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479A -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479A
KR20100103479A KR1020107011810A KR20107011810A KR20100103479A KR 20100103479 A KR20100103479 A KR 20100103479A KR 1020107011810 A KR1020107011810 A KR 1020107011810A KR 20107011810 A KR20107011810 A KR 20107011810A KR 20100103479 A KR20100103479 A KR 2010010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banda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519B1 (ko
Inventor
비흐지니 레프랑쿠아이스
낭시 소뱅
비흐지니 페셰
프랑수와 제라르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0010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 반데 테레스(Vanda teres)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얻어진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상피 및 진피의 상부 층의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의 분해를 제한함에 의해, 및/또는 피부의 노화 효과, 특히 주름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및/또는 피부에 대한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또는 재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및/또는 항염증성 제제로서 이들 조성물과 추출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에 대한 화장적 케어, 특히 피부의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orchid extract, and cosmetic care method using said composition}
본 발명은 오르키드(orchid; 난초과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르키드(Orchidaceae; 난초목 난초과)는 유익한 특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해, 화장품 또는 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조사연구의 대상이 된다.
반다 속(Vanda genus)의 오르키드는 아시아 및 오스트랄리아의 적도 숲에서의 착생하는 또는 석상성의 오르키드이다.
이들은 높은 대기의 습도를 갖는 낮은 고도의 숲의 단축분지 오르키드이다.
이 속은 많은 잡종을 갖는 약 오십 종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반다 속 식물에 대한 연구는 지역 국민 들에 의한 이들 식물의 민간 지식과 용도에 기초되어 왔다.
따라서, Bulpitt ("The uses and misuses of orchids in medicine", QJM, 2005, 98 (9), 625-31)은 오르키드 반다 코어울레아(Vanda coerulea)는 인도 약전에 일부로 기록되어 있지만 인용하는 문헌은 없다고 지적했다.
저자는, 놀랍게도 그리고 식물의 조직에 존재하는 다수의 다른 알카로이드에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의학적 용도가 입증되어 진 것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Manandhar 등 (Fitoterapia, 1994, 65 (1), 7-13)은 네팔의 카스피 지역에서 반다 크리스타타(Vanda cristata)를 식물에 기초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베이고 상처입은 것을 치료하기 위한 사용을 기술하였다.
Sigh 등은 인도의 우타르 프라데쉬(Uttar Pradesh) 지역에 메이니털(Nainital) 구역의 타루(Tharu) 부족에 의하여 사용된 약용 식물로 전통적인 식물요법을 연구하였다 (Int. J. Pharmacogn., 1994 32 1, 51-58).
이들 저자들은 전체 식물로부터 얻어지고 골절의 영역에 염과 같이 적용되는 반다 테살라타(Vanda tessallata)(유사어; 반다 록스버르기(Vanda roxburghii))에 기초된 페이스트의 용도를 기술한다.
공보는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경구로 투여되는 이 동일 식물의 수성 추출물의 용도를 기술한다.
식물 반다 록스버르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이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257056호에 기술되어져 있으며, 이 추출물은 이 조성물에서 피부 노화의 치료를 위한 에스트로겐성 제제로서 사용되어 진다.
Chawla 등(Ind. J. Pharm. Sci., 1992, 54 (4), 159-61)은 반다 록스버르기 뿌리로부터 얻어진 유기용매-기재 추출물의 항염증성 특성을 기술한다.
이들 추출물은 각각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로부터 얻어진다.
저자들은 에테르 추출물에서의 알킬 퍼울레이트, 더욱 자세하게는 아세틸테트라코실 퍼울레이트의 존재와, 그리고 클로로포름 추출물에서 베타-실로스테롤-D-글루코사이드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항염증성 활성은 공보 Indian J. Chem , Chawla et al ., 1991, 30B, 773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이들 추출물들은 다양한 정도와 그리고 이부프로펜의 것보다 낮은 항염증성 활성을 갖는다.
오르키드 반다 테레스(Vanda teres)는 거의 과학적 공보에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것은 인도의 져널 "Environment and Ecoplanning (2007), 13 (1-2), 91-100"에 식물 파필리온난쓰 테레스(Papilionanthe teres ((반데스 테라스의 유사어))의 추출물이 고열이 있는 환자의 이마에 이것을 적용함에 의해 중증장애를 치료하는 것과 그리고 더욱이 이 동일한 식물의 줄기 추출물이 감기 몰살을 대해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다양한 오르키드 핵형의 분석적 연구에 관한 미국의 식물학 저널 Volume 50, n° 1, 페이지 73-79, 1963에 "Karyotype analysis of some sarcanthine orchids"라는 명칭으로 된 공보에는 무엇보다도 반다 테레스를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본 발명자 등에 의해 전혀 기대하지 못한 것으로, 종 반다 테레스의 오르키드가 현저한 화장품 및 피부학적 활성, 특히 현저한 항염증성 특성과 연계하여 피부 노화 현상의 발현을 현저한 방지 또는 늦추는 특성을 나타낸다 것이 밝혀졌다.
본 출원인은 따라서 특히 반다 테레스의 추출물이 화장품의 분야에서, 상기 추출물이 피부의 전체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활성의 관점에서 특히 유용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이 추출물이 무엇보다도 세포질 외 매트릭스의 콜라겐 섬유의 분해에 대해 책임을 가지는 MMP-2 및 9 메탈로프로테이나제 효소를 방해하고 그리고 IL-10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들 다양한 활성은 피부 노화 신호의 발현에 예방적이고 그리고 늦추는 효과로 귀결되어 진다.
이들의 기대 외의 특성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염증 매개자, 특히 인터류이킨 8 (IL-8)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의 분비의 저해를 통해 항염증성 활성을 나타낸다.
반다 테레스의 오르키드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서 활성 제제로서, 그리고 피부노화의 효과를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얼굴 또는 신체의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 추출물은 또한 유익하기로는 그의 현저한 항염증성 특성으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피부 노화의 효과를 감소하거나 지연할 수 있는, 보다 자세하게는 피부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피부 염증을 대처할 수 있는 신규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와 상기 활성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산업적 및 화장품적 규모로 사용될 수 있는 특히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의 해결책에 의해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에 국부적인 적용을 할 수 있는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에 용액으로 또는 분산으로, 종 반다 테레스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 부터 얻어진, 반다 속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상피 및 진피의 상부 층의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의 분해를 제한함에 의해, 및/또는 피부의 노화 효과, 특히 주름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및/또는 피부에 대한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또는 재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및/또는 항염증성 제제로서, 화장품이나 피부학적 조성물에 이 추출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일 측면의 대상인 화장품의 조성물을 신체 또는 피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에 대한 화장 케어 방법으로, 특히 피부 노화 현상의 발현의 방지 또는 지연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은 피부 노화의 효과를 감소하거나 지연할 수 있고 또한 피부 염증을 대처할 수 있는 신규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특히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일 대상은 따라서 종 반다 테레스의 오르키드로부터 형성된 식물 물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이다.
사용된 식물 물질은 식물의 전체로 또는 잎, 줄기, 꽃이나 뿌리와 같은 식물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추출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오르키드의 줄기 및/또는 뿌리 및/또는 잎,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줄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추출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알려진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질 수 있다.
그리나, 추출은 선택된 식물 물질을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어 진다.
적어도 일 부분의 식물을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와 접촉시키는 단계에 앞서, 이 식물 부분은 임의적으로 건조되어 지거나 및/또는 마쇄되어 질 수 있다.
추출의 단계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로서 물, C1-C4 알코올로 예를 들어 에탄올, 그리고 C2 내지 C6 글리콜로 바람직하기로는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에서 선택되어 진 것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진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이 유익하기로는 선택되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출은 수성-알코올 혼합물, 특히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 바람직하기로는 물과 에탄올의 각각의 약 90/10 v/v의 비율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추출은 또한 미임계 상태에서 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과정에 따라 수행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유익하기로는 미임계 상태에서 물이다.
추출 단계 그 자체에 앞서, 식물 물질은 건조되어 지거나 및/또는 마쇄되어 질 수 있다.
본 추출의 일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물 물질은 건조되어 마쇄된 상태이다.
추출은 또한 임의적으로 추출물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탈색하거나 또는 정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출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탈색 단계는, 예를 들어 추출물을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의 혼합물의 용액으로 처리하는 것, 특히 활성 탄소 입자의 존재하에서 약 70/30 v/v의 비율로 에탄올/물의 용액으로 처리로 구성될 수 있다.
추출은 추출 용매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제거의 단계로 성취되어 질 수 있다.
제일의 경우에 있어서, 추출은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의 유의성 있는 양이 제거된 수성 농도가 얻어질 때까지 농축되어 지고; 제이의 경우에, 건조 잔사가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이 추출 단계의 제품은 분말의 형태로 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동결건조되어 지거나 또는 원자화되어 질 수 있다.
분말은 그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사용되어 질 수 있거나 또는 용매나 용매의 혼합물에 분산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출 단계의 제품은 본 발명의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 활성 제제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에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되어 질 수 있다.
추출물이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되어 있는 용매나 용매의 혼합물은 추출에서 작용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유익하기로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나일론 파우더, 마이카 또는 라멜라 광물 기질로부터 선택되어 진 지지체 상에 흡수되어 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된 추출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수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유효량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0.00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1%의 반다 테레스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시험은 반다 테레스의 추출물의 존재와 연관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성이 또한 추출물이 본 발명의 추출물에 유사하거나 및/또는 보충적인 화장품학적 효과를 갖는 다른 활성 제제와 조합하여,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 얻어질 수 있거나 또는 개선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피부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다른 활성 제제와 조합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유익하기로는 UVA 및/또는 UVB 스크린, 프리-라디칼 스카벤져 기질, 진정제, 합병증을 완화하거나 및/또는 피부의 색소 질환을 조절하기 위한 기질 및 보습효과를 가지는 기질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제제와 조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 등은 또한, 그 조성물에 반다 테레스 식물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추출물의 존재와 연관된 현저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특성이 아주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 조성물이 또한 오르키드 과(Orchidaceae)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식물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때에 더욱 크게 개선되어 진다는 것을 밝혔다.
오르키드 과에 속하는 다른 식물의 이 부수적인 추출물은 특히 반다 속의 적어도 하나의 오르키드 추출물일 수 있고, 더욱 특히는 종 반다 데니소니아나(Vanda denisoniana)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추출물 및/또는 종 반다 코어룰레아(Vanda coerulea)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시에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반다 속의 다른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 그리고 임의적으로 오르키드 과에 속하는 다른 식물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과 조합한 식물 반다 테레스의 적어도 일부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하게 유익한 변형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 및/또는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을,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 및/또는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추출물과 조합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시험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물에 반다 속의 다른 오르키드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과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반다 테레스 추출물의 존재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개선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특성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자 등은 더욱이,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반다 속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출물과 적어도 하나의 반다 레스 추출물을 혼합함에 의해 실질적인 상승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에 의해 수행된 시험은 반다 테레스 뿌리의 추출물이, 마치 이들 부분이 그 자체에 있어서는 가장 식물의 활성적 부분이 아닌 것처럼, 반다 속의 식물의 추출물에서 관찰된 피부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하는 특성이나 항염증 특성을 상당하게 개선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의성 있는 개선을 야기하거나 또는 더욱이는 실질적인 상승효과를 생성하는 조합의 실시예의 수단에 의해,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 및/또는 뿌리 추출물 및/또는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추출물과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의 조합이 언급되어 질 것이다.
특히는, 조성물에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 반다 데니 소니아나 줄기 추출물 및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추출물을 아주 다양하게 될 수 있는 비율로 혼합함에 의해, 피부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하는 것에 관해 그리고 항염증 특성의 양자에 관해 실질적인 상승효과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질 것이라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부가하여, 상기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은 안료, 염료, 폴리머, 계면 활성제, 유동화제, 향료, 전해질, pH 조정제, 항산화제 및 보존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학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세럼, 로션, 에멀젼, 크림으로 특히는 색조 크림, 또는 하이드로겔로 특히는 마스크로 되어 질 수 있거나 또는 스틱 또는 패치와 같은 형태로 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효과를 감소하거나 지연하기에 특히 바람직하고, 그리고 특히 이들이 얼굴이나 신체의 피부에 적용되어 질 때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재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상피 및 진피의 상부 층의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의 분해를 제한함에 의해, 및/또는 피부의 노화 효과, 특히 주름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및/또는 피부에 대한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또는 재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및/또는 항염증성 제제로서 상기에 정의된 추출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실시예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출원인은, 임의적으로 다른 반다 추출물과 부가적으로 조합한 식물 반다 테레스의 추출물의 다음에 리스트된 활성을 개선하는 이점을 입증하였다:
- 염증반응 조절제 IL-8 및 PGE2의 분비 저해를 통한 항염증 활성,
- 프리-라디칼 스카벤져 특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된 손상에 대해 피부를 보호함,
-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세포 외 매트릭스의 섬유인 피브로넥틴 섬유와 콜라겐 타입 I 섬유의 합성,
- 세포 외 매트릭스의 섬유를 분해하는 MMP-2 및 9 효소의 저해.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상피 및 진피의 상부 층의 세포질 외의 단백질 매트릭스의 분해를 제한함에 의해, 그리고 따라서 피부의 노화 효과, 특히 주름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또는 재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생산을 위해 또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상기에 정의된 반다 테레스 추출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피부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특히는 피브로넥틴 합성을 자극함에 의해, 콜라겐 섬유 분해를 하는 MMP-2 및 9 효소를 저해함에 의해 그리고 인터류이킨 IL-10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함에 의해 피부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상기 추출물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케어 방법이다.
상기 화장품 케어 방법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얼굴이나 신체의 관련된 적어도 일 부분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달리 명시하는 바가 없으면 모든 백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주어지는 것이고, 온도는 섭씨 온도이며, 그리고 압력은 대기압이다.
반다 속의 오르키드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제조되어 지는 식물 물질은 식물의 전체 또는 식물의 일 부분의 추출물 형태로 다른 식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식물은 반다 속 이외의 속의 오르키드 뿐 아니라 반다 속의 오르키드에 대해 입증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보충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이 알려진 다른 과의 식물일 수 있다.
그 추출물이 피부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한 피부 노화의 효과 또는 주름의 작용을 지연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이 특히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단순하게 상세한 설명을 목적으로 주어지고 그리고 따라서 발명의 범주의 제한을 결코 구성하지 않는, 추출물의 제조의 예를 참고로 주어지고 그리고 이런 추출물을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예로 다음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되어 질 것이다.
실시예
I. 추출물의 조제
실시예 1: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n° 1)의 조제
건조 상태에 있는 식물 물질(식물 줄기)을 바로 마쇄하였다.
10g의 마쇄된 식물이, 그 안에 150mL의 에탄올/물 혼합물(90/10 v/v)이 사입되어 진 250mL의 둥근 바닥의 플라스크에 사입되어 진다.
자석 교반자가 있는 볼 콘덴서로 덮여진 둥근 바닥의 플라스크는 항온조에 위치되어 지고, 그런 다음 용매의 환류를 위해 가열되어 진다.
환류는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유지되어 진다.
일단 가열이 중단되어 지면, 라운드 바닥 플라스크는 배쓰의 외부 대기 온도로 냉각되어 진다.
혼합물은 그런 다음 왓트만 70㎛ GF/F 필터를 장착한 뷔흐너 깔대기와 타르된 플라스크를 통해 진공 여과되어 지고: 여액 1이 얻어진다.
케이크는 뷔흐너 깔대기 상에서 50mL의 추출 용매로 수세되고: 여액 2가 얻어진다.
두 가지의 여액은 혼합되어 지고 계량되어 진다.
이렇게 얻어진 여액은 미리-타르된 둥근 바닥의 플라스크에 사입되어 지고, 그리고 그런 다음 50℃의 최대온도에 위치된 수조 내의 회전식 증류기 상에서 농축되어 건조되어 진다.
건조된 잔사가 얻어지고, 사입된 건조 식물의 질량에 대해 질량으로 추출 수율을 결정하기 위해 정량되어 진다.
건조된 상태에서 100g의 출발 식물 물질 당 얻어진 건조 추출물의 질량으로 표시된 추출 수율은 12.4이다.
실시예 2: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n° 2)의 조제
실시예 1의 추출물 n°1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이 사용되지만, 그러나 반다 테레스 뿌리를 구성하는 식물 물질이 적용되었다.
추출물은 이후에서부터는 본 발명의 추출물 n° 2로 지칭되고, 추출 수울 14.8로 얻어졌다.
실시예 3: 반다 속의 식물의 부분의 다른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추출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반다 테레스반다 코어룰레아의 다양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10.6의 추출 수율)
-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추출물(10.6의 추출 수율)
- 반다 코어룰레아 뿌리 추출물.
이들 다양한 추출물은, 별개로 또는 실시예 1의 추출물과 및/또는 실시예 2의 추출물과 다양한 비율로 조합되어 혼합물로 다음의 실시예에서 사용되어 질 것이다.
II . 활성 시험의 프로토콜 및 물질과 방법
추출물을 사용하기 위한 복용량은 두 가지의 세포 라인인 HaCaT 세로 (생체 외에서 영속된 케라티노사이트의 라인) 및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 (NHFs)의 세포 배양에 대한 XTT 시험 (시약: Tetrazolium salt)의 수단에 의해 결정되어 졌다.
1. 염증반응 마커
1-1) 인터류이킨 -8 ( IL -8)의 분석
염증반응은 기계적 또는 감염성 특성의 공격에 대한 정상적이고 즉흥적인 생리학적 반응이다.
산소 프리 라디칼(ROSs)의 과잉 생산은 전-염증성 현상을 형성하는 어떤 사이토킨류의 방출을 유도하여, 피부 노화의 가속화를 초래한다.
인터류이킨-8 (IL-8)에서의 증가가 그런 다음 상피: 염증반응에 포함되어 진 세포를 공격하는 케모택틱 기울기(chemotactic gradient)를 만드는, IL-8를 포함하는 사이토킨류를 분비함에 의해 면역 방어에서 활동적으로 참여하는 케라티노사이트류: T 림포사이트류, 뉴트로필류 등에서 관찰되어 질 수 있다. 이것은 인터류이킨-1b로 자극되어 질 때 케라티노사이트류가 IL-8을 발현하고 분비한다는 것이 입증되어 진다.
ㆍ프로토콜
HaCaT 세포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0 000 세포/웰 (보충 KSFM 배양배지, Gibco)의 비율로 접종되어 졌다. 플레이트는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37℃ 및 5% CO2)에 위치되어 진다.
XTT 시험에 의해 결정된 사용에 대한 복용량으로 시험된 추출물이, 배양 배지에서 적절하게 희석되어 진 후 세포와 접촉되게 된다.
동행하여, 세포는 IL-1b의 25ng/mL (R&D Systems)로 자극되어 진다.
일 컬럼은 0.39 mg/mL의 코러캘시퍼롤(cholecalciferol)(Sigma)으로 처리되어 지고, 그리고 (양성 대조군을 얻기 위해) 자극되어 지고, 그리고 일 컬럼은 비처리되어 지고 IL-1b로 자극되어 진다.
비처리된 세포 컬럼은 가용성화 용매 DMSO와 접촉되어 지게 한다(대조 상태).
제품의 각 농도, 양성 대조군과 처리-프리 대조는 정상 인간 케라티노사이트류(NHKs)의 네 개의 웰 상에서 평가되어 졌다.
처리 24시간 후, 배양 상등액이 샘플되어 지고 그리고 -20℃에서 저장되어 진다.
분석은 "Human IL-8/ NAP-1 ELISA" 키트 (Abcys)에 기술되어 진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어 졌다.
이 시험은 450nm에서 스펙트로포토메터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흡광도에 비례하여, 상등액에 존재하는 IL-8의 양을 분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2) 프로스타글란딘 E2 ( PGE2 )의 분석
PGE2의 준위의 증가는 염증반응 또는 어떤 암과 같은 어떤 병리학적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PGE2는 조직 손상 동안에 염증성 반응 현상의 주요한 매개자이다.
ㆍ프로토콜
HaCaT 세포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0 000 세포/웰 (보충 KSFM 배양배지, Gibco)의 비율로 접종되어 졌다.
플레이트는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37℃ 및 5% CO2)에 위치되어 진다.
시험된 추출물이, 배양 배지에서 적절하게 희석되어 진 후 세포와 접촉되게 된다.
일 컬럼은 양성 대조군을 얻기 위해 1㎍/mL의 인도메타신(indomethacin) (Sigma)으로 처리되어 지고, 그리고 일 컬럼은 비처리되어 지지만 DMSO와 접촉되어 진다.
제품의 각 농도, 양성 대조군과 처리-프리 대조는 NHKs의 네 개의 웰 상에서 평가되어 졌다.
처리 24시간 후, 배양 상등액이 샘플되어 지고 그리고 -20℃에서 저장되어 진다.
분석은 R&D Systems 사로부터의 PGE2 어세이 키트에 기술되어 진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어 졌다.
이 기술은 450nm에서 스펙트로포토메터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흡광도에 역으로 비례하여, 상등액에 존재하는 PGE2의 양을 분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안터류이킨 -10 ( IL -10) 메신저( messenger )의 발현의 측정
Th1 림포사이트류 및 모노사이트류/매크로파아지류의 이펙터 기능에 의해 사이토킨류의 생성을 저해하는 인자로 기술되어 진 IL-10은 사실 많은 표적에 작용할 수 있는 사이토킨(cytokine)이다.
이들의 주요한 기능은 염증성 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IL-10은 또한 염증반응 세포 또는 케라티노사이트류의 분화 및 증식을 조절한다.
ㆍ 프로토콜
오르키드 추출물의 효과는 낮은 칼슘 함량을 갖고 보충이 없는SFM 배지에서 적절한 포맷으로, 정상적인 컨플류언스(confluence)(분자생물학 표준 컨플류언스)에서 단일 층에 있는 인간 케라티노사이트류(NHEKs)에 RT-QPCR 방법의 수단에 의해 평가되어 졌다.
추출물 및 대조군 배지는 24시간 동안 시험되어 지고, 그런 다음 전체 RNA 추출이 수행되어 지고,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DNAse 처리 및 역 전사가 뒤따랐다.
삼 반복에서의 정량적인 PCR은 G3PDH 레퍼런스 마커의 뒷받침에 관련된 IL-10 마커의 발현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 피부의 구조의 유지의 마커
시험은 피부의 구조 유지를 증진하는 표피 세포인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NHFs)에 대해 수행되었다.
NHFs는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Falcon) 안에, 글루타민(Gibco Invitrogen, 최종 농도 2mM) 및 10%의 FCS(foetal calf serum)로 보충된 200mL/well의 MEM 배양 배지(Gibco Invitrogen)에 5000세포/웰의 밀도로 접종되었다.
플레이트의 엣지는 어떤 세포도 함유하지 않을 것이고, 그리고 배양 플레이트는 80% 세포 컨플류언스를 얻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 위치되어 진다.
3-1) MMP -2 및 9 효소의 분석
"매트릭스 매탈로프로테이나제"(MMP) 효소의 기능은 세포 외 매트릭스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이다.
이들은 배아의 발육, 형성과정 및 조직 리모델링과 같은 많은 정상적인 생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MMP-2는 또한 젤라티나제 A로도 지칭되는 것으로, 발전과정 및 조직 재생 과정에서 간엽조직의 세포(주로 섬유아세포)에 의해 발현되어 진다. 이 발현은 뉴트로필, 매크로파아지 및 모노사이트 타입의 세포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진다.
MMP-9으로, 이 단백질은 콜라겐 타입 IV, 젤라틴 (변성된 콜리겐) 및 기저 멤브레인의 주요 화합물을 분해한다.
이것은 또한 다른 타입의 콜라겐(V, VII 및 X), 엘라스틴 및 피브로넥틴을 분해한다.
MMP-9는 또한 젤라티나제 B로도 지칭되는 것으로, 세 가지의 피브로넥틴 타입 II 도메인과 콜라겐 타입 V에 동형인 하나의 도메인을 가진다.
프로-MMP-9은 MMP-3에 의해 또는 어떤 박테리아의 프로테이나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질 수 있다.
MMP-9에 대한 기질은 네이티브 콜라겐 타입 IV, V, VII, X 및 XI, 피브로넥틴 등일 수 있다.
ㆍ 프로토콜
XTT 시험의 수단에 의해 결정된 사용에 대한 복용량으로 추출물이, 배양 배지에서 적절하게 희석되어 진 후 세포와 접촉되게 된다.
일 컬럼은 25㎍/mL의 아노젤린(anogelline)으로 처리되어 지고, 그리고 일 컬럼은 가용화 용매 DMSO와 접촉되어 진다(대조 상태).
제품의 각 농도, 양성 대조군과 처리-프리 대조는 NHKs의 네 개의 웰 상에서 평가되어 졌다.
처리 48시간 후, 배양 상등액이 샘플되어 지고 그리고 -20℃에서 저장되어 진다.
MMP-2 및 9에 대한 분석은 R&D Systems 사로부터의 Quantikine 키트에 기술되어 진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어 졌으며, 이것은 450nm에서 스펙트로포토메터의 측정 수단에 의해, 상등액에 존재하는 MMP-2 및 MMP-9의 양을 분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2) 섬유 내의 콜라겐 I 및 피브로넥틴의 분석
ㆍ프로토콜
이전에 기술되어 진 바와 같이, 추출물이 배양 배지에서 적절하게 희석되어 진 후의 세포와 접촉되게 된다.
일 컬럼은 1μM의 비타민 C(아스코르빅 산, Sigma)로 처리되어 지고, 그리고 일 컬럼은 가용화 용매 DMSO와 접촉되어 진다(대조 상태).
제품의 각 농도, 양성 대조군과 처리-프리 대조는 NHKs의 네 개의 웰 상에서 평가되어 졌다.
처리 48시간 후, 배양 상등액이 샘플되어 지고 그리고 -20℃에서 저장되어 진다.
분석은 Takara 사로부터의 EIA 키트에 기술되어 진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어 졌다.
이들 두 시험은 450nm에서 스펙트로포토메터의 측정 수단에 의해, 상등액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피브로넥틴의 양을 분석하기 위한 이뮤노엔자임 기술을 사용하였다.
4. ㅍ리 - 라디칼 스카벤져 특성
배양 세포 내의 멤브레인 지질의 보호 정도를 측정하는 TBARs 시험이 추출물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HaCaT 세포가 67 계대로,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75 000 세포 및 1 mL의 비율로 접종되었다. 80% 컨플류언스에 상당하는 인큐베이터(37℃, 5% CO2) 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는 오르키드 추출물과 접촉되어 진다.
오르키드로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을 구성하는 세포의 플레이트가 또한 준비되어 졌다.
처리는 24시간 동안 1% (1μL/mL의 샘플)에서 세 개가 수행되었다(37℃, 5% CO2).
추출물로 처리된 것과 대조군에 대한 두 개의 플레이트는 12 J/cm2의 비율로 UVA로 두 개 플레이트의 하나를 조사하기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었다(두 개의 플레이트에 대해 PBS에 대해 변화된 배양 배지)
조사 끝 부분에서, 두 플레이트의 상등액이 제거되어 지고, 500μL의 0.8% SDS가 각 웰의 세포에 부가되어 진다.
접촉 5분 후, 세포는 웰을 스크랩핑함에 의해 회수되어 진다.
250μL의 세포가 스토퍼를 갖는 피렉스 튜브에서 375μL의 0.8% 티오바르비트르 산 및 375μL의 20%의 초산과 접촉되고, 수조에서 한 시간 동안 95℃로 된다.
최종 농축 단계 후, 532nm에서 이들의 흡광도를 판독하기 위해 상등액이 제거되어 진다.
흡광도는 UV 조사가 된 샘플에 대한 그리고 또한 비조사된 샘플에 대해 측정되고, 다음의 방법으로 보정되어 진다:
- 보정된 흡광도 = (측정된 흡광도 - 물의 흡광도).
지질과산화반응 저해의 백분율에 대해서는, 계산이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되어 진다:
- 보정된 흡광도(대조군) = (보정된 흡광도(UV 용매) - 보정된 흡광도(용매)).
각 샘플에 대한 저해 백분율은 다음 공식에 의해 얻어진다: (보정된 흡광도(UV 샘플) - 보정된 흡광도(비처리된 샘플) / 보정된 흡광도(대조군)).
III . 본 발명의 추출물의 활성
1. 항염증성 활성
염증반응 ( HaCat ) - IL -8 및 PGE 2 의 분석
추출물은 각각 다음과 같은 양인 XTT 시험의 수단에 의해 미리 결정된 사용에 대한 복용량에서 시험되었다:
- 식물 뿌리에 대해 25㎍/mL,
- 식물 줄기에 대해 50㎍,
- 잎에 대해 12.525㎍.
IL-8 및 PGE2 방출의 저해율은 비처리된 배양 상등액에서 존재하는 IL-8의 기저 양에 대해 오르키드 추출물로 각각 처리된 것에 대해 계산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 표에 언급되어 있다:
기관 IL8 PGE2
반다 테레스 줄기 -30% -33%
반다 테레스 -14% -67%
반다 테레스 뿌리 -8% -57%
IL-8 및 PGE2 마커의 방출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들 염증반응 마커들의 방출에 대한 저해의 이 효과는 시험된 추출물의 항-염증성 활성을 반영한다.
이 항염증성 활성은 프리 라디칼의 과잉 생성에 의해 야기된 전-염증성 현상을 차단하고, 그리고 따라서 피부 노화의 가속화를 방지한다.
2. 프리 - 라디칼 스카벤져 시험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에 대해 수행된 시험은 과산화반응의 41% 저해를 나타냈다.
3. 프로콜라겐 타입 I, 피브로넥틴 MMP -2 및 9 활성 ( NHFs )의 분석
추출물은 25㎍/mL의 복용량에서 시험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에 나타냈다
기관 콜라겐 피브로넥틴 MMP2 MMP9
반다 테레스 줄기 8% 28% -45% -36%
반다 테레스 27% 0 -34% -15%
반다 테레스 뿌리 -20% 0 -43% -10%
시험된 추출물의 각각으로 세포의 처리는 특히 콜라겐으로부터 만들어진 세포 외 매트릭스의 분해를 일으키는 메탈로프로테이나제 효소의 합성에서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추출물은 메탈로프로테이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세포 외 매트릭스 분해를 지연함에 의해 피부 노화의 방지의 화장품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줄기 추출물이 콜라겐과 피브로넥틴의 합성에 유의성 있는 작용을 보였고 그리고 잎 추출물이 특히 콜라겐의 합성에 유의성 있는 활성을 보였다는 것이 인지되어 진다.
4. IL -10 ( NHKs )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발현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은 비처리된 대조군에서 발현으로 비교된 이 유전자의 발현에서 1000%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초래하였다.
시험 결론
상기한 시험으로부터 줄기 추출물은 다양한 마커에 대해 얻어진 결과에서 피부 노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하는 전체적인 생물학적 활성의 관점에서 월등한 잠재성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진다.
IV . 반다 속 추출물의 혼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타입의 추출물의 다수의 혼합물에 대한 피부 노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하는 활성 및 항염증성 활성의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
-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
-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추출물
-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
다양한 시험이 단독으로 취해진 각 타입의 추출물에 대해 얻어진 유효성과 다양한 혼합물의 유효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 시험에 대해 25 ㎍/mL의 전체 추출물의 농도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두 가지의 생물학적 모델이 특히 보유되었다:
- NHF 배양 상등액에 MMP-2의 발현,
- HaCaT 배양 상등액에 PGE2의 발현.
시험된 각 혼합물 및 추출물은 25 ㎍/mL에 상응하는 농도를 얻기 위한 방법과 같이 하여 준비되었다.
각 실험에 대하여, 양성 대조군에 대한 값과 추출물에 대한 값은 스튜던트 테스트(Student's test)를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이들의 차이는 이 값이 0.05와 동등하거나 이보다 낮으면 유의성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된 시험은 연구된 각 두 개의 모델에 대해 유의성 있는 활성 또는 실질적인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특히 유익한 혼합물의 수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익한 혼합물에 의해,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 반다 테레스 줄기 추출물 및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을 동일한 비율(각 추출물이 1/3)로 함유하는 혼합물 및 또한 반다 테레스 뿌리 추출물 및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추출물의 동일한 비율(50/50)로 함유하는 혼합물의 제조가 언급되어 진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네 가지 추출물이 동일한 비율(25%)로 포함된 혼합물 및 다음의 조성비를 갖는 혼합물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 반다 테레스 뿌리: 12.5%,
- 반다 데니소니아나 줄기: 62.5%,
- 반다 코어룰레아 줄기: 12.5%,
- 반다 테레스 줄기: 12.5%.
이들 모든 혼합물들은 특별히 각각 두 모델에서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V.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실시예 4 -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이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 사용된 오르키드 추출물은 실시예 1의 방법을 재생성함에 의해 얻어지지만, 이것은 반다 데니소니아나의 줄기, 반다 테레스의 줄기 및 반다 코어룰레아의 줄기의 건조 및 마쇄 상태에서의 혼합물이 이들 세 식물의 1/1/1의 비율에 따른 혼합물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건조 추출물은 그런 다음 글리세롤/물의 60/40 v/v 혼합물에 1% w/w로 용해되었다.
이 용액은 다음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 제제로서 사용되어 진다(w/w으로 %로 표시):
페이스 A
1%의 오르키르 추출물을 함유하는 용액 0.3%
페녹시에탄올 0.5%
크산탄 검 0.2%
아크릴레이트/C2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횡공중합체 0.15%
테트라소디움 EDTA 0.1%
물 잔량
페이스 b
수화된 폴리이소부텐 4%
스쿠알란 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펜틸렌 글리콜 3%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3%
PEG-100 스테아레이트 2.5%
밀납 1.5%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1.5%
세틸 알코올 1%
스테아릴 알코올 1%
디메티콘 1%
페이스 c
수산화나트륨 0.04%
물 잔량 100%
페이스 A의 겔화 제제는 물에 분산되어 지고, 그리고 그런 다음 혼합물은 오르키드 추출물의 용액을 포함하는 모든 기타 화합물을 용액화하기 전에 80-85℃로 가열되어 진다.
페이스 B의 화합물은 균질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85℃로 가열되어 진다.
페이스 A는 이스트럴 믹서(Ystral mixer)를 사용하여 페이스 B에서 유화되어 진다.
이렇게 얻어진 오일/물 에멀젼은 a % w/w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최종적으로 중화되어 지고, 그리고 그런 다음 냉각되어 진다.
얻어진 화합물은 얼굴이나 얼굴의 일부에 적용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크림이다.

Claims (18)

  1.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국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 안에, 용액으로 또는 분산으로 오르키드의 종 반데 테레스(Vanda teres)의 적어도 일부분의 적어도 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오르키드 반다 테레스(Vanda teres)의 줄기 및/또는 뿌리 및/또는 잎으로부터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건조 및/또는 마쇄된 상기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와 접촉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물, C1-C4 알코올로 특히 에탄올, 그리고 C2 내지 C6 글리콜로 특히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에서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수성-에탄올 혼합물로, 바람직하기로는 부피비로 약 90%의 물과 10%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미임계 상태의 용매로 특히 미임계 상태의 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탈색 및/또는 정제 단계를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지지체, 특히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나일론 분말, 또는 마이카, 또는 라멜라 광물 기질을 포함하는 지지체 상에 흡수되어 진 후 상기 조성물에 사입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오르키드 과(Orchidaceae)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식물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반다 속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르키드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 특히는 종 반다 데니소니아나(Vanda denisoniana)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추출물 및/또는 종 반다 코어룰레아(Vanda coerulea)의 오르키드의 적어도 일 부분의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반다 데레스(Vanda teres) 줄기 추출물 및/또는 반다 데레스(Vanda teres) 뿌리 추출물을, 특히 반다 데니소니아나(Vanda denisoniana)의 줄기 추출물 및/또는 종 반다 코어룰레아(Vanda coerulea)의 줄기 추출물과 조합하여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다 데레스(Vanda teres)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럼, 로션, 에멀젼, 크림으로 특히는 색조 크림, 또는 하이드로겔로, 마스크, 스틱 또는 패치필름의 형태로 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피부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특히 상피 및 진피의 상부 층의 세포질 외의 매트릭스의 분해를 제한함에 의해, 및/또는 피부의 노화 효과, 특히 주름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지연하기 위해, 및/또는 피부에 대한 보호적이고 교정적이며 또는 재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및/또는 항염증성 제제로서 청구항 1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추출물의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용도.
  18. 피부에 대한 화장적 케어, 특히 피부의 노화 현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한 화장품 케어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얼굴이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청구항 1 내지 16 중의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화장품 조성물의 적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11810A 2007-11-30 2008-11-28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KR101633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9482 2007-11-30
FR0759482A FR2924348B1 (fr) 2007-11-30 2007-11-30 Composition contenant un extrait de l'orchidee vanda te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79A true KR20100103479A (ko) 2010-09-27
KR101633519B1 KR101633519B1 (ko) 2016-07-08

Family

ID=3959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810A KR101633519B1 (ko) 2007-11-30 2008-11-28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02968A1 (ko)
EP (1) EP2214689B1 (ko)
JP (1) JP5626650B2 (ko)
KR (1) KR101633519B1 (ko)
ES (1) ES2702815T3 (ko)
FR (1) FR2924348B1 (ko)
WO (1) WO200907185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28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1376B1 (fr) * 2009-10-16 2016-07-15 Lvmh Rech Nouvelle utilisation d'un extrait de l'orchidee vanda coerulea
FR2958644B1 (fr) * 2010-04-09 2022-07-29 Guerlain Sa Composition cosmetique
FR2964567B1 (fr) * 2010-09-14 2013-03-15 Lvmh Rech Extrait d'orchidee
CA2847853A1 (en) 2011-09-14 2013-03-21 Nefeli Corp. Herbal skin care composition
JP6452104B2 (ja) * 2014-05-02 2019-01-16 オリザ油化株式会社 フィブロネクチン発現促進剤
CN116322731A (zh) * 2020-08-11 2023-06-23 株式会社资生堂 Il-8抑制剂、皮肤抗老化剂、和使用它们来抑制皮肤老化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447A (en) * 1986-10-23 1989-02-28 Baker Marion A Preserved flowers and other substrates
JP2006257056A (ja) * 2005-03-15 2006-09-28 Koei Kogyo Kk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7624A1 (de) * 1998-06-20 1999-12-2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einem mit einem Gehalt an Catec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zur Bräunung der Ha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447A (en) * 1986-10-23 1989-02-28 Baker Marion A Preserved flowers and other substrates
JP2006257056A (ja) * 2005-03-15 2006-09-28 Koei Kogyo Kk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28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2815T3 (es) 2019-03-05
WO2009071855A2 (fr) 2009-06-11
KR101633519B1 (ko) 2016-07-08
WO2009071855A3 (fr) 2009-11-05
JP5626650B2 (ja) 2014-11-19
FR2924348B1 (fr) 2010-11-26
JP2011504922A (ja) 2011-02-17
US20110002968A1 (en) 2011-01-06
EP2214689B1 (fr) 2018-10-17
FR2924348A1 (fr) 2009-06-05
EP2214689A2 (fr)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519B1 (ko)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29057A (ko) 정유 혼합물을 포함하는 미용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특히 민감성 또는 민감화 피부 관리에 사용되는 이의 용도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5645344B2 (ja) 外用剤組成物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5196416B2 (ja) Limnocitruslittoralis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0530843B1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JP2011088854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US20180214503A1 (en) Composi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xtract of stellera chamaejasme or fraction thereof and method for treating wound of subject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271748B1 (ko) 미성숙 열매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7442B1 (ko) 달뿌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