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30B1 -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30B1
KR101003030B1 KR1020040014680A KR20040014680A KR101003030B1 KR 101003030 B1 KR101003030 B1 KR 101003030B1 KR 1020040014680 A KR1020040014680 A KR 1020040014680A KR 20040014680 A KR20040014680 A KR 20040014680A KR 101003030 B1 KR101003030 B1 KR 10100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housing
locking mechanism
arm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998A (ko
Inventor
쿠로다케이지
아라모토키요시
모리와케료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을 달성할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등을 제공한다.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은 본체(111) 및 삽입부(112)를 갖고서 콘넥트(200)를 수용하는 하우징 (110)과,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고, 안길이 방향의 안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선단(123)에 돌기(124)가 형성된 잠금 암(120)과,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잠금 암 (120)에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는 조작 암(130)을 구비하고, 삽입부 (112)가 리셉터클 커넥터(RC)의 공동(310)에 끼워넣어지면 돌기(124)가 수용면 (320)에 걸리고, 조작 암(130)의 선단(131)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돌기(124)가 수용면(32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 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 DEVICE AND PLUG CONNECTOR WITH LOCK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두께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두께방향의 반대측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저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을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전선이 부착된 콘택트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전선이 부착된 콘택트(contact)를 삽입하고, 전선이 부착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전선이 부착된 콘택트를 삽입하고, 전선이 부착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셸(shell)로부터 측단벽에 이르는 부분을 절제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안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정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을 두께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을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아다.
도 16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을 두께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 입한 상태의 단면을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하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잠금되고, 잠금해제의 조작을 행하면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와, 그 구성부재인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3094668호 공보는 플러그 커넥터와, 이 플러그 커넥터를 둘러싸는 주형 커버와, 이 주형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 본체의 폭방향 양 사이드 측벽 각각의 내측에 일단에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고정되는 잠금 레버와, 플러그 커넥터에 대응하는 잭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잠금 레버의 타단에 설치한 후크와 잭 커넥터의 후크 대응위치에 설치한 결합부 사이의 걸림과 그 해제로 각 커넥터 사이를 잠금하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커넥터로서, 후크가 커버 본체의 측벽에 설치한 열쇠형 슬릿으로 형성되는 설편(舌片)을 외측에서 누름으로써 내측으로 탄성 변위하여 결합부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3-16674호 공보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콘택트의 한쪽을 유지하는 절연체제 소켓을 수용하는 케이블측 본체와, 콘택트의 다른쪽을 유지하는 절연체제 소켓을 수용하는 시트측 부재와, 케이블측 본체의 케이싱 내부의 양 측에 설치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신장하는 내측벽과 케이싱의 외측을 한정하는 외측벽과,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빈 곳에 배치하는 잠금 판체와, 잠금 판체의 한쪽의 단부에 근접하는 부위로서 내측벽에 형성한 돌출부에 점접촉하는 부위와, 잠금 판체의 다른쪽의 단부를 케이싱의 외측벽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시키고, 시트측 부재의 외측벽의 개구에 꼭 맞을 수 있도록 형성한 걸림용 돌기와, 잠금 판체의 중간부에 내방으로 돌출하고 내측벽의 외면과 접촉하여 걸림용 돌기를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항시 외방으로 위치시키는 손가락 형상부와, 손가락 형상부를 케이블측 본체의 케이싱의 외방에서 조작하도록 한 손가락 누름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의 잠금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90351호 공보는 제 1 방향으로 서로 끼워맞추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잠그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는 잠금편과, 잠금편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암을 갖고, 잠금편은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대략 L자형상의 한쪽에 제 2 커넥터의 결합부와 걸어맞추는 결합부와, 다른쪽에 잠금 해제 암의 캠부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 2 커넥터는 결합부와 걸어맞추는 걸림부가 설치된 금속 셸을 갖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춰졌을 때에 잠금 해제 암을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캠부와 돌출부가 접촉하고, 잠금편이 제 1 및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변위하여 결합부와 걸림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094668호 공보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커넥터의 경우, 잠금 레버는 주형 커버의 내부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양측을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을 향하여 연장하여 두고, 손가락으로 설편을 눌러서 힘을 잠금 레버의 중도부에 작용시킴으로써 후크를 상대측의 잭 커넥터의 결합부로부터 해제한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3-16674호 공보의 커넥터의 경우, 잠금 판체는 케이블측 본체의 케이싱의 내부에 있어서 소켓의 양측을 소켓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을 향하여 연장하여 두고, 손가락으로 손가락 누름부를 눌러서 힘을 잠금 판체의 중도부에 작용시킴으로써 걸림용 돌기가 상대측의 시트측 부재의 개구로부터 떨어져서 잠금을 해제한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서는 이 잠금의 해제에 요하는 힘을 가능한한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잠금 레버 또는 잠금 판체의 기단을 플러그 커넥터 또는 소켓의 배면측으로 연장하거나, 잠금 레버 또는 잠금 판체에 힘이 작용하는 작용점을 플러그 커넥터 또는 소켓의 정면측에 오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전자의 대책에 의하면 커넥터가 커져서 콤팩트화를 방해한다. 또한, 후자의 대책에 의하면 설편 또는 손가락 누름부를 상대측의 잭 커넥터 또는 소켓에 가깝게 하게 되기 때문에, 상대측의 잭 커넥터 또는 소켓이 작업 공간에 여유가 없는 협소한 곳에 실장되어 있을 때에는 손가락으로 설편 또는 손가락 누름부를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90351호 공보의 커넥터는 일본 특허 제3094668호 공보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3-16674호 공보의 커넥터와는 잠금기구의 구조가 다르지 만 역시 잠금편은 플러그 커넥터의 양측을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손가락으로 잠금 해제 암을 눌러서 힘을 잠금편의 돌출부에 작용시킴으로써 결합부를 상대측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부로부터 해제한다. 그 때문에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을 경감하기 위해 잠금편의 기단을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측으로 연장하였을 때에는 커넥터가 커져서 콤팩트화를 방해한다. 동일 목적으로 잠금 해제 암을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측으로 연장하였을 때에는 상대측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작업 공간에 여유가 없는 협소한 곳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잠금 해제 암을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는 작업이 아주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잠금편의 결합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부에 걸어맞추므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를 방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잠금 암과 조작 암을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역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 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 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방향을 정하였을 때에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공동(空洞)과, 이 공동의 폭방향의 양단에 설치되어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수용면과, 공동 안에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측 콘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거나 또는 이것으로부터 빼내어지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와 함께 구성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본체와, 이 본체의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의 공동에 끼워넣는 삽입부를 갖고,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를, 접촉부가 삽입부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서 적어도 일부가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기단이 하우징의 본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안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부의 폭방향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선단에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가 형성된 가요성 있는 잠금 암과,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기단이 잠금 암의 기단보다도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하우징의 본체에 설치됨과 아울러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중도부가 잠금 암의 중도부로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있는 조작암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삽입부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공동에 끼워넣으면 잠금 암의 돌기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면에 걸리고, 조작 암의 선단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잠금 암의 돌기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부에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를 수용하여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로 하고, 이것을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부가 공동에 끼워넣어지도록 삽입하면 잠금 암이 휘고, 잠금 암의 돌기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된 후에 되돌아옴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면에 걸리고, 이로써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잠금된다. 손가락으로 조작 암의 선단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이 힘이 조작 암의 중도부로부터 잠금 암의 중도부에 전달되어 잠금 암이 휘고, 돌기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면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잠금이 해제되고,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잠금 암 및 조작 암이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고, 이들이 폭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조작 암의 중도부가 잠금 암의 중도부에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이 중도부가 조작 암으로부터 잠금 암에 힘이 작용하는 작용점이 되지만, 조작 암은 이 중도부로부터 더욱 안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으로 조작 암의 선단에 가하는 힘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작아도 되게 되어,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이 경감된다. 조작 암이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조작 암의 선단이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외측에 가급적 떨어진 위치에 도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가 작업 공간에 여유가 없는 협소한 곳에 실장되어 있을 때이더라도 손가락으로 조작 암을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잠금 암 및 조작 암의 길이를 하우징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를 크게 초과할 때까지 연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콤팩트화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잠금 암과 조작 암을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였으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을 양립시킬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부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잠금 암과 조작 암을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였으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을 양립시킬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것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도 6을 참조)로 구성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를 도시한다.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는 도 10~도 13에 도시하는 리셉터 클 커넥터(RC)에 삽입되고,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RC)로부터 빼내어진다. 이 실시예의 경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는 1개씩 독립된 디스크리트 선인 전선(W)에 접속하고, 리셉터클 커넥터(RC)는 액정 패널인 프린트 배선판(B)에 실장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이 실시예에 의해서 접속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이것에 의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처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디스크리트 선 이외에, 예컨대, 동축선, 트위스트 케이블 등의 전선 또는 FFC(플렉서블ㆍ플랫ㆍ케이블), FPC(플렉서블ㆍ프린티드ㆍ회로)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 등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프린트 배선판 이외에, 예컨대, 도체를 구비한 부재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0~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RC)는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과, 리셉터클 커넥터측 콘택트(400)를 구비하고 있다. 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방향을 상정하고, 이들의 방향 제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2에서 설명하면 도면의 좌우방향이 안길이 방향이고, 도면의 좌측이 안길이 방향의 외측, 우측이 안길이 방향의 내측이다. 또한, 도 12의 상하방향이 폭방향이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 두께방향이다.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은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공동(310)과, 이 공동 (310)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수용면(3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공동(310)의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에 면하는 소편(小片)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소편의 안길이 방향의 내측의 면을 수용면(320)으로 하고 있다. 폭방향의 내측은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측을 말한다. 수용면의 다른 구성으로서 공동을 구성하는 폭방향 양단의 벽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내측의 면을 오목하게 하고, 이 오목부 중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면을 수용면으로 하여도 좋다. 리셉터클 커넥터측 콘택트(400)는 도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에 접촉하는 접촉부(410)와, 프린트 배선판(B)에 접속되는 접속부(420)를 구비하고, 접촉부(410)가 공동(310) 안에 위치하도록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 설치되어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에 있어서의 방향 제시도 앞에 설명한 방향 제시와 마찬가지이고, 도 2에서 설명하면 도면의 좌우방향이 안길이 방향이고, 도면의 좌측이 안길이 방향의 외측, 우측이 안길이 방향의 내측이다. 또한, 도 2의 상하방향이 폭방향이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두께방향이다.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은 적어도 일부가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110)과, 가요성인 잠금 암(120)과, 가요성인 조작 암(13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은 본체(111)와, 이 본체(111)의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리셉터클 커넥터(RC)의 공동(310)에 끼워넣는 삽입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에는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수용하는 수용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는 도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측 콘택트(400)의 접촉부(410)에 접촉하는 접촉부(210)와, 전선(W)에 접속되는 접속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는 접촉부(210)가 삽입부(112)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수용부(113)에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 (200)는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 랜스(Housing lance) 구조 또는 콘택트 랜스 (contact lance) 구조로 하우징(110)에 걸려진다. 이 실시예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는 압착형이지만 압접형으로 하여도 좋고, 전선을 피어싱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접속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1~도 4, 도 6~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120)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잠금 암(120)은 잠금 암 기단(121)이 잠금 암(110)의 본체(111)에 고정되어 캔틸레버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잠금 암(120)의 잠금 암 기단(121)은 본체(111)의 안길이 방향의 거의 외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잠금 암 기단(121)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잠금 암(120)은 안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부(112)의 폭방향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잠금 암(120)의 선단(123)에는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의 외측은 하우징(110)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먼 측을 말하고, 폭방향의 내측은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측을 말한다.
도 1~도 4, 도 6~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암(130)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조작 암(130)은 조작 암 기단(131)이 잠금 암(120)의 잠금 암 기단(121)보다도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본체(111)에 고정되어 캔틸레버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조작 암(130)의 조작 암 기단(131)은 본체(111)의 안길이 방향의 대략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조작 암 기단(131)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조작 암(130)은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조작 암 (130)의 선단(133)은 본체(111)의 안길이 방향의 거의 외측 단부까지 이르고 있지만 선단(133)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조작 암(130)은 그 중도부(132)가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로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우징(110)의 삽입부(112)가 리셉터클 커넥터 (RC)의 공동(310)에 끼워넣어지면 잠금 암(120)의 돌기(124)가 리셉터클 커넥터 (RC)의 수용면(320)에 걸리고, 조작 암(130)의 선단(133)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잠금 암(120)의 돌기(124)이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RC)의 수용면(32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있다(도 14~도 17을 참조).
하우징(110)은 두께방향으로부터 봐서 안길이 방향 및 폭방향을 두 변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안길이 방향의 내측의 끝 가장자리는 폭방향으로부터 봐서 선단을 향하여 얇게 되도록 막대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의 리셉터클 커넥터(RC)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하우징 (110)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은 두께방향으로 봐서 교차하고 있다.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 중 적어도 한쪽에는 두께방향 으로 오목하여 다른쪽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조작 암(130)에 두께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오목한 홈형상의 회피부(1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회피부(134)에 잠금 암(120)의 길이방향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회피부(134)의 폭방향 치수는 이것에 수용되는 잠금 암(120)의 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잠금 암(120)의 폭방향으로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회피부는 잠금 암에 형성하여도 좋고, 잠금 암 및 조작 암 양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는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에 대해서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조작 암(130)의 중도부 (132)가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에 폭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닿음으로써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100)은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140)와, 이 절연부재(140)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는 셸(15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 및 조작 암(130)은 절연부재(140)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 암(120)은 셸(150)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도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350)와, 이 절연부재(350)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는 셸(3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를 리셉터클 커넥터(RC)에 삽입하였을 때, 셸끼리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의 셸(360)을 프린트 배선판 (B)의 접지용 패턴에 접속하면 양 커넥터(PC,RC)의 실드효과 등이 높아진다. 본 발 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을 이와 같이 2부재로 구성하지 않는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을 절연부재(140)와, 이보다도 고강도의 셸(150)로 구성하였을 때에는 셸(150)로부터 조작 암(130)의 폭방향 외측의 면을 따라서 상승하는 측단벽(114)을 설치하면 조작 암(130)의 강도를 높이거나 과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단벽(114)을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에는 콘택트 (200,400)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두께방향으로는 1단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1~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에는 비틀림 방지를 위한 제 1 규제부(115)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도 이것에 대응하여 제 1 규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삽입부(112)에는 폭방향의 적절한 부위에 있어서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규제부로서의 리브(rib)(115)가 설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는 상기 리브(115)가 끼워넣어지는 상대측의 제 1 규제부로서의 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규제부(115,330)를 형성하면, 예컨대, 두께방향으로 바라봤을 때에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를 리셉터클 커넥터(RC)에 안길이 방향을 따라 똑바로 삽입하지 않고 각도를 주어서 삽입하고자 하면 제 1 규제부 (115,330)가 끼워맞춰질 수 없으므로 삽입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삽입부(112)에 제 1 규제부로서의 홈을 형성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 제 1 규제부로서의 리브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제 1 규제부(115,330)를 설치하지 않는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에는 역삽입 방지를 위한 제 2 규제부(116)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도 이것에 대응하여 제 2 규제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삽입부(112)에는 두께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제 2 규제부로서의 리브 (116)가 설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는 상기 리브(116)가 끼워지는 상대측의 제 2 규제부로서의 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제 2 규제부(116,340)를 모두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의해서 제 2 규제부를 형성하는 부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 2 규제부(116,340)를 형성하면, 예컨대,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를 리셉터클 커넥터(RC)에 대하여 정규의 방향이 아닌 두께방향으로 반전해서 삽입하고자 하면 제 2 규제부 (116,340)가 끼워맞춰질 수 없으므로 삽입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서 역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 (RC)에는 극수가 다른 각종 쌍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잘못해서 극수가 다른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를 접속하고자 하였을 때에는 제 2 규제부(116,340)가 끼워맞춰질 수 없으므로 접속할 수 없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삽입부(112)에 제 2 규제부로서의 홈을 형성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300)에 제 2 규제부로서의 리브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제 2 규제부(116,340)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수용하여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로 하고, 이것을 리셉터클 커넥터(RC)에, 삽입부(112)가 공동(310)에 끼워넣어지도록 삽입하면 잠금 암(120)이 휘고, 잠금 암(120)의 돌기(124)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고나서 되돌아감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RC)의 수용면(320)에 걸리고, 이로써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가 리셉터클 커넥터(RC)에 잠금된다. 손가락으로 조작 암(130)의 선단(133)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도 16에 굵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방향) 이 힘이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로부터 잠금 암(120)의 중도부 (122)에 전달되어 잠금 암(120)이 휘고, 돌기(124)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RC)의 수용면(320)으로부터 떨어지고(도 16에 가느다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방향), 이것에 의해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의 리셉터클 커넥터(RC)로의 잠금이 해제되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의 리셉터클 커넥터(RC)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 암(130)과 잠금 암(120)은 중도부(122,132)끼리 접촉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이 접촉하는 부위는 중도부 (122,132)의 변위에 따라서 약간 이동하여 가게 된다.
그 경우,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이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고, 이들이 폭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가 잠금 암 (120)의 중도부(122)에 힘을 전달하므로 상기 중도부(132)가 조작 암(130)으로부터 잠금 암(120)에 힘이 작용하는 작용점으로 되지만, 조작 암(130)은 상기 중도부 (132)로부터 더욱 안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으로 조작 암(130)의 선단에 가하는 힘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작아도 되게 되어,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이 경감된다. 조작 암(130)이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조작 암(130)의 선단(133)이 리셉터클 커넥터(RC)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외측에 가급적 떨어진 위치에 도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RC)가 작업 공간에 여유가 없는 협소한 곳에 실장되어 있을 때이더라도 손가락으로 조작 암(130)을 눌러서 잠금을 해제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잠금 암(120) 및 조작 암 (130)의 길이를 하우징(110)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를 크게 초과할 때까지 연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의 콤팩트화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잠금 암 및 조작 암이 두께방향으로 봐서 평행하게 배치된 실시예, 잠금 암 및 조작 암이 두께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이 두께방향으로 봐서 교차하고 있고,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 중 적어도 한쪽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여 다른쪽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의 더나은 박형화가 달 성된다.
본 발명은 조작 암의 중도부가 잠금 암의 중도부에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 암과 조작 암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암의 중도부가 폭방향의 내측으로의 변위시에 잠금 암의 중도부를 걸어서 이것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거나 또는 당기도록 구성한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가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에 대해서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가 잠금 암 (120)의 중도부(122)에 폭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닿음으로써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로부터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이 모두 절연재료로 형성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이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140)와, 이 절연부재(140)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는 셸(150)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10) 및 조작 암(130)이 절연부재(140)로 형성되고, 잠금 암(120)이 셸(150)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셸(150)에 의해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의 실드성이 향상한다. 셸(150)을 절연부재 (140)보다도 강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잠금 암(120)의 강도가 향상한다. 그 예로서 셸(150)을 금속으로 형성한 실시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의 수 및 배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에는 콘택트(200,400)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두께방향으로는 1단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10)에는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 및 리셉터클 커넥터(RC)의 박형화가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에 전선(W)을 접속하였지만 평형 유연 케이블을 접속할 때에는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의 접속부는 평형 유연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예컨대, 접속부에 피어싱하기 위한 돌출편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앞에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제 1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제 1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충분히 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내지 제 5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들을 구비한 제 2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도 충분히 설명되었다.
제 2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잠금 암 및 조작 암이 두께방향으로 봐서 교차하고 있고, 잠금 암 및 조작 암 중 적어도 한쪽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여 다른쪽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더 나은 박형화가 달성된다.
제 3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또는 제 2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조작 암의 중도부가 잠금 암의 중도부에 대해서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조작 암의 중도부가 잠금 암의 중도부에 폭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닿음으로써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조작 암의 중도부로부터 잠금 암의 중도부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제조가 용이하다.
제 4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와, 이 절연부재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는 셸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 및 조작 암이 절연부재로 형성되고, 잠금 암이 셸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셸에 의해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실드성이 향상한다. 셸을 절연부재보다도 강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하였을 때는 잠금 암의 강도가 향상한다.
제 5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수용부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가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제 2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제 2 내지 제 5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부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잠금 암과 조작 암을 안길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연장하였으므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을 양립시킬 수 있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 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잠금 암과 조작 암을 안길이 방향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박형화 및 콤팩트화, 잠금을 해제하여 빼내는 작업의 용이화, 잠금 해제에 요하는 힘의 경감 등을 양립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방향을 정하였을 때에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공동(310)과, 이 공동(310)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수용면(320)과, 공동(310) 안에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측 콘택트(400)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RC)에 삽입되거나 또는 이것으로부터 빼내어지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PC)를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와 함께 구성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으로서,
    본체(111)와, 이 본체(111)의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리셉터클 커넥터(RC)의 공동(310)에 끼워넣는 삽입부(112)를 갖고,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접촉부(210)가 삽입부(112)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수용부(113)를 갖고서 적어도 일부가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잠금 암 기단(121)이 하우징(110)의 본체(111)에 설치됨과 아울러 안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삽입부(112)의 폭방향 외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선단(123)에 폭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124)가 형성된 가요성인 잠금 암(120); 및
    상기 하우징(1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조작 암 기단(131)이 잠금 암 (120)의 잠금 암 기단(121)보다 안길이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본체(111)에 설치됨과 아울러 안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중도부(132)가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로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있는 조작암(13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삽입부(112)를 리셉터클 커넥터(RC)의 공동(310)에 끼워넣으면 잠금 암(120)의 돌기(124)가 리셉터클 커넥터(RC)의 수용면(320)에 걸리고, 조작 암(130)의 선단(133)을 폭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잠금 암(120)의 돌기(124)가 폭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RC)의 수용면(32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이 두께방향으로 봐서 교차하고 있고, 상기 잠금 암(120) 및 조작 암(130) 중 적어도 한쪽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여 다른쪽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부(1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암(130)의 중도부(132)가 상기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에 대해서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조작 암 (130)의 중도부(132)가 상기 잠금 암(120)의 중도부(122)에 폭방향의 외측에서 닿음으로써 폭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100)은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140)와, 이 절연부재(140)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 는 셸(15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110) 및 조작 암(130)이 상기 절연부재(140)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 암(120)이 상기 셸(150)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은 절연성을 갖는 절연부재(140)와, 이 절연부재(140)에 덮여진 도전성을 갖는 셸(15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110) 및 조작 암(130)이 상기 절연부재(140)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 암(120)이 상기 셸(150)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수용부(113)가 두께방향으로 일단, 폭방향으로 복수열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10. 제1항에 기재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11. 제2항에 기재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12. 제3항에 기재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13. 제4항에 기재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14. 제6항에 기재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과, 이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0)의 수용부(113)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측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KR1020040014680A 2003-03-07 2004-03-04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KR101003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2578 2003-03-07
JP2003062578 2003-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98A KR20040080998A (ko) 2004-09-20
KR101003030B1 true KR101003030B1 (ko) 2010-12-21

Family

ID=3292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680A KR101003030B1 (ko) 2003-03-07 2004-03-04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57975B2 (ko)
KR (1) KR101003030B1 (ko)
CN (1) CN100426596C (ko)
TW (1) TWI286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81B1 (ko) * 2004-12-23 2007-02-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TW200719787A (en) * 2005-11-11 2007-05-16 Innolux Display Corp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7317554A (ja) * 2006-05-26 2007-12-06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4906964B2 (ja) * 2008-12-16 2012-03-28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ハーネスの接続構造
US9202527B2 (en) * 2010-05-21 2015-12-01 Seagate Technology, Llc Modular interface communications with a storage cartridge
KR101944361B1 (ko) * 2014-01-06 2019-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6225941B2 (ja) * 2015-04-17 2017-11-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16A (ja) * 1995-06-15 1997-01-10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269A (en) * 1968-03-08 1970-08-04 Essex International Inc Panel locking terminal connector block
US4832625A (en) * 1988-08-18 1989-05-23 Amp Incorporated Connector keying system
DE3915278A1 (de) 1989-05-10 1990-11-15 Hoech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lauftrocknung von beidseitig beschichteten platten
JP3094668B2 (ja) 1992-07-10 2000-10-03 富士通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
JP3500503B2 (ja) 2000-12-19 2004-02-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JP4009111B2 (ja) *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16A (ja) * 1995-06-15 1997-01-10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98A (ko) 2004-09-20
TWI286866B (en) 2007-09-11
CN1531147A (zh) 2004-09-22
CN100426596C (zh) 2008-10-15
US6957975B2 (en) 2005-10-25
US20040175982A1 (en) 2004-09-09
TW200418238A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883724B1 (ko) 로킹 부재의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방지된 커넥터
JP4722707B2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JPH11283710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JPH07312262A (ja) プラグ・ソケット型電気コネクタ
US6808410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ing mechanism
CN110190461B (zh) 插头连接器
KR101767683B1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JP421450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003030B1 (ko)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 이것을이용한 잠금기구가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
JP5110271B2 (ja) コネクタ装置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US6164992A (en) Structure of lever of lever engagement type connector
KR101085481B1 (ko) 멀티 접속형 헤더 커넥터 및 이것에 접속하는 세로 장착형소켓 커넥터 및 가로 장착형 소켓 커넥터
JP4303148B2 (ja) 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
JP4523062B1 (ja) 低背形電気コネクタ
JP2009272104A (ja) リテーナ付き電気コネクタ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H0528698Y2 (ko)
JP2005158730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4602050B2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EP3408896B1 (e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P1530266B1 (en) Socket connector
JP326838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