WO2007129377A1 (ja) 2007-11-15
US20080210696A1 (en) 2008-09-04
BRPI0614495A2 (pt) 2011-03-29
KR101042977B1 (ko) 2011-06-20
CN100572206C (zh) 2009-12-23
CN101233051A (zh) 2008-07-30
EP2011738A1 (en)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977B1 (ko) 보강 운반용 용기
AU2013207633B2 (en) Dome cover supporter
KR101019178B1 (ko) 리퀴드돔 상부의 이차방벽 설치구조
US8863978B2 (en) Pallet container
JP2011126396A (ja) バッテリ固定装置
CN204415323U (zh) 用于车辆的金属板材部、支架系统和安全带支架
JP6423627B2 (ja) 建築用受具及びその外囲体
US20120282057A1 (en) Lashing strap hook load securing system
KR20120001995A (ko) 액화가스 저장 및 운반용 탱크
JP5041176B2 (ja) 車両のフード構造
JP3995679B2 (ja) 補強金具
JP5719063B1 (ja) Uボルトユニット
JP5699191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JP6122109B2 (ja)
JP2012233333A (ja) 折板屋根用断熱支持金具
JP4848446B2 (ja) 仕切体
JP5719894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JP5014454B2 (ja) 吊子式のはぜ接合構造
JP5759314B2 (ja) 荷崩れ防止ベルトの固定金具
CN213949105U (zh) 托盘
JP7348653B2 (ja) 組立式鋼製輸送容器
JP3692505B2 (ja) 上折り曲げ付カバー
JP4785009B2 (ja) パレットサポータを取り付け可能なパレット
KR101452258B1 (ko)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JP6727241B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