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286A - 투명장식패널 - Google Patents

투명장식패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286A
KR20080022286A KR1020060085528A KR20060085528A KR20080022286A KR 20080022286 A KR20080022286 A KR 20080022286A KR 1020060085528 A KR1020060085528 A KR 1020060085528A KR 20060085528 A KR20060085528 A KR 20060085528A KR 20080022286 A KR20080022286 A KR 2008002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printing
sheet
decorati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615B1 (ko
Inventor
박형준
강준구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를 기재(基材)로 하고, 그 상부에 문자나 도형이 복합 인쇄되고 나아가 실사 인쇄 또는 엠보싱 처리가 된 올레핀계 시트를 점착시킴으로써, 입체효과의 표현이 가능한 투명장식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투명장식패널의 구성은 위로부터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엠보싱층 또는 실사 인쇄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투명장식패널 {Transparent Decoration Panel}
본 발명은 판유리를 기재(基材)로 하는 투명장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유리를 기재로 하고, 그 상부에 문자나 도형이 복합 인쇄되고 나아가 실사 인쇄 또는 엠보싱 처리가 된 올레핀계 시트를 점착시킴으로써 입체효과의 표현이 가능한 투명장식패널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를 기재로 하는 투명장식패널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판유리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투명장식패널, 전사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투명장식패널 및 장식필름을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투명장식패널 등이 있다.
직접 인쇄방법은 판유리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잉크로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열 인화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사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사지를 판유리에 부착하여 인쇄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쇄무늬의 열전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또한 전처리 공정이 불완전하게 행해지는 경우 전사 인쇄층의 박리 및 변색 등으로 품질이 불량해질 가능성이 있다.
장식필름을 이용한 인쇄방법은 폴리염화비닐 등의 시트에 무늬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시트를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판유리에 접착시키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은 있으나, 후 가공 공정에서 고온 가열하는 경우 염화비닐시트의 열 수축 현상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얼룩이 생기거나 무늬가 비틀어지는 등 인쇄 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2003. 8. 26. 등록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5627호의 공보에 장식투명패널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그 장식투명패널은, 판유리의 상부에 투명접착제가 도포되고, 그 상부에 투명플라스틱필름 보강층이 접착되고, 그 상부에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인쇄층이 접착되고, 그 상부에 다시 투명접착제가 도포되고, 최종적으로 그 상부에 플라스틱 필름층이 접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은 투명판층과 인쇄층의 사이에 투명플라스틱 보강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별도의 인화공정이나 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공정이 간단하고, 투명플라스틱필름 보강층이 개입됨으로 인하여 내구성 및 내후성이 향상된 것이어서, 그 이전의 종래기술에 비하여 상당히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위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5627호는 투명플라스틱필름 보강층이 판유리와 인쇄층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인쇄의 선명도가 떨어지며, 또한 인쇄층의 형성에 있어서도 단순한 평면적 느낌의 인쇄만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며,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며, 복합 인쇄공정에 더하여 엠보싱 처리 또는 실사 인쇄의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입체효과가 있는 인쇄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그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투명장식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별될 수 있는 바, 각 유형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유형은 엠보싱층을 형성시킨 것으로,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엠보싱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투명장식패널이다. 상기 엠보싱층은 별도의 층이 개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d) 내지 g)에 이르는 층을 접합하여 하나의 시트 상으로 형성시킨 후 이에 열을 가하여 적당한 온도로 예열하고, 이 예열된 시트에 스틸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각종 문자나 도형을 양각 내지 음각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유형의 투명장식패널의 구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g) 플라스틱 시트층의 상부에 또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바, 이러한 투명장식패널의 구성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유형은 실사 인쇄층을 포함시킨 것으로,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실사 인쇄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투명장식패널이다. 상기 실사 인쇄층은 d) 투명 올레핀 필름층의 상부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쇄할 무늬를 칼라 스캐닝한 후 그 스캐닝한 무늬대로 노즐을 통하여 색료(솔벤트 베이스의 유기안료)를 투명 올레핀 필름층의 상부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실사 인쇄층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인쇄층과 상호 작용하여 전체적으로 양질의 색감 및 입체 효과를 도출시키게 된다. 이 유형의 투명장식패널의 구성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 유형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g) 플라스틱 시트층의 상부에 또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바, 이러한 투명장식패널의 구성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엠보싱층 및 실사 인쇄층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두 가지 유형 모두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투명장식패널의 기재(基材)가 되는 판유리로는 일반유리, 강화유리(50%, 100% reinforced) 등 통상의 유리제품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그 두께는 3-7㎜가 바람직하다. 전자제품의 벽체 장식용으로는 3.2㎜ 정도의 강화유리(50% reinforc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벽체용이나 가구용 또는 붙박이장용으로는 5.2㎜ 정도의 강화유리(100% reinforc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점착제로는 유리와 합판되어지는 시트의 색상 발현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수한 접착효과와 내구성을 가지는 수지계통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에서는 솔벤트 베이스의 아크릴릭 코폴리머 (Solvent-Based Acrylic Copolymer) 2액형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점착제를 도포함에 있어서, 점착제의 기본적 물성(접착력, 내후성, 내인성 등)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도포량인 30~70㎛정도가 바람직하다.
투명 올레핀 필름층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propylene terephthalate)등의 올레핀 재질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인쇄의 선명성 유지 및 작업성을 고려할 때 40~80㎛정도의 두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상기 올레핀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쇄층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오목판 인쇄, 즉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으로 무늬를 인쇄하며, 인쇄의 선명도 및 작업성을 고려할 때 비닐계와 폴리에스터계의 2 가지 수지(Resin)가 혼합된 잉크를 사용하거나 또는 비닐계와 폴리에스트계, 폴리우레탄계의 3가지 수지(Resin)가 혼합된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안료는 내후성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기존의 삼원색(Yellow, Red, Blue)으로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에서, 알루미늄 파우더(크기 10~60㎛)를 매개체 또는 접착제에 섞어 사용하면, 반짝거리는(Sparkl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접착제층은 투명 올레핀 필름층과 플라스틱 시트층을 충분히 접착할 수 있는 접착력(최소 1.0kgf/25㎜이상)이 있는 것이어야 하며, 폴리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상지(올레핀 필름층)와 하지(플라스틱 시트층)간의 충분한 접착을 위해서는 드라이 라미네이터(Dry-Laminator) 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후 층을 이루는 플라스틱 시트층으로는 올레핀계 수지로서 PP, PE 또는 PP/PE 복합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정 두께는 0.10㎜~0.15㎜ 이다. 또한 유리판과의 합판 후 인쇄성 향상 및 은폐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색안료를 첨가하여 불투명한 시트를 적용하는 것이 적정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바람직하게는 올레핀 필름 시트로 된)에 또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인쇄 방법으로는 상기 올레핀 필름층에 인쇄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인쇄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투명장식판에 있어서 엠보싱층을 개재시킨 것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투명장식판은 a) 판유리층, b) 투명 접착제층, c) 엠보싱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올레핀) 시트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판유리는 5.2㎜두께의 강화유리(100% reinforced)이다. 먼저, 상기 g)의 0.15㎜ 플라스틱(올레핀) 시트를 만든 후, 그 위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을 통하여 인쇄무늬를 형성 시키고, d)의 투명 올레핀 필름층(두께 60㎛ 정도)에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인쇄무늬를 형성 시켰다.
g)의 플라스틱(올레핀) 시트와 인쇄무늬가 그려진 d)의 투명 올레핀 필름층을 드라이 라미네이터(Dry-Lominator)기를 이용하여 접착제로 합판한 후 열 라미네이터 기기를 이용하여 시트 표면에 양각 및 음각 문양을 엠보싱하여 하나의 올레핀 시트를 제조 하였다.
상기 올레핀 시트에 투명점착제를 30~70㎛ 두께로 도포하고, 이에 이형 PET 필름(두께 25㎛~100㎛)을 합판하여 유리 합판전인 합판 시트를 제조 하였다.
상기 투명점착제가 도포된 합판 시트를 판유리에 접착시킨 후 이형 PET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으로 엠보싱된 투명장식패널이 제조되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투명장식패널은 음각 또는 양각의 엠보싱 처리에 의하여, 투명 올레핀 필름의 인쇄층이 입체적인 느낌과 우아한 느낌을 도출시키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심미감 있는 장식패널이 되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투명장식패널에 있어서 실사 인쇄층을 개재시킨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투명장식판은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실사 인쇄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판유리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올레핀 시트의 형성 및 합판 시트의 형성에 관한 사항도 실시예 1에서와 같다. 다만, 실시예 1과 차이점은 실시예 1에서는 엠보싱층을 형성시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실사 인쇄층을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실사 인쇄층은 d) 투명 올레핀 필름층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쇄할 무늬를 칼라 스캐닝한 후 그 스캐닝한 무늬대로 노즐을 통하여 색료(솔벤트 베이스의 유기안료)를 투명 올레핀 필름층의 상부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투명장식패널은, 올레핀 필름의 상부에 두 가지 인쇄가 중첩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느낌과 우아한 느낌의 장식패널이 되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제품들과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투명장식패널들의 심미감을 대비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다. 실시예 1의 엠보싱층을 형성한 제품은 기존의 일반 패턴 제품 및 메탈효과 제품과 대비하였고, 실시예 2의 실사인쇄 제품은 기존의 일반 단색 제품 및 일반 인쇄제품과 대비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 제품의 사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실시예 1 제품과 대비된) 일반 패턴 제품 및 메탈효과 제품의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2 제품의 사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실시예 2 제품과 대비된) 일반 단색 제품 및 일반 인쇄 제품의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의 특성과 질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10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바, 평가방법은 "가장 좋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조금 나쁨" 2점, "아주 나쁨" 1점을 부여하는 식으로 채점하도록 하였으며, 각 제품에 대하여 "가장 좋음"을 선택한 사람의 수는 아래 표1 및 표2와 같다. 이 표들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투명장식패널에 대한 수요자들의 평가는 기존 제품들에 비하여 월등히 좋았다.
일반 패턴 제품 메탈효과 제품 실시예 1의 제품
25 27 48
(표1)
일반 단색 제품 일반 인쇄 제품 실시예 2의 제품
22 28 50
(표2)
본 발명의 투명장식패널은 기존 투명장식패널과 대비하여 엠보싱 또는 실사 인쇄를 통한 입체효과 표현이 가능하여 우수한 인쇄품질을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올레핀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투명장식패널은 기존의 고가의 가공 유리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전제품, 건물 내장재, 가구 마감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장식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 인쇄층이 더 추가된 투명장식패널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장식패널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구성에 인쇄층이 더 추가된 투명장식패널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 제품의 사진,
도 6은 일반 패턴 제품의 사진,
도 7은 메탈효과 제품의 사진
도 8은 실시예 2의 제품 사진,
도 9는 일반 단색 제품의 사진
도 10은 일반 인쇄 제품의 사진이다.

Claims (6)

  1. 위로부터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엠보싱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투명장식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플라스틱 시트층에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층은, 상기 d) 내지 g)에 이르는 층이 접합되어 하나의 시트 상으로 형성되고, 이를 예열한 후 스틸 엠보싱 롤에 의하여 각종 문자나 도형이 양각 내지 음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패널.
  4. 위로부터 a) 판유리층, b) 투명 점착제층, c) 실사 인쇄층, d) 투명 올레핀 필름층, e) 인쇄층, f) 접착제층, g) 플라스틱 시트층을 포함하는 투명장식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g) 플라스틱 시트층에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패널.
  6. 제4항 또는 제5항 있어서, 상기 실사 인쇄층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쇄할 무늬를 칼라 스캐닝한 후 그 스캐닝한 무늬대로 노즐을 통하여 솔벤트 베이스의 유기안료를 상기 투명 올레핀 필름층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패널.
KR1020060085528A 2006-09-06 2006-09-06 투명장식패널 KR10122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28A KR101224615B1 (ko) 2006-09-06 2006-09-06 투명장식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28A KR101224615B1 (ko) 2006-09-06 2006-09-06 투명장식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286A true KR20080022286A (ko) 2008-03-11
KR101224615B1 KR101224615B1 (ko) 2013-01-22

Family

ID=3939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28A KR101224615B1 (ko) 2006-09-06 2006-09-06 투명장식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25B1 (ko) * 2012-02-21 2014-04-17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21859A1 (ko) * 2016-07-27 2018-02-01 현상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727Y1 (ko) * 1987-03-16 1990-03-31 주식회사럭키 입체무늬 합성수지 시이트
JPH08142597A (ja) * 1994-11-21 1996-06-04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箔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ガラス
JP2002068785A (ja) 2000-08-28 2002-03-08 Bridgestone Corp 耐衝撃性向上ガラス
KR100849750B1 (ko) 2002-02-28 2008-07-31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엠보싱 반사 라미네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25B1 (ko) * 2012-02-21 2014-04-17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21859A1 (ko) * 2016-07-27 2018-02-01 현상우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615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5526B2 (en) Decorating material with cubic effect
EP1800860B2 (en)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tructure
JP2008087153A (ja) 装飾シート及びその施工構造
JP7294321B2 (ja) 化粧材
KR101224615B1 (ko) 투명장식패널
CN201309289Y (zh) 发泡复合装饰板
JP7069981B2 (ja) 化粧材
JP2005074637A (ja) スクラッチ加工金属調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EP2926988B1 (en) Cosmetic film
KR100928665B1 (ko) 가구 및 내외장재용 대형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9014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03136666A (ja)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10234710A (ja) 扉部材の製造方法
CN201249621Y (zh) 彩色铝塑复合压花膜
JP3900622B2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2542A (ko) 동조인쇄층을 함유하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7383222B2 (ja) 化粧紙、化粧材、及び化粧紙の製造方法
JP2022170199A (ja) 化粧紙の製造方法、化粧紙及び化粧材
JP2001293839A (ja) 化粧材
JPH08300595A (ja) 木目柄装飾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木目柄ラミネート製品の製造方法
KR20170003901U (ko) 선박 인테리어용 장식패널
JPH05147050A (ja) 化粧板の製造法
JPH057441U (ja) 化粧板
KR200323718Y1 (ko) 동조인쇄층을 함유하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35304A1 (en) Thermoplastic-glass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