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174A -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174A
KR20080029174A KR1020060094862A KR20060094862A KR20080029174A KR 20080029174 A KR20080029174 A KR 20080029174A KR 1020060094862 A KR1020060094862 A KR 1020060094862A KR 20060094862 A KR20060094862 A KR 20060094862A KR 20080029174 A KR20080029174 A KR 2008002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unit
water level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079B1 (ko
Inventor
전기숙
쇼죠 고바야시
손종철
김향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79B1/ko
Priority to EP07110367A priority patent/EP1905331B1/en
Priority to DE602007009003T priority patent/DE602007009003D1/de
Priority to US11/812,947 priority patent/US7856875B2/en
Priority to CNB2007101271848A priority patent/CN100526816C/zh
Publication of KR2008002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06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electrically heated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11)을 갖는 본체(10)와,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31), 스팀챔버(3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4) 및 스팀챔버(31)에서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1)로 토출시키는 스팀토출부(41)를 갖는 스팀용기(40)와, 스팀챔버(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스팀챔버(31)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50)와, 스팀용기(40)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스팀용기(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유닛(70)을 포함하고, 수위감지유닛(70)은, 센서(73)를 구비하고 스팀용기(4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71)와, 수면 위로 뜨고 수면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연장부(77)를 갖는 회동부(75)를 포함하고, 센서(73)가 연장부(77)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스팀용기(40)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열조리장치, 스팀발생장치, 수위감지유닛, 스팀용기, 플로우트

Description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 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Water level detecting unit and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team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위감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가열조리장치 11...조리실
12...본체 16...컨벡션히터
17...마그네트론 19...송풍장치
20...급수장치 21...물통
23...급수펌프 30...스팀발생장치
31...스팀챔버 32...수위감지챔버
40...스팀용기 41...스팀토출부
44...급수부 45...히터커버부
50...스팀히터 51...가열판
52...발열체 53...단자부
60...배수안내부재 61...배수챔버
62...배수관 70...수위감지유닛
71...센싱부 72...커버
73...마그네틱 센서 74...브라켓
75...회동부 76...힌지부
77...연장부 73a,78...마그네트
79...플로우트 80...지지브라켓
85...제어장치 90...배수장치
본 발명은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 스팀발생장치를 갖 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일 발생량이 많은 환경에서 수위 변화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 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이 있다. 이 중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팀을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조리장치(이하 '스팀오븐'이라 함)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오븐을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식품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 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스팀오븐은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와, 스팀발생장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를 포함한다.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용기와, 스팀용기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고, 급수장치는 물통과, 물통에 저장된 물을 스팀용기로 이송시키는 급수펌프를 포함한다.
급수펌프는 일정량의 물을 스팀용기의 내부로 공급한 후 정지되고, 스팀히터 는 전원을 공급받아 스팀용기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스팀은 스팀용기와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공급튜브를 통해 조리실로 공급되고, 스팀이 토출됨에 따라 스팀용기 내부의 물은 줄어든다. 스팀용기 내부의 물이 완전히 증발되면 스팀 공급이 중단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스팀히터가 과열되어 장치의 파손이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스팀용기의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스팀용기에 물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팀용기의 내부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유닛이 설치되고, 수위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따라 급수펌프가 작동되어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과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스팀이 생성되는 동안 스팀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위감지유닛으로는 수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심축의 외측에 발포PP 재질의 플로우트가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구조의 수위감지유닛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플로우트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고 중심축에는 마그네트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가 설치되어서 수위에 따른 마그네트의 위치 변화를 마그네틱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수위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수위감지유닛은 장시간 사용시 발포PP 재질의 플로우트가 물을 흡수하여 수위변화에 따른 플로우트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스팀용기의 내부에서는 스팀 생성에 따른 스케일이 발생되고 이 스케일이 플로우트나 중심축에 달라붙음으로써 플로우트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케일 발생량이 많은 환경에서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 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위감지유닛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물이 채워지는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수면 위로 뜨는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의 연장부 상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센싱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 는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의 접촉 및 이탈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 변화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센싱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마그네트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는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에는 상기 핀홀에 대응하는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핀홀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힌지핀에 의해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플로우트의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된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스팀챔버에서 생성된 스팀을 토출시키는 스팀토출부를 갖는 스팀용기와, 상기 스팀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챔버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와,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팀용기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는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설치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용기의 내부는 분리벽에 의해 상기 스팀챔버와 상기 수위감지유닛이 설치되는 수위감지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스팀챔버와 상기 수위감지챔버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챔버의 하부에는 배수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의 하부에는 상기 수위감지챔버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을 갖는 배수안내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위감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챔버 내부의 상기 급수부 앞에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상기 수위감지유닛을 향해 급속하게 분사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차폐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을 갖는 본체와,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연결되는 급수부 및 상기 스팀챔버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조리실로 토출시키는 스팀토출부를 갖는 스팀용기와, 상기 스팀챔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챔버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와,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유닛과, 상기 수위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 지유닛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수위감지유닛이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장치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위감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장치(10)는, 조리실(11)이 구비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부, 양 측부 및 후방을 덮는 커버(14)와, 조리실(11)을 가열하기 위해 본체(12)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컨벡션히터(16)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조리실(11)로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17)과,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1)로 공급 하는 스팀발생장치(30)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85)를 포함한다.
본체(12)의 전방은 음식물의 출입을 위해 개방되고,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11)은 본체(12)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본체(12)의 상부와 이를 덮는 커버(14)의 사이에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본체(12)의 전방 상부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각종 동작스위치(15a)가 구비된 제어판넬(15)이 설치되고, 제어판넬(15)의 옆에는 스팀발생장치(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의 물통(21)이 설치된다.
급수장치(20)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21)과, 물통(21)의 물을 스팀발생장치(30)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23)를 포함한다. 물통(21)은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통케이스(22)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수펌프(23)는 급수튜브(24) 및 급수연결튜브(25)를 통해 물통(21) 및 스팀발생장치(30)와 연결된다. 본체(12) 상부의 급수장치(20) 옆에는 송풍장치(19)가 설치된다. 송풍장치(19)는 공기를 송풍시켜서 본체(12)의 상부에 놓이는 각종 구성부품을 냉각시킨다.
본체(12)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컨벡션히터(16)와, 본체(12)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17)은 통상의 것과 같은 것으로, 조리실(11)에 열 또는 마이크로파를 공급하여 조리실(11)에 놓이는 음식물을 익힌다. 컨벡션히터(16)는 히터(미도시)와 순환팬(미도시)를 포함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1)로 순환시키고, 마그네트론(17)은 고압트랜스(18)에서 고전압을 인가받아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조리실(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도파관(미도시)을 통해 발생된 마이크 로파를 조리실(11)로 발진시킨다.
스팀발생장치(30)는 본체(12)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80)에 결합되고, 급수장치(20) 및 배수장치(90)와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팀발생장치(30)는 스팀용기(40)와, 스팀용기(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팀히터(50)와, 스팀히터(5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배수안내부재(60)와, 스팀발생장치(3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위감지유닛(70)을 포함한다.
스팀용기(40)의 한쪽 측면에는 스팀용기(40)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부(41)와, 나사홀(43)이 구비된 복수의 결합부재(42)가 구비되고, 스팀용기(40)의 다른 측면에는 스팀용기(4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44)가 구비된다. 스팀토출부(41)는 스팀용기(40)에서 돌출되는 스팀토출관(41a)을 포함하고, 스팀공급튜브(미도시)과 연결되어 스팀챔버(31)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조리실(11)로 토출시킨다. 급수부(44)는 스팀용기(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급수관(44a)을 포함하고, 급수연결튜브(25)를 통해 급수펌프(23)와 연결된다. 스팀용기(40)의 하부 둘레에는 스팀히터(50)를 감싸는 히터커버부(45)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스팀용기(40)의 상부 일측에는 수위센서(70)가 결합되는 설치홈(40a)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팀용기(40)의 내부에는 분리벽(46)이 구비된다. 분리벽(46)은 스팀용기(40)의 내부를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31)와, 수위센서(70)가 설치되고 급수관(44a)이 연결되는 수위감지챔버(32)로 구획한다. 분리벽(46)에 의해 구획되는 스팀챔버(31)와 수위감지챔버(32)의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동로(47)가 구비되고, 급수관(44a)을 통해 수위감지챔버(32)로 공급된 물은 유동로(47)를 통해 스팀챔버(31)로 이동한다. 수위감지챔버(32) 내부의 급수관(44a) 앞에는 차폐리브(48)가 구비된다. 이 차폐리브(48)는 급수관(44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수위감지챔버(32)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70)를 향해 급속하게 분사되는 것을 막아준다.
스팀히터(5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팀용기(40)의 하부에 밀착되어 스팀챔버(31) 및 수위감지챔버(32)를 덮는 가열판(51)과, 가열판(5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선(54)이 결합된 단자부(53)와 연결되는 발열체(52)를 포함한다. 가열판(51)과 스팀용기(40)의 사이에는 스팀챔버(31) 및 수위감지챔버(32)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9)가 개재된다. 발열체(52)는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하는 저항체로서 스팀챔버(31)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판(51)의 일부분에만 구비된다. 수위감지챔버(32)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판(51)의 일측에는 수위감지챔버(32)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공(55)이 구비된다.
배수안내부재(60)는 수위감지챔버(32)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팀히터(50)의 하부에 결합된다. 배수안내부재(60)에는 배수챔버(61)가 구비되고, 이 배수챔버(61)는 수위감지챔버(32)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판(51)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수공(55)을 통해 수위감지챔버(32)와 연결된다. 배수챔버(61)는 외부로 통하는 배수관(62)과 연결되고, 배수관(62)은 지지브라켓(80)에 결합되는 배수장치(90)에 연결된다.
배수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관(62)과 연결되는 배수연결 튜브(91)와, 배수 동작을 제어하는 배수밸브(92)와, 배수밸브(92)에 연결되어 배수연결튜브(91)를 통해 이동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튜브(93)를 포함하고, 배수밸브(92)는 지지브라켓(80)에 결합되는 밸브지지부재(83)에 고정된다. 수위감지챔버(32)의 물은 배수공(55), 배수챔버(61) 및 배수관(62)을 거쳐 배수장치(90)로 배출된다. 배수안내부재(60)와 가열판(51) 사이의 배수챔버(61) 둘레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63)가 개재된다. 스팀용기(40)와, 스팀히터(50)와, 배수안내부재(60)는 나사 결합된다.
수위감지유닛(7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팀용기(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센싱부(71)와, 센싱부(7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75)를 포함한다.
센싱부(71)는, 설치홈(40a)에 결합되어 설치홈(40a)을 밀폐시키는 커버(72)와, 커버(72)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73) 및 마그네트(73a)와, 커버(72)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74)을 포함한다. 커버(72)에는 스팀용기(40)의 고정홀(40b;도 3참조)에 대응하는 나사결합홀(72a)이 구비되고, 이 나사결합홀(72a)을 통해 나사(S)가 고정홀(40b)에 삽입됨으로써 커버(72)가 설치홈(40a)에 고정된다. 커버(72)는 설치홈(40a)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설치홈(40a)에 틈새가 없이 결합된다. 마그네틱 센서(73)는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커버(7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마그네틱 센서(73)는 케이블(C)을 통해 제어장치(85;도 2참조)와 연결되며 회동부(75)에 구비되는 마그네트(78)의 자기 변화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장치(85)로 전송한다. 브라 켓(74)은 커버(72)의 일측에 하부 방향으로 한 쌍이 연장 구비되고 힌지핀(P)이 삽입되는 결합홈(74a)을 갖는다.
그리고, 회동부(75)는, 지지브라켓(74)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76)와, 센싱부(71)에 접촉할 수 있도록 힌지부(76)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장부(77)와, 연장부(77)에 구비되는 마그네트(78)와, 수면에 위치하도록 힌지부(76)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로우트(79)를 포함한다. 힌지부(76)는 한 쌍의 브라켓(74) 사이에 결합되고 브라켓(74)의 결합홀(74a)에 대응하는 핀홀(76a)을 갖는다. 이 핀홀(76a)에 결합홀(74a)을 관통한 힌지핀(P)이 삽입됨으로써 힌지부(76)는 브라켓(74)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연장부(77)는 그 상부면이 커버(72)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마그네트(78)는 연장부(77)에 결합된다. 플로우트(79)는 수면 위로 뜰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챔버(79a)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센싱부(71)에 구비되는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73) 이외에 수위 변화에 따라 힌지핀(P)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연장부(77)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감지신호가 바뀌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85)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스위치(15a) 및 수위센서유닛(7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고, 컨벡션히터(16), 마그네트론(17), 급수펌프(23), 스팀히터(50) 및 배수밸브(92)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브라켓(80)에는 복수의 결합부재(42)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홀(82)이 구비되고, 복수의 결합나사(S)가 각 삽입홀(82)을 통해 각 결합부재(42)의 나사홀(43)에 삽입됨으로써 스팀발생장치(30)는 지지브라켓(80)에 고정된다. 이때, 스팀토출관(41a)은 지지브라켓(80)에 구비되는 관통홀(81)에 삽입되고, 배수관(62)은 배수연결튜브(91)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30) 및 가열조리장치(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가 시작되면, 급수펌프(23)가 작동하여 물통(21)의 물이 급수관(44a)을 통해 스팀발생장치(30)의 수위감지챔버(32) 내부로 유입되고, 수위감지챔버(32)로 유입된 물은 유동로(47)를 통해 스팀챔버(31)로 공급된다. 급수펌프(23)는 제어장치(85)에 의해 스팀용기(40)의 내부로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작동된 후 정지한다.
스팀챔버(31)로 물이 공급되면 스팀히터(50)의 발열체(52)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팀챔버(31)로 유입된 물이 가열된다. 이에 의해 스팀챔버(31)에서는 스팀이 생성되고 생성된 스팀은 스팀토출관(41a)으로 토출되어 스팀공급튜브(미도시)를 통해 조리실(11)로 공급된다. 이때, 컨벡션히터(16)가 작동되면 조리실(11) 내의 스팀은 과열되면서 조리실(11)에 놓인 음식물을 익힌다.
스팀히터(50)가 작동되는 동안 스팀챔버(31) 및 수위감지챔버(32)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위감지유닛(70)의 플로우트(79)가 수면 위로 떠올라 센싱부(71)의 마그네트(73a)와 연장부(77)의 마그네트(78)이 상호 결합되면서 연장부(77)가 센싱부(71)에 밀착된다. 이때, 연장부(77)의 마그네트(78)가 커버(72)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73)에 인접하게 되며, 마그네 틱 센서(73)는 이때의 마그네트(78)의 자기를 감지한다.
한편, 스팀용기(40) 내부의 물이 증발되어 수위가 최소 수위까지 떨어지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동부(75)의 자중에 의해 센싱부(71)의 마그네트(73a)와 연장부(77)의 마그네트(78)가 상호 이탈되어 회동부(75)가 힌지핀(P)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연장부(77)가 센싱부(71)에서 떨어진다. 이때, 마그네트(78)는 마그네틱 센서(73)에서 멀어지게 되고 마그네틱 센서(73)는 이때의 자기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장치(85;도 2참조)로 전송한다.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장치(85)는 급수펌프(23)를 일정시간 재가동시켜서 스팀용기(40) 내부의 물이 최대 수위에 도달하게 한다.
이와 같이,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수위감지유닛(70)과 제어장치(85) 및 급수펌프(23)의 작용에 의해 스팀용기(40)의 수위는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며 조리에 필요한 스팀이 조리실(11)로 충분히 공급된다. 조리가 완료되면 스팀히터(5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배수밸브(92)가 열려 스팀챔버(31) 및 수위감지챔버(32)의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급스펌프(23)의 동작은 시간이 아닌 수위감지유닛(7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스팀용기(40) 내부의 수위가 최대 수위에 도달될 때 센싱부(71)의 마그네트(73a)와 연장부(77)의 마그네트(78)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면, 회동부(75)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하여 그 연장부(77)가 센싱부(71)에 접할 때 급수펌프(23)를 정지시킴으로써 스팀용기(40)에 물을 최대 수위까지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센싱부(77)에 구비되는 마그네트(73a)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위감지유닛(70)의 동작은 상기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수면 위로 뜨는 회동부가 스팀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센싱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회동부가 수위 변화에 따라 회동하여 센싱부에 접촉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센싱부가 감지함으로써 스팀용기의 수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PP 재질의 플로우트가 수위 변화에 따라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하여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종래에 비해 스케일 발생량이 많은 환경에서 수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23)

  1.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물이 채워지는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수면 위로 뜨는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연장부 상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 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의 접촉 및 이탈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 변화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센싱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마그네트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에는 상기 핀홀에 대응하는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핀홀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힌지핀에 의해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의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된 공기챔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유닛.
  9.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스팀챔버에서 생성된 스팀을 토출시키는 스팀토출부를 갖는 스팀용기와, 상기 스팀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챔버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와,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팀용기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수면 위로 뜨는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연장부 상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 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는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설치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용기의 내부는 분리벽에 의해 상기 스팀챔버와 상기 수위감지유닛이 설치되는 수위감지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스팀챔버와 상기 수위감지챔버 사이에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챔버의 하부에는 배수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의 하부에는 상기 수위감지챔버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을 갖는 배수안내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위감지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챔버 내부의 상기 급수부 앞에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상기 수위감지유닛을 향해 급 속하게 분사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차폐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16.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을 갖는 본체와, 스팀이 생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연결되는 급수부 및 상기 스팀챔버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조리실로 토출시키는 스팀토출부를 갖는 스팀용기와, 상기 스팀챔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챔버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와,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팀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유닛과, 상기 수위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유닛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수위에 따라 위치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회동부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센싱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단에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힌지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수면 위로 뜨는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연장부 상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용기의 일측에는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설치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하부에는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의 접촉 및 이탈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 변화에 의해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센싱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마그네트와 상기 연장부의 마그네트는 상기 플로우트가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에 도달하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대 수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수위감지유닛이 상기 스팀용기 내부의 최소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급수장치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상기 용기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KR1020060094862A 2006-09-28 2006-09-28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104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862A KR101041079B1 (ko) 2006-09-28 2006-09-28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EP07110367A EP1905331B1 (en) 2006-09-28 2007-06-15 Water level sensing unit,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and heating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team generator
DE602007009003T DE602007009003D1 (de) 2006-09-28 2007-06-15 Wasserstandserfassungseinheit, Dampfgenerator damit und Kochgerät mit dem Dampfgenerator
US11/812,947 US7856875B2 (en) 2006-09-28 2007-06-22 Water level sensing unit,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and heating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team generator
CNB2007101271848A CN100526816C (zh) 2006-09-28 2007-07-04 水位感测单元、具有其的蒸汽发生器以及具有该蒸汽发生器的加热烹饪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862A KR101041079B1 (ko) 2006-09-28 2006-09-28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74A true KR20080029174A (ko) 2008-04-03
KR101041079B1 KR101041079B1 (ko) 2011-06-13

Family

ID=3856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862A KR101041079B1 (ko) 2006-09-28 2006-09-28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6875B2 (ko)
EP (1) EP1905331B1 (ko)
KR (1) KR101041079B1 (ko)
CN (1) CN100526816C (ko)
DE (1) DE6020070090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112A (ja) * 2009-02-06 2010-08-19 Sharp Corp 引出し型加熱調理器
WO2011136252A1 (ja) * 2010-04-28 2011-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8876980B2 (en) 2010-06-30 2014-1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preventing overfilling in a dishwasher
CN102012015B (zh) * 2010-10-21 2012-10-03 晶辉科技(深圳)有限公司 蒸汽发生装置及家用电蒸箱
US8702874B2 (en) 2011-02-08 2014-04-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a clog from a dishwasher
US10035979B2 (en) * 2015-07-23 2018-07-31 Picobrew, Inc. Beer making machine with direct steam injection
KR101827831B1 (ko) 2011-04-28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US20130054159A1 (en) 2011-08-31 2013-02-28 E. Strode Pennebaker Wireless tank level monitoring system
KR101981674B1 (ko) * 2012-12-21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N105333467A (zh) * 2014-08-07 2016-02-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箱
CN105619648B (zh) * 2014-11-28 2019-02-15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3d打印的自动供液设备及其液位感测装置
EP3319490B1 (en) * 2015-07-07 2019-03-20 Koninklijke Philips N.V. A pressure cooking device
CN105972654B (zh) * 2016-06-29 2018-01-0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微波炉
CN106091039A (zh) * 2016-06-29 2016-11-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微波炉
CN106091037A (zh) * 2016-06-29 2016-11-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微波炉
WO2018153472A1 (en) 2017-02-24 2018-08-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ishwasher,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handling clogging condition
KR101975196B1 (ko) * 2017-05-17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2357903B1 (ko) * 2017-05-1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JP7135072B2 (ja) * 2018-04-11 2022-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水位検知装置、水位検知装置を備えた装置、およびフロート
US10955281B1 (en) * 2018-05-17 2021-03-23 Accutemp Products, Inc. Monitoring with a radially magnetized magnet and hall effect sensor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1012164B (zh) * 2019-12-31 2021-10-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排水组件及具有其的烹饪装置
CN111166159B (zh) * 2020-01-14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外排结构及具有该结构的蒸制烹饪设备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4265B (de) * 1960-04-08 1967-11-16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Schwimmergesteuerte Sicherheitsschaltung fuer elektrisch beheizte Wasserkessel von Kaffeemaschinen od. dgl.
US3216255A (en) * 1962-02-15 1965-11-09 Robertshaw Controls Co Fluid level instrumentation
US3415268A (en) * 1966-10-03 1968-12-10 Bourns Inc Viscous liquid level control system
GB1392283A (en) * 1971-03-25 1975-04-30 Russellhobbs Ltd Electric kettles electrically-heated beverage makers and the like
US4773265A (en) * 1980-11-20 1988-09-27 Atlantic Richfield Company Method for detecting leaks
DE3777281D1 (de) * 1986-08-12 1992-04-16 Vaporina Back Und Gefriergera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erwaermen und fertigbacken von lebensmitteln, insbesondere von back- und grillgut.
FR2648557B1 (fr) * 1989-06-15 1993-09-24 Jaeger Dispositif de mesure de niveau de carburant dans un reservoir de vehicule automobile
US5294917A (en) * 1992-04-06 1994-03-15 Wilkins Larry C Liquid level sensor using float and magnetic means
US5426271A (en) * 1994-01-18 1995-06-20 Honeywell Inc. Liquid level sensor
US5649476A (en) * 1994-08-22 1997-07-22 Production Engineered Designs, Inc.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EP1019586B1 (de) * 1997-10-01 2002-01-23 Brand-Gerhart, Rosemari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slösen eines spülungsvorganges bei urinalen oder ähnlichen sanitärtechnischen einrichtungen
US6516141B1 (en) 1998-02-19 2003-02-04 Emerson Electric C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eating tank assembly of a hot water dispenser
US6170328B1 (en) * 1999-08-05 2001-01-09 Rochester Gauges, Inc. Lever gauge with hinged arms
US6267046B1 (en) * 2000-02-28 2001-07-31 Conair Corporation Convection steamer
US6236324B1 (en) * 2000-03-31 2001-05-22 Lawrence V. Nash Elastic plate liquid level sensor
JP2002107205A (ja) 2000-09-28 2002-04-10 Calsonic Kansei Corp 液面レベルセンサ
KR20020044796A (ko) * 2000-12-06 2002-06-19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수위 감지장치
JP3833513B2 (ja) * 2001-10-22 2006-10-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燃料タンクの油面検出装置
EP1669676B1 (en) * 2003-08-04 2017-03-22 Fujimak Corporation Steam oven
KR101132331B1 (ko) * 2004-07-14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06472A (ko) * 2004-07-16 200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2006038315A (ja) * 2004-07-26 2006-02-09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EP1658798B1 (en) * 2004-11-19 2009-02-25 Whir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US8707857B2 (en) * 2005-08-08 2014-04-29 Ronald M. Popeil Cooking device to deep fat fry foods
US20070028780A1 (en) * 2005-08-08 2007-02-08 Popeil Ronald M Cooking device to deep fat fry foods
JP4675841B2 (ja) * 2006-07-03 2011-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5331B1 (en) 2010-09-08
CN101153814A (zh) 2008-04-02
EP1905331A1 (en) 2008-04-02
DE602007009003D1 (de) 2010-10-21
KR101041079B1 (ko) 2011-06-13
US7856875B2 (en) 2010-12-28
CN100526816C (zh) 2009-08-12
US20080078243A1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79B1 (ko)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104107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EP1943902B1 (en) Steam generator,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42320A2 (en) Water level sensor,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heating cooker having the steam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2331B1 (ko)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00190B2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US20200138229A1 (en) Cooking apparatus
US7105785B2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ng function
KR10080201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794597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26610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340539A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6693025B2 (ja) 加熱調理器
JP2010025404A (ja) 加熱調理器
KR20070066495A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KR20230118382A (ko) 조리기용 스팀 발생 및 공급장치
JP2004347190A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KR101074707B1 (ko) 전자레인지의 바베큐바 감지 구조
JP2006162181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20040012334A (ko) 전자레인지용 온도감지구조
JP2005155961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20100086899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