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495A -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495A
KR20070066495A KR1020050127749A KR20050127749A KR20070066495A KR 20070066495 A KR20070066495 A KR 20070066495A KR 1020050127749 A KR1020050127749 A KR 1020050127749A KR 20050127749 A KR20050127749 A KR 20050127749A KR 20070066495 A KR20070066495 A KR 20070066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upply tank
water supply
w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697B1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6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이 저수되는 급수탱크와; 일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단이 상기 유입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관과; 상기 히팅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일단이 상기 히팅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히팅관에서 가열된 물을 급수탱크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탱크와는 별도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용기를 구성할 필요없이 급수탱크의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순화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므로, 스팀발생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화되고, 요리 종료후 급수탱크를 제거하기만 하면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수가 거의 없게 되므로 위생면에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팀, 조리기기, 스팀발생장치, U자형 히팅관

Description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Steam Ov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가 적용된 스팀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리실 2 : 턴테이블
3 : 가열챔버 4 : 할로겐히터
5 : 스팀발생장치 7 : 스팀공급관
10 : 2차 히터 11 : 팬모터
12 : 송풍팬 14 : 배기공
15 : 콘트롤러 51 : 급수탱크
52 : 히팅유닛 53 : 유입관
54 : 히팅관 55 : 배출관
56 : 히터 57 : 체크밸브
58 : 필터
본 발명은 스팀 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에 스팀을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스팀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기로는 전자레인지와 가스레인지, 오븐 등이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MWO : microwave oven)는 고주파(마이크로웨이브)(약 초당2,450MHz)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가스레인지는 조리물이 수용된 조리용기의 하측에 가스버너가 위치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며, 오븐은 밀폐된 조리공간 내에 조리물이 수용되도록 한 후 고온의 열기를 공급하여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조리기기이다.
하지만,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을 비롯한 각종 전장품과 기구물이 요구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들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하여 음식물이 건조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팀발생장치에서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 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조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스팀 조리기기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팀 조리기기들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스팀 조리기기들의 스팀발생장치들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팀 용기, 이 스팀 용기 내의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용 압력센서, 상기 스팀 용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스팀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이 히터에 의한 발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센서, 그리고 물과 스팀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관 등으로 구성되는 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였다.
또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요리가 종료될 경우 스팀 용기 내부나 배관 등에 물이 남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센균 번식 등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요리 종료 후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잔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한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물이 저수되는 급수탱크와; 일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 을 가열하여 급수탱크 내로 순환시키면서 스팀을 생성하는 히팅유닛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히팅유닛은, 일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단이 상기 유입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관과; 상기 히팅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일단이 상기 히팅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히팅관에서 가열된 물을 급수탱크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탱크와는 별도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용기를 구성할 필요없이 급수탱크의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순화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므로, 스팀발생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화된다. 또한, 요리 종료후 급수탱크를 제거하기만 하면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수가 거의 없게 되므로 위생면에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오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가 적용되는 스팀 조리기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조리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미도시)의 내측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인 조리실(1)이 구성되고, 이 조리실(1)의 내측에 음식물이 놓여지는 턴테이블(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1)의 상측에는 조리실(1)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3)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챔버(3) 내부에는 할로겐히터(4)가 투명창(17)에 의해 밀폐되게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히터(4)는 투명창을 통해 빛을 방출함으로써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1)의 외부에는 상기 가열챔버(3)를 통해 조리실(1)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5)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5)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열챔버(3) 내부에는 상기 할로겐히터(4)와 더불어 가열챔버(3) 내부로 공급된 스팀을 2차 가열하여 과열 스팀(overheated steam)으로 만드는 2차 히터(10)가 설치된다. 상기 2차 히터(10)는 예를 들어 시스히터(sheath heater)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의 일측면부에는 조리실(1) 내부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가 구성된다. 상기 배기부는 조리실(1)의 일측면부 외측에 구획되는 배기실(18)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12)과, 이 송풍팬(12)을 구동시키는 팬모터(11)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실(1)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3)을 통해 조리실(1)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배기실(18)의 일측면부의 배기공(14)을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송풍팬(12)은 축류팬이나 원심팬 등 공지의 팬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시로코팬이나 터보팬과 같은 원심팬이 적용된다.
상기 할로겐히터(4)와, 스팀발생장치(5), 2차 히터(10), 밸브(8) 및, 팬모터(11) 등은 스팀 조리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열챔버(3) 내부 및/또는 조리실(1)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콘트롤러(15)로 전달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5)는 상기 조리실(1)(도 1참조)의 외측에 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급수탱크(51)와, 상기 급수탱크(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급수탱크(51)로 순환시키는 히팅유닛(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유닛(52)은 상기 급수탱크(51)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53)과, 일단이 상기 유입관(53)에 연결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대략 'U'자형의 히팅관(54)과, 상기 히팅관(54)의 외면(이 실시예에서는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히팅관(54)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는 'U'자형의 히터(56) 및, 상기 히팅관(54)의 다른 일단부에 연결되어 히팅관(54)을 통해 가열된 물 및/또는 스팀을 급수탱크(51)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55)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56)는 시스히터(sheath heater)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53)은 급수탱크(51)와의 연결 부분이 항상 수위보다 낮도록 급수탱크(51)의 저면 또는 측면부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55)의 일단부는 급수탱크(51) 내의 수위보다 항상 위에 위치하도록 급수탱크(51)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구(51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관(53)과 급수탱크(51)의 연결부위에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57)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57)는 역압에 의해 유입관(53)을 통해 급수탱크(51)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항상 급수탱크(51)의 물이 유입관(53)을 통해 히팅관(54)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51)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58)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58)는 상기 배출구(511)의 하부에 설치되되, 급수탱크(51)에 저장되는 물의 최대 수위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51)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열챔버(3)(도 1참조)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관(7)(도 1참조)이 연결되는 필터(58)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56)의 일측면부에는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591)가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591)에는 히터(56)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5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써미스터(593)(thermistor) 및, 소정 온도 이상에서 히터(56)의 작동을 중지시켜 히터(56)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모스탯(592)(thermostat)이 장착된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급수탱크(51)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리실(1)의 외측에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57)는 급수탱크(51)에 일체로 결합되어 급수탱크(51)와 함께 탈착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급수탱크(51)를 조리실(1) 외측에 장착시킬 때, 상기 체크밸브(57)는 유입관(53)과 바로 연결됨과 동시에, 배출구(511)는 상기 배출관(55)의 상단부에 바로 연결되며, 스팀배출구(512)는 스팀공급관(7)과 바로 연결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팀 조리기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급수탱크(51)에 물을 채워 넣고, 조리실(1)의 외측에 장착하면, 체크밸브(57)가 유입관(53)과 연결되면서 급수탱크(51) 내부의 물이 히팅관(54)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리실(1)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을 투입하고 콘트롤러(15)를 조작하여 스팀 조리기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스팀발생장치(5)의 히터(56)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히팅관(54) 내부의 물이 가열된다.
가열된 물은 배출관(55)을 통해 다시 급수탱크(51) 내부로 배출된 다음, 필터(58)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급수탱크(51) 내부의 물과 합쳐지면서 급수탱크(5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이 때, 상기 체크밸브(57) 및 유입관(53)을 통해서는 지속적으로 히팅관(54)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히팅관(54) 내부에서 가열된 물은 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급수탱크(51) 내부의 물이 유입관(53)과 히팅관(54) 및 배출관(55)을 통해 순환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순환하는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히팅관(54)에서 가열된 물이 스팀으로 변하여 배출관(55)을 통해 급수탱크(51) 내부로 재유입된다.
상기 급수탱크(51) 내부로 유입된 스팀은 증기배출구(511)를 통해 스팀공급 관(7)으로 배출되고, 스팀공급관(7)의 안내를 받아 가열챔버(3)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팀발생장치(5)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관(7)을 통해 가열챔버(3) 내부로 공급된 다음, 2차 히터(10)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 스팀으로 된 후 조리실(1) 내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와 함께, 상기 할로겐히터(4)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할로겐히터(4)로부터 빛이 방출되면서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 때, 콘트롤러(15)는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는 가열챔버(3) 및/또는 조리실(1)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2차 히터(10) 및 할로겐히터(4)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조리실(1) 내부의 온도를 적정한 조리 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1) 내부에 스팀 및 복사열이 제공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조리실(1) 내부는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콘트롤러(15)는 상기 팬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하여 송풍팬(12)을 동작시킴으로써 조리실(1)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물론, 상기 송풍팬(12)의 작동은 콘트롤러(15)에 의해 지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술한 것처럼 스팀과 할로겐히터(4)에 의한 복사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스팀 또는 할로겐히터(4)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다.
또한,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도 상기 2차 히터(1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단순한 스팀과, 과열 스팀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는 할로겐히터(56)를 구비한 스팀 조리기기에 적용되나, 이와 다르게 일반적인 전열히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임의의 조리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의 히팅관(54)이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히터(56)가 이 히팅관(54)의 외면에 부착되어 히팅관(54)을 가열함으로써 물을가열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히팅관(54)을 열전도성 재질 또는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하고, 히팅관(54)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물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스팀을 생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히팅관(54)이 U자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로 히팅관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팀발생장치는 조리기기 뿐만 아니라, 스팀을 발생시켜 살균, 세탁, 건조 등을 행하는 임의의 가전 시스템에도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탱크와는 별도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용기를 구성할 필요없이 급수탱크의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순화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므로, 스팀발생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화되어 제조 및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리 종료후 급수탱크를 제거하기만 하면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잔수가 거의 없게 되므로 위생면에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물이 저수되는 급수탱크와;
    일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급수탱크 내로 순환시키면서 스팀을 생성하는 히팅유닛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발생된 스팀을 조리실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일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일단이 상기 유입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팅관과;
    상기 히팅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일단이 상기 히팅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급수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히팅관에서 가열된 물을 급수탱크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조리실의 외면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와 유입관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급수탱크로부터 유입관으로의 물의 유동만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급수탱크 내부로 재유입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관은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는 상기 히팅관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히팅관을 가열함으로써 히팅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히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히팅관을 유동하는 물을 직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관은 'U'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히터의 발열에 의한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히터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제어유닛은, 상기 히팅관 또는 히터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20050127749A 2005-12-22 2005-12-22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073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49A KR100735697B1 (ko) 2005-12-22 2005-12-22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749A KR100735697B1 (ko) 2005-12-22 2005-12-22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95A true KR20070066495A (ko) 2007-06-27
KR100735697B1 KR100735697B1 (ko) 2007-07-06

Family

ID=3836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749A KR100735697B1 (ko) 2005-12-22 2005-12-22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18B1 (ko) * 2007-11-16 2009-08-14 이형락 스팀 발생장치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42U (ko) * 1999-02-09 1999-05-25 장기재 오븐기의스팀발생장치
JP2003275096A (ja) * 2002-03-25 2003-09-30 Toshiaki Kuroda 電気炊飯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18B1 (ko) * 2007-11-16 2009-08-14 이형락 스팀 발생장치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697B1 (ko)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64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US8695487B2 (en) Cooking appliance
US7915568B2 (en) Multifunction microwave oven with superheated stea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KR20100030667A (ko) 증기 조리기
KR20080029173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TWI359647B (ko)
JP2007003090A (ja) 加熱調理装置
KR20160133190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JP4976937B2 (ja) 加熱調理器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0643694B1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10218B1 (ko) 스팀 오븐
JP6267309B2 (ja) 蒸気調理器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KR101189389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538173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JP4559890B2 (ja) 加熱調理器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JP2011058677A (ja) 加熱調理器
JP4987635B2 (ja) 蒸気調理器
JP2009041818A (ja) 蒸気調理器
JP2015206589A (ja) 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