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206A -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206A
KR20080027206A KR1020070096633A KR20070096633A KR20080027206A KR 20080027206 A KR20080027206 A KR 20080027206A KR 1020070096633 A KR1020070096633 A KR 1020070096633A KR 20070096633 A KR20070096633 A KR 20070096633A KR 20080027206 A KR20080027206 A KR 2008002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asing
display
movable side
movable
ca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368B1 (ko
Inventor
시게루 야마구찌
시게오 노노야마
히로시 고바야시
도모유끼 나가미네
데쯔야 호리
요시아끼 가또우
고지 나까꾸보
다까시 고지마
도시유끼 이또
마나부 소또다떼
요시또모 이시이
스스무 니까와
겐에쯔 후루끼
히로노부 다니구찌
요시히로 오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 케이싱부의 회전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측 케이싱부(4)와 가동측 케이싱부(6)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10)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8)를 구비하고, 그 가동 암부(8)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또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 Oa가 상기 힌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정된 구성이다.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상기 회전 중심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중심선 상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된다.
고정측 케이싱부, 가동측 케이싱부, 가동 암부, 힌지부, 회전 모듈, 입력 조작부, 표시부, 회전 센서, 회전 로크 기구, 가상 중심축, 개폐 센서, 세로 메인 표시 화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

Description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접힘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측 케이싱부에 회전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그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측의 케이싱부와, 표시부측의 케이싱부를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하면, 휴대시에 접어, 기기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표시부를 세로로 길게 한 케이싱부가 회전 가능하면, 표시부를 세로로 긴 상태 또는 가로로 긴 상태로 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힘 기능이나 표시부측의 케이싱부에 회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허 문헌 1에는, 상측 유닛과 하측 유닛을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측 유닛에 지지부 유닛 및 표시부 유닛을 구비하고, 지지부 유닛에 대하여 표시부 유닛이 회전/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회전·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이론 특개 2003-319043호 공보(요약, 청구항 3, 도 4 등)
그런데, 표시측 케이싱부의 표시부를 세로로 긴 상태로부터 가로로 긴 상태로, 또한,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로 조작 가능하게 한 종래의 구성(특허 문헌 1)에서는, 표시부에 대응하여 표시측 케이싱부가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세로로 긴 상태를 정상 상태로 한 경우, 그 세로로 긴 상태로부터 가로로 긴 상태로 회전시키면, 가로로 긴 상태의 표시부와 조작부 사이에 소용없는 간격이 생기게 되고, 또한, 가로로 긴 상태를 정상 상태로 하면, 표시측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회전 기능과 슬라이드 기능을 병용함으로써, 세로로 긴 상태로부터 가로로 긴 상태로 회전시켰을 때에 생기는 소용없는 간격을 슬라이드 기능에 의해, 표시측 케이싱부를 조작측 케이싱부로 이동시켜, 양자 사이를 가깝게 한다고 하는 등의 복잡한 기구와 그것을 위한 조작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구를 구비한 경우에는, 조작성이 부족하고, 회전/슬라이드 기구가 복잡하여, 제조 코스트적으로 불리하다.
이러한 요구나 과제에 대해서, 특허 문헌 1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그것을 해결하는 구성 등에 대한 개시나 시사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표시부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이 표시부의 시인성에 대해서 상술하면, 가동측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고정측 케이싱부의 중심선과 변위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심플화 및/또는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를 구비한다. 이 가동 암부에는, 가동측 케이싱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암부의 고정측 케이싱부의 개폐에 의해,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의 소위 접힘이 가능하고, 전자 기기의 심플화 및/또는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은 힌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측 케이싱부는, 힌지부의 근방, 즉, 고정측 케이싱부의 근방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회전과는 별개로 슬라이드 기구는 불필요하여, 회전 구조의 간략화가 도모되고,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조작성, 가동측 케이싱부에 표시부를 설치하면, 그 표시부의 시인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 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를 구비하고, 그 가동 암부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을 상기 힌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정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상기 회전 중심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중심선 상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그 중심선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상기 가동 암부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부터 어긋나,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있는 표시부의 표시 에리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회전 센서의 각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센서의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 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들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들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측 케이싱부 상에 가동측 케이싱부 및 가동 암부 가 접히고, 이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열린 상태에서는, 가동 암부 상에 가동측 케이싱부가 겹치고, 그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측 케이싱부에 예를 들면, 표시부를 설치하면, 열린 상태뿐만 아니라, 닫힌 상태에서도, 가동측 케이싱부를 변위시켜 표시 기능을 완수할 수 있어, 심플화 및/또는 컴팩트화가 도모되어,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의 기능성이 높아진다.
(2)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이 고정측 케이싱부의 힌지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 각도에 따라 가동측 케이싱부를 고정측 케이싱부에 가깝게 할 수 있고, 고정측 케이싱부에 입력 조작부, 가동측 케이싱부에 표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표시부의 시인성과, 입력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가동측 케이싱부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하면, 회전 변위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등, 표시 기능을 높일 수 있다.
(4)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시켜 부착된 가동 암부에 가동측 케이싱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동 암부의 개폐 상태와는 별개로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킬 수 있어, 가동측 케이싱부에 대한 회전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단말 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휴대 단말 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싱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닫힌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싱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장치(2)는,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복수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측 케이싱부로서 고정측 케이싱부(4)와, 표시측 케이싱부로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측 케이싱부(4)에는 가동 암부(8)가 개폐부인 힌지부(10)에 의해 부착되고, 또한, 가동 암부(8)에는 회전 지지부로서의 회전 모듈(12)을 부착되고, 이 회전 모듈(12)에 가동측 케이싱부(6)가 고정되고, 가동측 케이싱부(6)는 회전 모듈(12)에 의해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 예를 들면, 90도의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즉, 고정측 케이싱부(4)에는 힌지부(10)를 개재시켜 가동 암부(8)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가동 암부(8)에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중심 Oa는, 힌지부(10)의 근방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가동측 케이싱부(6)에는, 반원 형상의 가장자리부로서 주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케이싱부(4)에는, 부호 키나 커서 키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입력 조작부(16) 등이 설치되고, 가동측 케이싱부(6)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유닛으로서 표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의 주연부(14)의 회전 반경을 R, 힌지부(10)의 회전 중심 Ob로부터의 장출폭을 r, 회전 중심 Oa와 회전 중심 Ob와의 거리를 d, 고정측 케이싱부(4) 및 가동측 케이싱부(6)의 폭을 w, 그 2분의 1의 폭을 w/2로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
Figure 112007068864519-PAT00001
Figure 112007068864519-PAT00002
Figure 112007068864519-PAT00003
수학식 1, 2 및 3에 대해서, 수학식 1은, 힌지부(10)의 외면부에 비접촉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의 주연부(14)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학식 2가 성립하면, 주연부(14)가 가동측 케이싱부(6)의 2분의 1 폭을 반경으로 하는 진원의 반원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수학식 3과 같이, (d-r)과 R을 동등하게 하면, 힌지부(10)의 외면부에 가동측 케이싱부(6)의 주연부(14)를 근접 상태로 할 수 있어, 가동측 케이싱부(6) 를 90도만 회전시킨 경우에, 가동측 케이싱부(6)의 측연부를 힌지부(10)에 근접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2)에 따르면, 가동부로서 힌지부(10) 및 회전 모듈(12)을 구비함으로써, 가동측 케이싱부(6)를 가동 암부(8)와 함께 개폐시키거나, 또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는, 고정측 케이싱부(4)에 대하여 가동 암부(8)와 함께 닫히거나,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암부(8) 및 가동측 케이싱부(6)는,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에 이르는 도중에, 정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열린 상태에서 표시부(18)를 향하여, a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중심선에 일치하는 중심 위치(좌우 회전 개시점), b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우회전 위치(우측 회전 종점), c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좌회전 위치(좌측 회전 종점)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는, 열린 상태에서, 중심 위치 a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우측)으로 우회전 위치 b까지 회전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중심 위치 a 또는 우회전 위치 b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좌측)으로 좌회전 위치 c까지 회전시켜 고정하여, 고정측 케이싱부(4)에 대하여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측 케이싱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 b, c에 이르는 도중에, 회전 모듈(12)이 갖는 정지 토크에 의해 정지시키고, 그 정지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는, 닫힌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심 위치 a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우측)으로 우회전 위치 b까지 회전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중심 위치 a로부터 화살표 B의 방향(좌측)으로 좌회전 위치 c까지 회전시켜 고정하여, 고정측 케이싱부(4)에 대하여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가동측 케이싱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 b, c에 이르는 도중에, 회전 모듈(12)이 갖는 정지 토크에 의해 정지시키고, 그 정지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조작에 의해,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각도 θ가 예를 들면, 20도 정도 변위해도, 표시부(18)의 표시 기능을 상승시켜서, 우회전 위치 b 또는 좌회전 위치 c에 도달시키기 전에 있어도, 고정측 케이싱부(4)의 배면측으로부터 가동측 케이싱부(6)에 있는 표시부(18)의 표시 내용의 일부를 시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 장치(2)의 표시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휴대 단말 장치(2)의 표시 제어 방법의 일례인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표시 제어 방법으로는,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하고(스텝 S1), 열린 상태이면, 좌우 회전 각도의 검출 및 그 판단을 행한다(스텝 S2).
열린 상태에서, 회전 각도가 0도이면, 세로 메인 표시 화면(세로 메인 표시 모드)의 표시(스텝 S3), 우회전이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의 표시(스텝 S4), 좌회전이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의 표시(스텝 S5)를 행한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도, 좌우 회전 각도의 검출 및 그 판단을 행한다(스텝 S6). 회전 각도가 0도이면, 비표시(스텝 S7), 우회전이면, 우측 서브 표시 화면(서브 표시 모드)의 표시(스텝 S8), 좌회전이면, 좌측 서브 표시 화면(서브 표시 모드)의 표시(스텝 S9)를 행한다.
따라서, 이 제어 방법에는, 고정측 케이싱부(4)와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 조작,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조작 등에 대응하여,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처리 수순을 포함하고 있다.
a)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 또는 회전의 검출
고정측 케이싱부(4)에 대하여, 가동측 케이싱부(6)는 가동 암부(8) 및 힌지부(10)에 의해 개폐된다. 가동측 케이싱부(6)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 중 어느 경우에도, 가동 암부(8)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그 회전 각도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개폐 센서(112)에 의해 검출하고,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각도 θ를 회전 센서(42, 44)에 의해 검출한다.
b) 표시 모드의 절환
표시부(18)에는,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세로 메인 표시 화면(세로 메인 표시 모드),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의 각 표시로 절환되고,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비표시 또는 우측 서브 표시 화면(서브 표시 모드), 좌측 서브 표시 화면(서브 표시 모드)의 표시로 절환된다.
c) 표시 화면 제어
표시 화면 제어는, 후술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d) 열린 상태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표시부(18)의 표시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이고, 회전 각도 θ=0인 경우, 가동측 케이싱부(6)의 표시부(18)에는, 세로 메인 표시 화면, 좌우 회전에 따라서,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전개된다.
e) 닫힌 상태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표시부(18)의 표시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이고, 회전 각도 θ=0인 경우, 가동측 케이싱부(6)의 표시부(18)는 고정측 케이싱부(4)에 겹쳐 있고, 이 경우, 표시부(18)의 표시는 해제된다.
f) 닫힌 상태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싱부(6)가 소정 각도 이상, 예를 들면, θ=20도에 도달하면, 회전 센서(42, 44)의 검출 출력에 의해, 표시부(18)를 기동하여, 음성 착신이나 메일 착신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서브 표시 화면(참조 부호 140(도 18), 참조 부호 142(도 19), 참조 부호 148(도 21, 도 22), 참조 부호 150(도 23, 도 24))이 전개된다.
다음으로,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휴대 단말 장치(2)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가동측 케이 싱부의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의 상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가동 암부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스토퍼 구조 및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4에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고정측 케이싱부(4)는 고정측 프론트 케이스부(20) 및 고정측 리어 케이스부(22)를 구비하고, 이 고정측 프론트 케이스부(20)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측에는 힌지부(10)의 베어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24)에는 베어링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리어 케이스부(22)에는 고정측 기판 등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측 케이싱부(6)는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 및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를 구비하고,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의 원형부(32)측에는 회전 모듈(12)이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 모듈(12)의 회전 중심부에는 투공(36)이 형성되고, 이 투공(36)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의 통과에 이용된다.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에는 가동측 기판(40)이 설치되고, 이 가동측 기판(40)에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θ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42, 4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암부(8)는, 암부(46)와 암 커버부(48)를 구비한다. 암부(46)의 원형부(50)측에는, 이미 상술한 회전 모듈(12)과 함께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가 고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복수의 나사(5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암부(46)에는, 힌지부(10)의 베어링부(54, 56)가 형성되고, 각 베어링부(54, 56)의 간격(58) 내에 고정측 케이싱부(4)의 베어링부(24)가 삽입된다. 베어링부(54)에는 고정측 케이싱부(4)의 베어링부(24)에 도달하는 힌지 축으로서의 힌지 모듈(60)이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또한, 베어링부(56)에도 힌지 축으로서의 힌지 모듈(62)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힌지 모듈(62)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해서, 케이블 가이드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가동 암부(8)의 암부(46)에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가동측 프론트 케이스부(28)측에 설치된 회전 센서(42, 44)와 동일 궤도 상에 복수의 마그네트로서 3개의 마그네트 M2, M3, M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하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중심 위치 a, 우회전 위치 b 또는 좌회전 위치 c가, 이들 회전 센서(42, 44)와 마그네트 M2, M3, M4에 의해 검출된다.
암 커버부(48)는, 암부(46)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64)와, 각 베어링부(54, 56)를 덮는 피복부(66, 68)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64)는, 암부(46)에 접합되어 암부(46)의 상면을 방호하고, 피복부(66, 68)는, 각 베어링부(54, 56)의 주벽부를 덮어, 각 베어링부(54, 56)를 보강하고, 방호한다.
힌지부(10)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케이싱부(4)의 베어링부(24)와, 가동 암부(8)의 베어링부(54, 56)와, 힌지 모듈(60, 62)로써 구성되고, 고정측 케이싱부(4)에 가동 암부(8)를 개폐 가능(이 실시 형태에서는,170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전 모듈(12)은, 가동 암부(8)에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 모듈(12)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 지하는 가동 암부(8), 가동 암부(8) 상에서 회전 모듈(12)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가동측 케이싱부(6)에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좌우 허용 회전각 90도의 중심 위치 즉, 0도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 로크 기구(70)(도 9 등)와, 좌우 허용 회전각 90도의 회전 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 기구(72)(도 12 등)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로크 기구(70)의 핀 계합부(74)가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핀 계합부(7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모듈(12)보다 외측에 설치되고,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30)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다. 핀 계합부(74)과 계합하는 로크 핀(76)은, 가동 암부(8)의 암부(46)에 부착되고,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암부(4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로크 기구(7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암부(8)에 회전 모듈(12)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위치 a에 고정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여기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가동 암부(8)에 고정, 유지시키는 것은, 유저에게 그 위치가 기준 위치인 것을 인식시키고, 또한, 유저가 회전하는 의사를 갖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동하지 않을 정도의 유지 상태이며, 이동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하는 로크 상태를 상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회전 조작을 위한 부하로는 회전하지 않을 정도의 유지를 행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일치하는 위치 즉, 중심 위치 a에 고정하여, 유지시키기 위해서, 가동 암부(8)에 고정된 회 전 모듈(12)의 회전 중심 Oa를 관통하는 가상 중심축(78)(도 9) 상에 회전 로크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중심축(78)은, 고정측 케이싱부(4) 및 가동측 케이싱부(6)의 중심선 상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기구(7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로크 기구(70)를 중심으로, 가동측 케이싱부(6)의 좌우 회전의 최대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그 최대 회전 각도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정지시키는 구조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핀 계합부(74)를 스토퍼부에 공용하고 있고, 핀 계합부(74)에는, 스토퍼면(80, 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계합부(74)에 대하여, 가동 암부(8)에는, 핀 계합부(74)가 삽입되는 원호형의 홈부(84)가 형성되고, 홈부(84)의 종단부에서 핀 계합부(74)의 스토퍼면(80, 82)을 접촉시키는 스토퍼(86, 88)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면(80)이 스토퍼(86), 스토퍼면(82)이 스토퍼(88)에 닿아,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저지되는 위치가 중심 위치 a로부터 좌우 90도의 위치 b, c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계합부(74)의 스토퍼면(80)이 홈부(84)의 종단부인 스토퍼(86)에 닿아, 가동측 케이싱부(6)가 좌측 90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계합부(64)의 스토퍼면(82)이 홈부(84)의 종단부인 스토퍼(88)에 닿아, 가동측 케이싱부(6)가 우측 90 도의 각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전기 회로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도 1 내지 도 1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휴대 단말 장치(2)에는, 전화 기능이나 메일 송수신 기능 등에 부가하여 이미 전술한 고정측 케이싱부(4)와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 조작,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조작 등에 대응하여,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 휴대 단말 장치(2)에는, 입력 조작부(16), 표시부(18), CPU(Central Processing Unit)(90), 메모리부(92), 전원부(94), 센서부(96), 무선부(98), 음향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 조작부(16)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전화 번호 입력이나 메일 문서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 등에 이용된다. 표시부(18)는, 대기 화면, 메일 작성 화면, 메일 착신 화면 등을 표시하고,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 상태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표시 형태로 제어된다.
CPU(90)는, 메모리부(92)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 조작부(16)의 입력, 센서부(96)의 검출 신호의 수신 등, 검출 정보나 제어 정보의 취득, 메모리부(92)의 정보의 읽고 쓰기, 표시부(18)의 표시 제어 등,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메모리부(92)에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그 밖의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기록 매체로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 Memory)(102), 실행용 Flash 메모리(104) 및 보존용 Flash 메모 리(106)로 구성되고, SDRAM(102), 실행용 Flash 메모리(104) 및 보존용 Flash 메모리(106)는, 버스(108)를 통해서 CPU(90)에 접속되어 있다.
SDRAM(102)는, 작업 에리어를 구성하고, 보존용 Flash 메모리(106)로부터 읽어내고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처리나 제어 정보를 생성시킨다. 실행용 Flash 메모리(104)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데이터 베이스 등이 구축된다. 보존용 Flash 메모리(106)에는, OS(0perating System)나 표시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외부 메모리 IF(인터페이스)(110)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고, 이 외부 메모리에는, 전화 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의 어드레스 데이터, 각종 콘텐츠 등이 저장된다.
전원부(94)는, 배터리, CPU(90)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충전 회로, 안정화 회로, 전원 제어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어, 무선부(98) 등의 각종 기능부에 급전한다.
센서부(96)는, 가동 암부(8)에 의한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나,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각도 θ(=0도 또는 좌우 각 90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따라서, 이 센서부(96)에는, 개폐 센서(112), 회전 센서(42, 44)가 포함되어 있다. 개폐 센서(112)는, 마그네트 M1(도 8)로부터의 자속의 유무를 검출하여, 그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에 있는지,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검출 출력을 발생한다. 회전 센서(42, 44)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가동측 기판(40)에 설치되어 있고, 3개의 마그네트 M2, M3, M4(도 8)의 설치 위치는, 회전하는 가동측 케이 싱부(6)의 회전 센서(42, 44)의 궤도 상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동측 케이싱부(6)의 중심 위치 a(도 3)에 있는 회전 센서(42)에 마그네트 M2, 회전 센서(44)에 마그네트 M3이 겹치므로, 회전 센서(42, 44)로부터 가동측 케이싱부(6)의 중심 위치 a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출력이 얻어진다. 중심 위치 a에서는, 회전 센서(42, 44)로부터 예를 들면, 고레벨 출력 또는 저레벨 출력의 동일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센서(42, 44)에는 마그네트 M2, M3, M4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에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에 따른 출력이 회전 센서(42, 44)에 생긴다. 이 출력 변화는, 좌우의 회전 각도 θ=20도부터 생기므로, 그것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 90도의 위치 또는 좌측 90도의 위치를 나타내는 출력이 회전 센서(42, 44)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면, 회전 센서(42)로부터 고레벨 출력, 회전 센서(44)로부터 저레벨 출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우측 90도의 위치, 이것과는 반대의 출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좌측 90도의 위치를 나타낸다.
무선부(98)는, 음성 통신 또는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의 송수신을 안테나(118)를 통해서 행하고, 음성이나 데이터의 변조 처리, 무선 신호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의 복조 처리 등을 행한다.
음향부(100)는, 착신 음성을 스피커(120)를 통해서 출력하고, 또는, 마이크로폰(122)으로부터의 송화 음성의 취득 및 증폭 등을 행한다.
다음으로, 표시부(18)의 표시 형태에 대해서,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대기 상태의 세로 메인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대기 상태의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우측 서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 내지 도 24는 서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4에서, 도 1 내지 도 1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표시부(18)의 표시 형태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 및/또는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에 의해 변화되고, 열린 상태로 메인 표시 화면이 전개되고, 이 메인 표시 화면에는, 고정측 케이싱부(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세로로 긴 상태의 세로 메인 표시 화면, 가로로 긴 상태의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존재하고, 가로 메인 표시 화면에는 고정측 케이싱부(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각도에 따라서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존재한다. 가동측 케이싱부(6)의 닫힌 상태에서는, 가동측 케이싱부(6)가 소정 각도까지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서브 표시 화면이 전개되고, 서브 표시 화면에는, 고정측 케이싱부(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우측 서브 표시 화면, 좌측에 좌측 서브 표시 화면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동일한 표시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1) 메인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에서는, 표시부(18)에는 메인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가동측 케이싱부(6)가 회전 상태가 0도에 있는 경우(기준으로서의 중심 위치 a)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상태의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이 표시된다. 이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은, 대기 상태의 표시 화면이 다. 따라서, 이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에는, 전지의 잔량을 나타내는 전지 마크(126), 전파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전파 수신 강도 마크(128), 메일 착신의 유무를 나타내는 메일 마크(130), 일시, 요일 및 시각을 나타내는 일시 표시(132), 읽지 않은 메일의 존재 및 그 수를 나타내는 읽지 않은 메일 마크(134), 그 밖의 정보를 나타내는 마크(136) 등이 표시되어 있다.
열린 상태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으로 회전하면, 고정측 케이싱부(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각도 90도의 위치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이 표시된다. 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은, 이미 전술한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과 마찬가지로 대기 상태의 표시 화면으로서, 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에도, 전지 마크(126), 전파 수신 강도 마크(128), 메일 마크(130), 일시 표시(132), 읽지 않은 메일 마크(134), 마크(136) 등이 가로 방향으로 전개되어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열린 상태에 있는 가동측 케이싱부(6)를 좌측으로 회전하면, 고정측 케이싱부(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각도 90도의 위치에서는,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표시되지만, 대기 상태에 있는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과 동일해진다.
또한, 표시부(18)에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도 16)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가동측 케이싱부(6)가 회전 각도 0도에 있는 경우)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접어, 즉, 닫힌 상태로 하면,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의 표시는 해제된다.
또한, 표시부(18)에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도 17)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가동측 케이싱부(6)가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접어, 즉, 닫힌 상태로 하면(예를 들면,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의 표시 형태는 우측 서브 표시 화면(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으로 절환된다. 또한, 표시부(18)에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동측 케이싱부(6)가 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서도,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접어, 즉, 닫힌 상태로 하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는 마찬가지로, 좌측 서브 표시 화면(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의 표시 형태로 절환된다.
2) 서브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에서는, 표시부(18)의 표시는 해제 상태로 되지만, 가동측 케이싱부(6)를 중심 위치 a로부터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이 표시된다. 이 경우, 가동측 케이싱부(6)를 중심 위치 a로부터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9에 도시하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이 표시된다.
이들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 및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은, 고정측 케이싱부(4)로부터 비어져 나옴으로써, 시인이 가능한 에리어가 표시 에리어 WS로 전개되는 화면이다.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 및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에서는, 표시부(18)의 전체 표시 에리어 WT에 대하여, 고정측 케이싱부(4)에 겹치고, 시인 이 불가능한 에리어를 은폐 에리어 WB로 하고, 고정측 케이싱부(4)로부터 비어져 나옴으로써, 시인이 가능한 에리어를 표시 에리어 WS로서 활용하고 있다.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 및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의 표시 내용은, 메인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의 일부이어도 되지만, 표시 정보의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시 에리어 WS에 메인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과 동일 또는 동등한 표시 내용을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 및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이들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 및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은 대기 화면 표시의 일례로서, 전지 마크(126), 전파 수신 강도 마크(128), 복수의 시각 표시(132a, 132b, 132c), 착신 정보나 읽지 않은 메일의 유무 및 그 수 등의 통지 정보를 나타내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아이콘(144)과 함께 복수의 메시지(146)가 표시되어 있다. 시각 표시(132a, 132b, 132c)는, 동일 내용의 표시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보는 각도에서 인식 내용이 변화된다고 하는 오인을 방지하여, 시인성 및 표시 내용의 파악을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18)에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도 18) 또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도 19)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열린 상태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표시 화면(140, 142)의 표시 내용을 가로 메인 표시 화면(143)에 전체 표시 에리어 WT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서브 표시 화면(140, 142), 가로 메인 표시 화면(143)의 표시예는 일례로서, 표시 내용을 변경한 메인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세로 메인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면, 20도 이상 회전시키면 표시부(18)가 기동하고,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8)이 기동하고,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 90도에 도달시키면,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8)의 모두가 고정측 케이싱부(4)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좌측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면, 20도 이상 회전시키면 표시부(18)가 기동하고,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 좌측 서브 표시 화면(150)이 기동하고,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 90도에 도달시키면, 좌측 서브 표시 화면(150)의 모두가 고정측 케이싱부(4)로부터 노출된다.
이 경우, 메일 착신을 나타내는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8)(도 22), 좌측 서브 표시 화면(150)(도 24)은, 동일 내용으로서, 예를 들면, 일시 표시(132), 수신 메일의 통지 및 메일 송신자명 등의 통지 메시지(152) 등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유동 메시지는, 표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표시부(18)의 표시 전환에 대해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표시부(18)의 표시 모드의 천이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 도면이다. 도 25에서, 도 1 내지 도 2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가동측 케이싱부(6)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 가동측 케이싱부(6)는 중심 위치 a에 있기 때문에, 상태 1에서, 비표시로 된다(ST1). 이 비표시 상태(상태 1)로부터,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 회전 상태가 0도인 상태 2로 이행하면, 세로 메인 표시 모드로 되고(ST2), 세로 메인 표시 모드로부터 회전 상태를 우회전인 상태 3으로 이행하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로 되고(ST3), 또한, 세로 메인 표시 모드로부터 회전 상태를 좌회전인 상태 4로 이행하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로 된다(ST4).
또한, 비표시 상태(상태 1) 즉, 닫힌 상태로부터,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켜, 상태 5로 이행하면, 서브 표시 모드로 된다(ST5). 서브 표시 모드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우측 서브 표시 모드, 좌측 서브 표시 모드가 존재한다.
또한, 상태 3(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 또는 상태 4(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닫으면, 상태 5(서브 표시 모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은 모드 절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동측 케이싱부(6)가 회전 상태에 있을 때, 그 개폐에 의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 또는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로부터 서브 표시 모드, 서브 표시 모드로부터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 또는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와 우측 서브 표시 모드 사이,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와 좌측 서브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18)의 표시 전환 동작에 대해서,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표시부(18)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상태 1(비표시)에서, 표시부(18)를 비표시 상태로 제어한다(스텝 S11). 이 상태로부터, 개폐 센서(112)로부터 열린 상태의 검출 정보가 취득되고(스텝 S12),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상태가 0도이면, 상태 2로 이행해서 세로 메인 표시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부(18)에 예를 들면,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이 전개된다(스텝 S13).
세로 메인 표시 모드의 실행중에, 회전 센서(42, 44)가 가동측 케이싱부(6)의 우회전을 검출했을 때, 그 검출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14), 상태 3으로 이행하여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부(18)에는 예를 들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이 전개된다(스텝 S15).
우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의 실행중에, 개폐 센서(112)가 가동측 케이싱부(6)의 닫힌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16), 상태 5로 이행하여 서브 표시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부(18)에는 예를 들면,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도 18),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8)(도 21 또는 도 22)이 전개된다(스텝 S17).
또한, 상태 1(비표시)에서(스텝 S11), 가동측 케이싱부(6)가 회전하고, 회전 센서(42, 44)로부터 좌우 어느 하나의 회전 검출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18), 상태 5로 이행하여 서브 표시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부(18)에는 예를 들면,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0)(도 18), 우측 서브 표시 화면(148)(도 21 또는 도 22), 또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142)(도 19)이 전개된다(스텝 S19).
이 서브 표시 모드의 실행중에, 가동측 케이싱부(6)가 열린 상태로 되어, 개폐 센서(112)가 그것을 검출하고, 그 열린 상태의 검출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20), 회전 센서(42, 44)로부터의 회전 검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4, 스텝 S21).
회전 센서(42, 44)로부터 가동측 케이싱부(6)의 좌회전 검출에 의한 검출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21), 상태 4로 이행하여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를 실행하여, 표시부(18)에는 예를 들면,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138)과 마찬가지의 좌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이 전개된다(스텝 S22).
좌측 가로 메인 표시 모드의 실행중에, 회전 센서(42, 44)로부터 검출 정보로서 0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취득되면(스텝 S23), 상태 2로 이행하여, 세로 메인 표시 모드가 실행되어, 표시부(18)에는 예를 들면, 세로 메인 표시 화면(124)(도 16)이 전개된다(스텝 S24).
이 처리 수순에서는, 스텝 S13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을 감시하여(스텝 S21), 회전 센서(42, 44)로부터 좌회전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2로 이행하고, 스텝 S15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을 감시하여(스텝 S23), 회전 센서(42, 44)에서 회전 상태 0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24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0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을 감시하여(스텝 S14), 회전 센서(42, 44)로부터 우회전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5로 이행하고, 스텝 S22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의 개폐를 감시하여(스텝 S16), 개폐 센서(112)로부터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7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특징 사항 등을 열거하면서, 이점이나 효과에 언급한다.
휴대 단말 장치(2)는, 고정부로서의 고정측 케이싱부(4), 표시 유닛부로서의 가동측 케이싱부(6), 고정측 케이싱부(4)에 힌지부(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한 가동 암부(8)를 구비하고, 가동측 케이싱부(6)는, 힌지부(10)의 근방 위치에 회전 중심 Oa를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대하여 L자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닫힌 상태에서, 고정측 케이싱부(4) 상에 가동측 케이싱부(6) 및 가동 암부(8)가 접히고, 이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열린 상태에서, 가동 암부(8) 상에 가동측 케이싱부(6)가 겹쳐져, 그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동측 케이싱부(6)에 예를 들면, 표시부(18)를 설치하면, 열린 상태뿐만 아니라, 닫힌 상태에서도, 가동측 케이싱부(6)를 변위시켜 표시부(18)에 표시 화면이 생기게 할 수 있어, 휴대 단말 장치(2)의 심플화 및/또는 컴팩트화가 도모되어, 기능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디자인성 등,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측 케이싱부(4)를 왼손으로 쥐고,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측 케이싱부(4)에 가동측 케이싱부(6)의 표시부(18)의 표시 화면이 가까워지고, 게다가, L자형을 이루는 가동측 케이싱부(6)에 있는 표시부(18)를 사람의 얼굴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시인성의 향상과 함께, 입력 조작부(16)의 입력 조작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8)를 구비하는 가동측 케이싱부(6)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좌우 회전 방향을 검지함으로써 좌우 각각의 표시 모드 등으로 기능을 설정하여, 구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18)를 구비한 가동측 케이싱부(6)는, 힌지부(10)의 근방에 회전 중심 Oa를 설정했으므로, 가동측 케이싱부(6)를 고정측 케이싱부(4)에 닫힌 상태에서도 가동측 케이싱부(6)를 회전시켜 표시부(18)의 표시 에리어의 절반의 영역을 표시 화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고정측 케이싱부(4)로부터 비어져 나온 표시부(18)의 서브 표시 화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가동측 케이싱부(6)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열지 않고 표시부(18)에 서브 표시 화면을 표시시켜, 그 표시를 용이하게 시인하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18)를 구비한 가동측 케이싱부(6)는, 힌지부(10)의 근방에 회전 중심 Oa를 설정했으므로, 휴대 단말 장치(2)의 장치 사이즈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또한, 고정측 케이싱부(4)에 있는 입력 조작부(16)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면을 입력 조작부(16)의 근방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18)의 시인성의 향상과 함께 키 입력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중심 Oa가 힌지부(10)의 회전 중심 Ob와 서로 다른 위치이고 또한 근방에 설정되어 있으면서,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직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의 회전이 간섭하지 않고,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조작성이 향상됨과 함께, 그 개폐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측 케이싱부(6)의 회전 조작이나 개폐 조작은 극히 용이해서, 회전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 및 도 2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PC)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7은, 열린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세로로 긴 상태로 유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열린 상태에서 가동측 케이싱부(6)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로로 긴 상태로 유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에서, 도 1 내지 도 2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를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PC(200)에도 이미 상술한 기구(도 1 내지 도 6, 도 8 내지 도 14), 전기 회로(도 15), 이미 상술한 표시 제어 방법(도 7), 표시 제어 프로그램(도 25, 도 26)을 실행시켜, 마찬가지의 표시 형태(도 16 내지 도 24)를 표시시킬 수 있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단말 장치(2)나 PC(200)를 예시했지만, 가동부를 구비하는 리모콘 장치나 게임 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다양한 레벨이나 배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를 구비하고, 그 가동 암부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을 상기 힌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상기 힌지부에 근접하여 회전하는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상기 회전 중심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중심선 상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4)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그 중심선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5)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상기 회전 중심과 상기 힌지부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폭보다 작고, 그 폭의 2분의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6)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의 대향 면부에 표시부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7)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상기 가동 암부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부터 어긋나,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있는 표시부의 표시 에리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8)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대향면부에 입력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9) 부기 1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회전 센서의 각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0) 부기 9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센서의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1) 부기 9 또는 10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좌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우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2)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부기 13) 부기 12의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부기 14)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들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
(부기 15) 부기 14의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 검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
(부기 16)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들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부기 17) 부기 16의 기록 매체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 검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 닫혀 있을 때에,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 한 것으로,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이 고정측 케이싱부의 힌지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 각도에 따라 가동측 케이싱부를 고정측 케이싱부에 가깝게 할 수 있고, 고정측 케이싱부에 입력 조작부, 가동측 케이싱부에 표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표시부의 시인성과, 입력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자 기기의 심플화나 컴팩트화 등에 기여할 수 있어,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단말 장치의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휴대 단말 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각부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싱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닫힌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가동측 케이싱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휴대 단말 장치의 회전 로크 기구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가동측 리어 케이스부의 상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가동 암부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스토퍼 구조 및 중심 정지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스토퍼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스토퍼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휴대 단말 장치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대기 상태의 세로 메인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대기 상태의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우측 서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가로 메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우측 서브 표시 화면(메일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우측 서브 표시 화면(메일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좌측 서브 표시 화면(메일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좌측 서브 표시 화면(메일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표시 모드 천이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 도면.
도 26은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C(세로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PC(가로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휴대 단말 장치
4: 고정측 케이싱부
6: 가동측 케이싱부
8: 가동 암부
10: 힌지부
12: 회전 모듈
16: 입력 조작부
18: 표시부
42, 44: 회전 센서
70: 회전 로크 기구
78: 가상 중심축
90: CPU(제어부)
112: 개폐 센서
124: 세로 메인 표시 화면
138: 우측 가로 메인 표시 화면

Claims (9)

  1.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시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를 구비하고, 그 가동 암부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중심을 상기 힌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상기 회전 중심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중심선 상 또는 그 근방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그 중심선의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는, 상기 가동 암부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부터 어긋나,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있는 표시부의 표시 에리 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와,
    상기 회전 센서의 각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닫혀져 있을 때에, 상기 회전 센서의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동 암부의 개폐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상기 고정측 케이싱부로 닫혀져 있을 때에, 상기 회전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가 열려 있는 경우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9. 고정측 케이싱부와 가동측 케이싱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고정측 케이싱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상기 가동측 케이싱부의 회전 각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들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0070096633A 2006-09-22 2007-09-21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53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7321A JP4757754B2 (ja) 2006-09-22 2006-09-22 電子機器、その表示制御方法、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JP-P-2006-00257321 2006-09-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61A Division KR101053290B1 (ko) 2006-09-22 2009-05-28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06A true KR20080027206A (ko) 2008-03-26
KR101053368B1 KR101053368B1 (ko) 2011-08-01

Family

ID=392256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633A KR101053368B1 (ko) 2006-09-22 2007-09-21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090046761A KR101053290B1 (ko) 2006-09-22 2009-05-28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61A KR101053290B1 (ko) 2006-09-22 2009-05-28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07979B2 (ko)
JP (1) JP4757754B2 (ko)
KR (2) KR101053368B1 (ko)
CN (1) CN1011662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098B2 (ja) * 2004-11-16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781988B2 (ja) * 2006-12-15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アセンブリ
JP4781989B2 (ja) * 2006-12-15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KR20090065006A (ko) * 2007-12-17 2009-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개형 스피커를 갖는 휴대단말
CN102187644A (zh) * 2008-10-20 2011-09-14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装置中的状态检测装置和方法
EP2439607A1 (en) * 2010-10-07 2012-04-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N103458106B (zh) * 2013-08-07 2016-01-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横竖屏显示模式的方法及移动终端
CN103777755B (zh) * 2014-01-13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1422006B2 (en) 2020-06-18 2022-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orientation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6499A (ja) * 1995-11-22 1997-06-06 Toshiba Corp 情報機器
JP4020171B2 (ja) * 1997-11-14 2007-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格納式表示装置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4056609A (ja) * 2002-07-23 2004-02-19 Toya Kensetsu Kogyo:Kk 携帯用電話機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5333219A (ja) * 2004-05-18 2005-12-02 Leading Edge Design:Kk 携帯型情報表示装置
JP4286735B2 (ja) * 2004-07-08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KR100630076B1 (ko) 2004-08-3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효과음 제어장치 및 방법
JP4565120B2 (ja) * 2004-12-21 2010-10-20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
CN1829239A (zh) 2005-03-04 2006-09-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折叠式移动电话
KR20060098028A (ko) 2005-03-08 2006-09-1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6202A (zh) 2008-04-23
KR20090074704A (ko) 2009-07-07
KR101053368B1 (ko) 2011-08-01
JP2008079094A (ja) 2008-04-03
JP4757754B2 (ja) 2011-08-24
KR101053290B1 (ko) 2011-08-01
US7907979B2 (en) 2011-03-15
US20080076492A1 (en) 2008-03-27
CN101166202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290B1 (ko) 전자 기기, 그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54850B1 (ko)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JP4683292B2 (ja) 携帯装置における回転規制装置
JP4709719B2 (ja) 電子機器
EP231923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ual sliding flip hinge assembly
JP4757647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4709693B2 (ja) 電子機器
WO2007086333A1 (ja) 携帯電子機器
JP2009222951A (ja) 表示装置
WO2010047075A1 (ja) 携帯装置における状態検出装置および方法
KR100927294B1 (ko)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 매체
JP5028585B2 (ja) 電子機器
JP5088742B2 (ja) 電子機器
JP5234083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099640B2 (ja) 開閉式電子機器
JP2005333219A (ja) 携帯型情報表示装置
JP2006222559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筐体位置設定機構
JP200516803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685988B1 (ko) 2축 힌지를 가지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개폐감지장치
JP2009136027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情報記録制御方法
WO2011052202A1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28

Effective date: 2010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