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364A -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364A
KR20080029364A KR1020060095363A KR20060095363A KR20080029364A KR 20080029364 A KR20080029364 A KR 20080029364A KR 1020060095363 A KR1020060095363 A KR 1020060095363A KR 20060095363 A KR20060095363 A KR 20060095363A KR 20080029364 A KR20080029364 A KR 2008002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ound healing
low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107B1 (ko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6009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1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포활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 조직에 대한 항염효과 및 직접적인 상처치유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특징이 있다.
저백피, 상처치유, 화장료, 콜라겐, 항염, 세포활성

Description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Ailanthus altissima}
본 발명은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ECM)이 존재하여 탄력적인 성질을 갖는데, 무정형의 기질(glycosaminoglycans)과 여기에 박혀있는 교원질 및 탄력섬유 등의 섬유성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혈관계나 신경, 림프관 등의 맥관계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고 땀샘이나 피지선과 같은 표피부속기관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사람의 피부는 습도, 자외선, 노화, 질병, 스트레스 및 식습관 등의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항상 영향을 받는데, 상처와 같은 다양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인체는 몸에 상처가 생길 경우, 그 상처 부위를 어느 정도 스스로 방어하고 자가 치유를 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창상과 같은 외상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될 경우, 일정 수준 이하의 피부 손상은 자가 치유능력으로 회 복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피부손상은 세균의 감염 등과 같은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다른 질병으로 확산될 수도 있는 문제를 야기한다.
상처 치유는 손상을 받는 순간부터 활발히,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몇몇 세포 유형의 세포 증식 및 그 이동의 증가에 의해 촉진된다.
상처 치유에 관련된 메커니즘은 흔히 지혈, 염증, 증식 및 성숙의 4단계로 나뉜다.
지혈 단계에서는 지혈을 위해 상처부위의 혈관수축, 섬유소 침전, 혈전형성으로 출혈을 조절하고 감소시킨다. 세포와 혈관의 손상은 혈액을 콜라겐에 노출시켜 응고인자들을 활성화시켜 혈소판의 응집을 유도한다. 그 결과 피브린 덩어리가 생겨 더 이상의 혈액과 체액의 손실을 막고 일차적인 상처봉합을 제공한다.
염증반응 동안에는 백혈구가 축적되어 박테리아를 공격하고, 혈관벽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swelling)이 생긴다.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백혈구의 수는 감소한다. 단핵구는 백혈구를 대신하고, 대식세포 및 림프구는 성장인자(사이토카인) 및 다수의 화학물질, 예를 들어 히스타민, 세포토닌 및 프로스타글란딘을 방출하는데, 이들 물질은 상처 치유 과정의 조절을 돕는다.
증식 단계에서는 새로운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및 각질세포가 발생하고, 결합조직이 형성되고, 새로운 혈관이 성장하며, 손상 조직이 재생된다. 섬유아세포는 약 1주일 후에 우성으로 되고, 염증은 감소되며, 상처 부위 근처 조직의 강도는 빠르게 증가한다.
성숙단계 동안에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서 상처를 신속하게 흉터 없이 회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숙단계는 장시간 계속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조직이 재생된다. 콜라겐의 대사 회전율은 연령 증가에 따라 저하되어 세포외 기질의 경화의 원인이 된다.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은 세포외 기질(matrix)의 주요 성분으로 교원질(膠原質)이라고도 한다. 콜라겐은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결합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각 분자의 분자량이 약 10만인 폴리펩티드(polypeptide) 사슬 3개가 엉킨 견고한 3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피부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직접적인 항생제나 항염 물질들 이외에도 이러한 콜라겐을 직접적으로 보충하거나 피부 세포의 콜라겐 합성능을 증가시켜 효과적인 상처 치료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 유효성분으로서, 알로에 추출물, 항생물질, 항염증제, 칼리크레인, 아데닌, 니코틴산, 알란토인, 비타민 A, 아연, c-AMP유도체(일본국 특개소 제107935/1988호), 외인성 DNA(일본국 특개소 제505888/1988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처 치료를 위한 외용약으로는 포비돈 이오다인 또는 실버 설파디아진과 같은 항박테리아제, 네오마이신과 같은 항생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함유하는 화합물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항균제는 독성을 갖고 있고, 자극적이며, 단지 상처 부위의 감염만을 막을 뿐이다.
또한,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직접적으로 보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성물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제품들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상처치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상처치유기능의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 발암증식인자 (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Gardinale G. et al ., Adv Enzymol, 41, p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JP8-231370), 베툴린산 (betulinic acid)(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9-40523, JP10-36283)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에 제한이 있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상처 치유용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상처 치유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한편, 저백피 (Ailanthi Radicis Cortex)는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가중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의 소지(小枝), 수피 또는 근피(根皮)를 건조한 것으로 저근백피라고도 한다. 중국의 낙엽교목의 하나인 가중나무의 근피를 “저근피”, 수피를 “춘백피”라고 하는데, 가짜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 고도 한다. 가중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사할린, 몽골, 유럽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는 이질, 치질, 혈변, 위궤양 등에 사용된다.
저백피의 성상은 고르지 않은 모양으로 관상-반관상이며, 길이 3-10㎝, 너비 1-5㎝, 두께 2-5㎜이다. 바깥 면은 회백색-엷은 갈색으로 엉성하며, 때로는 코르크층이 떨어져서 황백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안쪽은 엷은 황색-엷은 갈색으로 매끄럽고 점 모양의 혹, 또는 작은 혹이 많이 배열되어 있으며, 때로는 파열되어서 작은 구벙을 이룬 것도 있다. 질(質)은 단단하면서도 연하며, 꺾은면은 매끈하지 않으며 섬유상이다. 꺾을 때에 강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매우 쓰다. 저백피의 화학적 구성성분은 스코폴레틴, 카볼린류, 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류 등이 있으며, 이소쿼시트린 (isoquercitrin), 칸틴-6-원 (canthin-6-one), 칸틴-6-앤-3-옥사이드 (canthin-6-and-3-oxide), 콰시인 (quassin)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콜라겐 합성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성분이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종래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4704호(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에이즈 억제 및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및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9746호(호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으나, 저백피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촉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특허는 종래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촉진시키고, 항염작용을 함으로써, 상처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부작용이 적은 여러 천연물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저백피 추출물에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 촉진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항염증 효과 및 상처치유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고 화장품으로서 개발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백피는 가중나무의 소지(小枝), 수피 또는 근피(根皮)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원료를 건조 분쇄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방법이라면, 특정의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저백피를 추출용매에 넣고, 가온시켜 저백피의 유효성분들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출용매로는 유효성분들을 추출해낼 수 있는 용매라면 특정의 용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및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다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은 가온 추출이나 추가로 감압 농축하여 액상으로 얻어지거나 동결건조, 분무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저백피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의 제형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로 이용되는 일반적인 제형이면 모두 응용이 가능하며, 특별히, 크림, 로션, 에센스, 폼, 화장수, 유연수, 젤,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세정료,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등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일 반적인 성분인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항산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의 효능으로서 인간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MTT 에세이(assay)를 통해 측정하였다. MTT 에세이는 세포의 성장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세포활성이 촉진되면 세포의 성장 속도가 빨라져서 검출되는 값이 커지므로, 저백피 추출물이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시험예 1에서는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아리신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마늘 추출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에도 세포활성 촉진능이 있는지를 비교하였는데, 실험결과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이 마늘 추출물과 비슷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이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해 콜라겐 합성 촉진능이 있는지를 시험예 2를 통해 확인하였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의 유도를 하며, 상처 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정도를 검사함으로써, 저백피 추출물이 상처 치유과정에 유효한 물질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 저백피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조사하고자, 콜라겐 합성에 필요한 효소인 수산화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환원제의 성질에 의해 세포내의 수용성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 C를 0.005 중량% 농도로 처리한 것과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비타민 C를 적용한 경우보다 적은 농도로도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 저백피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5주령 웅성 랫트(rat)를 이용하여 장력강도법을 사용하여 창상 치유효과를 시험예 4를 통해 조사하였다. 장력강도법은 상처부위의 재생과 질과 양을 측정할 때 쓰는 방법으로서 저백피 추출물을 도포한 후 창상의 치유 정도를 알아 봄을 통해, 저백피 추출물이 직접적인 상처 치유과정에 관여하여 창상을 치유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측정 결과, 창상 부위에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을 도포한 경우가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창상 치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헤어리스 마우스의 이어 스웰링(ear swelling)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 저백피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하기 시험예 3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어 스웰링 방법은 마우스의 귀에 상처를 낸 후 아라키도닉산(arachidonic acid)을 바른 후 귀부종(ear edema)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기 시험예 3에서는 마우스 귀의 상처 부위에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을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상처 치유 과정에서 효과적 인 항염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이 일반적인 항염제로 알려진 인도메타신을 처리한 것에 비해 적은 농도로도 비슷한 저해율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본 발명 저백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유발관련 효소인 히아루로니디아제의 효소 활성 억제효과를 하기 시험예 5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발명 저백피 추출물의 효과를 관절염, 항염증효과에 탁월하며, 항암효과, 노화방지 뿐만 아니라 면역강화작용이 있는 물질로서 특히, 히아루로니디아제 저해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시소(차조기)를 비교예로 사용하여 확인하였는데, 시소 추출물에 비해 저백피 추출물은 히아루로니디아제 저해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제조예, 시험예,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제조예, 시험예, 실시예에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저백피 추출물 제조
건조된 저백피 1kg을 에탄올(70% 에탄올) 10L에 넣고,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4시간 가온 추출하여 90g의 에탄올 추출 건고물을 얻었다.
시험예 1: 세포활성 촉진 효과 시험
본 시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백피 추출물의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1×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24공 평판 배양기에 접종한 후, 각 웰(well)에 배지 총 중량 대비 물 0.01 중량% 처리한 것(음성 대조군), 저백피 추출물 0.01 중량%를 처리한 것, 마늘추출물 0.01 중량%를 처리한 것(양성 대조군) 각각을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액시드-이소프로판올(acid-isopropanol)을 첨가한 후 푸른색의 포마잔(formazan)이 용출되도록 하여 흡광광도계(ELx800, BIO-TEK Instruments, USA)로 5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1과 같다.
세포활성(%)=(추출물 처리군의 반응 흡광도/대조군 반응 흡광도)×100
시료명 세포활성(%)
저백피 추출물 0.01 중량% 160
마늘추출물 0.01 중량% 150
* 반복 시험수 = 3
표 1과 같이 시험한 모든 시료에서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저백피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세포활성이 촉진되는 것으로 보아, 저백피 추출물은 우수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백피 추출물은 세포활성 촉진 원료로 알려진 마늘 추출물과 비슷한 우수한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시험
본 시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백피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2.5%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와 인간의 섬유아세포(5000세포/웰(cells/well))를 넣고, 70-80%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각 웰(well)에 배지 총 중량 대비 물 0.01 중량 % 처리한 것(음성 대조군), 비타민 C 0.005 중량 %(양성 대조군)를 처리한 것, 저백피 추출물을 각각 0.01 중량 % 및 0.001 중량 %의 농도로 처리한 것 각각을 1일 배양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MK 101, Takara Shuzo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우선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배양기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배양기에 넣고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발색시키고, 1M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켰다. 반응색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진하기가 달라진다. 노란색을 띤 96공 평판배양기를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고,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겐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콜라겐 합성 효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과 같다.
콜라겐 합성(%) = (추출물 처리군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 × 100
시료 적용농도(중량%) 콜라겐 합성(%)
저백피 추출물 0.01 153
저백피 추출물 0.001 125
대조군 - -
비타민 C 0.005 130.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백피 추출물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적용한 경우보다 적은 농도로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염 효과 시험
본 시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백피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헤어리스 마우스의 이어 스웰링(ear swelling)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개체의 왼쪽 귀를 대조부위로 하고, 오른쪽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하기 전 양쪽 귀를 3회 측정하였다.
제조예1로 얻은 에탄올 추출 건고물을 부틸렌글리콜에 0.5 중량 % 및 1 중량 %로 녹인 저백피 추출물(각각 다른 마우스를 이용하는 실험군이며 저백피 추출 건고물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은 동일함)을 마우스의 오른쪽 귀에 20㎕/ear 발라주고, 왼쪽 귀에는 음성 대조군으로 부틸렌글리콜을 20㎕/ear를 발라주었다.
1시간 경과 후 양쪽 귀에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 발라주었다. 또 다시 1시간 경과 후 귀부종(ear edema)의 정도를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를 이용하여 3회씩 측정하였다.
또한, 항염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일반적인 항염제로 알려진 인도메타신(indomethacine)을 동일 방법으로 처리(양성 대조군)하여 측정을 하였다.
항염효과는 대조부위에 대한 시험부위의 귀 두께 측정치로써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하여 저해율로 표 3에 나타내었다.
저해율 (%) = (시험부위 귀 두께/대조부위 귀 두께) × 100
시료 적용농도(중량%) 저해율(%)
저백피 추출물 1 45
저백피 추출물 0.5 50
인도메타신 1 51
항염효과를 측정한 저백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항염제인 인도메타신보다 적은 농도로도 비슷한 저해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염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콜라겐 생합성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 시험
본 시험예에서는 5주령 웅성 랫트(rat)를 이용하여 절개창에 있어서 상처부위의 재생과 질과 양을 잘 반영하는 장력강도법을 사용하여 저백피 추출물의 창상 치유효과를 시험하였다. 랫트의 등부위의 털을 제거한 후 메스로 절개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백피 추출 건고물을 부틸렌글리콜에 1 중량 %로 녹인 후, 매일 1회 0.5㎖/㎠씩 6일간 절개 부위에 도포하였다. 6일 후 실험에 이용된 랫트를 도살하고 창상 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철창선에 직교하는 폭 1㎝의 피부편을 개체마다 3표본씩 만든 후 장력측정기(rheometer)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장강도(Tensil strength, g/㎝)를 재생된 콜라겐 섬유의 강도를 지표로 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의 증가율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동량의 부틸렌글리콜만을 적용한 음성 대조군의 인장강도를 100%로 하여 상대적 강도로써 나타내었다.
시료 인장강도(g/cm) 증가율(%)
대조군 550 100
저백피 추출물 690 125
표 4의 결과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백피 추출물이 랫트에 있어서 창상 치유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시험예 5: 염증유발관련 효소( hyaluronidase ) 활성 억제효과 시험
본 시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백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유발관련 효소인 히아루로니디아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판단한 것이다.
히아루로니디아제(hyaluronidase)는 히아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염증을 유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예에서는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측정하는 방법(Kakegawa Y., Japanese J. of Inflammation , 4:437-438, 1984)을 응용해 항염효과를 판정하였다.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한 저백피 추출 건고물과 시소 추출물(양성 대조군)을 시료로 사용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동량의 부틸렌글리콜만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들의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제해활성은 다음과 행하였다.
시료 100㎕와 히아루로니디아제 용액(type Ⅳ-S, Sigma, 400 U/㎖)을 50㎕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화용액(compound 48/80 CaCl2)·2H2O, Sigma, 0.1㎎/㎖)을 100㎕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이어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용액(0.4㎎/㎖)을 250㎕ 넣고 37℃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0.4N NaOH 100㎕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킨다. 포타슘보레이트 용액을 100㎕를 첨가하여 95℃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ρ-디메틸아키노벤즈알데히드 용액을 3㎖ 넣고 다시 20분간 37℃에서 반응시켜 발색시킨다.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히아루로니디아제에 대한 저해율(%)은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히아루로니디아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저해율(%) = [(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효소 활성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효소 활성
시료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효과(IC50), %
저백피 추출물 0.06
시소 추출물 0.58
표 5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히아루로니디아제 효소활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저백피 추출물의 IC50값은 0.06%로 나타나 히아루로니디아제 저해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기존의 항염증제인 시소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의 몇 가지 제형 예를 들어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에몰리언트 크림
표 6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제조예 1의 저백피 추출물이 포함된 나)항의 원료들을 가하고, 70℃로 가열하여 수상을 만들었다. 가)항의 원료들을 모두 혼합한 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켜서 유상을 만들었다.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가하여 예비 유화를 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였다. 이후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30℃로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
비스왁스 6.0
세로스테아릴알코올 5.0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8.0
유동파라핀 14.0
사이클로디메치콘 0.5
스쿠알란 6.0
글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5
폴리옥시에칠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2.5
향료 적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6
색소 0.0004
농글리세린 3.0
프로필렌글리콜 2.0
디소디움히아루노네이트(5%) 2.0
저백피 추출물 1.0
L-세린(1%) 1.0
정제수 적량
실시예 2: 에몰리언트 로션
표 7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제조예 1의 저백피 추출물이 포함된 나)항의 원료들을 가하고, 70℃로 가열하여 수상을 만들었다. 가)항의 원료들을 모두 혼합한 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켜서 유상을 만들었다.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가하여 예비 유화를 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다음, 28℃로 냉각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
스테아린산 2.5
세로스테아릴알코올 5.0
유동파라핀 6.0
멀티 왁스 2.0
카르릴릭/카르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페닐디메치콘 0.5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0.8
모노오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2.2
향료 0.06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3
색소 0.0002
농글리세린 3.5
1,3-부틸렌글리콜 1.0
디소디움히아루노네이트(5%) 2.0
저백피 추출물 1.5
L-시스테인 염산염(1%)위치하젤 추출물 1.5
정제수 적량
실시예 3: 화장수
표 8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제조예 1의 저백피 추출물이 포함된 가)항의 원료들을 가하고, 용해시켜서 수상을 만들었다. 에탄올에 나)항의 원료들을 모두 혼합하고 용해시켜서 알코올상을 만들었다. 수상에 알코올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
농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1.0
알란토인 0.05
DL-판테놀 0.1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0.2
오이추출물 0.1
녹차추출물 0.15
L-글루타민 산(1%) 2.0
저백피 추출물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05
에탄올(95%) 10.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06
트리에탄올아민 0.05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5
메칠페닐폴리실록산 0.1
0.12
색소 0.0005
정제수 적량
실시예 4: 아스트리젠트
표 9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제조예 1의 저백피 추출물이 포함된 가)항의 원료들을 가하고, 용해시켜서 수상을 만들었다. 에탄올에 나)항의 원료들을 모두 혼합하고 용해시켜서 알코올상을 만들었다. 수상에 알코올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아지믹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아스트리젠트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
농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0.5
벤조페논-9 0.03
DL-판테놀 0.15
아이비추출물 0.1
혼합식물 추출물 0.15
유용성 감초추출물 0.02
해조추출물 0.03
저백피 추출물 1.0
L-아르기닌 산(1.0%) 2.5
에탄올(95%) 15.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옥틸도데세스-16 0.2
콜레스-24 0.1
0.13
색소 0.0003
정제수 적량
실시예 5: 에센스
표 10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가)항의 원료 중 산탄검과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가하고 충분히 분산시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기에 제조예 1의 저백피 추출물이 포함된 가)항의 나머지 원료들을 혼합하여 수상을 만들었다. 에탄올에 나)항의 원료들을 모두 혼합하고 용해시켜서 알코올상을 만들었다. 수상에 알코올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아지믹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
농글리세린 10.0
1,3-부틸렌글리콜 3.5
알란토인 0.05
DL-판테놀 0.15
세로마틴 0.05
벤조페논-9 0.05
세라마이드 0.02
해조추출물 0.03
저백피 추출물 2.0
아미노산복합체(1%) 2.0
흉선펩타이드 0.2
산탄검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7
에탄올(95%) 9.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45
초산토코페롤 0.2
메칠페닐폴리실록산 0.2
트리에탄올아민 0.17
0.08
색소 0.0002
정제수 적량
상기의 제형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피부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을 촉진하고,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질 뿐 아니라, 피부 조직에 대한 항염효과 및 직접적인 상처치유효과가 있는 우수한 특징이 있는바,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저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단독 또는 병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상 추출물, 농축 액상 추출물, 동결건조 분말 및 분무건조 분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로션, 에센스, 폼, 화장수, 유연수, 젤,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누, 액체세정료,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 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백피 추출물의 양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95363A 2006-09-29 2006-09-29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63A KR100828107B1 (ko) 2006-09-29 2006-09-29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63A KR100828107B1 (ko) 2006-09-29 2006-09-29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64A true KR20080029364A (ko) 2008-04-03
KR100828107B1 KR100828107B1 (ko) 2008-05-08

Family

ID=3953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363A KR100828107B1 (ko) 2006-09-29 2006-09-29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9746A (zh) * 2012-04-19 2012-09-12 山东省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种臭椿花提取物与其活性成分短叶苏木酚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522369B1 (ko) * 2014-08-28 2015-05-21 주식회사 웰코스 저백피 및 솔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89872A (ko) * 2017-02-01 2018-08-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90090242A (ko) * 2018-01-24 2019-08-01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20091295A1 (ko) * 2018-10-29 2020-05-07 (주)아모레퍼시픽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20251478A1 (en) * 2019-06-10 2020-12-17 Yucedag Tamer Natural wound oinment
KR20220069181A (ko) 2020-11-19 2022-05-27 조성준 한약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531B2 (ja) * 1988-06-23 1994-11-30 株式会社太田胃散 抗潰瘍剤
AU675629B2 (en) * 1992-09-21 1997-02-13 Laboratorios Leti S.A. A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aqueous extracts containing allergenically active proteins, extracts obtainable according to this process as well as their us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9746A (zh) * 2012-04-19 2012-09-12 山东省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种臭椿花提取物与其活性成分短叶苏木酚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522369B1 (ko) * 2014-08-28 2015-05-21 주식회사 웰코스 저백피 및 솔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89872A (ko) * 2017-02-01 2018-08-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90090242A (ko) * 2018-01-24 2019-08-01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20091295A1 (ko) * 2018-10-29 2020-05-07 (주)아모레퍼시픽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20251478A1 (en) * 2019-06-10 2020-12-17 Yucedag Tamer Natural wound oinment
KR20220069181A (ko) 2020-11-19 2022-05-27 조성준 한약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107B1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9223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magp-1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US8722108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arob as active agent for activating aquaporin expression
KR100828107B1 (ko) 저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152724B (zh)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0853761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TW201206494A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JP2010504299A (ja) マトリプターゼ発現を刺激する活性剤の化粧上での使用
WO2006112224A1 (ja) スイートピー抽出物含有化粧料
KR102349786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510908A (ja) 皮膚の老化を抑制するためのfn3kおよび/またはfn3krpの発現を刺激するための有効薬剤の使用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CN110603031A (zh) 红毛丹提取物在增加皮肤和/或粘膜的紧致性中的用途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00103479A (ko)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JP3676813B2 (ja) ベルトレティア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用又は薬用、特に皮膚科用組成物
KR102202391B1 (ko) 상처 치유 및 피부 병변 회복을 위한 알라닌-글루타민, 히알루론산, 귀리 추출물의 상승적 조합 및 조성물로서의 용도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2334142A (zh) 包含β-葡聚糖、甘氨酸及4′,6,7-三甲氧基异黄酮的创伤治疗或皮肤活性用药学组合物
JP20030125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阻害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肌荒れ改善化粧料
JP2008255078A (ja) 保湿剤、抗老化剤、美白剤、抗酸化剤、痩身剤、トリートメント剤、アルギナーゼ活性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JP4610705B2 (ja) 皮膚外用剤
KR20160122052A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JP5610681B2 (ja) 中性脂肪蓄積抑制剤
JP5247548B2 (ja) 保湿剤、抗老化剤、中性脂肪蓄積抑制剤、美白剤、抗炎症剤、皮膚外用剤、経口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