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96B1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96B1
KR101975196B1 KR1020170060996A KR20170060996A KR101975196B1 KR 101975196 B1 KR101975196 B1 KR 101975196B1 KR 1020170060996 A KR1020170060996 A KR 1020170060996A KR 20170060996 A KR20170060996 A KR 20170060996A KR 101975196 B1 KR101975196 B1 KR 10197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er case
drawer
hous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237A (ko
Inventor
임학주
양재경
이수찬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96B1/ko
Priority to US16/614,320 priority patent/US11503940B2/en
Priority to EP18802257.8A priority patent/EP3627965A4/en
Priority to PCT/KR2018/005634 priority patent/WO2018212600A1/ko
Publication of KR2018012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8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로어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인덕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기기는 식품을 익히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전기 오븐, 마이크로 웨이브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전기 오븐은, 열과 함께 식품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오븐 속에 가두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최근에는, 스팀 오븐과 같이, 조리 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조리 공간 내부로 스팀이 공급됨으로써, 찜 요리를 비롯한 다양한 요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조리 기기는,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탱크,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가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조리 기기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둘째, 스팀 발생 장치와 물탱크가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조리 기기 내부의 설계 자유도가 크지 않은 단점이 있다.
셋째, 히터가 스팀 발생 장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팀 발생 장치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스팀 발생 장치는, 히터가 물 속에 잠기는 구조이기 때문에, 히터 주위 또는 스팀 발생 장치 내부 벽면에 스케일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히터를 분리하거나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분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스케일 제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그 결과, 조리 기기의 사용 연한이 길어짐에 따라 누적되는 스케일을 제거하지 못하여 스팀 발생 장치의 열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넷째, 스팀 발생 장치 내부에 히터가 장착되고, 히터가 물에 잠기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서 상기 히터가 수면 위로 드러나면 히터가 과열되어 화재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09855호(2010년01월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로어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인덕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스 구조를 이루고,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전면부는, 파지부와, 파지부로부터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져서, 파지부의 후측에 파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에는 수위 감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위 감지 공간에는 수위 감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 감지 수단은, 상기 수위 감지 공간에서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터와, 상기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바닥부 외측에는 아우터 케이스의 표면 온도 감지를 위한 써미스터가 설치된다.
상기 써미스터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인출을 차단하는 걸림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 장치가 삽입되는 걸림홀 또는 상기 걸림 장치가 걸리는 걸림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면에는 걸림 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 후크가 걸리는 후크 리시버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면을 밀어주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을 미는 반력을 작용하는 푸쉬-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 커버의 후단에는 토출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는 상기 토출 포트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유닛은, 나선형으로 감기는 워킹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브라켓, 및 상기 코일 브라켓에 장착되는 다수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각각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돌출 및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턱 및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 또는 장점을 가진다.
첫째, 워터 탱크와 스팀 발생 용기가 단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실 내부 공간이 넓어지고, 조리 기기 내부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스팀 발생 용기를 조리 기기로부터 자유로이 분리 가능하고, 히터가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의 청소 및 물 채움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스팀 발생 용기가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의 표면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층 뿐만 아니라 아우터 케이스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서, 스팀 발생 용기의 표면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고, 그 결과 스팀 발생 용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스팀 발생 용기의 표면에 피부가 닿아서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넷째, 열을 발생하는 인덕션 유닛에 써미스터가 장착되고, 스팀 발생 용기의 표면 온도가 높으면 걸림 장치에 의하여 스팀 발생 용기의 인출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발열 장치로서 인덕션 유닛이 적용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가 조리 기기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스팀 발생 동작이 중단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의 과열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스팀 발생 용기의 전면과 핸들부 사이에 파지홈이 형성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저온으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손이 화상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스팀 발생 용기의 상면에 물주입구가 형성되므로, 스팀 발생 용기 내부로 물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스팀 발생 용기의 후면에 형성되는 토출 포트가 스팀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연결 포트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고, 연결 포트는 조리기기 내부에 고정되는 스팀 공급관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스팀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팀의 누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스팀 발생 용기의 후면을 밀어주는 푸쉬-풀 스위치 구조에 의하여, 스팀 발생 용기의 전면을 눌렀다 떼는 동작만으로 스팀 발생 용기의 착탈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열째, 스팀 발생 용기의 후면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후크 구조에 의하여, 스팀 발생 용기가 우발적으로 인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저면 사이도.
도 4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에 구비되는 인덕션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인덕션 유닛을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9는 상기 인덕션 유닛을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
도 11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14-14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주입구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케이스 커버의 절개 사시도.
도 19는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드로어의 종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상면 좌측 또는 상면 우측에 배치되는 스팀 발생 장치(20)와, 상기 케이스(11)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데코 패널(deco panel)(15)과, 상기 데코 패널(15)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전면에는 도어 핸들(121)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12)는 상기 케이스(11)의 전면 하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3)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2)와, 상기 조작부(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명령 또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운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의 위치에 대응하는 데코 패널(15)의 가장자리에는 드로어 삽입구(151)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드로어(후술함)의 인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의 후면에는 스팀 공급관(14)이 연결된다. 상기 스팀 공급관(14)은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조리실로 연결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저면 사이도이며, 도 4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드로어(26)와, 상기 하우징(21)의 바닥에 고정 장착되어 열을 발생하는 인덕션 유닛(30)과, 상기 하우징(21)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어(26)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위치 유닛(40)과, 상기 드로어(26)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28)와, 상기 써미스터(28)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값에 기반하여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걸림 장치(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써미스터(28)는 상기 하우징(21)의 바닥 및 상기 인덕션 유닛(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드로어(26)의 바닥부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28)에서는 상기 드로어(26)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리 기기(10)의 제어부(미도시)(컨트롤 패널(13)을 구성하는 피시비 기판에 구비될 수 있음)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온도값을 기반으로 상기 걸림 장치(27)를 작동시켜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미스터(28)의 장착 위치는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드로어(26)는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써미스터(28)는 상기 드로어(26)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로어(26)의 표면 온도값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림 장치(27)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 장치(27)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신호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드로어(26)의 온도값이 높으면, 상기 걸림 장치(27)가 상승하여 상기 드로어(26)의 바닥에 형성된 홀(후술함)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고온의 드로어 표면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장치(27)는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므로, 구속 부재, 또는 인출 제한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장치(27)는 반드시 솔레노이드 밸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이메탈과 같이 기구적인 구속 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드로어(26)는, 아우터 케이스(2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내부에 놓이는 인너 케이스(23)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 및 인너 케이스(23)의 상면을 덮는 케이스 커버(24), 및 상기 케이스 커버(24)에 형성된 주입구(24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입구 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23)와 아우터 케이스(22)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되어 공기층(g)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층(g)은, 상기 인너 케이스(23)로부터 아우터 케이스(22)로 열전달을 방해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2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23)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인덕션 유닛(3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신속하게 가열된다. 반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22)는 플라스틱과 같이 열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온도 상승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덕션 유닛(30)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는다. 상기 인너 케이스(23)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22)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유닛(40)은, 스위치(41)와, 상기 스위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크 리시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41)는 푸쉬-풀 타입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을 눌렀다 떼면, 상기 스위치(41)가 상기 드로어(26)의 배면을 밀어주어,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이 상기 조리 기기(10)의 데코 패널(15)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에 형성되는 파지부(후술함)를 잡아당겨서 상기 드로어(26)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푸쉬-풀 타입 스위치가 구비되므로,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에 드로어 파지를 위한 핸들이 구비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리시버(42)는, 후술하게 될 걸림 후크(225a :도 14 참조)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드로어(26)를 상기 하우징(21) 내부로 완전히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 후크(225a)가 상기 후크 리시버(42)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드로어(26)가 외부 힘에 의하여 우발적으로 또는 저절로 인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을 눌렀다 떼면, 상기 스위치(41)가 작동하여 상기 드로어(26)의 배면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41)의 미는 힘에 의하여 걸림 후크(225a)가 상기 후크 리시버(42)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드로어(26)의 전면이 상기 데코 패널(15)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스위치(41)와 후크 리시버(42)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수단이 제시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에 구비되는 인덕션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인덕션 유닛을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인덕션 유닛을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유닛(30)은, 단일 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는 워킹 코일(31)과, 상기 워킹 코일(31)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워킹 코일(31)을 지지하는 코일 브라켓(32)과, 상기 코일 브라켓(32)에 방사상 배치되는 자성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성체(33)는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라이트는 상기 워킹 코일(31)로부터 생성되는 자계가 확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워킹 코일(31)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워킹 코일(31)에는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하는 교류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31)의 상측에 놓인 금속 도체에 교류 자력이 가해져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상기 금속 도체에는 와전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와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줄열에 의해 상기 금속 도체가 가열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도체는 상기 드로어(26)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너 케이스(23)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유닛(30)에 의하여,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인너 케이스(23)만 가열되므로, 드로어 인출시 열에 의한 화상 위험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드로어(26)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덕션 유닛(30)에 의한 유도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품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이 감지되면 상기 인덕션 유닛(30)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킹 코일(31)은, 단일 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서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코일의 감긴 회수에 의하여 상기 워킹 코일(31)의 외경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코일 브라켓(32)은, 상기 워킹 코일(31)의 중심부에 놓이는 인너 림(inner rim)(321)과, 상기 워킹 코일(31)의 외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아우터 림(outer rim)(322)과, 상기 인너림(321)과 아우터림(322)을 연결하도록 방사상 연장되는 다수의 연결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연결부(323)는 상기 코일 브라켓(3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결부(323) 각각의 상면에는 자성체 수용홈(32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 수용홈(324)에는 상기 자성체(3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연결부(323) 각각의 저면에는 다수의 코일 지지 리브(32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코일 지지 리브(325)는 상기 인너 림(321)으로부터 아우터 림(32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코일 지지 리브(325)는 상기 워킹 코일(32)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지지 리브들(325)의 간격은, 상기 워킹 코일(31)을 구성하는 코일의 외경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워킹 코일(31)이 상기 코일 지지 리브(325) 사이 공간이 끼워지고, 그 결과 상기 워킹 코일(31)의 나선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너림(321)은 상기 워킹 코일(31)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인너림(321)의 중심부에는 상기 써미스터(28)가 관통하기 위한 센터홀(3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는, 드로어(26)와, 상기 드로어(26)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은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입을 위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의 상면도 개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은, 바닥부(211)와, 상기 바닥부(21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와, 상기 바닥부(211),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11)에는 다수의 방열홀(2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방열홀(211a)의 상측에 상기 인덕션 유닛(30)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열홀(211a)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상기 인덕션 유닛(30) 및 상기 드로어(26)를 구성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표면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내측 면에는 가이드 리브(216)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 지점에는 가이드 턱(212a,213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6)와 가이드 턱(212a)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 수용 공간으로 후술하게 될 드로어(26)의 슬라이드 레일(228)이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21)의 전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이 상기 레일 수용 공간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은 상기 좌측면부(212) 및 우측면부(213)의일부분이 상기 하우징(21)의 중심 방향으로 단차져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은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의 폭(또는 단차 깊이)은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즉,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배면부(214)에는 후크홀(214a) 및 스위치 홀(214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면부(214)의 후면에는 스위치 케이스(218)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214)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포트(217)가 상기 하우징(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 포트(217)은 상기 하우징(21)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의 바닥부(211)로부터 하측으로 지지 레그(215)가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레그(215)의 하단부는 상기 조리 기기(10)의 케이스(11) 상면에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레그(215)는 상기 하우징(21)의 바닥부(211)의 네 모서리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바닥부(211)의 후단부 좌측과 우측 모서리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측면부(212)의 전면 상단과 상기 우측면부(213)의 전면 상단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연결 리브(219)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219)에 의하여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전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리브(219)는 상기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14-14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드로어(26)는 아우터 케이스(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22)는, 전면부(221)와, 상기 전면부(221)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측면부(223) 및 우측면부(224)와, 상기 전면부(221)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부(222)와, 상기 바닥부(222), 좌측면부(223) 및 우측면부(224)의 후단을 연결하는 배면부(2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상면은 개구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전면부(22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21a)와, 상기 파지부(221a)의 배면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케이스 커버 안착부(221b)와, 상기 커버 안착부(221b)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21c)와, 상기 수직부(221c)후면에서 돌출되는 전면 지지턱(221d)과, 상기 수직부(221c)의 하단에서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221e)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221e)는 수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221a)와 상기 경사부(221e) 사이에는 파지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2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너 케이스(23)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상기 파지부(221a)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21a)는, 상기 드로어(26)가 상기 하우징(2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조리 기기(10)의 데코 패널(15)에 형성된 상기 드로어 삽입구(151)를 완전히 폐쇄한다. 즉, 상기 파지부(221a)와 상기 드로어 삽입구(151)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부(222)의 어느 일 지점에는 걸림홀(222a)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222a)에는 상기 걸림 장치(27)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예컨대, 상기 써미스터(28)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표면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걸림 장치(27)가 상승하여 상기 걸림홀(222a)에 삽입되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22)를 포함하는 드로어(26)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상기 써미스터(28)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표면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걸림 장치(27)는 상기 걸림홀(222a)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어, 상기 드로어(26)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장치(27)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에 홀이 형성되는 방법 외에도 다양한 수단이 제안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바닥면에 걸림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 장치(27)가 상기 걸림 리브의 전방에서 상승 가능하게 제공되면, 상기 걸림 장치(27)가 상기 걸림 리브에 걸려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인출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내면에는 측면 지지턱(229)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지지턱(229)은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지지턱(229)은 상기 전면 지지턱(221d)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외면에는 슬라이드 레일(228)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외면에서 소정 폭으로 수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좌측면부(223)와 우측면부(224)의 상단보다 하단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228)은, 상기 하우징(21)의 좌측면부(212)와 우측면부(213)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턱(212a,213a)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배면부(225)의 후면에는 걸림 후크(225a)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걸림 후크(225a)는 상기 하우징(21)에 형성된 후크홀(214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부(225)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상기 바닥부(222)의 어느 지점에서 구획벽(226)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벽(226)의 상단은 상기 측면 지지턱(22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지지턱(229)과, 상기 전면 지지턱(221d), 및 상기 구획벽(226)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획벽(226)의 하부 영역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통홀(226a)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채워지는 물의 일부가 상기 배면부(225)와 구획벽(226)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면부(225)와 구획벽(226) 사이의 공간은 수위 감지 공간(227)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225)에는 수위 감지 센서(53)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수위 감지 공간(227)에는 플로터(5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226a)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플로터(50)의 위치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위 감지 센서(53)는, 만수위 센서(52)와 저수위 센서(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만수위 센서(52)는 상기 배면부(225)의 상단부에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위 센서(51)는 상기 배면부(225)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플로터(5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위 감지 센서(53)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53)는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226)과 상기 바닥부(222)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는 저면 지지턱(226b)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저면 지지턱(226b)의 높이만큼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바닥부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바닥부(222)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면 지지턱(226b)에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바닥부 후면이 밀착됨으로써, 상기 연통홀(226a)을 통하여 상기 수위 감지 공간(227)으로 흐르는 물이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바닥부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바닥부(22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를 구성하는 드로어(26)는 인너 케이스(2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인너 케이스(22)는, 경사진 전면부(231)와, 상기 전면부(231)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부(232)와, 상기 전면부(231)의 좌우 단부에서 후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좌측면부(233) 및 우측면부(234)와, 상기 바닥부(232), 좌측면부(233) 및 우측면부(234)를 연결하는 배면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231)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3)의 경사부(221e)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231)와 상기 경사부(221e)는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231)와, 좌측면부(233)와, 우측면부(234), 및 상기 배면부(235)의 상단에서 플랜지(236)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36)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전면 지지턱(221d)과, 측면 지지턱(229) 및 구획벽(226)의 상단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235)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통홀(235a)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235a)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연통홀(226a)과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저수되는 물의 일부는 상기 연통홀들(235a,226a)을 통과하여 상기 수위 감지 공간(227)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36)에 의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23)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이격되는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진다. 다만,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배면부(235)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구획벽(226)에 밀착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배면부(225)와 이격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드로어를 구성하는 케이스 커버 및 주입구 커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케이스 커버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20)의 드로어(26)는 케이스 커버(24) 및 주입구 커버(25)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커버(24)는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개구된 상면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개구된 상면을 완전히 덮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4)의 전단부에 가까운 어느 지점에는 물 주입을 위한 주입구(241a)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241a)는 상기 주입구 커버(25)에 의하여 선태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241a)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는 체결홀(24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24)의 후단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토출 포트(24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토출 포트(244)는 상기 하우징(21)에 형성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포트(217)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드로어(26)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토출 포트(244)도 상기 연결 포트(217)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드로어(26)가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되면, 상기 토출 포트(244)도 상기 연결 포트(217)에 끼워진다.
상기 케이스 커버(24)는, 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24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41)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42)와, 상기 연장부(242)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는 가압 플랜지(2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24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41)의 네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41)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41)의 저면에는 지지면(241c)이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24)가 상기 인너 케이스(23)와 아우터 케이스(22)의 상면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면(241c)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상면이 안착된다. 즉, 상기 아우터 케이스(22)의 케이스 커버 안착부(221b)와, 상기 좌측면부(223), 우측면부(224), 및 배면부(225)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면(241c)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가압 플랜지(243)는, 상기 인너 케이스(23)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플랜지(236)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23) 내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입구 커버(25)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주입구 커버(25)는, 상기 주입구(241a)를 차폐하는 커버 바디(251)와, 상기 커버 바디(25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단(252), 및 상기 연장단(252)의 단부 저면에서 돌출되는 삽입 돌기(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253)는 상기 케이스 커버(24)에 형성딘 상기 체결홀(241b)에 삽입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241a)의 가장자리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바디(251)의 저면도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드로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인너 케이스(23)와 아우터 케이스(22) 사이에는 공기층(g)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23)로부터 아우터 케이스(22)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22)는 상기 인덕션 유닛(30)의 유도 가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241a)를 통하여 주입되는 물은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채워지고,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채워지는 물의 일부는 상기 연통홀들(235a,226a)을 통하여 상기 수위 감지 공간(227)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공간(217)에는 상기 플로터(50)가 배치되어, 상기 수위 감지 공간(227)에 채워지는 물에 의하여 상승한다.
상기 플로터(50)는, 자력을 발생하는 마그넷(501)과, 상기 마그넷(501)을 감싸는 플로터 바디(5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53)는 상기 플로터(50)의 마그넷(501)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23) 내부의 수위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인덕션 유닛(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인너 케이스(23)가 가열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23)에 저장된 물이 수증기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23) 내부에 생성된 수증기는 상기 토출 포트(241)를 통하여 상기 드로어(26)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토출 포트(241)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는 상기 연결 포트(217) 및 상기 스팀 공급관(14)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공급된다.

Claims (15)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장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조리실을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드로어;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기 드로어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인덕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 및 아우터 케이스의 상면을 덮고, 일측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 및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물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와,
    상기 써미스터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인출을 제한하는 걸림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가열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전면부, 바닥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상기 배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상기 바닥부의 어느 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는 수위 감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케이스에 채워지는 물이 상기 수위 감지 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부 및 상기 구획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공간에 제공되며, 내부에 마그넷이 구비되는 플로터와,
    상기 수위 감지 공간을 정의하는 벽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 장치가 삽입되는 걸림홀 또는 상기 걸림 장치가 걸리는 걸림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걸림 후크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걸림 후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 리시버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면을 밀어주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을 미는 반력을 작용하는 푸쉬-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리시버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제공되는 데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코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드로어가 삽입되는 드로어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전면을 눌렀다 떼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스위치의 반력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에 작용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데코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커버의 후단에 형성되는 토출 포트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되어, 입구단에 상기 토출 포트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포트의 출구단은 상기 스팀 공급관의 입구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유닛은,
    나선형으로 감기는 워킹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브라켓, 및
    상기 코일 브라켓에 장착되는 다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자성체는 상기 워킹 코일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자성체 각각은 상기 워킹 코일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각각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돌출 및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턱 및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170060996A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KR10197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96A KR101975196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US16/614,320 US11503940B2 (en) 2017-05-17 2018-05-16 Cooking appliance
EP18802257.8A EP3627965A4 (en) 2017-05-17 2018-05-16 COOKING APPLIANCE
PCT/KR2018/005634 WO2018212600A1 (ko) 2017-05-17 2018-05-16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96A KR101975196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37A KR20180126237A (ko) 2018-11-27
KR101975196B1 true KR101975196B1 (ko) 2019-05-07

Family

ID=6427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996A KR101975196B1 (ko) 2017-05-17 2017-05-17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03940B2 (ko)
EP (1) EP3627965A4 (ko)
KR (1) KR101975196B1 (ko)
WO (1) WO20182126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03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5450S1 (en) * 2017-06-20 2018-12-1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Oven
KR20200119596A (ko) * 2019-04-10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2148047B (zh) * 2020-09-28 2021-12-28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水蒸汽量控制方法及厨房电器
WO2022206329A1 (zh) * 2021-04-02 2022-10-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模块及衣物处理装置
WO2023075477A1 (ko)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6A1 (ko)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30061210A (ko)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8A1 (ko)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230138859A1 (en) 2021-10-28 2023-05-04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075471A1 (ko)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30061213A (ko)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30061211A (ko)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4A1 (ko)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30061208A (ko)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IT202200003089A1 (it) * 2022-02-18 2023-08-18 Smeg Spa Forno per la cottura di cibi
KR20240018270A (ko) *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40018269A (ko)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145A (en) * 1970-12-16 1972-12-26 Anetsberger Bros Inc Self-cleaning oven
US3745290A (en) * 1972-03-01 1973-07-10 Gen Electric Inductively heatable utensils or vessels for heating,serving and storing food
US3815942A (en) * 1972-07-31 1974-06-11 Gen Electric Thermally responsive locking means for oven door latching mechanism
US4424426A (en) * 1982-06-24 1984-01-03 M-S Corporation Battery powered drawer opening device
EP1658798B1 (en) * 2004-11-19 2009-02-25 Whir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DE102005012219A1 (de) * 2005-03-15 2006-09-21 Rational Ag Beheizbares Gehäuse,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Dampf und Gargerät
US7326891B2 (en) * 2005-06-08 2008-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am generation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and oven including the same
KR100691225B1 (ko) * 2005-06-0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677880B1 (ko) * 2005-06-17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US20070114222A1 (en) * 2005-11-24 2007-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am cooking apparatus
KR101041079B1 (ko) * 2006-09-28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824006B1 (ko) *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KR101028259B1 (ko) * 2008-07-17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480462B1 (ko) 2008-07-21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
KR20100012726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CN201365481Y (zh) * 2009-02-13 2009-12-23 东莞市前锋电子有限公司 电磁式烧烤炉
US10010213B2 (en) * 2010-11-02 2018-07-03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and food containers
DE102010063495A1 (de) 2010-12-20 2012-06-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tank für ein Dampfgerät sowie Dampfgargerät mit einem Wassertank
TWM428713U (en) * 2012-01-20 2012-05-11 Gslide Corp Automatic opening apparatus of sliding rail
WO2013136773A1 (ja) * 2012-03-15 2013-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および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2067828B1 (ko) * 2013-05-31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 레인지
EP2775217B1 (en) 2013-03-06 2017-09-06 LG Electronic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KR101621614B1 (ko) * 2014-06-30 2016-05-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이미지 향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KR20160025171A (ko) * 2014-08-27 2016-03-08 (주)쿠첸 인덕션 렌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JP6832932B2 (ja) * 2016-07-29 2021-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を備えたキッチン家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03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600A1 (ko) 2018-11-22
KR20180126237A (ko) 2018-11-27
US11503940B2 (en) 2022-11-22
US20200146498A1 (en) 2020-05-14
EP3627965A4 (en) 2021-01-20
EP3627965A1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96B1 (ko) 조리 기기
KR101827831B1 (ko) 스팀조리기기
JP4049787B2 (ja) 過熱蒸気調理器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KR101859320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EP3667174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60082472A (ko) 증기수병 장착기능을 구비한 스팀 오븐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JP6229171B2 (ja) 加熱調理器
KR102480463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JP5117215B2 (ja) 加熱調理器
JP2005261613A (ja) ドア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熱調理器
KR20200074079A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2126485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20100012726A (ko) 전기 오븐
JP201805600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605651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JP6411772B2 (ja) 加熱調理器
KR10173216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11324325U (zh) 一种嵌入式蒸笼装配结构及电热饭盒及蒸煮器
CN214259031U (zh) 煲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6522216B2 (ja) 加熱調理器
JP4970586B2 (ja) 加熱調理器
KR101965661B1 (ko) 비노출형 전기 밥솥
JP2006020965A (ja) 電気調理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