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331A -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331A
KR20080016331A KR1020060078331A KR20060078331A KR20080016331A KR 20080016331 A KR20080016331 A KR 20080016331A KR 1020060078331 A KR1020060078331 A KR 1020060078331A KR 20060078331 A KR20060078331 A KR 20060078331A KR 20080016331 A KR20080016331 A KR 2008001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efrigerant pipe
cutting
fram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903B1 (ko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844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163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06007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9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콘덴서 등에 사용되는 냉매관을 인장 절단하기 전에 인장 절단될 부위를 압하하여 인장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연날을 구비하고 있는 냉매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매관 절단장치(1)는 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된 냉매관(10) 스트랩을 절단하는 절단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 냉매관 절단장치(1)의 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7)은 상하 한 쌍의 압연날 뭉치(5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하 한 쌍의 압연날(51), 상기 냉매관(10) 스트랩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압연날(51)을 지지하는 압연날 프레임(56), 및 상기 압연날 프레임(56)을 안내봉(57,58)을 따라 횡운동시키는 링크 조립체(61)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캠과 링크 조립체의 동작을 연동시킴으로써 냉매관 절단에 소요되는 가공시간과 제어수요를 줄이고, 가공 정도를 높이며, 노치를 압연 가공함으로써 절삭칩의 발생을 억제하여 냉매관의 생산성, 품질 및 작업 환경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냉매관, 절단, 캠, 클램프, 후방인장, 압연 슬라이더, 압연날

Description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Cooling Medium Tube Cutting Machine Proided with Rolling Roller Edge}
도 1은 일반적인 냉매관을 절단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냉매관 절단장치에 의해 냉매관 롤에서 냉매관을 절단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냉매관 절단장치에 의해 면취가공된 냉매관 스트랩을 부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안내수단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후방 클램프 조립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절단장치에 의해 노치가 절삭된 냉매관 스트랩을 부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전방 클램프 조립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7 및 8에 도시된 벨트풀리가 추가된 전방 클램프 조립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후방 클램프 조립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16에 도시된 캠과 승강롤러 및 측면롤러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절삭 슬라이더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링크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매관 절단장치 2 : 공급수단
3 : 안내수단 4 : 교정수단
5 : 이송수단 7 : 절단수단
9 : 베이스 프레임 10 : 냉매관
13 : 노치 20 : 구동모터
30,40 : 전후방 클램프 조립체 31,41 : 고정 프레임
32,42,332 : 캠축 33,43 : 승강 프레임
34,44 : 캠 35,45 : 클램프
38,48 : 반경방향 돌출부 50 : 절삭 슬라이더 조립체
51 : 상하부 압연날 52 : 압연날 홀더
57,58 : 안내봉 61 : 링크 조립체
66 : 구동 기어 67 : 크랭크 기어
69 : 크랭크 암 71 : 커넥팅 로드
303 : 반발 스프링 315,415 : 승강롤러
321 : 벨트풀리 431 : 측면롤러
448 : 축방향 돌출부
본 발명은 냉매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콘덴서 등에 사용되는 냉매관을 인장 절단하기 전에 인장 절단될 부위를 압하하여 인장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연날을 구비하고 있는 냉매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냉방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나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냉방 효율을 높인 시스템 에어컨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매관 의 형태도 시스템 에어컨에 적합하게 변화되고 있는데, 그 한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10으로 도시된 냉매관을 들 수 있다.
이 냉매관(110)은 도시된 것처럼 두께에 비해 폭이 넓은 판형이며, 여러 개의 지관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냉매유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냉매관(110)의 양단 부분에는 냉매관(110) 끼리, 또는 콘덴서 등에 연결할 때 접속이 용이하도록 교축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판형 냉매관(1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롤 형태로 제작되는 냉매관(110)을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절단하는 절단장치가 요구되는 바, 그 한 예로 국내 특허출원 제10-1998-05237호에 개시된 "에어콘 콘덴서용 냉매관 절단가공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절단가공장치는 도 2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수단(102), 안내수단(103), 교정수단(104), 이송수단(105), 면취수단(106), 절단수단(107), 선별수단(10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공급수단(102)은 일종의 보빈으로서,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롤러 위로 감겨 있는 롤 형태의 냉매관을 풀어내는 부분으로서, 냉매관 이송방향의 상류단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수단(103)은 공급수단(102)에서 공급된 냉매관을 안내롤이나 안내간을 통해 안내하여 하류측으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부분으로서, 공급수단(10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교정수단(104)은 안내수단(103)을 빠져나온 냉매관을 절단에 앞서 일단 곧게 펴는 부분으로서, 상하 굴곡을 펴는 평탄롤러열과 좌우 굴곡을 펴는 직진롤러가 이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송수단(105)은 클램프와 고무벨트를 통해 냉매관을 파지하여 냉매관을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면취수단(106)은 위 이송수단의 클램프가 냉매관을 파지하고 있는 동안 면취금형에 의해 냉매관(110)의 측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V자 모양의 노치(113)를 절단에 앞서 예비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절단수단(107)은 면취된 냉매관(110)을 홀딩장치에 의해 파지한 상태로 인장시키면서 커터에 의해 절단하는 부분이며, 끝으로 선별수단(108)은 절단수단(107)에 의해 절단된 냉매관을 센서에 의해 양부를 구분하여 절단수단(107) 하류측에 설치된 수집함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절단가공장치(101)는 면취수단(106)에 의해 냉매관(110)의 측면에 노치(113)를 예비 가공한 다음, 절단수단(107)에 고정된 설치된 커터에 의해 노치(113)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두 차례에 걸쳐 절단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공정시간이 길어진다. 또, 커터에 의해 노치(113) 부위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커터와 노치(113)를 일직선 상에 정확히 위치시켜야 하고, 따라서 노치(113)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해야 하는 한편, 적시에 냉매관(110)의 이송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제어 수요가 많아진다.
아울러, 커터에 의해 절단된 노치(113) 부위는 사다리꼴 형태로 끝부분이 좁아져 있으므로, 이 부분을 후가공에 의해 절단해 내야 하기 때문에 냉매관 롤의 수율이 감소되고, 절단을 위한 추가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절단가공장치(101)는 작업시간이 길고, 제어 수요가 많으며, 원자재의 수율이 낮아 전반적으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냉매관 절단장치가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매관에 대한 면취동작을 압연과 인장을 교대로 수행하는 절단 동작으로 대체함으로써 면취과정을 생략하여 이에 따른 공정시간 및 제어수요를 줄일 수 있고, 냉매관의 이송동작과 압연날의 압하동작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가공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면취로 인해 발생하는 절단 여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삭칩이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냉매관 스트랩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냉매관 절단장치의 에 있어서, 절단수단은 상하 한 쌍의 압연날 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하 한 쌍의 압연날, 냉매관 스트랩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압연날을 지지하는 압연날 프레임, 및 이 압연날 프레임을 안내봉을 따라 횡운동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냉매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 한 쌍의 압연날은 압연날 뭉치에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냉매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끝으로, 압연날 뭉치에는 압연날을 중심으로 좌우에 버 제거롤이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냉매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매관 절단장치는 도 4 및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매관 절단장치와 마찬가지로 크게 공급수단(2), 안내수단(3), 교정수단(4), 이송수단(5), 및 절단수단(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장치(1)에 의해 2줄의 냉매관(10) 스트랩을 절단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 부품들이 좌우로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먼저 공급수단(2)은 냉매관(10) 스트랩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는 냉매관 롤(21)에서 냉매관(10) 스트랩을 풀어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도 4 및 5에 앞뒤로 2개가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 롤(21)을 걸어 고정하는 지지 프레임(11)과, 냉매관 롤(21)에서 뒤쪽으로 크게 풀려나온 냉매관(10)을 안내수단(3) 쪽으로 되돌려 보내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1) 뒤쪽에 설치된 반전 안내봉(12)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반전 안내봉(12)과 안내수단(3) 사이에는 롤러 지지대(15)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냉매관(10) 스트랩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내수단(3)은 위와 같이 공급수단(2)에서 풀려나온 냉매관(10) 스트랩을 상류측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교정수단(4)은 안내수단(3)을 따라 입력되는 냉매관(10) 스트랩을 상하 또는 좌우로 가압하여 곧게 펴는 역할을 한다. 또, 이송수단(5)은 단속적으로 냉매관(10) 스트랩을 절단수단(7)으로 이송하는 부분으로서, 절단수단(7)에 의해 냉매관(10) 스트랩이 단위 냉매관(10)으로 절단될 때는 이송동작을 하지 않고, 절단된 이후에는 다음 번 절단을 위해 냉매관(10) 스트랩을 파지하여 단위 냉매관(10) 길이만큼 절단수단(7)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송수단(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케이스(82) 내에 연동하도록 장착된 상하 이송벨트쌍(83)과, 상기 이송벨트쌍(83)의 벨트풀리(84) 사이에 설치된 이송 클램프(85)로 이루어져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1)의 절단수단(7)은 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되어온 냉매관(10) 스트랩을 비로소 절단하는 부분으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한 쌍의 클램프 조립체(30,29)와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클램프 조립체(30,29)는 이송된 냉매관(10) 스트랩을 일정 간격을 두고 앞뒤로 파지하며,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에 의해 냉매관(10) 표면에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노치(13)가 압하된 후, 후방 클램프 조립체(29)가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냉매관(10)을 인장에 의해 절단하도록 되어 있고,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는 횡이동하는 압연날(51)에 의해 클램프 조립체(30,29) 사이에 파지된 냉매관(10) 스트랩의 상하면에 단위 냉매관(10)의 길이 간격으로 노치(13)를 가공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 클램프 조립체(30)는 도 7 내지 9의 좌측에 즉, 냉매관(10) 스트랩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이송할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정해된 위치에서 냉매관(10)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방 클램프 조립체(30)는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 프레임(31), 승강 프레임(33), 캠(34), 및 클램 프(3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31)은 도 7 및 9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9) 위에 볼트(301)로 고정되어 있으며, 위쪽에 승강 프레임(33)을 지지하도록, 아래쪽에는 캠(34)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자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승강 프레임(33) 위쪽에는 승강 프레임(33)을 반발 스프링(303)에 의해 가압하도록 스프링 하우징(30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하우징(305)은 스프링 하우징 베이스(306)에 볼트 체결되어 있으며, 위쪽에 스프링 반력 조절나사(308)이 장착되어 있고, 이 하우징 베이스(306)는 저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배열된 안내봉(307)에 의해 고정 프레임(31) 위에 지지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31)의 안내봉(307)에 끼워져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승강 프레임(33)은 판형의 몸체 블록(309), 이 블록(309)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고정 프레임(31)의 상판(312)을 관통하여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승강축(311), 및 이들 승강축(311)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승강롤 블록(3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승강롤 블록(313)의 중앙에는 캠(34)과 밀착되는 승강롤러(31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몸체 블록(309)의 저면 양측단에는 승강 프레임(33)의 하강 거리를 일정 이하로 제한하도록 스토퍼(31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고정 프레임(31)과 승강 프레임(33)에 장착되어 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되어 온 냉매관(10) 스트랩을 파지/해제하는 클램프(35)는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턱(36)이 승강 프레임(33)의 몸체 블록(309) 저면 중앙에, 하부턱(37)이 고정 프레임(31) 상판(312)면 중앙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블 록(309)과 상판(312)의 전면에서부터 후면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나란하게 뻗어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클램프(35)의 앞쪽에는 냉매관(10) 스트랩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19) 한 쌍이 횡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끝으로, 고정 프레임(31) 내부에 장착된 캠(34)은 종방향으로 즉, 냉매관(10) 스트랩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캠축(3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강롤러(315)와 밀착되는 캠면의 소정 각도 구간(A)에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승강롤러(315)를 밀어올림으로써 승강 프레임(33)과 함께 상부턱(36)을 상승시켜 클램프(35)를 개방한다. 반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승강 프레임(33)이 스프링(303) 반력에 의해 하향 가압되므로 상부턱(36)과 하부턱(37)이 맞물려 냉매관(10) 스트랩을 파지하게 된다. 또한, 캠(34)을 지지하고 있는 캠축(32)은 도 7 및 9에 도시된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캠축(32)은 도 7 및 8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풀리(24), 전동벨트(미도시), 벨트풀리(421)를 거쳐 구동모터(20)와 연결된 후방 클램프 조립체(40)의 캠축(42)에 직결되어 있다. 그러나,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332)에 벨트풀리(321)를 달아 벨트풀리(24)와 전동벨트(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20)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내지 9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의 뒤쪽에 설치되는 후방 클램프 조립체(40)는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와 마찬가지로 냉매관(10) 스트랩을 파지/해제하는 클램핑 동작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노치(13) 가공 후 냉매관(10)을 파지한 상태로 후진하여 인장 파단하는 절단 동작도 겸하도록 되어 있 다. 이를 위해 후방 클램프 조립체(40)는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와 마찬가지로, 고정 프레임(41), 승강 프레임(43), 캠(44), 및 클램프(45)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후방 인장에 의한 절단 동작을 위해 왕복 프레임(49)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캠(44)에 반경방향 돌출부(48) 외에 축방향 돌출부(448)가 후면에 돌출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41)은 고정 프레임(31)에 비해 폭이 더 넓은 상자 형태로 되어 있고, 위쪽에 왕복 프레임(49)과 승강 프레임(43)이 지지되며, 아래쪽에 캠(44)이 설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고정 프레임(41)의 구조는 고정 프레임(3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승강 프레임(43)도 마찬가지로 승강 프레임(33)과 같이 판형의 몸체 블록(409), 승강롤 블록(413), 이들을 연결하는 승강축(411), 승강롤러(415), 및 스토퍼(417)로 구성되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후방 클램프 조립체(40)는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와는 달리 고정 프레임(41)과 승강 프레임(43) 사이에 도시된 것처럼 왕복 프레임(49)이 설치되는데, 이 왕복 프레임(49)은 고정 프레임(41)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프레임(41)의 개방구 내에는 왕복 프레임(49)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는 종이송 안내봉(423)이 부착되어 있다. 또, 캠(44)의 축방향 돌출부(448)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 왕복 프레임(49)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고정 프레임(41)의 후면 상단에는 반발 스프링(425)이 스프링 하우징(427)에 의해 종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425)은 반력 조절나사(426)에 의해 탄발력이 조 정된다. 왕복 프레임(49)의 저면 뒤쪽에는 또한, 측면롤러축(429)이 하향 연장되어 있는 바, 이 축(429)의 하단에는 캠(44)의 후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측면롤러(431)가 스냅링(432)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43)의 상부턱(46)과 함께 클램프(45)를 이루는 하부턱(47)은 클램프(35)와 달리 고정 프레임(41)이 아닌 왕복 프레임(49)의 상면 중앙에 상부턱(46)과 나란하게 부착되어 있다.
끝으로, 후방 클램프 조립체(40)의 캠(44)은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의 캠(34)과 마찬가지로 캠축(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캠면의 소정 각도 구간(A)에 반경방향 돌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캠(44)은 도 15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8)가 형성된 상승구간(A)에 연이어 캠축(42) 회전 방향으로 캠(44)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의 각도 구간(B)에 걸쳐 축방향 돌출부(44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진구간(B)에서 캠(44)은 돌출부(448)에 의해 측면롤러(431)를 가압하여 왕복 프레임(49)과 그 위의 승강 프레임(43) 즉, 클램프(45)를 뒤쪽으로 밀어 클램프(45)에 물려 노치(13) 가공된 냉매관(10) 스트랩을 인장 파단하게 된다.
아울러, 캠축(42)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7 및 9에 도시된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벨트풀리(24), 전동벨트(미도시), 벨트풀리(421)를 통해 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와 후방 클램프 조립체(40) 사이에 장착된 절단수단(7)은 후방 클램프 조립체(40)가 후방 인장동작을 하기 전에 미리 클램 프(35)와 클램프(45) 사이에 파지된 냉매관(10) 스트랩의 상하면에 압연날(51)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횡방향 노치(13)를 가공하는 공구로서, 도 18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하 한 쌍의 압연날(51), 이 압연날(51)을 고정하는 압연날 프레임(56), 이 압연날 프레임(56)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 조립체(6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먼저 압연날(51)은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상하부 압연날 뭉치(55)에 회전 가능하게 압연날 홀더(52)의 선단에 장착된 압연롤러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 삼각형의 노치(13)를 압하 가공하도록 원주면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된 원반 형태로 되어 있다. 또, 중심축(513)에 의해 압연날 홀더(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매관(10) 스트랩의 상하면 위를 횡이동할 때 이 면을 압하하면서 구르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횡방향 노치(13)를 냉매관(10) 스트랩 위에 가공한다. 이를 위해, 압연날 뭉치(55)는 아래 위로 마주보도록 ㄷ자형 압연날 프레임(56)의 함입부(501) 바깥쪽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며, 압연날(51)의 좌우에는 냉매관(10) 스트랩의 표면에 노치(13)를 압하할 때 발생되는 버를 제거하기 위한 버 제거롤(53)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 압연날 뭉치(55)를 횡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압연날 프레임(56)은 냉매관(10) 스트랩에 노치(13)를 압하하기 위해 횡이동할 때 냉매관(10) 스트랩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입부(501)를 갖는 ㄷ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수직바(503)에 의해 안내봉(57,58) 위에 횡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단에 횡이동을 일으키는 링크 조립체(61)가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505)이 돌출되어 있다. 이때, 도 7 내지 9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방 클램프 조립체(30,40)가 좌우로 두 쌍이 배열되면 압연날 프레임(56)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503)를 중심으로 배향하도록 두 개가 구비된다. 또한, 수직바(503)를 횡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지지하고 있는 안내봉(57,58)은 각각 내측 브래킷(507)과 외측 브래킷(508)에 의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위 아래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안내봉(57,58)이 관통하는 수직바(503) 부위에는 미끄럼 안내가 가능하도록 미끄럼 베어링(509,511)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때, 안내봉(57)은 도 19에서 알 수 있듯이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안내봉(57,58)을 따라 압연날 프레임(56)을 횡이동시키도록 압연날 프레임(56)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조립체(61)는 도 7 내지 9와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기어열(66,67), 커넥팅 로드(71), 및 푸시로드(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자 형태의 케이스(601)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9) 위에 지지된다.
여기에서, 기어열(66,67)은 1 대 2의 기어비로 치합되는 구동축(62) 기어(66)와 크랭크축(65) 기어(67)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축(62)의 일단에는 벨트풀리(603)를 통해 전동벨트(63)의 한 쪽 끝이 감겨져 있으며, 전동벨트(63)의 다른 쪽 끝은 도 13 및 14에 도시된 전방 클램프 조립체(30)의 벨트풀리(321)에 감겨져 있다. 따라서, 벨트풀리(321)가 장착된 캠축(332)의 회전력은 벨트풀리(321), 전동벨트(63), 벨트풀리(603)를 통해 구동축(62)에 전달되어 구동축(62)을 캠축(332)과 동기 회전시킨다.
또, 크랭크 기어(67)가 장착된 크랭크축(65)의 풀리(603) 반대쪽 끝에는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것처럼 크랭크 암(69)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크랭크 암(69)은 일단이 크랭크축(65)에, 타단이 커넥팅 로드(71)에 핀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크랭크축(65)을 중심으로 원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암(69)의 자유단에 일단이 핀(7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커넥팅 로드(71)는 도 8 및 9에 도시된 것처럼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 쪽으로 길게 연장된 봉체로서, 타단이 핀(75)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의 연결 브래킷(505)에 결합되어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매관 절단장치(1)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수단(2), 안내수단(3), 교정수단(4), 이송수단(5)이 종래의 냉매관 절단장치(1)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과 관련된 동작 설명을 생략하고, 절단수단(7)에 대해서만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공급수단(2)으로부터 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된 냉매관(10) 스트랩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절단수단(7)으로 공급된다. 이때, 절단수단(7)의 전후방 클램프 조립체(30,40)는 모두 도 11 내지 17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10) 스트랩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클램프(35,45)가 개방되어 있다. 즉, 도 12 및 17에 도시된 것처럼 동기 회전하는 캠(34,44)이 돌출부(38,48)에 의해 승강롤러(315,415)가 밀려 올라감으로써 승강 프레임(33,43)과 왕복 프레임(49)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턱(36,46)이 상승하면서 하부턱(37,47)과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S01).
곧이어, 캠(33,43)이 도 1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303)의 반력에 의해 승강롤러(315,415)가 원래의 캠면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따라서 승강 프레임(33,43)과 왕복 프레임(49)이 하강하여 상하부턱(36,46)(37,47) 사이에 놓인 냉매관(10) 스트랩을 파지하게 된다(S02).
이와 같이 클램프(35,45)에 의해 냉매관(10) 스트랩이 파지된 상태는 구간(S02)에서 구간(S02')까지 계속 유지되며, 이 동안 캠축(32,42,332)과 연동하는 링크 조립체(61)에 의해 횡운동하는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가 냉매관(10) 스트랩의 상하면에 도 10과 같은 횡방향 노치(13)를 가공한다.
즉, 캠축(32,42,332)과 벨트(63)로 연결된 구동축(62)이 캠축(32,42,332)과 연동하여 회전하면, 구동기어(66)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66)에 1 대 2의 기어비로 치합된 크랭크 기어(67)가 절반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암(69)도 대척위치까지 반회전하게 되며, 크랭크 암(69)에 핀결합된 커넥팅 로드(71)는 반 사이클의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왕복운동의 개시점을 크랭크 암(69)과 커넥팅 로드(71)가 일렬로 뻗어 있는 도 21에 도시된 전사점으로 정하면, 캠축(32,42,332)이 첫번째 회전하는 동안 크랭크 암(69)과 커넥팅 로드(71)는 도 21과 대척위치인 후사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가 도 19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냉매관(10) 스트랩을 한 차례 압하하게 된다. 계속해서, 캠축(32,42,332)이 두번째 회전을 하면,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가 도 21의 전사점 위치로 복귀하면서 압연 사이클을 완성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두번째 로 냉매관(10) 스트랩에 노치(13)를 가공한다. 이와 같이 링크 조립체(61)는 캠축(32,42,332)이 1회전하는 동안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가 반사이클의 왕복운동 즉, 한 차례의 횡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전후방 클램프 조립체(30,40)의 클램핑 및 후방인장 동작과 연동하여 냉매관(10) 스트랩에 노치(13)를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노치(13)가 가공된 뒤, 캠(43)이 S03의 위치에 오게 되면, 캠(43)의 축방향 돌출부(448)가 측면롤러(431)를 후방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왕복 프레임(49)과 승강 프레임(43)이 종이송 안내봉(423)을 타고 함께 후방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아직 클램프(45)에 파지되어 있는 냉매관(10) 스트랩은 노치(13) 부위에서 인장 파단이 일어나게 되며, 궁극에는 노치(13)를 따라 절단된다.
그리고 나서, 캠(33,43)이 S01위치로 복귀하면, 클램프(35,45)가 재차 개방되는 등 다음 번 절단 사이클이 재수행되며, 이러한 절단 사이클이 계속되면서 냉매관(10) 스트랩을 다수의 단위 냉매관(10)으로 절단하게 된다.
끝으로, 위와 같은 압연날에 의한 노치의 가공은 고정날인 커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냉매관 절단가공장치의 절단수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에 의하면, 캠에 의해 클램프의 클램핑 동작과 후방인장 동작을 연계시키고, 링크 조립체에 의해 캠의 클램핑 및 후방인장 동작과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의 압하동작을 기계적으로 연 동시킴으로써, 별도의 면취동작을 생략하여 이로 인해 요구되는 제어수요를 줄이고,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면취동작을 할 경우와 같이 면취동작에 의해 발생된 면취부위를 절단하기 위해 커터와 면취부위를 재정렬할 필요가 없고, 커터에 의한 절삭칩의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냉매관 스트랩에 대한 가공이 압연날에 의해 단 한 차례만 일어나므로 가공 정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취 후 절단할 때와 같이 절단 여재가 다량으로 발생되지 않으므로 냉매관의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관 절단에 따른 가공시간과 제어수요를 줄이고 재료의 수율은 높이는 등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가공 정도를 높여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냉매관 스트랩 상하면 위를 구르는 압연롤에 의해 절단할 부위를 압하하여 합입시킴으로써, 절삭칩을 발생을 최소화하고 노치를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쾌적한 작업 환경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이송수단(5)에 의해 이송된 냉매관(10) 스트랩을 절단하는 절단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 냉매관 절단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7)은 상하 한 쌍의 압연날 뭉치(5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하 한 쌍의 압연날(51), 상기 냉매관(10) 스트랩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압연날(51)을 지지하는 압연날 프레임(56), 및 상기 압연날 프레임(56)을 안내봉(57,58)을 따라 횡운동시키는 링크 조립체(61)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 슬라이더 조립체(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절단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한 쌍의 압연날(51)은 상기 압연날 뭉치(55)에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절단장치.
  3. 제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날 뭉치(55)에는 상기 압연날(51)을 중심으로 좌우에 버 제거롤(53)이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절단장치.
KR1020060078331A 2006-08-18 2006-08-18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KR10082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1A KR100820903B1 (ko) 2006-08-18 2006-08-18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1A KR100820903B1 (ko) 2006-08-18 2006-08-18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31A true KR20080016331A (ko) 2008-02-21
KR100820903B1 KR100820903B1 (ko) 2008-04-10

Family

ID=3938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331A KR100820903B1 (ko) 2006-08-18 2006-08-18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7297A (zh) * 2009-12-23 2011-06-29 张英镇 切割制冷剂管路装置用切口成型装置
KR101064397B1 (ko) * 2009-02-03 2011-09-14 강태훈 냉매관 노치 형성 기구
KR101286314B1 (ko) * 2011-05-19 2013-07-15 강태훈 냉매관 연결부 성형장치
KR20210073344A (ko) 2019-12-10 2021-06-18 오형동 냉매 관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066B1 (ko) * 2010-07-07 2012-03-13 (주)디엠피테크 냉매관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97B2 (ja) * 1989-01-30 1995-01-25 サンデン株式会社 熱交換器の偏平管の製造方法
JP3567499B2 (ja) * 1994-08-31 2004-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扁平チューブ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2599580B2 (ja) * 1995-04-06 1997-04-09 三ツ矢鉄工株式会社 紙管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70711A (ja) * 1995-09-05 1997-03-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偏平管切断用切断刃
KR20010044499A (ko) * 2001-02-28 2001-06-05 정무길 냉매관 절단가공장치의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97B1 (ko) * 2009-02-03 2011-09-14 강태훈 냉매관 노치 형성 기구
CN102107297A (zh) * 2009-12-23 2011-06-29 张英镇 切割制冷剂管路装置用切口成型装置
KR101286314B1 (ko) * 2011-05-19 2013-07-15 강태훈 냉매관 연결부 성형장치
KR20210073344A (ko) 2019-12-10 2021-06-18 오형동 냉매 관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903B1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17B1 (ko)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KR100820903B1 (ko) 압연날을 구비한 냉매관 절단장치
CN102862054B (zh) 一种全自动开槽折弯机
EP2647445B1 (en) Fin processing apparatus
CN108672589A (zh) 一种长u管折弯机及其操作方法
JP2617695B2 (ja) テーブル上での平らな加工物の横の合わせのための装置
KR100781237B1 (ko) 냉매관 절단장치
CN204523892U (zh) 自动u型打弯成型机
CN104588461A (zh) 自动u型打弯成型机
KR20170140537A (ko) 평판형 냉매관 제조장치
CN109290494B (zh) 金属丝自动穿管打圈机
CN108466059B (zh) 一种钢筋横移递进装置及钢筋套丝系统
EP0737115B1 (en) Gripper feeder for metal strip
CN116967626A (zh) 一种基于定切工艺的自动裁切装置
JP2002052450A (ja) 縁取り装置
CN109128849B (zh) 一种制造s接管的生产线
JP2004141928A (ja) 材料送り装置
CN1880011A (zh) 工件传送装置
CN108818984B (zh) 一种节能环保型微晶玻璃热处理智能化生产线
JP4676638B2 (ja) 主軸移動型旋盤用バーフィーダ
KR100414990B1 (ko) 튜브삽입장치
CN218602492U (zh) 一种极耳找正装置
EP1035354A2 (en) Chain-operated traction unit for drawing
CN220073916U (zh) 一种轧辊定位工装
CN109773276A (zh) 一种直柱状物料的双头端部处理方法及双头端部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12

Effective date: 2015062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804

Effective date: 20150915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13

Effective date: 201605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52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13

Effective date: 201605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51019

Effective date: 201607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9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51019

Effective date: 201607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6340; INVALIDATION OF CORREC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120;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106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15

Effective date: 2016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12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14

Effective date: 2016112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634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60823

Effective date: 201702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