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639A -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639A
KR20080019639A KR1020077030199A KR20077030199A KR20080019639A KR 20080019639 A KR20080019639 A KR 20080019639A KR 1020077030199 A KR1020077030199 A KR 1020077030199A KR 20077030199 A KR20077030199 A KR 20077030199A KR 20080019639 A KR20080019639 A KR 2008001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console
swit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448B1 (ko
Inventor
시아오핑 양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1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장치, 방법 및/또는 시스템은 인터넷 카페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 서비스 환경에서 컴퓨터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카페 서비스 콘솔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 단말기 네트워크에서 카페 구비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단말기 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서비스 요구를 서비스 콘솔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서비스 요구의 상태에 관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가 단말기 상의 적당한 표시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서비스 요구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위치한 입출력 모듈의 적당한 단자로 전송될 수 있고, 이 단자에 의해 상기 표시가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기술되고, 그 권리 범위가 청구된다.
인터넷 카페, 서비스 콘솔, VOIP, 단말기

Description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SERVICE CALLS USING LEGACY AND REMOTE CONTROL SENSORS OF INPUT/OUTPUT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카페, 트레이닝 센터, 사무실 네트워크 또는 유사한 환경에서의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카페"는 인터넷 액세스가 제공될 수 있고 음식 및 음료가 서비스 제공되는 장소이다. 어떤 인터넷 카페는 더 단순하여 고객에게 인터넷 액세스만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인터넷 카페는 많은 컴퓨터, 프린터, 및 가능하게는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카페는 컴퓨터 단말기들의 네트워크에 WWW(World Wide Web) 온라인 액세스; 단일 및/또는 복수 사용자 컴퓨터 게임; 고품질 오디오 오락; 이메일과 뉴스 지원 소프트웨어의 범위; 문서/화상 스캐닝 및 편집 시스템; 프린팅 시스템; 및 카페 외부로부터 인터넷으로의 다이얼인 전화 접속을 제공한다.
인터넷 카페 내에서는, 예컨대,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인과 같이 일정 수준의 IT(Information Technology)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점차 필요해지고 있다. 현재, 인터넷 카페에서는 서비스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도움을 주기가 어려운 경우가 자주 있다. 이는 이러한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에서 많은 PC 사용자(예컨대, 100명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service personnel)의 수가 적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인터넷 카페에서는 사용자가 IT나 일부 다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IT 전문가나 웨이터를 찾거나 직원을 불러야 하는데, 이런 일은 인터넷 카페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것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직원 수를 늘리는 인터넷 카페도 있다.
어떤 인터넷 카페들은 테이블이나 책상마다 독립된 표준 전화기를 제공하는 빌트인 전화망을 설치해 놓고 있다. 컴퓨터 사용자는 그 전화기로 IT 지원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어 서비스 및/또는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마다 버튼을 구비한 링 콜(ring-call) 시스템을 설치한 인터넷 카페도 있다. 인터넷 카페 고객은 버튼을 눌러서, 고객이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직원에게 음향으로 및/또는 시각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해결 방안들은 더 많은 직원 및/또는 전용의 요청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며 효과도 높지 않은 경우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환경(electronic service environment)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제2 디스플레이 상의 상이한 가능한 화면 표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와 콘솔 간의 플랫폼 이벤트 트랩(Platform Event Trap; "PET")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의 콘솔과 클라이언트 간의 원격 관리 제어 프로토콜 커맨드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의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입출력("I/O") 제어 허브("ICH")와 그와 관련된 회로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이벤트 트랩("PET")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응답(acknowledgement) 패킷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몇 가지 특정 실시예를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발명 대상을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히 설명되며, 다른 실시예도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기계적, 구조적, 전기적, 기능적, 및/또는 절차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은 발명 대상의 실시예들은 여기서는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편의상 단순히 "발명"이라 하기도 하며, 본 출원의 범위를 하나보다 많은 발명 대상이 실제 개시되는 경우에 임의의 단일의 발명이나 발명 개념으로 임의로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 의미로 기술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는 청구 범위와 그 등가적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환경의 개략도이다. 시스템(100)은, 여기서는 "전자 서비스 환경"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서비스 환경"은 "인터넷 카페"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서비스 환경"은 전자 교실(예컨대, 컴퓨터 관련 및/또는 컴퓨터 기반 기술을 가르치는 교실)이나 전자 사무실(예컨대, 구성원이 컴퓨터 기반 응용을 이용하는 계층적 레벨의 임의 크기의 조직체)일 수 있다. "전자 서비스 환경"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를 기다리고 사용자를 지원함으로써 이 요구에 응답하는 한 명 이상의 관리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개인 사용자 스테이션이 연결된다.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인터넷 카페 사용자 단말기(102, 104, 106, 108)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콘솔(console)(110)에 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카페 사용자 단말기(102, 104, 106, 108)는 완전 기능적 개인용 컴퓨터("PC")일 수 있거나, 또는 카페에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나 콘솔, 또는 카페 사용자의 컴퓨터가 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섀시(chassis)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콘솔(110)은 완전 기능적 PC일 수 있거나, 또는 완전 기능적 PC보다 기능이 제한된 PC일 수 있다. 서비스 콘솔(110)은 마더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모듈과, 서비스 콘솔(110)을 네트워크(112)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전자 보드 및/또는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콘솔(110)은 디스플레이(114), 복수의 키 및/또는 키보드(도시되지 않음), 및 포인팅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2, 104, 106, 108)와 같은 시스템(100)(도 1 참조)에서의 단말기(200)의 예를 도시한다. 단말기(200)는 회전 매체 메모리(rotating-media memory) 모듈(216),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모듈(212), 마더보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복수의 전자 모듈과, 단말기(200)를 네트워크(112)(도 1 참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전자 보드 및/또는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본체(main housing)(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표준형 PC 키보드와 같은 키보드(도시되지 않음)와, 마우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의 본체(214)에는 버튼형 디바이스나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전용 스위치(202)가 내장될 수 있다. 전용 스위치(202)는 사용자 서비스 요구를 서비스 콘솔(110)(도 1 참조)과 같은 서비스 콘솔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용 스위치(202)는 이 목적만을 위해 사용된다.
임의의 원하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기(204)(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전구) 및/또는 음향 변환기(sound transducer)(206)(예컨대, 하나 이상의 확성기)도 구비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04) 및/또는 음향 변환기(206)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수신 시에 서비스 콘솔(110)(도 1 참조)에 의해 작동되어, 예컨대 사용자의 요구가 수신되었다는 확인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메인 디스플레이(208)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보조 또는 제2 디스플레이(210)(예컨대, LCD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208)와 제2 디스플레이(21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이다. 메인 디스플레이(208)는, e-메일, 컴퓨터 게임, 문서나 시각적 매체의 스캐닝, 시각 및/또는 오디오 매체의 다운로드와 업로드와 같은 사용자가 관심 갖는 주요 활동으로 특징지워 질 수 있는 컴퓨터 기반 활동, 및 기타 다른 컴퓨터 기반 활동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10)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음식, 음료, 기타 품목의 주문이나, IT 지원이나 테이블 서비스와 같은 현장(local)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의 주요 활동 외의 목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비스 콘솔 간의 시각적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선택적인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모듈(212)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청 통신을 통해 IT 담당자와 통신할 수가 있다. VOIP 모듈(212)은 적당한 마이크로폰 및 확성기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서비스 환경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용법 모델은 사용하기 쉽고 저렴한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는 개인용 컴퓨터(PC) 상의 내장형 서비스 스위치(예컨대, 버튼), 대화식 시각적 및/또는 오디오 통신,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서비스 환경의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PC의 전원 코드가 전원 콘센트에 꽂혀 있고 그 PC가 네트워크(112)(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전용 서비스 버튼 또는 스위치(202)를 눌려 IT 서비스나 다른 형태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서비스 콘솔에 전송함으로써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원 버튼 콜(one-button call)). 즉, 이 동작은 S5 또는 S0/S3 저전력 소모 상태(이하 더 설명됨)에서 기능할 수 있으며, 조작 또는 액티브(active) 운영 체제(OS)가 필요치 않다. 따라서, 액티브 O/S 가 있건 없건 간에 전용 스위치(202)는 작동된다.
2) 조작 OS가 있다면(즉, 부팅되면), 상기 1) 항목에서처럼 도움 요구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는 단말기(200)와 연관된 또는 단말기(200)에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부가적인 서비스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음식, 음료, 기타 품목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사용자는 VOIP 모듈(212)을 통해 원격 서비스 담당자와의 대화를 선택할 수도 있다.
3) 조작 OS가 존재하든지 존재하지 않든지 간에 또는 PC가 S5 또는 S0/S3 저전력 소모 상태에 있든지 간에, 단말기(200) 상의 시각적 표시기(204)는 서비스 요구가 서비스 콘솔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콘솔(110)(도 1 참조)에 의한 시각적 표시기의 활성화는 사용자 단말기(도 1에서의 102, 104, 106, 108, 또는 도 2에서의 200)의 상태와는 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는 S5 저전력 소모 모드 또는 S0/S3 저전력 소모 모드이다.
통상의 PC에서는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에 의해 적어도 6가지 저전력 소모 모드가 가능하다.
액티브(Active) - (S0) 컴퓨터에 전력이 완전히 공급된다(powered ON).
스탠드바이(Standby) - (S1) 하드 드라이브와 비디오 카드가 유휴(idle)이다.
슬립(Sleep) - (S2) 하드 드라이브, 비디오 카드 및 중앙 처리 장치(CPU)가 유휴이다.
정지(Suspend) - (S3) 모든 디바이스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내의 정보는 명목상의 충전으로 유지된다.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 (S4) 메모리 내의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하이버네이션 파일에 복사되며, 컴퓨터로의 전력 공급이 끊어진다.
파워 오프(Power OFF) - (S5) 컴퓨터가 완전히 꺼진다.
S1는 가장 단순한 에너지 절약 상태이며, 드라이버나 하드웨어가 더 복잡한 레벨의 전원 관리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는 구형 시스템에서 자주 이용된다. S1 전력 레벨에 있는 시스템은 단지 하드 디스크(들)와 모니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그 밖의 것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S2는 모니터와 드라이브에의 전력 공급을 중지할 뿐만 아니라 CPU와 캐시로의 전력도 차단하므로 S1보다는 전력을 더 많이 절감한다.
S3은 RAM의 내용을 유지하고 기동 커맨드를 청취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부품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더 높은 수준의 전력 절감 모드이다.
S4는 레벨 S1 내지 S3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것은 하이버네이션 모드로서 이 모드에서 시스템은 모든 활동을 중지한다. 그러나 S4는 레벨 S5의 간단한 파워 오프와도 다른데, 이는 전력 공급을 중단하기 전에 S4 하이버네이션 시스템은 RAM의 내용과 일부 CPU 설정을 하드 드라이브 상의 특수 파일에 기록해 놓기 때문이다.
S5는 가장 높은 수준의 전력 절감 모드로서, 셧 다운 커맨드에 의해 실현되는 것과 같은 완전한 파워 오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도 1)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도 2)의 제2 디스플레이(210) 상의 상이한 가능한 화면 표시(301-304)를 도시한다. (OS가 현재 작동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버튼이나 스위치(202)를 누르면, 제2 디스플레이(210)가 켜져서 고객 서비스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고객 서비스 메뉴의 일례는 화면 표시(301)에 나타나 있다. 이 화면(301)으로부터, 사용자는 IT 서비스를 얻고 및/또는 음식 및/또는 음료 및/또는 기타 품목을 주문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210)는 3가지 서로 다른 메뉴 옵션인, IT 서비스 또는 문제해결(troubleshooting), 음식 메뉴, 및 음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의 해당 부분을 터치하는 것, 포인팅 디바이스로 지정하는 것, 키보드(도시되지 않음)의 하나 이상의 키를 누르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메뉴 옵션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적당한"이란, 원하는 결과(들)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도하는 목적에 대한 적정성(suitability)은 통상적인 실험만을 이용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T 서비스나 문제해결 메뉴(화면 표시(302))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IT 담당자와 대화하거나 IT 담당자에게 사용자의 위치로 오라고 요청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IT 담당자와의 대화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도 2)를 서비스 콘솔(110)(도 1)에 연결하기 위해 예컨대 VOIP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이 설 정된다.
음식 및 음료 메뉴(화면 표시(303))를 선택하면, 인터넷 카페의 각종 음식이나 음료의 가격이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음식 및/또는 음료를 온라인으로 또는 웨이터를 불러 주문할 수 있다. 주문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면, 그에 대한 확인이 제공될 수 있다(화면 표시(304)).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개인용 컴퓨터 이외의 디바이스나 장치, 예컨대, 랩톱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디바이스, 셀룰러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나 핸드헬드 디바이스,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100)(도 1)은 내장된 VOIP 모듈(212)(도 2)을 이용하여 인터넷 카페 사용자와 서비스 관리자 간의 음성 접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스템(100)은 시각적 표시기(204)를 더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편리한 대화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요소들은 다른 해결책(예컨대, 별도의 전화 시스템이나 링 콜 시스템)과 비교해서 PC 시스템 자체 내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내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드는 비용이 보다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카페와 같은 전자 서비스 환경에서 IT 서비스를 위한 저렴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2 디스플레이(210)(도 2)에 전자 상거래(E-commerce)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단말기(200) 상에 적당히 위치한) 내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210) 상 터치 스크린 위치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08) 상에 표시된 다 른 컴퓨터 기반 활동을 중단시키지 않고서도, 품목을 편리하고 시각적으로 주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401, 402 또는 403)와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400)의 콘솔(420) 간의 플랫폼 이벤트 트랩("PET")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401-403)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404)에 연결되며, SNMP(404)는 MC SDK(Management Control Software Development Kit)(406)에 연결될 수 있다. MC SDK(406)는 WMI(Windows® Management Improved) 제공자(서비스) 표준 인터페이스(408), 이벤트 포맷팅 기능을 제공하는 MC SDK 프록시(410), 및 클라이언트를 모니터하는 MC SDK(412)(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MC SDK(410)는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MC SDK(406)는 콘솔(420)에 연결된다.
PET는 클라이언트(401-403)에서 ASF(Alert Standard Format) 제어 모듈(예컨대, 도 7에서 71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PET는 클라이언트(401-403)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콘솔(420)에 통지하는 데 이용된다. PET가 콘솔(420)에 도달하면, PET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400)의 콘솔(420)과 클라이언트(401, 402 또는 403) 간의 원격 관리 제어 프로토콜(RMCP) 커맨드의 흐 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420)과 클라이언트(401-403)는 MC SDK(406)에 연결될 수 있다. MC SDK(406)는 WMI(Windows® Management Improved) 제공자(서비스) 표준 인터페이스(408), MC SDK 프록시(410), 및 MC SDK(412)(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MC SDK 프록시(410)는 RMCP(Remote Management Control Protocol) 맵핑을 제공할 수 있다. MC SDK(412)는 클라이언트(401-403)에 RMCP 패킷을 보낼 수 있다. RMCP 패킷은 도 8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네트워크(600)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전자 서비스 네크워크(600)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601)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콘솔(6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클라이언트(601)는 메모리 제어 허브("MCH")(604)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2)를 포함할 수 있다. MCH(604)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606)가 연결될 수 있다.
ASF 관리 코어(612)를 구비한 입출력 제어 허브("ICH")(610)가 MCH(604)에 연결될 수 있다. TCO(Total-Cost-Of-Ownership) 모듈(608)이 ICH(610)에 연결될 수 있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614)도 MCH(604)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LAN(local area network) 포트(616)도 MCH(604)에 연결될 수 있다. LAN 포트(616)는 버스(640)와 같은 적당한 버스나 커넥터를 통해 서비스 콘솔(650)의 LAN 포트(652)에 연결될 수 있다.
수퍼 I/O ("SIO")(620)는 SM(system management) 버스(618)와 같은 적당한 버스나 커넥터를 통해 ICH(610)에 연결될 수 있다. SIO(620)는 제1 핀(622)과 제2 핀(624)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 또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핀(622)은 원격 제어 센서 핀일 수 있고, 핀(624)은 레거시 센서 또는 ASF 센서 핀일 수 있다. 여기서는 핀(624)을 "원 버튼 콜" 센서라고도 한다.
핀(622)은 적당한 저항(R1)을 통해 적당한 표시기의 제1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접지 전위에 연결된 제2 단자를 가진, 발광 다이오드(632)와 같은 표시등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청각 신호를 발생하는 적당한 음향 변환기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는 시각 및 청각 신호의 조합을 발생하는 임의의 적당한 요소일 수 있다. 핀(624)은 적당한 저항(R2)을 통해 적당한 전위(V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핀(624)은 접지 전위에 연결된 제2 단자를 가진, 버튼 스위치(630)와 같은 적당한 스위치의 제1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에 있어, 버튼 스위치(630)가 눌러지면, SIO(620)의 핀(624)에 연관된 레거시 센서 또는 ASF 센서는 이를 검출하고, SIO(620)는 SM 버스(618)를 통해 도움 요구를 ICH(610)의 ASF 관리 코어(612)에 보낼 것이다. 이 도움 요구는 ICH(610)로부터 LAN 포트(616)와 버스(640)를 통해 콘솔(650)의 LAN 포트(652)로 보내지며, 여기서 서비스 요구가 처리된다.
도움 요구가 콘솔(650)에 도달하면, ASF 기술의 RMCP(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protocol)에 기초할 수 있는 피드백 커맨드(예컨대, "LED ON")가 클라이언 트(601)에 자동으로 보내진다. ASF 관리 코어(612)가 콘솔(650)로부터의 피드백 커맨드를 처리한 후에는 이 피드백 커맨드는 SM 버스(618)를 통해 SIO(618)에 보내진다. 이 커맨드는 SIO(618)의 원격 제어 센서 또는 LED 피드백 센서 핀(622)에 의해 출력되고, LED 표시기(632) 또는 다른 적당한 표시기를 턴 온시킨다.
사용자의 도움 요구가 콘솔 조작자 또는 전자 서비스 환경 내의 다른 담당자에 의해 만족되면, 다른 커맨드(예컨대, "LED OFF")가 콘솔(650)로부터 SIO(618)의 원격 제어 센서 또는 LED 피드백 센서 핀(622)으로 보내져 LED 표시기(632) 또는 다른 표시기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입출력("I/O") 제어 허브("ICH")(610)와 그와 관련된 회로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의 ICH(701)는 도 6에 도시된 ICH(610)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ICH(701) 및 관련 회로는 총괄적으로 도면 부호 700으로 나타낸다.
ICH(700)는 호스트 통지 TCO 슬레이브(slave)(704), TCO(마스터)(706), LAN 제어 모듈(708) 및 ASF 제어 모듈(710)에 작용적으로 연결된 SM 버스 호스트(마스터)(7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요소들은 SM 버스(720)를 통해 센서들(712), 하나 이상의 SM 버스 디바이스(714), 원 버튼 콜 센서(716), 및 LED 표시기 센서(718)에 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LED 피드백을 가진 원 버튼 콜의 ASF 실시예에서, 원 버튼 콜 센서(716)는 도움 요구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LED 표시기 센서(718)는 콘솔로부터 적당한 원격 제어 커맨드(예컨대, "LED ON" 또는 "LED OFF")를 수신하는 데 이용된다.
LAN 제어 모듈(708)은 LAN 접속 인터페이스(724)를 통해 LAN 모듈(722)(예컨대, Intel® 82452 LAN 컨트롤러)에 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LAN 제어 모듈(708)과 ASF 제어 모듈(710)은 SM 링크(726)와 EEPROM(728)에 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F 기술을 이용하여 IT/서비스 호출을 상이한 상태(예컨대, S5, S3, S0)로 구현하는 전기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ASF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ASF 기술에서의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터넷 카페에서의 원격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음료, 음식, 기타 품목의 주문과 같은) 원격 서비스 지원 및/또는 전자 상거래 지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이한 종류의 저전력 소모 상태(예컨대, S5, S3, S0)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개인용 컴퓨터 이외의 디바이스나 장치, 예컨대, 랩톱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디바이스, 무선 통신기,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요구 확인을 위해 적당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VOIP와 인간 지각 표시기(human-perceivable indicator)(예컨대, 청각 또는 시각 표시기)를 통합하면, 사용자는 인터넷 카페와 기타 다른 전자 서비스 환경에서 편리한 대화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들은 다른 해결책(예컨대, 전화 시스템)과는 달리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자체에 통합되며, 따라 서 추가적인 하드웨어는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터넷 카페에서 IT 서비스에 대해 저비용의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지원은 용법 모델의 다른 이점이다. 원 버튼으로 바로 섀시 상의 제2 LCD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전자 상거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른 컴퓨터 기반 활동을 중단시키지 않고서도, 품목을 편리하고 시각적으로 주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이벤트 트랩("PET") 패킷(800)을 나타낸다. PET 패킷(800)은 이제 설명될 복수의 상이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AC(medium access control address)(801)는 PET 패킷(800)을 위한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를 제공한다. IP(802)는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이다. UDP(803)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말한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필드(804)는 SNMP 식별(810), 에이전트 어드레스(812), 특정 트랩(814), SNMP 타임스탬프(816), 시퀀스 번호(818), 및 가변 구속 이벤트(variable binding event) 정보(820)와 같은 몇 가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NMP 식별 필드(810)는 그 자체가 SNMP 버젼, 커뮤니티 스트링(community string)(예컨대, "퍼블릭(public)" 또는 기타 다른 값), 및 기업 OID(object identifier)와 같은 몇 가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이전트 어드레스 필드(812)는 서버 (IP) 어드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트랩 필드(814)는 이벤트의 종류(예컨대, 과온도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SNMP 타임스탬프 필드(816)는 시간 기반 정렬(time-based ordering)을 위한 SNMP에서 이용된 적당한 길이(예컨대, 32 비트)의 타임스탬프일 수 있다.
시퀀스 번호(818)는 각 PET 프레임의 인덱스를 기술할 수 있다. 예컨대, ASF 경보 전송 디바이스는 이벤트 당 총 3번 각 PET 프레임을 두 번 재전송할 수 있다. 3차례 전송 모두 원 미닛 윈도우(one-minute window) 내에서 발생해야 하며, 동일한 시퀀스 번호 필드를 포함해야 한다. 관리 콘솔은 원 미닛 원도우 밖에서 새로운 이벤트로서 수신하는 동일 이벤트를 처리해야 한다.
가변 구속 이벤트 정보 필드(820)는 이벤트에 대한 시스템 및 센서 정보(예컨대, 엄격성(severity)의 레벨)를 열거할 수 있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805)는 에러 검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PET 패킷(800)에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수의 필드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응답 패킷(9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확인응답 패킷(900)은 복수의 상이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RMCP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이제 설명한다.
MAC 필드(901), IP 필드(902), UDP 필드(903) 및 CRC 필드(906)는 도 8을 참조로 설명된 PET 패킷(800)에 관해 상기 정의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MCP 헤더 필드(904)는 RMCP 버젼을 식별하는 버젼 필드; 예비 필드; 정렬과 확인을 위해 이용되는 시퀀스 필드; 및 동작 클래스(class)를 식별하는 클래스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RMCP 데이터 필드(905)는 메시지 작성자를 식별하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기업 필드; ASF 커맨드(예컨대, 리셋)를 제공하는 메시지 종류 필드; 요구와 응답 커맨드를 짝지우는 메시지 태그 필드; 예비 필드; 후속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식별하는 데이터 길이 필드; 및 메시지 종류와 연관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응답 패킷(900)에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수의 필드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방법(1000)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1001)에서, 전자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 적당한 스위치 또는 다른 응답 입력 디바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전자 서비스 환경은 인터넷 카페, 전자 교실, 전자 사무실 등일 수 있다. 응답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화는 사용자 단말기의 다른 기능과는 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단일 버튼(즉, 원 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는 사용자의 컴퓨터 내, 별도의 콘솔 내,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장소에 구비된 전용 스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및 제2 센서를 구비한 I/O 모듈(예컨대, SIO)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레거시/ASF 핀일 수 있고, 제2 센서는 원격 제어 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센서나 핀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당한 센서나 핀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1002)에서, 제1 센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트리거된다.
단계(1003)에서, 스위치 활성화는 전자 서비스 환경의 서비스 콘솔로 전송되어 검출된다. 스위치 활성화 검출은 사용자 단말기의 전원 상태(예컨대, S0, S1, S2, S3, S4 또는 S5 전원 상태)에 관한 정보; 인터넷 카페 또는 다른 전자 서비스 환경 내의 사용자 단말기의 물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상태에 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O/S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1001)에서의 스위치의 활성화 검출에 응답하여 콘솔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VOIP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VOIP 접속은 콘솔과 사용자 위치 간의 VOIP 오디오 및/또는 비주얼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도 2)가 네트워크(112)(도 1)를 통해 서비스 콘솔(110)(도 1)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1004)에서, 서비스 콘솔은 제1 서비스 상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구 수신을 나타내는 제1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 센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단계(1005)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가 만족되면, 콘솔은 제2 서비스 상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제2 센서에서 제2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및 2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서비스 상태 신호는 서비스 콘솔 측의 서비스 관리자가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상태 신 호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가 완수 또는 만족될 준비가 되거나 이미 만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다른 동작과 무관하게 서비스 콘솔 측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기의 서비스 콘솔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어, 사용자는 정상적인 컴퓨팅 활동을 중단없이 계속할 수 있다.
단계(1005) 후에는 본 방법은 종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흐름도에서 나타낸 개별적인 활동들은 예시된 순서에 따라 또는 임의의 특정 순서에 따라서 수행될 필요는 없음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여기서 본 방법에 대해 설명된 여러 가지 활동은 직렬식 또는 병렬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활동은 무한정 반복될 수 있고, 다른 활동은 한 번만 일어날 수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는 예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활동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의 흐름도는 "종료"를 나타내고 있지만 원한다면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개시하여 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잘 알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을 구현하고 수행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는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자바(Java)나 C++과 같은 객체 지향 언어를 이용한 객체 지향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은 어셈블리(assembly)나 C와 같은 절차형 언어를 이용한 절차 지향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원격 절차 호출을 포함하여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나 프로세스 간 통신 기술과 같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는 많은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의 교시는 임의의 특정 프로그램 언어나 환경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되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실시예도 실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물품(article)(1100)의 블록도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의 예는 컴퓨터, 메모리 시스템, 자기 또는 광 디스크, 다른 몇 가지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임의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1100)은 메모리(1102)(예컨대,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 도체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같은 머신 액세스 가능한 매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매체는 액세스 시에 머신(예컨대, 프로세서(들)(1101))이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시키는 관련 정보(1103)(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전자 서비스 환경의 서비스 콘솔 측에서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의 제1 센서를 트리거하는 스위치의 활성화를 검출하는 것, 및 콘솔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행해진 서비스 요구의 수신을 표시하는 제1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도록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제2 센서를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요약서를 요구하는 37 C.F.R. §1.72(b)에 따라 제공된다. 제공된 요약서는 청구 범위의 범위나 의미를 해석하거나 한정하는데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여러 가지 특징이 때로는 본 개시를 능률화하기 위하여 단일 실시예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본 개시의 방법은 발명 대상의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보다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그러기보다는,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대상은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각 청구항은 그 자체가 독립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다. 개별 청구항들은 본 발명 대상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 대상의 예시적인 구현이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발명 대상의 본질에서 벗어남이 없이 발명 대상이 여러 가지로 변경, 부가, 치환 등이 될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경, 부가, 치환 등도 다음의 청구항들에 정의된 발명 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27)

  1. 서비스 콘솔을 가진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콘솔에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는 스위치; 및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콘솔로부터 서비스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서비스 콘솔에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는데만 사용되는 전용 스위치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본체(housing)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서비스 콘솔에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는데만 사용되는 버 튼형 디바이스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표시등(light)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신호는 상기 서비스 콘솔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구의 수신의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을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신호는 상기 서비스 요구가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콘솔에 의한 상기 표시기의 활성화는 상기 단말기의 다른 동작들과 무관하게 일어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S0, S3 및 S5 전력 소모 상태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콘솔은 스위치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서비스 콘솔에 의한 상기 표시기의 활성화는 상기 단말기의 전력 소모 상태와 무관하게 일어나고, 상기 단말기의 상기 상태는 S0, S3 및 S5 중 두 가지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상에 액티브(active) 운영 체제가 존재하는 동안 및 상기 단말기 상에 액티브 운영 체제가 존재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VOIP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콘솔과 통신하며, 상기 VOIP 모듈은 상기 스위치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장치.
  14.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넷 카페 서비스 콘솔;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카페 구비 단말기(cafe-provided terminal)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콘솔에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는 스위치; 및
    상기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콘솔로부터 서비스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서비스 콘솔에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는데만 사용되는 전용 스위치이고, 상기 단말기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신호는 상기 서비스 콘솔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구의 수신의 확인응답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상에 액티브 운영 체제가 존재하는 동안 및 상기 단말기 상에 액티브 운영 체제가 존재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서비스 요구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시스템.
  18. 전자 서비스 환경의 서비스 콘솔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제1 센서를 트리거하는 스위치의 활성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솔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행해진 서비스 요구의 수신을 표시하는 제1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제2 센서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의 만족시에 상기 콘솔은 상기 제2 센서에서 제2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용 스위치인 방법.
  21. 서비스 요구를 서비스 콘솔에 전송하기 위하여 전자 서비스 환경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1 센서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콘솔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구의 수신을 표시하는 제1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센서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들을 갖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레거시/경보 표준 포맷 핀(legacy/Alert Standard Format pin)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원격 제어 핀인 방법.
  25. 연관된 명령어들을 가진 머신 액세스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액세스될 때, 머신이,
    전자 서비스 환경의 서비스 콘솔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제1 센서를 트리 거하는 스위치의 활성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콘솔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행해진 서비스 요구의 수신을 표시하는 제1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제2 센서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물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전원 상태, 상기 전자 서비스 환경 내의 물리적 위치, 기본 입출력 시스템 상태,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운영 체제 상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서비스 환경은 인터넷 카페인 물품.
KR1020077030199A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031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5/000924 WO2007000071A1 (en) 2005-06-25 2005-06-25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service calls using legacy and remote control sensors of input/output mod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27A Division KR101160418B1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639A true KR20080019639A (ko) 2008-03-04
KR101031448B1 KR101031448B1 (ko) 2011-04-26

Family

ID=375950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27A KR101160418B1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077030199A KR101031448B1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7002692A KR20120030158A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27A KR101160418B1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692A KR20120030158A (ko) 2005-06-25 2005-06-25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6947B2 (ko)
EP (1) EP1902377A4 (ko)
JP (1) JP2008544611A (ko)
KR (3) KR101160418B1 (ko)
CN (1) CN101208684A (ko)
WO (1) WO2007000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60B1 (ko) 2005-06-25 2011-11-25 인텔 코오퍼레이션 서비스 호출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63471B1 (ko) * 2007-06-05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장치의 상태를 알리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US8140717B2 (en) * 2008-09-26 2012-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indicators in a logically partitioned computer system
US7962665B2 (en) * 2008-09-26 2011-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condition indicators that use the same physical indicator device in a logically partitioned computer system
US8493217B2 (en) * 2010-02-17 2013-07-23 Magibrands, Inc. Programmable touch-activated signaling device
SG10201507834SA (en) * 2015-09-21 2017-04-27 Yokogawa Electric Corp Mobile based on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operations with smart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691A (en) * 1981-05-27 1982-11-30 Pioneer Electronic Corp Security system
US4777488A (en) 1986-05-16 1988-10-11 Cw Products, Inc. Restaurant service request communications system
EP0489723A2 (en) * 1986-09-03 1992-06-10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for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with reactive fragments
JPS63170780A (ja) * 1986-10-03 1988-07-14 インタランド・コーポレーション 一体化したマルチ・ディスプレイ型のオーバーレイ制御式通信ワークステーション
FR2658934B1 (fr) * 1990-02-28 1992-04-30 Bull Sa Architecture de systeme et utilisation de cette architecture dans un procede de remplacement de cartes.
JP3483906B2 (ja) * 1992-01-08 2004-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レジューム方法
US5504589A (en) * 1993-12-27 1996-04-02 Montague; Charles E.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ood orders to a central station
US5926111A (en) * 1994-08-29 1999-07-20 D & B Supply, Inc. Pulsed width modulated remote signalling and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for summoning a service industry worker
JP3497899B2 (ja) * 1994-11-21 2004-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支援システム
US5845263A (en) * 1995-06-16 1998-12-01 High Technology Solutions, Inc. Interactive visual ordering system
JPH096298A (ja) * 1995-06-23 1997-01-10 Sony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GB2314647A (en) * 1996-06-27 1998-01-07 Brendan Mulreany System for ordering goods and services
JPH10240388A (ja) * 1997-02-28 1998-09-11 Toshiba Corp 計算機装置の省電力装置と電源装置
JPH11195070A (ja) * 1997-11-06 1999-07-21 Toshiba Tec Corp 注文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20020002513A1 (en) 1998-11-25 2002-01-03 James P. Chiasson Computer network transaction system
EP1087826B1 (en) * 1999-04-14 2008-05-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Entertainment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JP2000358028A (ja) 1999-06-15 2000-12-26 Nec Corp 回線収集情報転送システム
KR20010017973A (ko) * 1999-08-16 2001-03-05 권율 실행키를 갖는 선택통화장치 및 그 실행방법
US7080774B1 (en) * 1999-11-17 2006-07-25 Wu Li Investments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onic display with selectable viewing orientations
DK1228424T3 (da) * 2000-02-21 2010-05-25 Tophead Com Dataprocesseringssystem med dobbelt monitor og styringsfremgangsmåde til netværkssystem
US6366196B1 (en) * 2000-04-25 2002-04-02 Daniel Green Restaurant waiter paging system
JP2002236972A (ja) * 2001-02-13 2002-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情報端末テーブル及び情報出力システム
WO2002044867A2 (en) * 2000-10-20 2002-06-06 Accenture Llp Method for implementing service desk capability
US20030210277A1 (en) * 2000-11-03 2003-11-13 Toshihiko Harada Ordering service system at restaurant or the like
JP2002182774A (ja) * 2000-12-18 2002-06-26 Koike Design Collaboration:Kk ユーザ支援システム
CN1323000A (zh) * 2001-06-27 2001-11-21 杜凤祥 计算机网络教学系统
JP2003030549A (ja) * 2001-07-17 2003-01-31 Kyota Iwaoka インターネットカフェの運営方法
JP2003199676A (ja) * 2002-01-08 2003-07-15 Morichuu:Kk 加熱調理装置
GB0219947D0 (en) * 2002-08-28 2002-10-02 Nokia Corp Conferencing system
CN1416093A (zh) * 2002-12-17 2003-05-07 武汉柯创高新技术开发中心 一种网吧监控系统
CN1525351A (zh) 2003-02-28 2004-09-01 上海浦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互动式计算机系统
WO2005015463A1 (en) * 2003-08-12 2005-02-17 Niamh Orla O'byrn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ordering
US20050066218A1 (en) * 2003-09-24 2005-03-24 Stachura Thomas L.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 failover
US20050130717A1 (en) * 2003-11-25 2005-06-16 Gosieski George J.J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dio and visual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87460B1 (ko) * 2005-06-25 2011-11-25 인텔 코오퍼레이션 서비스 호출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94185A1 (en) * 2006-10-18 2008-04-24 Laura Kreiss Patro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5772A1 (en) 2007-03-08
KR20100119811A (ko) 2010-11-10
JP2008544611A (ja) 2008-12-04
KR101031448B1 (ko) 2011-04-26
KR101160418B1 (ko) 2012-07-13
WO2007000071A1 (en) 2007-01-04
US7756947B2 (en) 2010-07-13
EP1902377A1 (en) 2008-03-26
KR20120030158A (ko) 2012-03-27
EP1902377A4 (en) 2010-09-22
CN101208684A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039U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アクセサリ
US6654816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s for locally analyzing computers
JP607650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オン・オ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設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60418B1 (ko) 레거시와 입출력 모듈의 원격 제어 센서들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7778675B1 (en) Remotely accessing a computing device in a low-power state
US20040181706A1 (en) Time-controlled variable-function or multi-func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10311811A (zh) 配置方法、装置、系统、云服务器以及存储介质
US7386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external and interprocess communication
JP2015520957A (ja) モバイル通信装置のための、待ち時間を削減したメッセージ送受信
CN1782956A (zh) 唤醒主计算机系统以预取辅助计算设备的数据
WO2014206143A1 (zh) 未读消息数目显示方法、装置和设备
CN106775262A (zh) 一种未读图标显示管理的方法和系统
KR101083848B1 (ko) 서비스 호출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6161147B (zh) 建立网络连接的方法及装置
CN105426190B (zh) 数据传递方法和装置
WO2023088198A1 (zh) 网络连接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19237954A1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09857300A (zh) 多媒体服务提供方法及装置
CN109976854A (zh) 一种应用程序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4827334B (zh) 一种无线通信方法、电子设备、装置、芯片以及存储介质
TWI257783B (en) Virtual remote control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technique in wireless LAN
TWI482093B (zh) 管理可攜式裝置之系統及其方法
JP2011243221A (ja) サービスコールを支援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