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084A -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084A
KR20080033084A KR1020070101691A KR20070101691A KR20080033084A KR 20080033084 A KR20080033084 A KR 20080033084A KR 1020070101691 A KR1020070101691 A KR 1020070101691A KR 20070101691 A KR20070101691 A KR 20070101691A KR 20080033084 A KR20080033084 A KR 2008003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einforcing member
ring
fitting
faste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546B1 (ko
Inventor
김대연
Original Assignee
김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연 filed Critical 김대연
Publication of KR2008003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15Construction indus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은,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압착 고정된 고정쇠와, 이 복수의 고정쇠 사이 및 고정쇠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는 보강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로프 연결부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로프가 주변 구조물 등에 걸려 끊어지거나 작업 방해가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로프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로프, 합성수지, 이음쇠, 로프, 하역

Description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Wire rope ring for cargo-wor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 등 중량물을 하역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 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프의 끝단부를 금속재인 이음쇠와 비금속재인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고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하역 작업시와 같이 화물 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와이어 로프 고리를 이용하게 된다. 와이어 로프 고리는 링형 구조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크레인의 후크와 화물을 묶은 끈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 고리는 링형 구조를 갖기 위해, 로프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고정 와이어 또는 이음쇠 등을 이용하여 압착하여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와이어 로프 고리는 상당한 하중을 가진 중량물을 하역할 때 사용하게 되므로, 연결 부분이 이완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로프 고리는 연결부를 이음쇠 등으로만 고정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로프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 이를 해결하기위해 이음쇠 등의 고정부재를 많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그만큼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와이어 로프 고리의 연결부는 로프의 양쪽 단부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이음쇠 등으로 압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겹쳐진 부분의 양쪽은 계단 모양의 단부를 갖게 됨과 아울러, 통상 로프를 연결하는 이음쇠 등이 로프보다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 사용 중에 주변 구조물 등에 로프의 끝단부 또는 이음쇠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로프 걸림 문제는 결국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가 끊어져 하역 작업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주변 구조물에 걸림에 따라 하역 작업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단순히 이음쇠만으로 와이어 로프 고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로프보다 더 돌출된 구조에 의해 외부 미관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종래의 와이어 로프 고리는 여러 가닥의 금속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스트랜드를 다시 연선하여 제작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로프의 양쪽 끝단부에는 날카로운 금속 소선들이 노출되어 있는바, 와이어 로프 고리 사용 중에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가지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로프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복수개의 이음쇠로 상호 고정하고, 이음쇠 사이 부분과 그 양쪽 부분을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추가 고정함으로써, 보강 부재가 로프에 밀착되어 연결부의 결합력을 높임과 아울러, 이음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로프 연결부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재의 이음쇠와 합성수지재의 보강 부재를 교차되게 배열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장 하중에 대한 내구력 향상은 물론, 금속재만 사용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하중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의 손상 및 부식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로프 끝단부와 이음쇠 등에 의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로프 보관, 이송, 사용 중에 주변의 로프 및 주변 구조물과 걸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로프의 끊어지고 작업 방해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로프 끝단부를 포함하도록 보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의 날카로운 끝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고, 특히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는, 링형 구조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호 겹치게 위치된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압착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를 링형 구조로 연결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고정쇠와; 상기 복수의 고정쇠 사이 및 고정쇠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복수의 고정쇠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부재와,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쇠의 사이가 아닌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한쪽 끝단부를 포함하도록 위치되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는 외부 구조물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쇠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에서, 제 1 부재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 2 부재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쇠는 그 측면에 상기 보강 부재와의 결합력이 높아지도록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제조 방법은, 상기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링형 구조로 배치하고, 양단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겹쳐진 와이어 로프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이음쇠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음쇠가 압착된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를 사출 금형에 넣고, 상기 보강 부재를 압축하여 성형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와이어 로프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복수개의 이음쇠로 상호 고정하고, 이음쇠 사이 부분과 그 양쪽 부분을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추가 고정함으로써, 보강 부재가 로프에 밀착되어 연결부의 결합력을 높임과 아울러, 이음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로프 연결부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발명은 금속재의 이음쇠와 합성수지재의 보강 부재를 교차되게 배열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장 하중에 대한 내구력 향상은 물론, 금속재만 사용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하중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의 손상 및 부식 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로프 끝단부와 이음쇠 등에 의해 걸릴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로프 보관, 이송, 사용 중에 주변의 로프 및 주변 구조물과 걸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로프의 끊어지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로프 끝단부를 포함하도록 보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의 날카로운 끝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풀림을 방지하고, 특히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이하 '와이어 로프 고리'라 함)(10)는 크레인(1)의 후크(3)와 화물(5)에 구비된 후크(7)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 고리(10)는 도 1에서와 같은 링 타입을 포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I' 타입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링 타입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로프 고리에서 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와이어 로프(12)는 여러 가닥의 금속 소선을 꼬아서 제작된 것으로, 이러한 와이어 로프(12)의 양단부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이음쇠(17)와 보강 부재(2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은 와이어 로프 고리(10)가 만들어진다.
이제,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고리(10)에서 이음쇠(17)와 보강 부재(20)를 이용한 연결부(15)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이음쇠(17)는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와이어 로프(12)의 겹쳐진 부분에 통상의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와이어 로프(12)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음쇠(17)는 통상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와이어 로프(12)의 겹쳐진 연결부(15)에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음쇠(17)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부(15) 양쪽에 2개를 압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보강 부재(20)는 상기 이음쇠(17)와는 다른 소재인 PE, PP 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음쇠(17)의 양쪽과 가운데 부분에 압축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20)는 와이어 로프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부착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15)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이음쇠(17)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압착 고정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20)는 2가지로 종류로 이루어지는데, 이음쇠(17)와 이음쇠(17)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부재(21)와 이음쇠(17) 외곽에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12)의 한쪽 단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22)로 나누어진다.
제 1 부재(21)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외경은 그 양쪽에 접하는 이음쇠(17)의 외경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와이어 로프 고리(10) 사용시에 외부 구조물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제 1 부재(21)는 이음쇠(17) 사이에 끼어서 양쪽에 위치된 이음쇠(17)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과 함께, 로프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음쇠(17)의 양단부가 외부 구조물 등에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 2 부재(22)는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음쇠(17)와 접하는 부분은 제 1 부재(21)와 같은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로부터 이음쇠(17)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부재(22)는 이음쇠(17)의 바깥쪽에서 걸리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로프 끝단부의 단차 발생을 해소하여, 역시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제 2 부재(22)는 로프 끝단부에 노출된 금속 소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로프가 풀어지거나, 날카로운 끝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 2 부재(22)는 이음쇠(17)의 바깥쪽에서 이음쇠(17)의 고정 상태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제 1 부재(21) 및 제 2 부재(22)의 성형 소재를 살펴본다.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 모두 합성수재지로 제작되는데, 제 1 부재(21)는 양쪽 이음쇠(17) 사이에 위치됨으로 경질의 합성수지재(예를 들면 PP 소재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부재(22)는 이음쇠(17)의 바깥쪽에 위치됨으로 쉽게 굽혀질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예를 들면 PE 소재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 모두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모두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 2 부재(2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굽힘이 많은 부분에 설치됨으로 인해 깨지거나 균열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에서는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의 바람직한 소재 사용의 한 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금속재가 아닌 여러 수지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강 부재(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이음쇠(17)와 달리 합성수지재를 이용하게 되므로, 착색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게 되면, 도 2의 왼쪽으로부터 제 2 부재(22), 이음쇠(17), 제 1 부재(21), 이음쇠(17), 제 2 부재(22) 순으로 색상을 달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 고리의 외부 미관이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리(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 로프(12)의 양쪽 끝단부를 겹치게 배열하고, 압착기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이음쇠(17)를 압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와이어 로프(12)의 양쪽 끝단부를 상호 꼬인 상태로 결합시킨 후에, 상기한 이음쇠(17)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12)가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 부재 성형기(30)를 이용하여 보강 부재(20)를 설치한다.
즉, 이음쇠(17)가 설치된 로프 연결부(15)를 압축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40) 내에 위치시키고, 성형기를 작동하게 되면, 성형기의 구동부(33)가 작동됨에 따라 용융부(35) 내의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합성수지액을 사출구(37)를 통해 금형(40) 내로 사출함으로써 로프 연결부(15)에 보강 부재(2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보강 부재(20)를 냉각한다.
여기서, 보강 부재(20)를 사출 성형할 때, 이음쇠(17)는 둘레에는 보강 부재(20)가 씌워지지 않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음쇠(17)의 둘레까지 보강 부재가 성형될 경우에, 소재의 사용량이 늘어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음쇠 둘레에 보강 부재(20)가 추가됨으로 인해 사용 중 쉽게 벗겨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렇게 이음쇠(17) 둘레까지 씌워진 보강 부재(20)가 벗겨지면, 외부 미관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 벗겨진 부분에 의해 이음쇠(17) 사이와 그 바깥쪽에 위치된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도 함께 떨어져 나가는 등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기는 제 1 부재(21)와 제 2 부재(22)의 소재가 같은 경우에 함께 성형할 수 있으나, 소재가 다른 경우에는 별도로 성형할 수 있다.
도 4에서, 참조 번호 31은 수지물을 투입하는 호퍼이고, 39는 금형(40)이 장착되는 금형 지지대를 나타낸다.
한편, 와이어 로프 고리(10)의 연결부(15)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보강 부재(20)를 사용하지 않고 이음쇠(17)를 더 길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로프의 굽힘 작용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 로프 고리(10)의 전체 하중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음쇠(17)는 통상 고가의 알루미늄을 사용하게 되는데, 전체 와이어 로프 고리(10)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음쇠(17)의 주변에 압축 성형된 보강 부재(20)를 이용함으로써 하중 감소와 함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보강 부재(20)와 이음쇠(17)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17a)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즉, 이음쇠(17)의 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요철부(17a)를 형성함으로써 보강 부재(20)가 성형될 때 결합되어, 이음쇠(17)와 보강 부재(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이음쇠(17)와 보강 부재(20)의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요철부(17a)가 돌출된 구조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홈부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음쇠(17) 측면을 단차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다른 타입인 I형 타입의 와이어 로프 슬링(10')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에 사용된 이음쇠(17')와 보강 부재(20')를 유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로프(12')의 한쪽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이음쇠(17')로 로프의 한쪽 끝단부를 로프의 중간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이 이음쇠(17')를 중심으로 로프(12')의 노출된 끝단부 쪽에 보강 부재(20')를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 부재(20')는 위에서 설명한 제 2 부재(22)와 같이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조하는 성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슬링의 단면도이다.

Claims (5)

  1. 링형 구조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호 겹치게 위치된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압착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를 링형 구조로 연결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고정쇠와;
    상기 복수의 고정쇠 사이 및 고정쇠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복수의 고정쇠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부재와,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쇠의 사이가 아닌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의 겹쳐진 한쪽 끝단부를 포함하도록 위치되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외부 구조물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쇠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서, 제 1 부재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제 2 부재 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음쇠는 그 측면에 상기 보강 부재와의 결합력이 높아지도록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5. 청구항 1에 기재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링형 구조로 배치하고, 양단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겹쳐진 와이어 로프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이음쇠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음쇠가 압착된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를 사출 금형에 넣고, 상기 보강 부재를 압축하여 성형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제조 방법.
KR1020070101691A 2006-10-09 2007-10-09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823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7778 2006-10-09
KR1020060097778 2006-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84A true KR20080033084A (ko) 2008-04-16
KR100823546B1 KR100823546B1 (ko) 2008-04-21

Family

ID=3928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691A KR100823546B1 (ko) 2006-10-09 2007-10-09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3546B1 (ko)
WO (1) WO2008044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0680B3 (de) * 2009-02-27 2010-08-05 Spanset Inter Ag Rundschlinge zum Heben von Lasten
KR100974304B1 (ko) * 2009-11-25 2010-08-05 대광기업 주식회사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2070070A (zh) * 2009-11-25 2011-05-25 大光企业株式会社 钢丝吊绳及其制造方法
CN114951518B (zh) * 2022-07-26 2022-12-30 南通飞神金属制品有限公司 用于钢丝绳圈的一体化成型智能制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3762U (ko) 1973-12-04 1975-07-17
JPS51103273U (ko) 1975-02-17 1976-08-18
JPH02152895A (ja) * 1988-11-30 1990-06-12 Nichifu Tanshi Kogyo:Kk 物品吊上げ具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194670A (ja) * 2004-01-08 2005-07-21 Shigeko Ichikawa スリングの編み込み端部の処理構造
KR100622043B1 (ko) * 2004-06-14 2006-09-0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방진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차량용 소음기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546B1 (ko) 2008-04-21
WO2008044855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8256982B2 (en) Thimble with element retaining feature
US8517439B2 (en) Detachable ears rope thimble
US9447843B2 (en) Belt or belt segment having an open end and attachment device therefor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US20060228170A1 (en) Joint equipment for steel reinforcing
CN104937308B (zh) 钢丝绳安装单元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101058400B1 (ko)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74304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000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MX2010006784A (es) Sistema para controlar elongacion de un conducto dentro del cual se transporta el material de flujo.
KR101447971B1 (ko)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KR101062788B1 (ko) 케이블 레이드 슬링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15937A1 (en) Fastening strap structure
KR20120061699A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13357B1 (ko) 와이어 로프 체결구
KR20110074406A (ko) 와이어 로프 슬링
CN116971492B (zh) 一种可承受重型、超重型吊载的预埋吊件及其施工方法
KR100275316B1 (ko) 하역장비 와이어로프의 고리성형방법 및 로크의 압착을 위한 금형장치
KR101716790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
KR102403436B1 (ko) 경첩식 사출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