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815A -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815A
KR20080021815A KR1020087002045A KR20087002045A KR20080021815A KR 20080021815 A KR20080021815 A KR 20080021815A KR 1020087002045 A KR1020087002045 A KR 1020087002045A KR 20087002045 A KR20087002045 A KR 20087002045A KR 20080021815 A KR20080021815 A KR 2008002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ubstrate
resistors
conduc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간자키
준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02Liquid resistors
    • H01C10/025Electrochemical variable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6Adjustable resistors including plural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0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mechanical pressure or force
    • H01C10/12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mechanical pressure or force by changing surface pressure between resistive masses or resistive and conductive masses, e.g. pi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기판면에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를 절연시킨 상태에서 병설하고, 제 2 절연성 기판 (17) 에 대해 이간하여 대향 배치하는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는 제 2 절연성 기판 (17) 과의 대향면에 도전체 (13) 를 형성한다. 제 2 절연성 기판 (17) 또는 제 1 절연성 기판 (18) 은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와 도전체 (13) 를 가압 접촉 가능한 가요성 기판으로 구성한다. 전압 출력부 (21) 로부터 제 1 저항체 (11) 의 제 1 전압 인가부 (14) 와 제 2 저항체 (12) 의 전압 인가부 (1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대기 상태가 되는 비가압 상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를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Figure P1020087002045
가변 저항기, 소비 전력.

Description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해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기의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해 소망하는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하기 위해 가변 저항기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정보 입력 장치에는 가압 접촉형의 가변 저항기가 이용되고 있다.
도 9 는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가압 접촉형 가변 저항기의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변 저항기 (100) 는, 소정 길이의 저항 소자 (101) 와, 그 저항 소자 (101) 에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가요성의 단락 소자 (102) 를 구비하고, 저항 소자 (101) 의 일단측의 단자 (103) 에 대해 전지 (104) 의 정극을 접속하고, 저항 소자 (101) 의 타단측의 단자 (105) 를 접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락 소자 (102) 를 임의의 위치에서 저항 소자 (101) 를 향해 가압한 경우, 가압 위치에 대응한 접촉점 (P) 에서 단락 소자 (102) 와 저항 소자 (101) 가 도통(導通)한다. 저항 소자 (101) 의 전체 저항 값을 R 로 하고, 접촉점 (P) 의 양측의 저항값을 R1, R2 (R = R1 + R2), 전지 (104) 의 직류 전압을 Vs 로 하면, 단락 소자 (102) 의 출력 전압 (Vout) 은, Vout = (Vs/R) × R2 가 되어, 출력 단자 (106) 에 나타난다. 도 9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출력 전압 (Vout) 을 A/D 변환기 (107)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하여 CPU (109) 에 주입하여 각종 제어에 이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53015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서술한 가변 저항기 (100) 는, 저항 소자 (101) 의 양단 사이에 항상 전압 (Vs) 을 인가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비조작시에도 저항 소자 (101) 에 의해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단말과 같이,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이용하는 기기에서는, 가변 저항기 (100) 의 대기 전력이 기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휴대 기기 단말의 사용 가능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도 가변 저항기 (100) 의 대기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조작시에 있어서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는, 일면이 가압 조작되는 측의 조작 측면으로 이루어진 가요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이 제 1 기판의 타면에 대해 일면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서로 절연된 제 1 과 제 2 저항체와,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으로의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가압 위치에 따른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2 저항체의 대응 위치를 도통시키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일부는 제 1 전압 인가부에, 상기 제 2 저항체의 일부는 제 2 전압 인가부에 각각 도통 접속되어 있어,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와 제 2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서로 절연되어 있으므로,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는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제 1 과 제 2 저항체에서의 소비 전력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이 가압된 사용 상태에서는 도전체에 의해 제 1 과 제 2 저항체가 가압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서 도통하여 가압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의 가압 영역이 일단과 타단을 갖고 연재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는, 상기 가압 영역의 일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제 1 저항체와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는, 상기 가압 영역의 타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저항체와 도통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전압 인가부가 가압 영역의 일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제 1 저항체와 접속되고, 제 2 전압 인가부가 가압 영역의 타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제 2 저항체와 접속되므로, 가압 영역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가압 위치에 따라 출력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와, 상기 도전체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소형화된 가변 저항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각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 중 어느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가압 상태에서는 폭이 넓은 도전체를 제 1 과 제 2 저항체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제 1 과 제 2 저항체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 또는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가 형성된 어느 일방의 면에, 적어도 상기 조작 측면이 가압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와 도통하는 출력용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과 제 2 저항체가 형성된 제 1 또는 제 2 기판과 동일한 기판으로부터 출력용 도전 패턴을 통하여 출력 전압을 취출할 수 있어, 인출선이나 인출용 패턴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동일한 인쇄 공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과 제 2 저항체의 저항률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출력 전압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의 낭비를 없앨 수 있어, 휴대 기기 단말 등에 이용함으로써 그 사용 가능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보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2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2 의 (b) 는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의 (a)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에 터치 전의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의 (b)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에 터치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의 (c)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의 조작면의 터치 위치를 슬라이드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의 (a) 는 도 4 의 (a) 에 대응한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등가 회로도, 도 5 의 (b) 는 도 4 의 (b) 에 대응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변 저항기의 등가 회로도.
도 6 의 (a) 는 출력 전압의 취출구를 변경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6 의 (b) 는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7 은 저항체와 도전체의 배치 관계를 변경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8 의 (a) 는 제 1 저항체를 U 자형 형상으로 변경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8 의 (b) 는 동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전체 형성측의 절연성 기판의 평면도.
도 9 는 종래의 가압 접촉형의 가변 저항기의 구성도.
부호의 설명
1 가변 저항기 2 전자 제어부
11, 41, 51 제 1 저항체
12, 42, 52 제 2 저항체
13, 33, 45 도전체
14, 15 전압 인가부
16, 32 전압 취출부
17 제 2 절연성 기판 (제 2 기판)
18 제 1 절연성 기판 (제 1 기판)
19 스페이서 21 전압 출력부
22 A/D 변환부 23 CPU 부
31 출력용 도전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변 저항기에 대해 전자 제어부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또한, 이 도 1 에서는 제 1 및 제 2 기판을 생략하고 있다.
가변 저항기 (1) 는, 저항 소자가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제 1 저항체 (11), 제 2 저항체 (12) 에 대해 도전체 (13) 가 대향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는 모두 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절연된 상태에서 서로 소정 폭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의 일단에 전극부가 되는 제 1 전압 인가부 (14) 가 도통 접속되고, 제 2 저항체 (12) 의 일단으로서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 (14) 를 형성한 단부와는 반대측에 전극부가 되는 제 2 전압 인가부 (15)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 1, 제 2 전압 인가부 (14, 15) 를 저항체 (11, 12) 의 일부에 직접 형성하고 있는데, 제 1, 제 2 전압 인가부 (14, 15) 를 저항체 (11, 12)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양도전성의 도전 패턴이나 도선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의 제 1 전압 인가부 (14) 는 제 1 전위가 되는 소정 전위 (Vin) 가 인가되고, 제 2 저항체 (12) 의 제 2 전압 인가부 (15) 에 제 1 전 위와는 상이한 제 2 전위인 접지 전위 (GROUND) 가 인가된다. 또한, 도면 중의 P1 은 가압 위치에서의 가압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가압 범위 (P1) 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대해 도전체 (13) 가 동시에 접촉하는 면적으로 되어 있다.
도 2 의 (a), (b) 및 도 3 을 참조하고, 가변 저항기 (1) 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의 (a) 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의 평면도이며, 도 2 의 (b) 는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체 (13) 의 평면도이다.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2 기판으로서의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기판면 상에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는 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서로 소정 폭만큼 이간하여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이간 폭은 가압 조작시 이외에는 단락하지 않는 정도까지 근접시키는 것으로 한다. 후술하는 가압 영역의 일단에 대응한 제 1 저항체 (11) 의 우단부에 소정 전위 (Vin) 가 인가되는 제 1 전압 인가부 (14) 가 형성되고, 가압 영역의 타단에 대응한 제 2 저항체 (12) 의 좌단부에 접지 전위가 인가되는 제 2 전압 인가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기판으로서의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기판면 상에 양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은 패턴) 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도전체 (1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일방의 면으 로서 도전체 (13) 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조작 측면이 된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에 가압력을 가한 가압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충분히 접하는 정도까지 변형된다. 또,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한 비가압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를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부터 이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전체 (13) 의 단부에는 출력 전압 (Vout) 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도전성 패턴의 전압 취출부 (16) 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도 2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도전체 (13) 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성 영역은 거의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작 측면측으로부터 도전체 (13) 의 형성 영역 중 어느 장소를 가압해도, 가압 위치에 따른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대응 위치에 도전체 (13) 가 거의 동시에 접하여 도통될 수 있도록 도전체 (13) 의 폭이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이간 폭을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폭보다 도전체 (13) 를 크게 함으로써, 가압 상태에서는 폭이 넓은 도전체 (13) 를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시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 은 가변 저항기 (1) 의 측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형성면과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도전체 (13) 형성면이 마주보도록, 제 2 절연성 기판 (17) 에 대해 제 1 절연성 기판 (18) 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 2 절연성 기판 (17) 과 제 1 절연성 기판 (18) 사이에 개재시킨 스페이서 (19) 가,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가압 변형에 의해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접리하는데 적합한 스페이스 (이간 폭) 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절연성 기판 (17) 및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외주부는 유지 부재 (20) 로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저항체 (11, 12) 와 도전체 (13) 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가압 영역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체 (13) 와 거의 동일 형상을 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압 영역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는 나타나지 않는데, 조작 영역 (가압 영역) 을 비롯한 각종 표시를 인쇄한 가요성을 갖는 인쇄 시트를,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 상에 탑재 또는 점착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저항체 형성면에 대해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상 및 이간 폭에 대응한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인쇄 마스크) 을 배치하고, 그 스크린 상으로부터 저항체 재료 (예를 들어, 카본 잉크) 를 스크린 인쇄하여 저항체 재료를 가열시킨다. 이로 인해,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동일 성분의 저항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되므로,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저항률 등의 전기적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출력 전압 (Vout) 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변 저항기 (1) 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 구성되는 저항 소자에 대해, 제 1, 제 2 의 제 1 전압 인가부 (14, 15) 를 통하여 소정 전압 (Vin-GROUND) 이 인가되게 되는데, 분할되어 이간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부터 도전체 (13) 가 이간한 상태 (비가압 상태) 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가 비도통 상태인 채이므로, 저항 소자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가변 저항기 (1) 에 대해 접속되는 정보 입력 장치측의 전자 제어부 (2) 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제어부 (2) 는, 가변 저항기 (1) 의 제 1 저항체 (11) 에 접속한 제 1 전압 인가부 (14) 와 제 2 저항체 (12) 에 접속한 제 2 전압 인가부 (15)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출력부 (21)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저항체 (11) 에 접속한 제 1 전압 인가부 (14) 에 대한 인가 전위를 Vin 으로 하고, 제 2 저항체 (12) 에 접속한 제 2 전압 인가부 (15) 에 대한 인가 전위를 접지 전위 (GROUND) 로 하고 있다. 도전체 (13) 에 접속한 전압 취출부 (16) 에 나타나는 출력 전압 (Vout) 은 A/D 변환부 (22) 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에 입력되어 있다. A/D 변환부 (22) 는 출력 전압 (Vout) 을 디지털값으로 변환시켜 CPU 부 (23) 에 입력한다. CPU 부 (23) 는 출력 전압 (Vout) 의 값으로부터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산출하는 연산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4 의 (a) ~ (c) 및 도 5 의 (a), (b) 를 참조하여 가변 저항기 (1) 를 조작한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4 의 (a) 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 (대기 상태) 를 나타내고,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을 가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전체 (13) 가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도 5 의 (a) 는 가변 저항기 (1) 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회로 모식도이다. 대기 상태에서는, 도전체 (13) 가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쌍방으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다.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이간하여 절연되어 있으므로, 비도통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압 출력부 (21) 로부터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데,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의 쌍방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 1 저항체 (11) 및 제 2 저항체 (12) 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4 의 (b) 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이 조작 측면의 가압 위치에 있어서 제 2 절연성 기판 (17) 측에 변형되고, 그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 형성된 도전체 (13) 가 가압 위치에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접촉된다.
도 5 의 (b) 는, 가변 저항기 (1) 가 사용 상태로 되어 있는 가압시의 회로 모식도이다.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가압 위치에 따른 위치에서 도전체 (13) 를 통하여 도통하고 있다.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 단부 ( 제 1 전압 인가부 (14)) 로부터 가압 위치까지의 거리 및 제 2 저항체 (12) 의 가압 인가 단부 (제 2 전압 인가부 (15)) 로부터 가압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출력 전압 (Vout) 이, 도전체 (13) 에 접속된 전압 취출부 (16) 에 나타난다.
여기에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는 동일 사이즈이며, 전체 저항값을 각각 동일한 값 R 로 하고, 제 1 저항체 (11) 의 제 1 전압 인가부 (14) 로부터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값을 R1, 제 2 저항체 (12) 의 제 2 전압 인가부 (15) 로부터 가압 위치까지의 저항값을 R2 로 하여, 쌍방의 저항률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R = R1 + R2 가 되고, Vout = (Vin/R) × R2 가 된다. 즉,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 단부 및 제 2 저항체 (12) 의 전압 인가 단부로부터 가압 위치까지의 각각의 거리를 저항값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출력 전압 (Vout) 으로부터 가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출력 전압 (Vout) 을 A/D 변환부 (22) 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 (23) 에 주입하고, 가압 위치를 계산한다.
도 4 의 (c)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대로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가압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제 1 저항체 (11) 와 제 2 저항체 (12) 의 도전체 (13) 의 접촉 위치 (도통 위치) 가 변화한다. 즉, 손가락의 슬라이드에 따라 R1, R2 의 값이 변화되어, 출력 가압 (Vout) 이 변화된다. 여기에서, 도 2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저항체 (11) 의 전압 인가단 (제 1 전압 인가부 (14)) 과 제 2 저항체 (12) 의 전압 인가단 (제 2 전압 인가부 (15)) 을 저항체 (가압 영역) 길이 방향으로서 가압 영역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위치하는 각 대향단에 형성함으로써, 출력 전압이 변화하는 슬라이드 범위를 가장 길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범위를 길게 하여 출력 전압의 변화량이 클수록 정확한 정보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변 저항기 (1) 에 있어서 터치 위치를 출력 전압 (Vout) 으로 변환하는 저항 소자를, 복수의 저항체에 분할하여 소정 폭을 두고 병설하고, 그 분할된 저항체를 조작시에만 도통시켜 출력 전압 (Vout) 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저항 소자에서의 소비 전력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변 저항기 (1) 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를 휴대 기기 단말에 이용하면, 휴대 기기 단말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이간폭을 단락하지 않는 정도까지 근접시킴과 함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에 대해 직접 대면하도록 도전체 (13) 를 대향 배치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와 도전체 (13) 를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배치에 비해, 가변 저항기 (1)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일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 도전체 (13) 를 형성하고 있는데,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형성하고, 제 2 절연성 기판 (17) 에 도전체 (13)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가압 상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 체 (11, 12) 가 도전체 (13) 측으로 변위하여 도전체 (13) 에 대해 접촉하게 되는데, 그 이외의 작용 효과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저항기 (1) 로의 전압 인가는 제 2 절연성 기판 (17) 에 형성된 제 1, 제 2 전압 인가부 (14, 15) 에 대해 실시하고, 가변 저항기 (1) 의 출력 전압 (Vout) 은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 형성된 전압 취출부 (16) 로부터 취출하였다. 즉,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제 1, 제 2 전압 인가부 (14, 15) 로부터 도선 또는 도전 패턴 (도시하지 않음) 이 인출되고,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전압 취출부 (16) 로부터 도선 또는 도전 패턴 (도시하지 않음) 이 인출되었다. 이것을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형성된 절연성 기판측만으로부터 도선 또는 도전 패턴 (도시하지 않음) 이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의 (a) 및 (b) 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 소자에 대한 전압 인가용의 전압 인가부와 출력 전압 (Vout) 을 취출하는 전압 취출부를 동일 기판에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형성된 기판면에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성 방향을 따라 출력용 도전부 (31) 를 형성하고, 출력용 도전부 (31) 의 일단부에 전압 취출부 (32) 를 형성하고 있다. 출력용 도전부 (31) 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도전체 (33) 로부터 전압 취출부는 삭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전체 (33) 가 형성된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조작 측면을 가압한 경우, 가압 위치에 있어서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및 출력용 도전부 (31) 가 도전체 (33) 에 접한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도전체 (33) 와의 접촉점에서 도통함과 함께 당해 접촉점에 따른 출력 전압이 출력용 도전부 (31) 의 전압 취출부 (32) 에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가변 저항기 (1) 의 저항 소자 (l1, 12) 에 대한 전압 인가용의 전압 인가부 (14, 15) 와 출력 전압 (Vout) 을 취출하는 전압 취출부 (32) 를 동일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가변 저항기 (1) 에 대한 인출선 또는 인출용 패턴을 동일 기판에 정리할 수 있어 인출선이나 인출용 패턴의 처리가 용이해져,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인출용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압 취출부 (32) 에 연결되는 도전 패턴을,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의 형성된 예를 들어, 제 2 절연성 기판 (17) 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제 2 전압 인가부 (14, 15) 에 접속되는 도전 패턴을 동일하게 인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와 도전체 (13) 를 직접 대면시키고 있었는데, 반드시 쌍방을 대면시키지 않아도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를 가압 위치에서 도통시킬 수 있다.
도 7 은, 제 1, 제 2 저항체와 도전체를 대면시키지 않는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기판면 상에 도전성의 빗살 (43) 을 갖는 제 1 저항체 (41) 와 도전성의 빗살 (44) 을 갖는 제 2 저항체 (42) 를, 서로의 빗살 (43, 44) 을 접촉시키지 않도록 맞물리게 한 배치로 한다. 도전체 (45) 는, 서로 맞물린 빗살 (43, 44) 로 대면하도록 대향 배치한다. 도전 체 (45) 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절연성 기판 (18) 의 기판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압 위치에 있는 제 2 절연성 기판 (17) 의 빗살 (43) 과 제 2 저항체 (42) 의 빗살 (44) 이 가압에 의해 변위된 도전체 (45) 에 접하여 도통한다. 제 1 저항체 (41) 와 제 2 저항체 (42) 는 도통하고 있는 빗살 (43, 44) 위치가 단락점이 된다. 단락점에 따른 출력 전압 (Vout) 은 도전체 (45) 의 전압 취출부 (16) 로부터 취출된다. 이 경우에는, 서로 맞물린 빗살 (43, 44) 과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도전체 (45) 의 형성 영역이 가압 영역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저항체와 도전체가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한 경우이더라도, 가압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Vout) 을 얻을 수 있고, 쌍방을 대향 배치할 수 없는 또는 대향 배치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제약이 있는 경우이더라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 1, 제 2 저항체 (11, 12) 등은 장척인 직사각형형상을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그러한 직선 형상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사행하는 형상,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 U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이어도 된다. 또, 띠 형상을 이루지 않은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의 제 1, 제 2 저항체 (11, 12) 가 서로의 직선부를 근접하여 이간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도 8 의 (a) 및 (b) 는 제 1 저항체의 형상을 개략 U 자형 형상으로 변형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저항체 (51) 가 대략 U 자형 형상으로 2 갈 래로 나누어져 있고, 그 제 1 저항체 (51) 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장척인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저항체 (52) 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절연성 기판 (18) 에 형성된 도전체 (13) 는, 제 1 저항체 (51) 와 제 2 저항체 (52) 의 이간 영역 (대략 U 자형 형상) 을 커버하는 사이즈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저항체 (51) 및 제 2 저항체 (52) 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도전체 (13) 의 영역이 가압 영역이 되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가압 영역은 도 8 의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저항체 (51) 의 대략 U 자형 형상으로 2 갈래로 나누어진 사이에 제 2 저항체 (52) 를 배치함으로써, 도통 가능 영역을 조작면의 전역에 크게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측면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 (P1 또는 P2) 를 가압한 경우이더라도, 제 1 저항체 (51) 와 제 2 저항체 (52) 를 확실히 도통시킬 수 있어, 안정된 아날로그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절연성 기판 (17) 과 제 1 절연성 기판 (18) 은 반드시 분리된 별도의 기판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1 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교성 기판을 2 개 접이로 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가압되는 측의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하측의 기판을 강판 등의 단단한 지지판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정보를 터치식으로 입력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7)

  1. 일면이 가압 조작되는 측의 조작 측면으로 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기판과, 이 제 1 기판의 타면에 대해 일면이 이간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서로 절연된 제 1과 제 2 저항체와,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어느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으로의 가압 조작에 수반하고, 가압 위치에 따른 상기 제 1 저항체와 상기 제 2 저항체의 대응 위치를 도통(導通)시키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체의 일부는 제 1 전압 인가부에, 상기 제 2 저항체의 일부는 제 2 전압 인가부에 각각 도통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의 가압 영역이 일단과 타단을 갖고 연재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압 인가부는, 상기 가압 영역의 일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제 1 저항체와 도통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압 인가부는, 상기 가압 영역의 타단측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저항체와 도통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와, 상기 도전체 가 접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의 조작 측면으로의 상기 가압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와, 상기 도전체가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각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 중 어느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타면 또는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가 형성된 어느 일방의 면에, 적어도 상기 조작 측면이 가압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와 도통하는 출력용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동일한 인쇄 공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 제 2 저항체는, 저항률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KR1020087002045A 2005-07-27 2006-07-24 가변 저항기 KR20080021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7132 2005-07-27
JP2005217132A JP2007035930A (ja) 2005-07-27 2005-07-27 可変抵抗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815A true KR20080021815A (ko) 2008-03-07

Family

ID=376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045A KR20080021815A (ko) 2005-07-27 2006-07-24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7035930A (ko)
KR (1) KR20080021815A (ko)
CN (1) CN101228596A (ko)
TW (1) TW200712999A (ko)
WO (1) WO2007013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3303B (zh) * 2020-04-10 2024-06-07 株式会社藤仓 可变电阻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41Y2 (ja) * 1979-12-26 1984-04-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形可変抵抗器
JPS6312804U (ko) * 1986-06-19 1988-01-27
JPH0653015A (ja) * 1992-07-28 1994-02-25 Toto Ltd ワンタッチ式アナログ情報入力装置および該装置に用いる可変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2999A (en) 2007-04-01
CN101228596A (zh) 2008-07-23
JP2007035930A (ja) 2007-02-08
WO2007013384A1 (ja)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243B1 (ko) 터치패널
US20140015633A1 (en) Pressure-sensitive switch
US20040056669A1 (en) Resistance type sensor
CN104350566A (zh) 输入装置
CN102473064A (zh) 触摸面板
CN105023776B (zh) 线缆开关
KR20080021815A (ko) 가변 저항기
JP2015232490A (ja) 感圧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デバイス
JP2004139144A (ja) タッチパネル
KR100798670B1 (ko) 가변 저항기
CN115053303B (zh) 可变电阻器
JP2007059469A (ja) 可変抵抗器
JP2007067006A (ja) 可変抵抗器
JPH10149737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007048865A (ja) 可変抵抗器
CN108874214B (zh) 触控面板结构
JP7395114B2 (ja) 押圧検出可能なメンブレン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16337A (ja) タッチパネル
JP4784395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215124B1 (ko) 좌표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218522B2 (ko)
JP5246295B2 (ja)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備えた入力装置
TW202334624A (zh) 壓力感測器單元
JP4812681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11479398A (zh) 电路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