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84A -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184A
KR20080027184A KR1020070096045A KR20070096045A KR20080027184A KR 20080027184 A KR20080027184 A KR 20080027184A KR 1020070096045 A KR1020070096045 A KR 1020070096045A KR 20070096045 A KR20070096045 A KR 20070096045A KR 20080027184 A KR20080027184 A KR 2008002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connector
locking
lock recei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724B1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지
코지 카와세
카즈시 카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히로사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히로사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서, 로킹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로크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움결합된 상태를 로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 부재는 샤프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크 수용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부와 대면한 바닥면 및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 부재 및 로크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샤프트부를 가압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CONNECTOR PREVENTED FROM UNDESIRED SEPARATION OF A LOCKING MEMBER}
본 출원은 2006년 9월 2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No. 2006-256085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 사이의 끼움결합 상태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부재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JP-A) No. 2005-267970은 절연체가 로킹 기구를 수용하도록 된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로킹 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로킹부, 상기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 방향으로 상기 로킹부를 계속적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로킹부에 의한 로킹 상태를 해제(unlocking)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다.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핀 형상의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구멍 형상의 샤프트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로킹 기구를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 및 샤프트부가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절연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절연체에는 로킹 기구의 구멍 형상 샤프트부와 결합되도록 핀 형상 회전 샤프트가 설치되기 때문에, 로킹 기구를 절연체에 통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에 의해, 조립성이 떨어진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JP-U) No. H5-11362는 결합 클로(claw)를 갖는 로크 스프링과,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된 누름 버튼이 설치된 수 커넥터(male connector)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로크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중간 위치에 수 커넥터의 케이싱(casing)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 클로는 상기 수 커넥터의 접속 단면(end face)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수 커넥터의 케이싱의 측면부 상에 돌출한다. 상기 누름 버튼이 케이싱 내로 가압될 때, 상기 로크 스프링이 회전되며 상기 결합 클로는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로크 스프링의 결합 클로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결합 클로의 위치가 불안정하며 로킹 강도 또한 불안정하다. 상기 로크 스프링과 수 커넥터의 케이싱 사이에 갭 또는 플레이(play)가 존재한다면, 상기 로크 스프링은 원활한 회전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로크 스프링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손쉽게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로킹 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로킹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한 로킹 강도를 보장하도록, 로킹 상태로 회전될 때 로킹 부재의 일정한 돌출량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를 유지하며 로크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대측 커넥터와 끼움결합된 상태를 로킹하기 위해 로크 수용부에 수용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수용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부와 대면한 바닥면 및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로킹 부재 및 로크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샤프트부를 가압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접속 대상물로서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케이블(51)이 커넥터(1)에 접속된다. 상기 케이블(51)은 이하에서 플랫(falt) 케이 블(51)이라 칭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51)은 그 사이에 공간이 남아있는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박 등의 얇은 벨트-형상의 복수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클램핑 및 유지하는 플렉서블 절연체 커버(55)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는 복수의 콘택트(11), 상기 콘택트(11)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에 부착된 한 쌍의 로킹 부재(31) 및 상기 하우징(21)에 결합된 전도성 쉘(shell) 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22) 및 상기 본체(22)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상에 형성된 한 쌍의 로크 수용부(23)를 갖는다. 상기 로크 수용부(23)는 상기 로킹 부재(31)를 각각 수용한다.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후에 상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도 5 및 도 6에서 참조 부호 61로 도시됨)를 서로 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22)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플레이트형 끼움결합부(25)를 갖는다. 상기 끼움결합부(25)는, 콘택트(11)가 그 사이에 공간을 남겨둔채로 끼움결합부(2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면을 갖는다. 상기 플랫 케이블(51)은 절연체 커버(55)를 제거함으로써 도체가 노출되는 일단을 갖는다. 상기 일단에서의 도체는 일대일 대응으로 콘택트(11)에 접속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로킹 부재(31)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킹 부재(31)의 각각은 유지부(32), 상기 유지부(32)의 일측에 접속된 샤프트부(33), 상기 샤프트부(33)로부터 그의 일측으로 연장하는 로킹부(34), 상기 유지부(3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조작부(36) 및 상기 조작부(36)로부터 연장하며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조작 스프링부(35)를 갖는다. 상기 조작부(36)는, 상기 로킹부(34)가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61)를 결합 및 결합해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34)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로킹부와 결합되는 일부분이다. 상기 샤프트부(33)는 상기 로킹 부재(31)의 플레이트부를 절단해 올림으로써 형성된 스프링부(33a)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부(34)는 그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34a)를 갖는다. 상기 후크부(34a)는, 상기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61)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61)의 상대측 결합부(61b)에 형성된 상대측 결합 구멍(61c)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 스프링부(35)는, 상기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61)와 결합하는 결합 방향으로 상기 로킹부를 계속적으로 압박하며, 상기 로킹부(34)에 의한 로킹 상태가 언로크 상태로 로크 해제된 후에 상기 로킹부(34)를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스프링력을 가한다. 상기 조작 스프링부(35)는 조작부(36)가 원활하게 이동하거나 조작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부(36)는 상기 조작 스프링부(35)의 U-자 형상부를 따라 구부러진 자유단(36a)을 갖는다. 상기 조작 스프링부(35) 및 조작부(36)의 자유단(36a)은 로킹 상태인지 로킹 해제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로크 수용부(31)에 위치한다.
상기 로킹 부재(31)는 프레스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한 후에 절단해 올려 스프링부(33a)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킹 부재(31)는 로킹 상태로 로킹 위치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의 로킹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 및 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상대측 커넥터(61)는 서로 끼움결합되며 서로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의 로크 수용부(23)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부(23a),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3a)에 대면하며 그 사이에 공간을 둔 하부 플레이트부(23b)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23a)와 하부 플레이트부(23b)를 접속하는 내벽부(23j)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23b)는 평면도에서 오목한 형상 및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31)의 샤프트부(33)를 수용하도록 된 베어링부(24a), 상기 조작 스프링부(35) 및 조작부(36)를 수용하도록 된 제 1 수용부(24e) 및 상기 로킹부(34)를 수용하도록 된 제 2 수용부(24f)가 설치된 내면을 갖는다. 상기 베어링부(24a)는 상기 로킹 부재(31)의 샤프트부(33)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바닥면(24b) 및 측면(24c)을 갖는다.
상기 로킹 부재(31)가 로크 수용부(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부(33)는 베어링부(24a)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33a)는 상기 베어링부(24a)의 바닥면(24b)을 향해 상기 샤프트부(33)를 가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중간 지점에 삽입된다. 상기 로크 수용부(23)는 상기 로킹 부재(31)의 샤프트부(33)를 상기 베어링부(24a)에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그 삽입측에 형성된 경사면(24g)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 부 재(31)가 상기 로크 수용부(23)에 수용될 때, 상기 샤프트(33)는 상기 베어링부(24a)와 결합되며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제 1 수용부(24e)에는 상기 로킹 부재(31)의 삽입 방향(A)에 대응하는 입구(23r)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3r)는 후크 접촉부(23p)의 대향측 상의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제 1 수용부(24e)에 형성된다. 상기 로킹 부재(31)가, 전방을 향한 상기 후크부(34a)에 의해 입구(23r)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로킹부(34)가 제 2 수용부(24f)에 수용될 때, 상기 샤프트부(33)는 베어링부(24a)에 끼움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킹 부재(31)는 삽입 방향(A) 및 상기 삽입 방향(A)에 대향하는 해제 방향으로 상기 로크 수용부(23)에 유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부(23a 및 23b)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베어링부(24a)에 수용된 상기 샤프트부(33)는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킹 부재(31)의 유지부(32), 샤프트부(33), 상기 후크부(34a)를 제외한 로킹부(34) 및 조작 레버부(36)의 자유단(36a)은 상기 로크 수용부(23) 내에 위치하며 손가락에 의해 직접 터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자유단(36a)을 제외한 로킹 부재(31)의 조작 레버부(36)의 대부분은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개구(23m)를 통해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조작 스프링부(35)의 자유단(35a)은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내벽 표면(23j) 상에 형성된 그루브-형상(groove-like) 접촉부(23n)에 약간 삽입된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접촉부(23n)의 그루브는 상기 자유단(35a)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 여 상기 조작 스프링부(35)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조작부(36)의 자유단(36a)은 상기 조작부(36)가 가압되어 조작될 때 과도한 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벽면(23j)과 접촉하게 되는 단면(end face)을 갖는다. 상기 로크 수용부(23)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로킹 부재(31)를 커버한다. 또한, 삽입 방향(A)에서,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로크 수용부(23)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부재(31)는 조작부(36)에 작용하는 조작력을 제외한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로킹 부재(31)의 후크부(34a)는 상기 로킹부(34)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 로크 수용부(23)에는 로킹 위치에서 상기 후크부(34a)와 접촉하게 되는 후크 접촉부(23p)가 형성된다.
상기 쉘 부재(41)는 상기 본체(22)의 제 1 표면(22a)과 대면하도록 상기 본체(22)에 부착된 제 1 플레이트부(43), 및 상기 제 1 표면(22a)에 대향하는 제 2 표면(22b)과 대면하도록 상기 본체(22)에 부착된 제 2 플레이트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쉘 부재(41)는 상기 로크 수용부(23) 및 끼움결합부(25)를 제외한 본체(22)를 커버하도록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한 후에 플레이트-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 1 플레이트부(43)는 제 2 플레이트부(44)에 대면하도록 구부러져 상기 제 1 플레이트부(43)가 제 1 표면(22a)과 대면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부(44)는 상기 제 2 표면(22b)과 대면한다. 따라서, 상기 쉘 부재(41)는 상기 본체(22)에 의해 유지된다.
제 1 플레이트부(43)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부(43)를 절단해 올림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클로(claw)부(43a)가 형성된다. 상기 클로부(43a)는 상기 본체(22) 의 제 1 표면(22a) 상에 형성된 복수의 윈도우(22d)를 통해 상기 케이블(51)의 절연체 커버(55)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51)의 일단에서의 도체는 상기 끼움결합부(25)로부터 본체(22)로 연장하는 콘택트(11)의 일부분에 접속된다.
이제, 상기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61)를 로킹 및 로킹 해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로크 상태로부터, 조작부(36)가 손가락에 의해 상기 하우징(21)의 내벽면(23j)을 향해 푸시된다. 그 후에, 상기 조작 스프링부(35)가 변위되어 상기 샤프트부(33)는 베어링부(24a)에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로킹부(34)는 제 2 수용부(24f)에서 도 6의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후크부(34a)도 또한 유사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34a)는 로크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상대측 커넥터(61)의 상대측 결합부(61b)의 상대측 결합 구멍(61c)으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로킹 부재(31)에 의한 로크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34a)는 상기 조작 스프링부(35)의 자유단(35a)이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로크 수용부(23)의 접촉부(23n)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 접촉부(23p)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부재(31)의 회전은 미리 결정된 회전 각도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로킹 부재(31)의 후크부(34a)의 돌출량은 안정한 로킹 강도가 보장되도록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61)가 서로 끼워져 서로 로킹될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61)의 상대측 결합부(61b)는 상기 로킹 부재(31)가 로킹 위치에 위 치할 때 상기 로크 수용부(23) 사이의, 상기 끼움결합부(25)에 삽입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로킹부(34)는 상대측 결합부(61b)에 의해 제 2 수용부(24f)에 푸시된다. 상기 커넥터(1) 및 상대측 커넥터(61)가 서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후크부(34a)가 상기 상대측 결합부(61b)의 상대측 결합 구멍(61c)에 도달할 때, 상기 로킹부(34)는 조작 스프링부(35)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크부(34a)가 상기 상대측 결합 구멍(61c)에 삽입되어 상기 로킹 상태를 확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부(33) 및 베어링부(24a)는 2개의 구성요소, 즉 각각의 로킹 부재(31) 및 하우징(21)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상기 쉘 부재(41)는 또한 전기적인 접지(electric grounding)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21)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기적인 접지 또는 상기 하우징(21)의 기계적 강도가 고려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상기 커넥터(1)는 상기 쉘 부재(41)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샤프트부(33)는 상기 로킹 부재(31)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베어링부(24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33a)는 상기 베어링부(24a)의 바닥면을 향해 상기 샤프트부(33)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로킹 부재(31)가 부드럽게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의 해제가 방지된다.
또한, 후크부(34a)가 상기 로킹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후크부(34a)의 일정한 돌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킹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안정한 로킹 강도가 보장된다.
또한, 간단하게 상기 로킹 부재(31)를 상기 하우징(21)의 로크 수용부(23)에 통합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33)가 상기 베어링부(2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부(33) 및 베어링부(24a)는 2개의 구성요소, 즉 각각의 로킹 부재(31) 및 하우징(21)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 프로세스를 간략화하고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부(33a)는 로킹 부재(31)의 샤프트부(33)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부(33a)는 상기 샤프트부(33)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와 같은 스프링부는 상기 하우징(21)의 로크 수용부(2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로크 수용부(23)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샤프트부(33)가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상술한 커넥터는 고속 전송을 지원하고 장치 본체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접속 대상물로서의 전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조립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킹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라인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의 로크 수용부 및 로킹 부재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로크 수용부 및 로킹 부재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라인 VIII-V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의 로크 수용부에 상기 로킹 부재가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를 유지하며 로크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대측 커넥터와 끼움결합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로크 수용부에 수용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수용부는 축방향으로 샤프트부와 대면한 바닥면 및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로킹 부재 및 상기 로크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상기 샤프트부를 가압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접속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된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부에 접속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 및 상기 조작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부에 접속된 조작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프링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의 이동을 로킹하기 위한 후크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조작 스프링부 및 조작부의 자유단은 상기 로킹 부재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로크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플레이트-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일부분을 절단해 올림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용부는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면하는 상부 플레이트부 및 하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샤프트부를 수용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조작 스프링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및
    상기 로킹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070096045A 2006-09-21 2007-09-20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KR100883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6085 2006-09-21
JP2006256085A JP4168104B2 (ja) 2006-09-21 2006-09-2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84A true KR20080027184A (ko) 2008-03-26
KR100883724B1 KR100883724B1 (ko) 2009-02-12

Family

ID=3922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045A KR100883724B1 (ko) 2006-09-21 2007-09-20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3795B2 (ko)
JP (1) JP4168104B2 (ko)
KR (1) KR100883724B1 (ko)
CN (1) CN101150234B (ko)
TW (1) TWI340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353B2 (en) * 2003-04-11 2013-11-19 Neoconix,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contact grid array
US7628617B2 (en) * 2003-06-11 2009-12-08 Neoconix, Inc. Structure and process for a contact grid array formed in a circuitized substrate
US7244125B2 (en) * 2003-12-08 2007-07-17 Neoconix, Inc. Connector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at semiconductor scales
US7114961B2 (en) * 2003-04-11 2006-10-03 Neoconix, Inc. Electrical connector on a flexible carrier
US7597561B2 (en) * 2003-04-11 2009-10-06 Neoconix, Inc. Method and system for batch forming spring elements in three dimensions
US7758351B2 (en) * 2003-04-11 2010-07-20 Neoconix, Inc. Method and system for batch manufacturing of spring elements
US20100167561A1 (en) * 2003-04-11 2010-07-01 Neoconix, Inc. Structure and process for a contact grid array formed in a circuitized substrate
TWI309094B (en) * 2004-03-19 2009-04-21 Neoconix Inc Electrical connector in a flexible hos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50205988A1 (en) * 2004-03-19 2005-09-22 Epic Technology Inc. Die package with higher useable die contact pad area
US7347698B2 (en) * 2004-03-19 2008-03-25 Neoconix, Inc. Deep drawn electrical contacts and method for making
US20070050738A1 (en) * 2005-08-31 2007-03-01 Dittmann Larry E Customer designed interposer
US20080045076A1 (en) * 2006-04-21 2008-02-21 Dittmann Larry E Clamp with spring contacts to attach flat flex cable (FFC) to a circuit board
JP4510101B2 (ja) * 2008-01-17 2010-07-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752729B (zh) * 2008-11-29 2012-10-10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的快速锁紧和解锁机构
CN101771740A (zh) * 2008-12-31 2010-07-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8641428B2 (en) 2011-12-02 2014-02-04 Neoconix,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it
US8953332B2 (en) 2012-04-10 2015-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itive pressure-applying compliant latch mechanism
JP5790681B2 (ja) 2013-03-13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680273B2 (en) 2013-03-15 2017-06-13 Neoconi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s protected by a layer of compressib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it
JP5704364B2 (ja) 2013-05-31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Z2013419A3 (cs) 2013-06-04 2014-08-13 SQS Vláknová optika a.s. Zásuvné zařízení pro spojování optických a/nebo elektronických konektorů a způsob provádění tohoto spojování
US9048576B2 (en) * 2013-08-02 2015-06-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le-stage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assurance mechanism
US9433119B2 (en) 2014-02-12 2016-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itive pressure-applying latch mechanism
CN109066226A (zh) * 2018-07-11 2018-12-21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超微矩形快锁电连接器及其实现结构
DE102019116140B3 (de) * 2019-06-13 2020-10-15 ept Holding GmbH & Co. KG Kabelstecker mit Rastheb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62A (ja) 1991-06-28 1993-01-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546384B2 (ja) 2001-06-04 2004-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4764573B2 (ja) 2001-08-31 2011-09-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コネクタ
JP4009111B2 (ja)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4047731B2 (ja) 2003-01-10 2008-02-1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NL1024850C2 (nl) * 2003-11-24 2005-05-26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orsysteem met verbeterde ontkoppel-functionaliteit.
JP2005267970A (ja) * 2004-03-17 2005-09-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0234B (zh) 2011-09-14
US20080076282A1 (en) 2008-03-27
KR100883724B1 (ko) 2009-02-12
CN101150234A (zh) 2008-03-26
TW200820518A (en) 2008-05-01
TWI340511B (en) 2011-04-11
JP4168104B2 (ja) 2008-10-22
JP2008077977A (ja) 2008-04-03
US7503795B2 (en)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24B1 (ko)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US6431897B1 (en)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CN108346934B (zh) 连接器
US830332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mbers with spring-actuated plungers
JP4577209B2 (ja) コネクタ
US9979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513783B2 (en) Connector with a rotatable lever with a recess with a spring
KR20120087817A (ko) 플렉서블 케이블 커넥터
JP6580629B2 (ja) サービスプラグ
JP4575423B2 (ja) コネクタ
KR101767683B1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JP4857096B2 (ja) コネクタ装置
JP5010043B1 (ja) コネクタ
EP1557908B1 (en) A connector
JP2022186858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2009030553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ever assist mating mechanism
US9214744B2 (en) Connector device
US6164992A (en) Structure of lever of lever engagement type connector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JP6816560B2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US5975930A (en) Slide fit connector
JPH1167336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0585939B1 (ko) 로킹기구가 보호되는 커넥터
KR101003030B1 (ko)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JP722912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