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866A - 전동 모터 유닛 - Google Patents

전동 모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866A
KR20080021866A KR1020060084968A KR20060084968A KR20080021866A KR 20080021866 A KR20080021866 A KR 20080021866A KR 1020060084968 A KR1020060084968 A KR 1020060084968A KR 20060084968 A KR20060084968 A KR 20060084968A KR 20080021866 A KR20080021866 A KR 2008002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electric motor
output side
revers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귀란
Original Assignee
성귀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귀란 filed Critical 성귀란
Priority to KR102006008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1866A/ko
Publication of KR2008002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dynamo-electric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입력 잠금 클러치와 회전 구동원을 일체화시키고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외부에서 조작하여 역입력이 가능한 모터 유닛을 게시한다.
전동 모터와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단일의 전동 모터 유닛으로 구성한다. 전동 모터의 구동축 또는 이것에 직결된 축을,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입력측 부재로 한다. 전동 모터의 하우징과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하우징을 일체화한다. 또, 전동 모터와 모터용 감속 기구로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단일의 전동 모터 유닛으로 구성한다. 또한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잠금을 해제하는데 관여하는 케이지와 축력측 부재의 위상을 모터 유닛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여 역입력을 허용한다. 전동 셔터 및 그와 유사한 곳에 적용된다.
역입력 잠금 클러치, 셔터, 모터

Description

전동 모터 유닛{electric motor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셔터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셔터개폐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인 셔터개폐기의 일부 절개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역입력 잠금 클러치와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종래예로,그림 6의 D-D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입력 측에서의 입력 토크를 출력 측에 전달하는 한편, 출력 측에서의 역입력 토크를 잠궈 입력 측에 되돌리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역입력 차단 클러치와 회전 구동원을 일체화시키고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외부에서 조작하여 역입 력이 가능한 모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동원으로부터의 입력 토크를 출력측 기구에 전달해 필요한 동작을 행하는 장치에서는, 구동원의 정지시, 출력측 기구의 위치가 변동하지 않게 이것을 유지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전동 셔터를 예를 들면, 구동 모터로부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입력 토크를 출력측의 개폐 기구에 입력하고, 셔터의 개폐 동작을 행하지만, 그 개폐 동작의 도중에 어떤 사정(정전 등)에 의해 구동원이 정지했을 경우, 셔터의 자중 하강에 의한 역입력 토크가 입력 측에 되돌려지면, 입력측 기기에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셔터의 위치를 유지하여, 셔터의 역입력 토크를 입력 측에 되돌리지 않는 기능을 가진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 측에서의 역입력 토크를 잠궈 입력 측에 되돌리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기구의 하나에 역입력 잠금 클러치가 있다.
또한 전동 셔터는 상기와 같이 일상적으로는 전동으로 개폐하되, 셔터의 위치를 유지하여 외부에서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는 방범기능 외에도, 화재 발생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폐쇄됨과 더불어 수동 개폐가 가능한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예로서, 구동 모터와 감속기로 감속하고, 구동 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체인을 배치하여 비상시에 체인을 돌려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체인을 셔터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할 수 없어 어느 한쪽에서만 개방이 가능하고, 더구나 전자 브레이크의 회전 저항을 극복하고 감속기를 체인을 통해 인력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에 힘이 드는 것은 물론, 개방과 폐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따라서 방범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비상시 방화 셔터의 안과 밖에서 빠르게 개폐할 수 있는 수동 및 전동 겸용의 구동 유닛이 요구된다.
실내에서 셔터전체를 밀어 탈출이 가능토록 되면서 셔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실외에서는 셔터를 밀어도 들어올려지지 않토록 되는 방화셔터
수동 조작 시 급속 개폐장치
급 하강이 방지된 건물용 셔터
급강하 정지 장치
피난 시 정지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일상적으로는 전동으로 작동하되, 역입력이 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므로 외부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없지만, 비상시에는 역입력이 허용되어 수동 조작이 가능한 전동 모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입력을 허용하되 역입력이 제어 가능한 전동 모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동 전동 겸용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종동측 베어링 내부의 샤프트에 수납
수동 전동 겸용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케이지 조작 레버와 연동 제어반의 수동 조작 레버를 연동되게 설치
기존의 브레이크 작동방식을 수정
(모터 구동 시에만 개방 -> 모터 구동 후 정지 시 일시 폐쇄: 1초)
수동 조작 체인은 역입력 분리 클러치로 감속기 출력부와 연결
제어 방법
화재 발생 시 연동 제어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케이지 조작 레버를 하강 위치로 변경하면 셔터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기 시작 (급 하강 방지 작동함)
피난 시 정지를 위해 연동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솔레노이드를 중립 위치(셔터 하강 정지)로 이동시킨다.
완전 폐쇄는 자중에 의해 이루어짐.
수동 개방
1안: 케이지 조작 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반의 수동 조작 레버를 상승으로 전환 후 체인을 조작하여 셔터를 개방함.
2안: 폐쇄 완료가 확인되면 연동제어기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케이지 조작 레버를 상승 위치로 변경 유지함(셔터를 조작 없이 밀어 올려 개방할 수 있음).
수동 개방 후 수동 폐쇄
케이지 조작 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반의 수동 조작 레버를 하강으로 전환 후 체인을 조작하여 셔터를 폐쇄함.
전원 복귀 후 전동 모터 작동은 정역 인칭 모드를 수행하고 지정 방향으로 회전함.
롤 스크린
출력부에 역입력 잠금 클러치(양방향, 한방향 모두 가능)
수동 입력부와 출력 샤프트에 역입력 분리 클러치
기존의 브레이크 작동방식을 수정
(모터 구동 시에만 개방 -> 모터 구동 후 정지 시 일시 폐쇄: 1초)
전동 셔터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잠금과 해제에 관여하는 케이지 조작부는
역입력 잠금 클러치 일체형과
역입력 분리 클러치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
역입력 잠금 클러치 일체형은
케이지 조작 레버를 작동할 별도의 수동 조작 레버와 링크가 필요하고, 수동 조작 체인은 분리하여 조작된다.
역입력 분리 클러치 일체형은
역입력 분리 클러치에 체인의 정역 회전운동을 유동하게 변환하는 캠 기구를 갖는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와 케이지 조작 레버를 연동할 별도의 링크가 필요 하지만, 수동 조작 체인 조작 시 같이 작동되므로 체인만 조작한다.
1) 롤러 체인 탈락?파단, 개폐기의 파손에 의한 셔터의 낙하를 방지한다.
체인 끊어짐 등에 의해 샤프트가 이상한 회전을 하면 장치가 작동하고 셔터를 빠르게 정지시킨다(정지 상태는 셔터의 복구 작업을 할 때까지 지지된다).
2) 종래 제품과 호환된다.
급강하 정지 장치는 종동측 베어링 내부의 샤프트에 수납되기 때문에 종래 표준 규격대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측으로부터 입력된 정역회전 토크는 출력측에 전달하고, 출력측에서 입력되는 정역회전 토크는 출력측을 상기 전동 모터의 정지측에 결합시켜 역입력을 차단하는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단일의 유닛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구성요소인 입력측 부재에 직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정역회전 출력을 감속해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에 입력시키는 모터용 감속 기구를 갖고, 상기 전동 모터, 모터용 감속 기구 및 역입력 잠금 클러치를, 단일의 유닛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정지측 부재인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는, 상기 전동 모터측으로부터 정역회전 토크가 입력되는 입력측 부재와; 캠면을 갖는 출력측 부재 와; 정지측 부재와; 상기 출력측 부재의 양방향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정지측 부재의 원주면과 상기 출력측 부재의 캠면을 잠그는 양방향 잠금 수단과; 상기 양방향 잠금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입력측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여 출력측 부재에 대한 상대 회전을 통해서 상기 양방향 잠금 수단의 잠금과 풀림을 제어하는 제어부재와; 상기 제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측 부재에 의해 상기 제어 부재와 상기 출력측 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토크에 의해, 상기 잠금 수단에 의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수단과; 상기 잠금 수단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입력측 부재로부터 출력측 부재로 토크가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정지측 부재에 설치된 원주면과 상기 출력측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원주면과의 사이에 정역 회전 방향으로 틈새를 형성하는 캠면과 상기 캠면과 상기 원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를 각각 상기 틈새를 향해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잠금 해제 수단은, 상기 제어부재가 출력측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중 어느 한편과 택일적으로 결합하고, 이것을 상기 틈새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정지측 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잠금 해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는,
    상기 정지측 부재에 대해 축방향 또는 회전 방향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유동하고,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의 정지측 부재를 관통하는 제어 레버와;
    상기 제어 부재와 출력측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어 레버의 이동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제어 부재와 출력측 부재가 서로 상대 회전하게 유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는,
    상기 제어 레버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제어부재 및 출력측 부재가 서로 상대 회전하여,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한쪽 방향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가 중간에 위치하면 양쪽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입력 잠금 클러치 제어 기구는,
    상기 제어부재 및 상기 출력측 부재는 관통된 홈과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축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갖고 교차하게 각각에 나누어 배치하고,
    일측은 상기 제어 레버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어 레버를 따라 축방향으로 나사이동하며, 일측은 상기 제어부재 및 상기 출력측 부재와 회전을 허용하게 상기 홈에 결합하여, 상기 축방향 나사 이동에 의해 상기 제어부재 및 상기 출력측 부재가 같이 회전하면서 상대 회전하게 작동하는 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상기 제어 레버와 나사결합 하는 것은, 제어 레버의 내주면과 캠의 외주면에 나선 홈과 상기 나선 홈에 대응하는 볼을 지지하는 오목한 홈을 나누어 배치하고,
    상기 캠이 상기 제어부재 및 상기 출력측 부재와 결합하는 것은, 상기 캠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홈과 상기 제어부재와 상기 출력측 부재의 관통된 홈과 오목하게 파인 홈을 따라 이동하게 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2. 제 3 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출력측 부재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역방향 잠금 위치와;
    상기 출력측 부재의 양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양방향 잠금 위치와;
    상기 출력측 부재의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정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정방향 잠금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정지측 부재 상의 액추에이터(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어 레버의 역방향 잠금 위치와 양방향 잠금 위치 및 정방향 잠금 위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토크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모터를 제동하기 위해 모터를 역기동 시켜 정지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를 중립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6.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전동 셔터의 구동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 모터의 구동축과 결합하는 수동 입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 유닛.
KR1020060084968A 2006-09-05 2006-09-05 전동 모터 유닛 KR20080021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68A KR20080021866A (ko) 2006-09-05 2006-09-05 전동 모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68A KR20080021866A (ko) 2006-09-05 2006-09-05 전동 모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866A true KR20080021866A (ko) 2008-03-10

Family

ID=3939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68A KR20080021866A (ko) 2006-09-05 2006-09-05 전동 모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1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601B1 (ko) * 2021-07-21 2021-11-04 김몽룡 중공형 축이 구비된 감속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601B1 (ko) * 2021-07-21 2021-11-04 김몽룡 중공형 축이 구비된 감속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863B2 (en) Door operator unit
US4698938A (en) Drive mechanism for fully-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sliding door
KR101892285B1 (ko) 냉장고 자동개폐장치
EP3242850B1 (en) System arrangement of lifting mechanism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arrangement
JPS60209498A (ja) ウオーム安全装置を有するホイスト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0806254B1 (ko) 도개교 구동장치
KR20080021866A (ko) 전동 모터 유닛
US7240582B1 (en) Override device for allowing manual operation of a closure normally driven by an electric motor
JP2015129389A (ja) 水門設備の作動連動装置
JP2017014890A (ja)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US6651386B2 (en) Emergency gate opening apparatus
JP2003139267A (ja) 負荷体駆動装置
JP3165760U (ja) 水門開閉装置
JP4294527B2 (ja) 出入口シート開閉機におけるシート昇降調節装置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FI112643B (fi) Hihnavoimansiirrossa toimiva turvalaukaisulaite automaattisesti avautuvia hissien ja nostolaitteen veräjiä varten
KR101658827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US20210214973A1 (en) Planetary gearbox system
KR101646763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JPH01121484A (ja) 電動引戸装置
PL204225B1 (pl) Zespół napędowy ruchomego elementu budowlanego, zwłaszcza bramy podnoszonej
KR101880061B1 (ko) 핫셀 간의 차폐도어 구동장치
JPH066558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脱出装置
JP2019206825A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