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057A -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057A
KR20080025057A KR1020077028956A KR20077028956A KR20080025057A KR 20080025057 A KR20080025057 A KR 20080025057A KR 1020077028956 A KR1020077028956 A KR 1020077028956A KR 20077028956 A KR20077028956 A KR 20077028956A KR 20080025057 A KR20080025057 A KR 20080025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sin sheet
log
sheet
foam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마루 고마츠바라
도루 호리구치
Original Assignee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5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그 독립 기포가 특정한 평균 직경과 특정한 체적률을 갖는 발포 수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독립 수지 시트는 가시광에 대한 광선 반사율 또는 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또한 광확산성도 우수하고, 특히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15 ∼ 39 인치의 대형 액정 텔레비젼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광반사판 또는 광확산판으로서 바람직하고, 본 발명이 가져오는 공업상의 효과는 각별한 것이다.
독립 수지 시트, 백라이트, 광확산판, 액정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FOAMED RESIN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포 수지 시트, 그 발포 수지 시트를 광학 시트로서 사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그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액정 텔레비젼 등 여러 가지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 (백라이트) 로는, 광원을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에 배치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판을 통해 액정 표시 패널에 조사되는 사이드 라이트 방식과, 광원을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하는 직하형 방식이 알려져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다. 대화면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로는, 대형화되어도 중량이 그다지 증가되지 않고, 고휘도화가 용이한 직하형 방식의 조명 장치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
직하형 방식의 조명 장치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을 조명하는 복수의 선상 광원과, 광원에 대해서 액정 표시 패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광반사판과, 광원과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의 광 및 광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광을 액정 표 시 패널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을 갖고, 광반사판/광원/광확산판/액정 표시 패널의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다. 광확산판과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광선 조절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광반사판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 등의 기재의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퇴적하여 금속 경면을 형성한 광반사판, 산화 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판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금속 경면을 갖는 광반사판은, 반사율은 높지만 반사가 정반사이기 때문에, 반사광이 디스플레이의 정면 방향으로 출광되지 않고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 외에, 복수의 선상 광원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되기 쉽고, 따라서 발광면 중 각 선상 광원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영역은 밝아지고 그 이외의 영역은 어두워진다는, 이른바 「주기적 휘도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반사판은, 배면으로의 광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안료의 첨가량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백색 안료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필름에 대한 첨가량이 많아지면 광 손실의 증대를 무시할 수 없게 되고, 반사율이 저하되거나 혹은 반사광이 황색미를 띈다는 문제가 있다.
광반사판의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반사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925745호 명세서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시트로 이루어지는 광반사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 광반사판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에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킨 후, 그 수지를 상압하에서 가열시켜 발포시킴으로써 백색 안료 대신에 기포를 수지에 함유시킨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시트로 이루어지는 광반사판은 반사율을 충분히는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5051호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발포체 층의 적어도 편면에 내(耐)광층이 형성된 반사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발포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실록산의 블록 공중합체를 발포하여 얻어진 발포 시트가 기재되어 있고, 이 발포 시트는 높은 반사율을 갖고 있지만, 제조시에 발포가 안정되지 않고 복수의 기포가 이어져 균열형상으로 되는 문제가 있는 것 외에, 시트의 내열성이 떨어져, 내마모성도 뒤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반사율이 높고, 광원이 발하는 광의 색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선상 광원에 기인하는 주기적인 휘도 편차를 억제시킬 수 있는 광반사판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광확산판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3-078701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탄산 칼슘과 산화 티탄을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257002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탄산 칼슘이나 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188709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비즈상 가교 아크릴 수지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이,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20860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비즈상 가교 아크릴 수지와 형광증백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광확산성의 실현을 위해서 수지에 광확산제를 배합한 것이지만, 이러한 광확산제는 광확산판의 성형시 등에 받은 열이력에 의해 광확산제 자체가 변질되거나 매트릭스 수지의 황 변을 유발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6306호에는, 미세한 기포를 분산 함유한 합성 수지제의 광확산 시트가 개시되고, 이러한 광확산 시트가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광학 시트로서 사용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확산 시트는 직하형 백라이트용의 광확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광확산성이 불충분하여 광원이 잘 들여다보여, 상기 서술한 주기적 휘도 편차를 충분히 억제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가시광의 투과율 및 광확산성의 양방에 있어서 원하는 성능을 갖는 광확산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반사판이나 광확산판은, 대면적에 걸쳐서 성능이 균일하다는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대면적에 걸쳐서 가시광의 확산 반사성, 또는 가시광의 투과율 및 확산성에 대해 균일 또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광반사판 내지 광확산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광반사판의 제조ㆍ납입 형태로는, 제조 비용이나 운송 비용의 관점에서 폭 1 ∼ 2m 정도, 길이 100 ∼ 1,000m 정도의 시트를 롤상으로 권회된 형태가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이러한 대면적에 걸쳐서 가시광의 확산 반사성에 대해 균일 또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광반사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가시광의 확산 반사성에 대해 대면적에 걸쳐서 균일하고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광반사판 그리고 가시광의 투과율 및 확산성에 대해 대면적에 걸 쳐서 균일하고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광확산판, 그리고 상기 광반사판의 롤, 그리고 상기 광반사판 및 광확산판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그 독립 기포가 특정한 평균 직경과 특정한 체적률을 갖는 발포 수지 시트가 가시광에 대한 광선 반사율 또는 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또한 광확산성도 우수한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첫째로, 평균 직경이 0.1 ∼ 5㎛ 인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두께가 0.1 ∼ 10mm 이며, 기포 체적률이 5 ∼ 90 vol% 이고,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을 X (㎛), 기포 체적률을 Y (vol%) 및 시트의 두께를 T (mm) 로 했을 때에 하기 식을 만족하고, 확산 반사율이 80% 이상 또한 반사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이며, 그리고 광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log10 (Y) ≥ A × log10 (X) + B
A=0.037 × T + 0.96
B=-0.203 × T + 1.21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두번째로, 평균 직경이 30 ∼ 100㎛ 인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기포 체적률이 10 ∼ 90 vol% 이고,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 을 X (㎛) 및 기포 체적률을 Y (vol%) 로 했을 때에, 하기 식을 만족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또한 투과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이며, 그리고 광확산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1.4 × log10 (X) - 1.5 ≤ log10 (Y) ≤ 2.5 × log10 (X) - 2.2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세번째로, 광반사판, 광원 및 광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반사판 또는 상기 광확산판이 상기 어느 하나의 발포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마지막으로,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시트는,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된 독립 기포를 함유한다. 그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은, 0.1 ∼ 5㎛ 또는 30 ∼ 100㎛ 이다. 이러한 독립 기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시트는, 큰 광산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광학 시트로는, 광반사판 또는 광확산판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시트에 대해, 광반사판으로서의 바람직한 양태 및 광확산판으로서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광반사판으로서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양태의 발포 수지 시트를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한편 광확산판으로서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양태의 발포 수지 시트를 「본 발명의 광확산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광반사판〕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두께는 0.1 ∼ 10mm 이며, 0.5 ∼ 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함유하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은, 0.1 ∼ 5㎛ 의 범위에 있고, 0.2 ∼ 3㎛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 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이 5㎛ 를 초과하면 발포 수지 시트의 확산 반사율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광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은, 각 기포에 대해 그 단면의 면적과 동일 면적의 원의 직경으로 환산한 값의 평균값이며, 발포 수지 시트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기포 체적률, 즉 수지 시트 중에 차지하는 독립 기포의 합계 체적의 비율은, 5 ∼ 90 vol% 이다. 이 값이 5 vol%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수지 시트의 확산 반사율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90 vol%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지 시트의 기계적 물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기포 체적률의 값이 5 ∼ 45 vol%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 ∼ 44 vol%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3% 의 범위에 있어서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와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가 하기 식 (1) 또는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g10 (Y) ≥ A × log10 (X) + B (1)
(단, 10{(D-B)/(A-C)} < X ≤ 5)
log10 (Y) ≥ C × log10 (X) + D (2)
(단, 0.1 ≤ X ≤ 10{(D-B)/(A-C)})
A=0.037 × T + 0.96
B=-0.203 × T + 1.21
C=0.045 × T + 0.28
D=-0.133 × T + 1.02
상기의 경우,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와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는, 하기 식 (3) 또는 (4)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og10 (Y) ≥ E × log10 (X) + F (3)
(단, 10{(H-F)/(E-G)} < X ≤ 5)
log10 (Y) ≥ G × log10 (X) + H (4)
(단, 0.1 ≤ X ≤ 10{(H-F)/(E-G)})
E=0.0065 × T + 0.97
F=-0.117 × T + 1.38
G=0.027 × T + 0.30
H=-0.104 × T + 1.24
한편, 기포 체적률의 값이 45 vol% 를 초과하고 46 vol% 미만의 범위 또는 46 ∼ 90 vol%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6.5 ∼ 85 vol%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7 ∼ 80 vol% 의 범위에 있어서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와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g10 (Y) ≥ I × log10 (X) + J (5)
I=0.037 × T + 0.96
J=-0.203 × T + 1.21
상기의 경우,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와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는, 하기 식 (6) 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og10 (Y) ≥ K × log10 (X) + L (6)
K=0.0065 × T + 0.97
L=-0.117 × T + 1.3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시트는, 높은 확산 반사율 및 높은 반사 헤이즈 (Haze) 값을 나타내고,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의 광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반사율이란, 시료에 입사각 0˚ (시료의 측정면에 수직 방향) 로 입사된 광의 반사광의 전체 확산 반사 성분의 합계 강도를 황산 바륨 백판의 반사광에 대한 상대값 (%) 으로서 구하고, 이 값을 측정 파장 영역 400 ∼ 800nm 의 범위에서 적산하여 평균한 값을 말한다. 또, 반사 헤이즈값이란, 반사판이 입사각도 45˚로 입사된 광을 반사할 때, 입사각과 다른 각도로 반사된 광량의 적산값의 전반사량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확산 반사율은 8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3% 이상이다. 확산 반사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확산 반사율의 값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하이어도 광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사 헤이즈값은 9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며, 9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은 확산 반사율 및 높은 반사 헤이즈는, 발포 수지 시트가 함유하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와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상기 확산 반사율 및 반사 헤이즈값이 매우 넓은 면적 범위에 걸쳐서 균일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그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확산 반사율의 평균값과 상기 중심점에서의 확산 반사율의 차를 상기 중심점에서의 확산 반사율로 나눈 값이 ±0.05 이내일 수 있고, 더욱 ±0.03 이내일 수 있으며, 특히 ±0.02 이내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반사 헤이즈의 평균값을 상기 중심점에서의 반사 헤이즈로 나눈 값이 0.95 ∼ 1.05 일 수 있고, 더욱 0.97 ∼ 1.03 일 수 있으며, 특히 0.99 ∼ 1.01 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폭 방향」이란 광반사판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대화면의 액정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이 바람직하게는 1 ∼ 2m,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00 ∼ 1,000m 의 길이의 시트로서 제조하고, 이것을 롤상으로 권회된 형태로 보관, 운송, 납입할 수 있고, 제조 비용, 보관 비용, 운송 비용 등의 삭감에도 이바지한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된 독립 기포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에 있어서, 매트릭스 수지와 독립 기포의 굴절률 차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큰 광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독립 기포에 함유되는 기체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n≒1), 질소 (n≒1), 공기 (굴절률 n=1) 등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 아르곤, 수소, 산소, 프로판, 부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어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계면 중합법 또는 용융 중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가 페놀의 대표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2,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 (통칭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3-메틸부탄, 2,2-비스(4-히드 록시페닐)-3,3-디메틸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m-디이소프로필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비스페놀 A 가 바람직하다. 이들 2가 페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예를 들어 카르보닐할라이드, 카보네이트에스테르 또는 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2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계면 중합법 또는 용융 중합법에 따라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촉매, 말단 정지제, 2가 페놀의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등이어도 된다. 상기 분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한 2가 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에 첨가하여, 페놀성 수산기를 3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는, 2가 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에 첨가하여, 방향족 또는 지방족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실록산 블록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서술 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나타내어 10,000 ∼ 4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 ∼ 35,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점도 평균 분자량 (M) 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7g 을 염화 메틸렌 100mL 에서 용해시킨 용액에 대해 측정한 20℃ 에서의 비점도 (ηsp) 를 하기 식에 대입하여 구한 것이다.
ηsp/c=[η] + 0.45 × [η]2c
[η]=1.23 × 10-4M0 .83
(단, c=0.7, [η] 은 극한 점도이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형광증백제, 열안정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블루잉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해도 된다.
상기 형광증백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색조를 백색 혹은 청백색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광반사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형광증백제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선 중 자외부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에너지를 가시광으로서 방사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형광증백제로는, 예를 들어 스틸벤젠 화합물,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벤즈옥사졸 화합물, 나프탈이미드 화합물, 로다민 화합물, 쿠마린 화합물, 옥사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벤즈옥사졸 화합물 또는 쿠마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형광증백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화약 (주) 제조 카야라이트 OS (CI Fluorescent Brightner 219 : 1, 벤즈옥사졸 화합물), 핫콜케미칼 (주) 제조 핫콜 PSR (쿠마린 화합물), 이스트만 케미컬사 제조 EASTOBRITE OB-1 등을 들 수 있다.
형광증백제의 배합 비율은,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 3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 ∼ 0.5 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3 ∼ 0.1 중량부이며, 특히 0.0005 ∼ 0.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형광증백제가 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광반사판은, 이것을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하여 사용했을 때에 충분한 면발광성을 나타내고, 발광면의 색조가 보다 개량되고, 색조 (색상) 의 편차가 없어져 바람직하다.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성형할 때의 분자량의 저하나 색상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열안정제로는, 아인산, 인산, 아포스폰산 및 포스폰산 그리고 이들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열안정제의 구체예로는, 아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 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옥틸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프로필모노페닐포스파이트, 모노부틸디페닐포스파이트, 모노데실디페닐포스파이트, 모노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등 ;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디스테아릴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모노옥소크세닐포스페이트, 디부틸포스페이트, 디옥틸포스페이트, 디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 ;
아포스폰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2,4-디-iso-프로필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4-디-n-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3'-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3,3'-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iso-프로필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n-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tert-부틸페닐)-4,3'-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tert-부틸페닐)-3,3'-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비 페닐포스포나이트 등 ; 포스폰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벤젠포스폰산 디메틸, 벤젠포스폰산 디에틸, 벤젠포스폰산 디프로필 등을 각각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또는 비스(2,4-디-tert-부틸페닐)-비페닐포스포나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 열안정제는, 1종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열안정제의 사용량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0.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압출 성형할 때에 금속 롤로부터의 이형성을 개량하는 등의 목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 이형제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탄소수 1 ∼ 20 의 1가 혹은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10 ∼ 30 의 포화 지방산의 부분 에스테르 또는 전체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모노소르비테이트, 베헤닌산 모노글리세리드, 펜타에리트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페라르고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 팔미틸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메틸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비페닐비페네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테 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형제의 배합량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0.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장기간에 걸쳐서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영역 ∼ 가시광 영역의 여러 파장 분포를 갖는 강도의 광을 단속적으로, 혹은 연속하여 조사받 기 때문에, 광반사판의 광에 의한 열화나 변색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그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 배합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옥사진 화합물,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 폴리머형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구체예로는, 벤조페논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벤지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폭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폭시트리하이드라이드레이트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소듐술폭시벤조페논,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2-히드록시-4-n-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2'-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쿠밀 페닐)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쿠밀-6-벤조트리아졸페닐), 2,2'-p-페닐렌비스(1,3-벤조옥사진-4-온),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쿠밀페닐)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또는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옥사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및 2,2'-p,p'-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메틸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에틸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프로필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부틸옥시페놀 등 외에,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 상기 예시 화합물 중의 페닐기를 2,4-디메틸페닐기로 치환한 화합물이 예시된다.
상기 폴리머형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 및 광안정성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에스테르 치환기 중에 벤조트리아졸 골격, 벤조페논 골격, 트리아진 골격 또는 벤조옥사진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상기 광안정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프로필-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t-부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시클로헥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4-메틸시클로헥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t-옥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데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도데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메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에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t-부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4-메틸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t-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 레이트, 1-데시록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도데시록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의 공중합 반응은,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벤조옥사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비율은,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후술하는 보호막을 갖는지의 여부에 의해 최적치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막을 갖는 경우에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한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비율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 ∼ 0.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0.3 중량부이다. 한편, 광반사판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2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 0.8 중량부이며, 특히 0.02 ∼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하면 광반사판이 변질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그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 광원측이 되어야 하는 면에 보호막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보호막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유기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고분자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혹은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아크릴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상기 아크릴 모노머 중 1종을 단독 중합하거나, 혹은 2종 이상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반사판의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보호막 중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보호막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백라이트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광반사판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열화를 효율적으로 억제시키고, 휘도의 저하 및 색조의 변화를 방 지하는 효과가 있다. 백라이트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의한 광반사판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열화는 광원측의 표면으로부터 진행하기 때문에, 광반사판의 광원측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은, 광반사판의 광열화의 억제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벤조옥사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본 발명의 반사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배합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보호막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로는, 유기 고분자와 자외선 흡수제의 합계에 대해서 0.1 ∼ 50 중량% 가 바람직하고, 0.5 ∼ 4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3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막의 두께로는 0.1 ∼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10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70㎛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막의 두께의 최적 범위는 보호막의 형성 방법에 따라 상이한데,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반사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1) 수지를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재료 수지에 대해서 불활성인 가스를 함침시켜, 이것을 발포시키는 방법 (배치법), (2) 적당한 성형기 중에서 원료 수지를 용융하고, 용융된 수지에 그 수지에 대해서 불활성인 가스를 주입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함과 함께 발포시키는 방법 (연속법), (3) 원료 수지와 발포제를 함유하는 원료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시트상으로 성형하면서 발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 (1) 에 있어서, 원료 수지를 시트상으로 성형할 때에는, 예를 들어 용융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한 수지를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이것을 복수개의 냉각 롤 사이에 끼워 압압한 시트를 인취 롤에 의해 인취하는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얻어진 롤은 그대로 공정에 사용할 수 있고, 혹은 매엽 시트로 절단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얻어진 롤상 시트 또는 매엽 시트에, 그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를 함침시키려면,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06-506724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압 용기내에서 상기 시트에 가스를 고압 또는 초임계 상태에서 함침시키고, 이어서 고압 용기로부터 꺼낸 함침 시트를 원료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으로 가열하여 기포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원료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질소, 공기, 아르곤, 수소, 산소, 프로판, 부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 수지에 대한 불활성, 수지에 대한 용해성, 취급의 편리성 관점에서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 바람직하다.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로서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의 농도로는, 50 용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용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에 상기 가스를 함침시킬 때의 압력으로는 1 ∼ 50MPa 가 바람직하고, 5 ∼ 50MPa 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시트에 상기 가스를 함침시킬 때의 온도로는 20 ∼ 140℃ 이 바람직하고, 20 ∼ 1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침시키는 가스량은, 수지의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 이며, 보 다 바람직하게는 0.2 ∼ 0.4 중량% 이다. 고압 용기로부터 꺼낸 함침 시트의 가열 온도로는, 수지의 Tg 로부터 5 ∼ 15℃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경우, 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5 ∼ 165℃ 이다. 고압 용기로부터 꺼낸 함침 시트를 가열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오일 배스에 의한 가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성형기로는, 예를 들어 용융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압출기로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수지와 그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를 균일하게 혼련ㆍ확산시키기 위한 전용 스크류, 내압 실린더, 전용 다이 및 유체 분산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분산 노즐은, 용융 압출기의 가소화부의 하류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원료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를 고압 또는 초임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노즐이다. 원료 수지는, 용융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에서 용융되고, 가소화부의 하류에 있어서 유체 분산 노즐로부터 주입된 원료 수지에 대해서 불활성인 가스와 혼합ㆍ혼련되고, 냉각 존에 있어서 발포에 적절한 온도로 조정된 후, 전용 다이를 통해서 시트상의 발포체로 성형된다. 다이로부터 나온 발포 수지 시트는, 롤 등의 적절한 냉각 수단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됨으로써 기포의 성장이 제어되어 원하는 발포 수지 시트로 된다. 1쌍의 압출기 내에 가소화부와 냉각 존을 형성해도 되고, 2개의 압출기를 직렬로 연결한 탠덤 방식으로 실시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제 1 압출기에 있어서 원료 수지의 용융 및 용융 수지와 가스의 혼합을 실시하여 균일상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제 2 압 출기를 냉각 존에서 사용하여 가스가 주입된 용융 수지를 발포에 적절한 온도로 조제한다. 이 탠덤 방식은, 용융ㆍ혼련과 냉각을 별개의 압출기로 실시하기 때문에 운전 조건의 허용 폭이 넓고, 수지의 충분한 냉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포 체적률이 높은 발포 시트의 제조에 적절하다.
가소화부의 온도로는, 바람직하게는 280 ∼ 3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320℃ 이다. 원료 수지에 불활성인 가스로는, 상기 방법 (1) 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불활성인 가스를 압출기에 주입할 때의 압력으로는, 1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1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력은, 사용하는 가스가 초임계 상태가 되는 압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의 주입 압력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제성이나 조작성의 관점에서 50M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의 주입량으로는, 수지의 중량에 대해서 0.1 ∼ 0.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0.4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 존에 있어서 수지가 도달해야 하는 온도로는, 사용하는 원료 수지의 Tg 에 대해서 125 ∼ 150℃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75 ∼ 300℃ 이다.
상기 방법 (3) 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발포제로는, 화학 발포제 또는 물 리 발포제를 들 수 있다. 화학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아조 화합물, 니트로소 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유기 발포제, 중탄산염, 탄산염, 중탄산 나트륨 + 산, 아연 분말 + 산 등의 무기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물리 발포제로는, 부탄, 펜탄, 프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 수지와의 양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수지 시트의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등의 아조 화합물이나 탄산 수소 나트륨 등의 중탄산염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종류나 사용량은 목적으로 하는 기포 체적률, 평균 기포 직경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원료 수지 100 중량부 당 0.5 ∼ 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1) 및 (3), 방법 (2) 및 (3) 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 방법 (2) 를 채용하는 것, 또는 방법 (2) 와 (3) 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법 (2) 를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법 (2) 는, 생산성이 높고, 대면적의 광반사판의 제조에도 적합하며, 얻어진 발포 수지 시트의 후가공도 용이하다는 것 등의 관점에서 공업적으로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보호막을 갖는 경우, 광반사판의 기재가 되는 발포 수지 시트에 보호막을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성형된 발포 수지 시트 상에 보호막이 될 수 있는 유기 고분자 조성물을 T다이에 의해 용융 압출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미리 필름상으로 성형된 보호막을 수지 시트의 제조 공정 도중에 가열 롤 등을 사용하여 그 시트 표면에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발포 수지 시트와 보호막이 될 수도 있는 유기 고분자 조성물을 동시에 용융 압출하여 적층하는 공압출법, 발포 수지 시트 상에 보호막이 될 수도 있는 유기 고분자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료를 적절한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 혹은 수지 시트 상에 보호막을 갖는 전사박을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 적층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법으로는, 예를 들어 딥코팅법, 플로우코팅법, 롤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사박으로는, 베이스 필름/이형층/보호층/자외선 흡수제 함유 유기 고분자층 (상기 보호막)/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전사박의 접착층을 발포 수지 시트 상에 접착시켜 부착하고, 베이스 필름을 이형층과 함께 박리함으로써, 발포 수지 시트상에 시트측으로부터 접착층/자외선 흡수제 함유 유기 고분자층 (상기 보호막)/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광확산판을 얻을 수 있다.
보호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라미네이트 방법 또는 공압출법을 채용하는 경우의 보호막의 두께로는, 5 ∼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 ∼ 10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코팅법을 채용하는 경우의 보호막의 두께는 0.1 ∼ 2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1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박을 사용하는 경우의 보호막의 두께로는, 1 ∼ 1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5㎛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막의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얇은 것이 발포 수지 시트층과 보호막과의 열수축률의 차이나 흡수율의 차이에 의한 휨 상태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아 바람직하다.
〔광확산판〕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두께는 0.5 ∼ 1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이 함유되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은, 30 ∼ 100㎛ 의 범위에 있고, 40 ∼ 95㎛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 9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이 30㎛ 미만이면 광선 투과율이 낮은 경우가 있고, 한편 100㎛ 를 초과하면 발포 수지 시트의 확산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어, 광확산판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은, 상기한 광반사판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기포 체적률은 10 ∼ 90 vol% 이지만,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20 ∼ 85 vol%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80 vol% 이다. 이 값이 10 vol%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확산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90 vol% 를 초과하면 전체 광선 투과율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얻어지는 발포 수지 시트의 기계적 물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이다.
1.4 × log10 (X) - 1.5 ≤ log10 (Y) ≤ 2.5 × log10 (X) - 2.2 (5)
상기 식 (5) 를 충족시킴으로써, 투과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이 되기 쉬워진다.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을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는, 또한 하기 식 (6)
1.4 × log10 (X) - 1.25 ≤ log10 (Y) (6)
을 충족시킴으로써, 투과 헤이즈값 98% 이상을 만족하기 쉬워지고, 하기 식
1.4 × log10 (X) - 0.95 ≤ log10 (Y)
를 충족시킴으로써, 투과 헤이즈값 99% 이상을 만족하기 쉬워져, 특히 바람직하다.
또,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을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는, 하기 식 (7)
log10 (Y) ≤ 2.5 × log10 (X) - 2.45 (7)
을 충족시킴으로써, 전체 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이 되기 쉬워지고, 더욱 하기 식
log10 (Y) ≤ 2.5 × log10 (X) - 2.60
을 충족시킴으로써, 광선 투과율 70% 이상이 되기 쉬워져,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발포 수지 시트는, 높은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높은 투과 헤이즈 (Haze) 값을 나타내고,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의 광확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투과 헤이즈란, 광확산판에 입사각 0˚ 로 광을 입사했을 때에, 투과된 광 중 직진하지 않은 광의 총량의, 투과된 광의 총량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그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이며, 투과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이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상기 투과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이러한 높은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높은 투과 헤이즈는,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시트가 함유되는 독립 기포의 수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투과 헤이즈값이 매우 넓은 면적 범위에 걸쳐서 균일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그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평균값과 상기 중심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차를, 상기 중심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로 나눈 값이 ±0.05 이내일 수 있고, 더욱 ±0.03 이내일 수 있고, 특히 ±0.02 이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투과 헤이즈의 평균값을, 상기 중심점에서의 투과 헤이즈로 나눈 값이 0.95 ∼ 1.05 일 수 있고, 더욱 0.97 ∼ 1.03 일 수 있으며, 특히 0.99 ∼ 1.01 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폭 방향」이란 광확산판의 단변에 평행하는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판은, 대화면의 액정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된 독립 기포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에 있어서, 독립 기포에 함유되는 기체로는,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독립 기포에 함유되는 기체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비정성 불소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비정성 나일론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한 수지로서 예시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매트릭스 수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그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 광원측이 되어야 하는 면에 보호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이 가질 수 있는 보호막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가질 수 있는 보호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광확산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본 발명의 광반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한 방법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광확산판으로서 바람직한 평균 기포 직경 및 기포 체적률이 광반사판과는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 (1) 내지 (3) 에 있어서, 각각 이하의 점을 수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1) 에 있어서는, 가스를 함침시킨 시트를 고압 용기로부터 꺼낸 후에 가열하는 온도로는, 수지의 Tg 로부터 0 ∼ 5℃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경우, 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 155℃ 이다.
방법 (2) 에 있어서, 냉각 존 중에서 수지가 도달해야 하는 온도로는, 사용하는 원료 수지의 Tg 에 대해서 50 ∼ 110℃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 260℃ 이다.
방법 (3) 에 대해서는, 광반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서술한 바에 대해,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변경을 추가시에 실시함으로써, 광확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 및 (3), 방법 (2) 및 (3) 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의 제조 방법으로는, 방법 (2) 를 채용하는 것, 또는 방법 (2) 와 (3) 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법 (2) 를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복수의 선상 광원과, 그 선상 광 원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개구부에 배치된 광확산판을 갖고 이루어지고, 그 케이스의 내면에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부착되어 있거나 혹은 그 광확산판이 본 발명의 광확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상 광원으로는,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면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백열전구, 형광방전관, 발광 다이오드 소자, 형광 발광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휘도, 색온도 등의 관점에서 형광방전관, 그 중에서도 냉음극 형광 램프가 바람직하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 전력을 적게 하여, 고휘도ㆍ고연색된 3파장 형광체를 사용한 냉음극 형광 램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냉음극 형광 램프는, 내벽에 형광체가 도포된 유리관내에 적당량의 수은과 불활성 가스 (아르곤, 네온, 혼합 가스 등) 가 봉입되고, 유리관의 양단에는 기둥 형상의 전극이 장착되어 있다. 전극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관내에 미미하게 존재하는 전자가 전극으로 고속으로 끌려 충돌하고, 이 때에 2차 전자가 방출되어 방전이 시작된다. 이 방전에 의해, 양극으로 끌리는 전자와 관내의 수은 분자가 충돌되어, 파장 250nm 전후의 자외선이 방사되고, 이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한다.
이러한 선상 광원은, 복수개가 나열되어 대략 등간격으로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 광원의 개수는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6 ∼ 50개로 할 수 있다. 선상 광원은,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고, 그 케이스의 내면은, 고반사 도료가 도포되어 있거나, 고반사 필름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선상 광원을 수납한 케이스의 개구부에 광확산판이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광확산판으로는, 그 가시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며, 특히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판의 투과 헤이즈 (Haze) 값은,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며, 더욱 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확산판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수지 시트 중에 유기 미립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확산제를 분산 함유시킨 시트, 발포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광확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선상 광원을 수납하는 케이스의 내면에 본 발명의 광반사판이 부착되고, 또한 케이스의 개구부에 본 발명의 광확산판이 배치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높은 휘도 균일성을 갖고, 향상된 정면 휘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휘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광조절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는, 적어도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외에, 더욱 임의적으로 1매 또는 복수매의 광조절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액정 패널은, 액정 셀의 적어도 편면에 편광판을 갖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셀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극 및 배향막을 갖는 2매의 투명 기판이, 그 주변부를 밀봉하고, 또한 간극 (셀 갭)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기판의 내표면 및 시일제에 의해 구획된 셀 갭 내에 액정이 충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판으로는, 예를 들어 유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으로는,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 스멕틱 액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네마틱 액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쉬프베이스계 액정, 아족시계 액정, 비페닐계 액정, 페닐시클로헥산계 액정, 에스테르계 액정, 터페닐계 액정, 비페닐시클로헥산계 액정, 피리미딘계 액정, 디옥산계 액정, 비시클로옥탄계 액정, 쿠반계 액정 등이 사용된다. 또, 이들 액정에, 예를 들어 콜레스틸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에이트, 콜레스테릴카보네이트 등의 콜레스테릭 액정이나 상품명 「C-15」, 「CB-15」(이상, 멜크사 제조) 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과 같은 카이랄제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p-데시록시벤지리덴-p-아미노-2-메틸부틸신나메이트 등의 강유전성 액정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연신 배향시키면서 요오드를 흡수시킨 「H막」이라고 불리는 편광막을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보호막 사이에 끼운 편광판 또는 H막 그 자체로 이루어지는 편광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로는, 원하는 바에 따라 컬러 필터를 액정 셀과 편광판 사이에 끼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광조절 필름은,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액정 패널측, 즉 광확산 판과 액정 패널 사이에 1매 또는 복수매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조절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집광 필름, 확산 필름,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집광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표면을 프리즘 형상으로 한 「프리즘 시트」라고 불리는 집광 필름 (예를 들어 야마카타 쓰리엠 (주) 제조, BEF)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확산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확산제를 함유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편광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형 편광 필름 (예를 들어 야마카타 쓰리엠 (주) 제조, D-BE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조절 필름은, 예를 들어 확산판측으로부터 확산 필름, 집광 필름, 편광 필름의 순서대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는,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광조절 필름 중, 예를 들어 확산 필름, 또는 확산 필름 및 집광 필름을 구비하지 않아도, 높은 휘도 균일성 및 정면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반사판은, 우수한 광확산 반사성을 갖고, 고휘도이고 또한 제조 비용면에서 유리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텔레비젼에 사용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 광반사판 또는 스캐너용 광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광선 투과성이 높고 또한 우수한 광확산성을 갖고 있고, 고휘도이고 또한 제조 비용면에서 유리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텔레비젼에 사용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판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반사판 또는 광확산판은, 특히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15 ∼ 39 인치의 대형 액정 텔레비젼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고, 본 발명이 가져오는 공업상의 효과는 각별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평균 기포 직경
발포 수지 시트의 평균 기포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에 의해 발포 수지 시트의 시료 단면을 전자 사진 촬영한 후, 이것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통계 처리하여 구하였다.
즉, 먼저 발포체 수지 시트 시료를 15mm × 8mm 로 잘라내고, 마이크로톰의 홀더로 고정시켰다. 이 시료의 두께 방향으로 30㎛ 별로 시료를 보내 금속제의 마이크로톰 블레이드에 의해 시료의 단면을 잘라내어, 측정면을 노출시켰다. 그 후 높이 (두께) 2mm 로 커트한 시료의 측정면을 상방을 향하여 시료대 상에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하였다. 그리고 시료 및 시료대에 대해서 백금 스퍼터를 실시하여, SEM 의 관찰에 제공하였다. SEM 으로서 (주) 히타치 하이테크사이언스 시스템즈 제조 「S-3500N」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5kV, 경사각 0˚, 배율 70 ∼ 2000배의 조건에서 촬영을 실시하였다.
이 전자 촬영 데이터를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Win ROOF」(미츠타니 상사 (주) 제조) 에 넣었다. 그 소프트웨어의 화상 해석 화면 상에서 기포수 약 400개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처리 영역으로 설정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2치화하고, 통계 처리하여 진원에 상당하는 직경을 산출하였다. 당해 처리 영역내에서 연포 (連泡), 합포 (合泡) 하지 않고, 또한 최대 직경을 나타낸 기포의 직경을 당해 처리 영역에서의 기포 직경으로서 채용하였다. 다음으로, 다른 화상 영역을 다른 처리 영역으로서 동일한 조작을 10회 반복하고, 그 평균값을 당해 시료의 평균 기포 직경으로 하였다.
(2) 기포 체적률
발포 수지 시트를 5cm × 5cm 로 잘라낸 시료에 대해, 알파미라쥬 (주) 제조 전자 비중계 「MD-300S」에 의해 비중을 측정하고, 이 값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기포 체적률을 구하였다.
기포 체적률 (vol%)=(1 - ρ/ρo) × 100
상기 식 중, ρo 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중 1.20g/㎤ 이며, ρ 은 측정 시료의 비중 (g/㎤) 이다.
(3) 확산 반사율
분광 광도계 「U-4100」((주)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 시스템즈 제조) 를 사용하여 반사율 측정 모드로, 입사각 0˚, 측정 파장 영역 400 ∼ 800nm, 샘플링 간격 1nm, 스캔 스피드 120nm/min 의 조건으로 전체 확산 반사 성분의 분광 강도를 황산 바륨 백판의 반사광에 대한 상대값 (%) 으로서 측정하고, 이것을 전체 측정 파장 영역에서 적분하여, 평균한 값을 확산 반사율로 하였다.
또한, 확산 반사율의 측정은 발포 수지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 및 그 중심 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씩 이간된 2지점의 합계 3점에서 실시하고, 이하의 표에는 중심부에서부터 이간된 2지점에서의 확산 반사율의 평균값을, 중심부의 확산 반사율과 함께 나타냈다.
(4) 반사 헤이즈
발포 수지 시트의 반사 헤이즈는, 닛폰 덴쇼쿠 공업 (주) 제조 변각 광도계 「GC5000L」을 사용하여, 투광 각도 -45˚, 수광 각도 -85 ∼ +85˚ (0.1˚ 단위) 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반사 헤이즈 (%)=Td/Tt × 100
단, Td 는 반사각 42.5˚이하 및 47.5˚이상에서의 광선 반사량의 합계이며,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된다.
Td=R(-85.0˚) + R(-84.9˚) + … + R(42.5˚) + R(47.5˚) + R(47.6˚) + … + R(85.0˚)
상기 식 중, R(X˚) 는 각도 X˚ 에서의 반사량이다. 또, Tt 는 전체 광선 반사량이며,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
Tt=Td + Tp
상기 식 중, Tp 는 반사각 42.6 ∼ 47.4˚ 에서의 광선 반사량의 합계이며,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된다.
Tp=R(42.6˚) + R(42.7˚) + … + R(47.4˚)
상기 식 중, R(X˚) 는 Td 의 정의식에서의 것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반사 헤이즈의 측정은 발포 수지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 및 그 중심 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씩 이간된 2지점의 합계 3점에서 실시하고, 이하의 표에는 중심부에서부터 이간된 2지점에서의 반사 헤이즈의 평균값을, 중심부의 반사 헤이즈와 함께 나타냈다.
(5) 내광성 (색상 변화)
닛폰 덴키 (주) 제조의 15형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각 광반사판을 장착하고, 5,000시간 연속 점등한 후에 그 광반사판을 꺼내어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ΔYI) 를 평가하였다. 색상 (YI) 의 측정은, 닛폰 덴쇼쿠 공업 (주) 제조 분광식 색채계 「SE-200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광반사판이 보호막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광반사판을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보호막을 갖는 면이 냉음극 형광 램프측이 되도록 장착하였다.
(6) 전체 광선 투과율
JIS K 7361 에 준거하여, 닛폰 덴쇼쿠 공업 (주) 제조 탁도계 「NDH2000」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기재하였다.
또한,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발포 수지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 및 그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씩 이간된 2지점의 합계 3점에서 실시하고, 이하의 표에는 중심부에서부터 이간된 2지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평균값을, 중심부의 전체 광선 투과율과 함께 나타냈다.
(7) 투과 헤이즈
JIS K 7136 에 준거하여, 닛폰 덴쇼쿠 공업 (주) 제조 탁도계 「NDH2000」를 사용하고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투과 헤이즈 (%)=T'd/T't × 100
상기 식 중, T'd 는 발산각 2.5˚이상의 광선 투과량이고, 또, T't 는 전체 광선 투과량이며, 하기 식을 충족시킨다.
T't=T'd + T'p
단, T'p 는, 발산각 2.5˚ 미만의 광선 투과량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표 1 에 기재된 가스 중량비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이것을 충분히 혼련한 후, 압출기 내의 냉각 존에서 수지 혼합물의 온도를 표 1 의 「수지 온도」에 기재된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당해 온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압력을 해방하여 발포 수지 시트로 하였다. 또한, 상기 가스 중량비란,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량의 발포 수지의 토출량에 대한 중량비를 말한다 (이하 동일).
압출 후의 발포 수지 시트는, 미리 준비해 둔 보호막과 함께 직경 300mm 의 2쌍의 롤 사이에 끼우고 시트의 편면에 보호막을 열압착 (라미네이트) 하고, 그 후 3℃ 의 물로 급랭함으로써, 편면에 보호막을 갖는 약 2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PC)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각 시트의 시트 두께의 실측치는 표 1 에 나타냈다. 이들 값은, 보호막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 값이다. 또한, 상기 보호막으로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1 중량부를 함유하는 두께 50㎛, 폭 1,000mm 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카네카 (주) 제조, 상품명 「산듀렌 필름 SD014NRT」) 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2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가스 중량비 0.0023 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충분히 혼련하였다. 또 냉각 존의 온도를 275℃ 로 조정하였다.
한편,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압출 조립한 보호막용 조성물을, 스크루 직경 50mm 의 보조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기 온도 250 ∼ 300℃ 에서 용융시켰다.
상기 2개의 압출기로부터,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의 두께를 2.01mm, 보호막의 두께를 50㎛ 로 하여 각각 피드블록 및 T다이를 경유하여 폭 1,000mm 의 적층 시트를 공압출하고, 그 후 3℃ 의 물로 급랭함으로써, 편면에 보호막을 갖는 2.01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3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가스 중량비 0.0025 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충분히 혼련하였다. 이것을 충분히 혼련한 후, 압출기 내의 냉각 존에서 수지 혼합물의 온도를 275℃ 까지 냉각시키고, 당해 온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압력을 해방하여 두께 1.97mm 의 발포 수지 시트로 하였다.
얻어진 발포 수지 시트의 편면에, 하기 조성으로 조제한 아크릴 수지 도료(도료의 고형분 농도 14 중량%) 를 플로우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25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20℃ 의 열풍 순환 건조기 중에서 40분간 가열함으로써, 편면에 보호막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두께 5㎛ 의 아크릴 경화층을 갖는 1.97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상기에서 사용한 아크릴 수지 도료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A) 경화 수지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1.5 중량부
(B) 자외선 흡수제 ;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5 중량부
(C) 용제 ; 이소부틸알코올 28 중량부
(D) 용제 ;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8 중량부
(E) 용제 ;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30 중량부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4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 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가스 중량비 0.0024 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이것을 충분히 혼련한 후, 압출기 내의 냉각 존에서 수지 혼합물의 온도를 275℃ 까지 냉각시키고, 당해 온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압력을 해방하여 발포 수지 시트로 하였다.
압출 후의 발포 수지 시트는, 투명 자외선 차단 보호 전사박 (오이케 공업 (주) 제조) 과 함께 직경 300mm 의 2쌍의 롤 사이에 끼우고 시트의 편면에 상기 전사박을 열압착하고, 그 후 3℃ 의 물로 급랭하였다. 다음으로 전사박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아크릴형 수지 이형층과 함께 박리함으로써, 편면에 보호막을 갖는 1.99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상기 전사박은 폭 1,000mm 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12미크론)/아크릴계 수지 이형층 (두께 0.5㎛)/아크릴계 수지 보호층 (두께 0.8㎛)/자외선 차단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2-히드록시-4-(메타크릴록시에톡시)벤조페논=7 : 3 (몰비) 의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 200,000, 두께 2.0㎛)/아크릴계 수지 접착층 (두께 0.8㎛) 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롤 사이에 끼울 때에는, 아크릴계 수지 접착층이 발포 수지 시트측이 되도록 장착하였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5
다이립의 간격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압출 조건에 의해, 편면에 보호막을 갖는 두께 150㎛, 폭 1,000mm 의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이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는 권취 롤에 의해 권회되고, 길이 500m 의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의 권층체로 한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6 및 7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가스 중량비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이것을 충분히 혼련한 후, 압출기 내의 냉각 존에서 수지 혼합물의 온도를 278℃ 까지 냉각시키고, 당해 온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압력을 해방하여 약 2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비교예 5 및 6
길이 10cm, 폭 2cm 로 잘라낸, 두께가 표 1 에 나타낸 값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테이진 듀퐁 필름 (주) 제조, HS 글레이드) 을 내압 용기에 넣고, 30분 걸쳐서 100℃ 까지 승온시켜, 정상 상태로 도달시켰다. 다음으로, 이 온도를 유지한 채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15MPa 의 압력으로 하여, 이 압력을 3시간 유지하였다. 그리고 용기내의 압력을 수 초 걸쳐서 대기압까지 감압한 후, 30분 걸쳐서 실온까지 냉각시킴으로써, 발포 PET 시트 (광반사판) 를 얻었다.
얻어진 광반사판의 발포 특성을 표 1 에, 광학 특성 및 색상 변화를 표 2 에, 각각 나타냈다.
Figure 112007089026466-PCT00001
Figure 112007089026466-PCT00002
실시예 1 ∼ 7 에 있어서는, 평균 기포 직경이 0.1 ∼ 5㎛ 의 범위, 기포 체적률이 5 ∼ 90 vol% 의 범위에 있고, 또한 평균 기포 직경, 기포 체적률 및 시트의 두께와의 관계가 상기 식 (1) 을 만족하고 있고, 확산 반사율이 80% 이상, 반사 헤이즈값이 95% 이상으로 광반사판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 체적률이 5 vol% 미만에서는, 확산 반사율이 부족하였다. 또, 비교예 2 및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이 5㎛ 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도 확산 반사율이 부족하였다. 또한, 비교예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이 0.1 ∼ 5㎛ 의 범위, 기포 체적률이 5 ∼ 90 vol% 의 범위에 있어도, 평균 기포 직경, 기포 체적률 및 시트의 두께와의 관계가 상기 식 (1) 을 충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확산 반사율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 12, 비교예 7 ∼ 10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상품명 「케미소브 79」, 케미프로 화성 (주) 제조)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주) 닛폰 제강소 제조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압출기 내의 가소화부 온도를 300 ∼ 320℃ 로 하여 상기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가소화부 하류에 있어서, 280 ∼ 300℃ 의 온도, 압력 20MPa 및 표 3 에 기재된 가스 중량비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이것을 충분히 혼련한 후, 압출기 내의 냉각 존에서 혼합물의 온도를 표 3 에 기재된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당해 온도에서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압력을 해방하여 약 2mm 두께이고 1,000mm 폭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확산판) 를 얻었다. 각 시트의 시트 두께의 실측치는 표 3 에 나타냈다.
얻어진 광확산판의 발포 특성을 표 3 에, 광학 특성을 표 4 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13
실시예 8 에서 얻어진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에,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전사박을 적층하고, 편면에 보호막을 갖는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광확산판) 를 얻었다.
얻어진 광확산판의 발포 특성을 표 3 에, 광학 특성을 표 4 에 각각 나타냈다.
참고예 1 ∼ 3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부터 계면 중합법에 의해 얻은 점도 평균 분자량 24,300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표 5 에 기재한 종류 및 양의 확산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벤트가 부착된 T다이 압출기를 사용하고, 압출기 온도 250 ∼ 300℃, 다이스 온도 260 ∼ 300℃, 벤트부의 진공도를 26.6 kPa 로 유지하여 용융 압출에 의해, 두께 2.0mm, 폭 1,000mm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투과 헤이즈의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또한, 표 5 중에 나타낸 확산제는 이하와 같다.
A : 불융성 아크릴계 중합체 미립자 「파라로이드 EXL-5136」(롬ㆍ앤드ㆍ하스ㆍ컴퍼니사 제조, 중량 평균 입자경 7㎛)
B : 가교 실리콘 수지 「토스펄 120」(GE 토시바 실리콘 (주) 제조, 중량 평균 입자경 2㎛)
Figure 112007089026466-PCT00003
Figure 112007089026466-PCT00004
Figure 112007089026466-PCT00005
실시예 8 ∼ 13 에 있어서는, 평균 기포 직경이 30 ∼ 100㎛ 인 범위, 기포 체적률이 10 ∼ 90 vol% 인 범위에 있고, 또한 평균 기포 직경 및 기포 체적률과의 관계가 상기 식 (5) 를 만족하고 있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투과 헤이즈값이 95% 이상으로 광확산판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이 30㎛ 미만, 기포 체적률이 10 vol% 미만인 경우에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매우 부족하였다. 또, 비교예 8 및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이 30 ∼ 100㎛ 인 범위 내에 있고, 기포 체적률이 10 ∼ 90 vol% 인 범위 내에 있어도, 평균 기포 직경 및 기포 체적률과의 관계가 상기 식 (5) 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전체 광선 투과율이 부족하였다. 또한, 비교예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기포 직경이 30 ∼ 100㎛ 인 범위에 있어도 기포 체적률이 5 vol% 미만인 경우에는, 투과 헤이즈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및 15
실시예 8 및 9 에서 얻어진 광확산판을, 각각 세로 150mm, 가로 300mm 로 잘라내고, 26형 직하형 백라이트에 장착하였다. 이 백라이트는, 복수의 선상 냉음극 형광 램프를 구비하는 백라이트로서, 인접하는 2개의 램프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25mm 이며, 램프와 광확산판의 램프 측면의 거리는 12mm 로 하였다. 각 광확산판은, 각각 백라이트의 중앙부에 그 장변 방향이 램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장착하였다.
광원을 점등시켜 관찰한 결과, 양방 모두 광원이 잘 들여다보이지 않고, 전체면에 걸쳐서 밝고, 주기적 휘도 편차는 발생하지 않았다.

Claims (19)

  1. 평균 직경이 0.1 ∼ 5㎛ 인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두께가 0.1 ∼ 10mm 이며, 기포 체적률이 5 ∼ 90 vol% 이고,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을 X (㎛), 기포 체적률을 Y (vol%) 및 시트의 두께를 T (mm) 로 했을 때에 하기 식 (1) 을 만족하고, 확산 반사율이 80% 이상 또한 반사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이며, 그리고 광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 시트.
    log10 (Y) ≥ A × log10 (X) + B (1)
    A=0.037 × T + 0.96
    B=-0.203 × T + 1.21
  2. 제 1 항에 있어서,
    기포 체적률이 5 ∼ 45 vol% 이고, 기포 체적률 Y (vol%) 및 시트의 두께 T (mm) 와의 관계가 하기 식 (1) 또는 (2) 를 만족하는, 발포 수지 시트.
    log10 (Y) ≥ A × log10 (X) + B (1)
    (단, 10{(B-D)/(C-A)} < X ≤ 5)
    log10 (Y) ≥ C × log10 (X) + D (2)
    (단, 0.1 ≤ X ≤ 10{(B-D)/(C-A)})
    A=0.037 × T + 0.96
    B=-0.203 × T + 1.21
    C=0.045 × T + 0.28
    D=-0.133 × T + 1.02
  3. 제 2 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 X (㎛), 기포 체적률 Y (vol%) 및 시트의 두께 T (mm) 의 관계가 하기 식 (3) 또는 (4) 를 만족하는, 발포 수지 시트.
    log10 (Y) ≥ E × log10 (X) + F (3)
    (단, 10{(H-F)/(E-G)} < X ≤ 5)
    log10 (Y) ≥ G × log10 (X) + H (4)
    (단, 0.1 ≤ X ≤ 10{(H-F)/(E-G)})
    E=0.0065 × T + 0.97
    F=-0.117 × T + 1.38
    G=0.027 × T + 0.30
    H=-0.104 × T + 1.24
  4. 제 1 항에 있어서,
    기포 체적률이 45 vol% 를 초과하고 90 vol% 이하인, 발포 수지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피복층을 적층한, 발포 수지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두께가 0.1 ∼ 0.5mm, 폭이 1 ∼ 2m, 길이가 100 ∼ 1,000m 이며,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확산 반사율의 평균값과 상기 중심점에서의 확산 반사율의 차를, 상기 중심점에서의 확산 반사율로 나눈 값이 ±0.05 이내인, 발포 수지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반사 헤이즈의 평균값을, 상기 중심점에서의 반사 헤이즈로 나눈 값이 0.95 ∼ 1.05 인, 발포 수지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광반사판이,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반사판인, 발포 수지 시트.
  10. 평균 직경이 30 ∼ 100㎛ 인 독립 기포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기포 체적률이 10 ∼ 90 vol% 이고,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을 X (㎛) 및 기포 체적률을 Y (vol%) 로 했을 때에, 하기 식 (5) 를 만족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또한 투과 헤이즈 (Haze) 값이 95% 이상이며, 그리고 광확산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수지 시트.
    1.4 × log10 (X) - 1.5 ≤ log10 (Y) ≤ 2.5 × log10 (X) - 2.2 (5)
  11. 제 10 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가 하기 식 (6) 을 만족하는, 발포 수지 시트.
    1.4 × log10 (X) - 1.25 ≤ log10 (Y) (6)
  12. 제 10 항에 있어서,
    독립 기포의 평균 직경 X (㎛) 와 기포 체적률 Y (vol%) 의 관계가 하기 식 (7) 을 만족하는, 발포 수지 시트.
    log10 (Y) ≤ 2.5 × log10 (X) - 2.45 (7)
  13. 제 10 항에 있어서,
    두께가 0.5 ∼ 10mm 인, 발포 수지 시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평균값과 상기 중심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차를, 상기 중심점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로 나눈 값이 ±0.05 이내인, 발포 수지 시트.
  15. 제 10 항에 있어서,
    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점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450mm 이간된 2지점에서의 투과 헤이즈의 평균값을, 상기 중심점에서의 투과 헤이즈로 나눈 값이 0.95 ∼ 1.05 인, 발포 수지 시트.
  16. 제 10 항에 있어서,
    광반사판이,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반사판인, 발포 수지 시트.
  17. 광반사판, 광원 및 광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반사판이 제 1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18. 광반사판, 광원 및 광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확산판이 제 10 항에 기재된 발포 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기재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7028956A 2005-07-14 2006-07-07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250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5249 2005-07-14
JP2005205249 2005-07-14
JPJP-P-2005-00235855 2005-08-16
JP2005235856 2005-08-16
JP2005235855 2005-08-16
JPJP-P-2005-00235856 2005-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057A true KR20080025057A (ko) 2008-03-19

Family

ID=3763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956A KR20080025057A (ko) 2005-07-14 2006-07-07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43104B2 (ko)
EP (1) EP1906215A4 (ko)
JP (1) JP5033625B2 (ko)
KR (1) KR20080025057A (ko)
CN (1) CN101223460B (ko)
TW (1) TW200710138A (ko)
WO (1) WO20070078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982A (ko) 2016-08-12 2018-02-21 세원정공 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발포성 광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7909B2 (en) * 2007-07-26 2011-02-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ight transmissive foamed polymer sheet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7847568B2 (en) * 2007-08-17 2010-12-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ulti-site probe
EP2237081A4 (en) * 2008-01-10 2014-07-16 Kolon Inc OPTICAL FOILS
CN101726917B (zh) * 2008-10-23 2011-10-05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显示器的背光模组
US8859091B2 (en) 2008-11-20 2014-10-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lored diffusion sheet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5564808B2 (ja) * 2009-03-24 2014-08-06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TWI605276B (zh) * 2009-04-15 2017-11-11 3M新設資產公司 光學結構及包含該光學結構之顯示系統
JP5598839B2 (ja) * 2009-04-23 2014-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拡散性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並びに照明装置
JP2011075890A (ja) * 2009-09-30 2011-04-14 Sekisui Plastics Co Ltd 光拡散シート、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装置
JP2012149150A (ja) * 2011-01-18 2012-08-09 Natoko Kk 不透明膜形成用液状組成物、不透明膜及びこれを形成する方法
JP2013242487A (ja) * 2012-05-22 2013-12-0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バー部材およびカバー部材を備えた照明装置
CN103323895B (zh) * 2013-05-22 2015-06-17 宁波长阳科技有限公司 一种镀银型反射膜的制备方法
CN103412354B (zh) * 2013-08-07 2015-12-23 东莞市鑫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轻型的光扩散板的生产方法
JP6259278B2 (ja) * 2013-12-20 2018-01-10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CN107407749A (zh) * 2015-03-20 2017-11-28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包括微孔结构且具有改善的反射率的反射物品
JP6957460B2 (ja) 2015-10-22 2021-11-02 カビオ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vion, Inc. アンジェルマン症候群および関連する障害の処置方法
WO2018130668A2 (en) * 2017-01-12 2018-07-1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uild sheet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18152317A1 (en) 2017-02-15 2018-08-23 Cavion, Inc. Calcium channel inhibitors
AU2018260699B2 (en) 2017-04-26 2022-04-28 Cav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memory and cognition and for treating memory and cognitive disorders
CN110760095A (zh) * 2018-07-25 2020-02-07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聚碳酸酯发泡片材的制备工艺及其产品
CN110760174B (zh) * 2018-07-25 2021-08-03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聚碳酸酯基光扩散材料及其制备工艺
JP7480131B2 (ja) 2018-10-03 2024-05-09 カビオ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2-(4-イソプロピルフェニル)-n-(1-(5-(2,2,2-トリフルオロエトキシ)ピリジン-2-イル)エチル)アセトアミドを使用した本態性振戦の処置
WO2023190679A1 (ja) * 2022-03-31 2023-10-05 マクセル株式会社 押出発泡シート並びに押出発泡シート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114854145A (zh) * 2022-05-18 2022-08-05 深圳市白雪投影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高增益长焦抗光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01A (ja) 1989-08-23 1991-04-03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製液晶ディスプレイ・バックライト用光拡散シート
JPH05257002A (ja) 1992-03-13 1993-10-08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製高透過率光拡散板
JP3100853B2 (ja) 1995-01-09 2000-10-23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からなる導光板および面光源構造体
US5844731A (en) * 1995-06-23 1998-12-01 The Furukawa Electric Co.,Ltd. Light reflecting plate
JP2925745B2 (ja) 1995-06-23 1999-07-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反射板
JP3172061B2 (ja) 1995-07-07 2001-06-04 帝人化成株式会社 面発光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11268157A (ja) * 1998-03-25 1999-10-05 Sumitomo Chem Co Ltd 発泡多層体
JP2002116306A (ja) 2000-10-04 2002-04-19 Keiwa Inc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71631B2 (ja) * 2002-05-31 2009-11-25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パネル用の直下型発光装置
CN1496814A (zh) * 2002-10-09 2004-05-19 帝人化成株式会社 透射型屏幕用薄板和使用该薄板的透射型屏幕
GB2397160B (en) * 2003-01-07 2006-02-01 Daer Lighting Ltd Lighting
KR101036793B1 (ko) * 2003-07-18 2011-05-25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상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JP4608977B2 (ja) * 2003-07-18 2011-01-12 王子製紙株式会社 光反射体
JP4246593B2 (ja) * 2003-10-08 2009-04-02 出光興産株式会社 光反射用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用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982A (ko) 2016-08-12 2018-02-21 세원정공 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발포성 광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3003A1 (en) 2009-04-23
JP5033625B2 (ja) 2012-09-26
JPWO2007007852A1 (ja) 2009-01-29
CN101223460A (zh) 2008-07-16
CN101223460B (zh) 2010-05-19
TW200710138A (en) 2007-03-16
EP1906215A1 (en) 2008-04-02
US7643104B2 (en) 2010-01-05
WO2007007852A1 (ja) 2007-01-18
EP1906215A4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5057A (ko) 발포 수지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050982B1 (ko) 직하형 백라이트식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확산판
KR101247233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JP4701243B2 (ja) 樹脂シートならびに直下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直下型バックライト式液晶表示装置
TW527507B (en) White film for surface light source
KR101147013B1 (ko)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TWI513759B (zh) 光散射膜及使用此光散射膜之平面螢幕
CN101329417A (zh) 薄膜本体和表面漫射体
JP5117899B2 (ja) 複合光拡散板の製造方法
KR101761060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 구조물 및 그의 용도
JP5139646B2 (ja) 光拡散板の製造方法
JP2007212889A (ja) 光拡散性熱可塑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拡散性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2084561B1 (en) Refl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008012A (ja) 光拡散板
JP4913710B2 (ja) 液晶バックライト用複合光拡散板
KR101102008B1 (ko) 확산 및 차폐기능을 갖는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