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803A - 동력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803A
KR20080012803A KR1020070078258A KR20070078258A KR20080012803A KR 20080012803 A KR20080012803 A KR 20080012803A KR 1020070078258 A KR1020070078258 A KR 1020070078258A KR 20070078258 A KR20070078258 A KR 20070078258A KR 20080012803 A KR20080012803 A KR 2008001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armature
circumferential surfac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아키 호시노
마사키 오타
샤오리앙 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8001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5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 helical band or equivalent member co-operating with a cylindrical coupl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combined with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0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moving discs or pads away from one another against radial walls of drums or cylinders
    • F16D55/0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moving discs or pads away from one another against radial walls of drums or cylinders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제 1 로터 (61) 는 하우징 (12)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로터 (65) 는 회전축 (16) 과 일체로 회전한다. 동력 전달 기구 (60) 는 제 1 로터 (61) 로부터 제 2 로터 (65) 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류가 제공되면, 전자기 코일 (62) 이 전기자판 (78) 을 제 1 로터 (61) 에 부착할 수 있다. 제 1 로터 (61) 에 전기자판 (78) 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2 로터 (65) 를 제 1 로터 (61) 에 결합시킨다. 가압 부재 (74) 는 제 2 로터 (65) 에 수용된다. 가압 부재 (74) 는 회전축 (16) 및 전기자판 (78)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동력 전달 기구 (60) 는 콤팩트하고 높은 성능을 얻는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기구{POWER TRANSMISSION MECHANISM}
본 발명은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5 는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 59-107339 에 기재된 동력 전달 기구 (100) 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동력 전달 기구 (100) 는 차량 공기 조화장치의 냉매 압축기의 회전축 (106) 에 차량 엔진 (도시되지 않음) 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엔진의 동력을 받는 로터 (102) 는 베어링 (103) 에 의해 냉매 압축기의 하우징 (101) 에 대해 회전한다. 하우징 (101) 은 전자기 코일 (104) 을 구비한다.
디스크형 전기자 (107) 가 스플라인에 의해 회전축 (106) 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전자기 코일 (104) 이 통전, 비통전되면 전기자 (107) 는 회전축 (106) 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축 (106) 의 전방 단부는 스플라인 (106a) 을 구비한다. 전기자 (107) 는 스플라인 보어 (107a) 를 구비한다. 스플라인 (106a) 은 스플라인 보어 (107a) 에 삽입된다. 회전축 (106) 은 압축 코일 스프링 (108) 을 통과하여 있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 (108) 은 동력 전 달 기구 (100) 에서 회전축 (106) 주위에 위치된다.
전기가 공급되면, 전자기 코일 (104) 은 압축 코일 스프링 (108)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전기자 (107) 를 끌어당겨, 로터 (102) 에 전기자 (107) 를 연결시킨다. 그 결과, 엔진의 동력이 로터 (102) 로부터 전기자 (107) 에 전달되어, 회전축 (106) 을 회전시킨다.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전자기 코일 (104) 은 전기자 (107) 를 끌어당기지 않는다. 그 결과, 압축 코일 스프링 (108) 은 로터 (102) 로부터 전기자 (107) 를 분리시킨다. 이렇게 해서, 엔진의 동력은 로터 (102) 로부터 전기자 (107) 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회전축 (106) 은 정지한다.
회전축 (106) 의 스플라인 (106a) 과 전기자 (107) 의 스플라인 보어 (107a) 사이의 간극이 증가하면, 전기자 (107) 는 회전축 (106) 에 대해 떨리기 쉬우며, 스플라인 보어 (107a), 및 스플라인 (106a) 이 마모된다.
스플라인 (106a) 과 스플라인 보어 (107a) 사이의 간극이 감소하여 회전축 (106) 에 대한 전기자 (107) 의 떨림이 억제되면, 전기자 (107) 는 회전축 (106) 에 대해 매끄럽게 이동되지 못한다. 즉, 전기자 (107) 는 로터 (102) 에 대해 매끄럽게 이동될 수 없어, 동력 전달 기구 (100) 의 성능을 열화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고 우수한 성능의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회전 기계의 회전축에 외부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기구가 제공된다. 회전 기계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동력 전달 기구는 하우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로터를 구비한다. 외부 구동원은 제 1 로터에 동력을 입력한다. 제 1 로터는 제 1 원주면을 갖는다. 제 2 로터는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 2 로터는 제 1 로터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동력 전달 기구는 제 1 로터로부터 제 2 로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 로터는 제 2 원주면을 갖는다. 제 1 원주면과 제 2 원주면은 회전축의 축선을 따라 신장하는 공통의 가상 원통 상에 위치된다. 전기자판은 제 2 로터의 외측에 위치된다. 전기자판은 회전축의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회전축은 전기자판과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다. 전자기 코일은 제 1 로터의 외측에 위치된다.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기 코일은 전기자판을 제 1 로터에 부착할 수 있다. 제 1 로터에 전기자판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클러치는 제 2 로터를 제 1 로터에 결합시킨다. 스프링 클러치는 제 1 원주면과 제 2 원주면 주위에 감긴다. 가압 부재가 제 2 로터에 수용된다. 이 가압 부재는 제 1 로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전기자판을 가압한다. 가압 부재 는 회전축의 상기 단부와 전기자판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콤팩트하고 우수한 성능의 동력 전달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신규성이 있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특히 설명된다. 본 발명 및 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 따라서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은 차량의 공기 조화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 압축기 (10) 를 나타낸다. 도 1 의 화살표 (Y) 는 냉매 압축기 (10) 의 전방 및 후방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에서 좌측은 전방측, 우측은 후방측을 나타낸다. 회전 기계인 냉매 압축기 (10) 는 실린더 블록 (11), 전방 하우징 부재 (12), 및 후방 하우징 부재 (14) 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전방 하우징 부재 (12) 는 실린더 블록 (11) 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며, 후방 하우징 부재 (14) 는 실린더 블록 (11) 의 후방 단부에 부착된다. 실린더 블록 (11) 및 후방 하우징 부재 (14) 의 사이에는 흡입 밸브 형성판 (36), 밸브판 (13), 배출 밸브 형성판 (28), 그리고 리테이너 (33) 가 유지된다.
실린더 블록 (11) 및 전방 하우징 부재 (12) 는 제어 압력 챔버 (15) 를 형성한다. 실린더 블록 (11) 및 전방 하우징 부재 (12) 는 제어 압력 챔버 (15) 를 통해 신장하는 회전축 (16) 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전방 하우징 부재 (12) 의 전방 단부는 회전축 (16) 을 둘러싸는 지지 실린더 (12a) 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 기구인 전자기 클러치 (60) 는 외부 구동원인 엔진 (E) 을 회전축 (16) 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베어링 (18) 이 회전축 (16) 을 지지하여, 회전축 (16) 은 전방 하우징 (12) 에 대해 회전한다. 전방 하우징 부재 (12) 는 회전축 (16) 이 통과하는 축 밀봉 챔버 (20) 를 갖는다. 이 축 밀봉 챔버 (20) 는 축 밀봉 챔버 (21) 를 수용한다. 축 밀봉 챔버 (21) 는 회전축 (16) 의 원주면과, 이 회전축 (16) 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전방 하우징 부재 (12) 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실린더 블록 (11) 은 회전축 (16) 의 후방 단부 (16b) 를 수용하는 축 구멍 (11b) 을 포함한다. 축 구멍 (11b) 은 제 2 레디얼 베어링 (19) 을 수용한다. 이 제 2 레디얼 베어링 (19) 은 회전축 (16) 이 실린더 블록 (11) 에 대해 회전하도록, 회전축 (16) 의 후방 단부 (16b) 를 지지한다.
제어 압력 챔버 (15) 는 회전 지지부 (22) 및 사판 (24; swash plate) 을 수용한다. 회전 지지부 (22) 는 회전축 (16) 에 고정되어, 회전축 (16) 과 일체로 회전한다. 스러스트 베어링 (23) 이 회전 지지부 (22) 와 전방 하우징 부재 (12) 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된다. 사판 (24) 은 중심부에서 축 수용 구멍 (24a) 을 갖는다. 회전축 (16) 은 회전축 (16) 이 사판 (24) 을 하도록 축수용 구멍 (24a) 에 삽입된다. 힌지 기구 (25) 가 사판 (24) 과 회전 지지부 (22) 를 결합시킨다. 그 결과, 사판 (24) 은 회전축 (16) 및 회전 지지부 (22) 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회전축 (16) 의 축선 (L) 을 따라 미끄러진다. 힌지 기구 (25) 는 회전축 (16) 에 대한 사판 (24) 의 경사각이 변화되도록 해준다.
실린더 블록 (11) 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축 (16) 주위에 배치된 실린더 보어 (26) 를 갖는다. 이 실린더 보어 (26) 는 전후방 방향으로 실린더 블록 (11) 을 통해 형성된다. 도 1 은 하나의 실린더 보어 (26) 만 나타내고 있다. 각 실린더 보어 (26) 는 단두형 피스톤 (27) 을 수용한다. 이 피스톤 (27) 은 전후방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밸브판 (13) 이 실린더 보어 (26) 의 후방 개구부를 폐쇄하고, 피스톤 (27) 은 실린더 보어 (26) 의 전방 개구부를 폐쇄한다. 그 결과, 압력 챔버 (37) 가 각 실린더 보어 (26) 에 형성된다. 피스톤 (27) 의 왕복운동에 따라, 압력 챔버 (37) 의 부피가 변한다. 각 피스톤 (27) 은 한 쌍의 슈 (29) 에 의해 사판 (24) 의 주변부에 결합된다.
후방 하우징 부재 (14) 는 흡입 챔버 (30) 및 배출 챔버 (31) 를 구비한다. 흡입 압력 구역인 흡입 챔버 (30) 는 후방 하우징 부재 (14) 의 중심부에 위치되며, 배출 압력 구역인 배출 챔버 (31) 는 흡입 챔버 (30) 를 둘러싼다. 흡입 챔버 (30) 및 배출 챔버 (31) 는 밸브판 (13) 과 대향한다. 밸브판 (13) 은 각 실린더 보어 (26)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흡입 포트 (32) 및 배출 포트 (34) 를 구비한다. 흡입 포트 (32) 는 배출 포트 (34) 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흡입 밸브 형성판 (36) 은 각 흡입 포트 (32)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흡입 밸 브 플랩 (36a) 을, 그리고 각 배출 포트 (34)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배출 구멍 (36b) 을 구비한다. 배출 밸브 형성판 (28) 은 각 배출 포트 (34)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배출 밸브 플랩 (28a) 을, 그리고 각 흡입 포트 (32)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흡입 구멍 (28b) 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33) 는 배출 밸브 플랩 (28a) 의 개도를 제한한다.
각 피스톤 (27) 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흡입 챔버 (30) 의 냉매는 흡입 밸브 플랩 (36a) 을 구부리면서 흡입 구멍 (28b) 과 흡입 포트 (32) 를 통해 압력 챔버 (37) 내로 유입된다. 피스톤 (27) 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 점으로 이동하면, 압력 챔버 (37) 의 냉매는 압축되고, 배출 밸브 플랩 (28a) 을 구부리면서 배출 구멍 (36b) 과 배출 포트 (34) 를 통해 배출 챔버 (31) 로 배출된다. 배출 챔버 (31) 의 고압 가스는 흡입 챔버 (30) 에 연결된 외부 냉매 회로 (도시되지 않음) 로 인도된다. 냉매 압축기 (10) 및 외부 냉매 회로는 냉매 순환 회로를 형성한다. 외부 냉매 회로를 통과한 후, 냉매 가스는 흡입 챔버 (30) 로 유입된다. 실린더 블록 (11), 회전축 (16), 회전 지지부 (22), 사판 (24), 힌지 기구 (25), 피스톤 (27) 및 슈 (29) 는 냉매 압축기 (10) 의 압축 기구를 형성한다. 엔진 (E) 은 회전축 (16) 을 통해 압축 기구를 구동시킨다.
냉매 압축기 (10) 는 용량 제어 밸브 (52), 배출로 (53), 및 공급로 (54) 를 포함한다. 공급로 (54) 는 배출 챔버 (31) 의 냉매 가스를 제어 압력 챔버 (15) 에 공급한다. 배출로 (53) 는 제어 압력 챔버 (15) 의 냉매 가스를 흡입 챔버 (30) 에 방출한다. 용량 제어 밸브 (52) 는 공급로 (54) 를 개방 및 폐쇄 하여 제어 압력 챔버 (15) 의 압력을 제어한다. 전자기 밸브인 용량 제어 밸브 (52) 는 후방 하우징 부재 (14) 에 수용된다.
제어 압력 챔버 (15) 의 압력이 변하면, 제어 압력 챔버 (15) 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 (26) 의 압력의 차가 변한다. 따라서, 사판 (24) 의 경사각이 변한다. 그 결과, 각 피스톤 (27) 의 스트로크, 즉 압축기 (10) 의 용량이 조정된다.
전자기 스프링 클러치인 전자기 클러치 (60) 가 이하 설명된다.
전자기 클러치 (60) 는 로터 (61), 허브 (65), 전기자판 (78), 전가기 코일 (62), 스프링 클러치 (71), 및 가압 스프링 (74) 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레디얼 베어링 (70) 이 로터 (61) 가, 지지 실린더 (12a) 의 외주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이 로터 (61) 를 지지한다. 제 1 로터인 로터 (61) 는 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로터 (61) 는 벨트 수용부 (61a), 피지지 실린더 (61b), 커플링 실린더 (61d), 및 커플링 플랜지 (61e) 인 일체형 구성품들을 포함한다. 제 3 레디얼 베어링 (70) 의 외부 링은 피지지 실린더 (61b) 를 지지한다. 커플링 실린더 (61d) 는 피지지 실린더 (61b) 로부터 전방으로 신장해 있다. 커플링 실린더 (61d) 는 축선 (L) 을 따라 신장하며, 지지 실린더 (12a) 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커플링 플랜지 (61e) 는 피지지 실린더 (61b) 와 커플링 실린더 (61d) 사이의 경계로부터 반경방향 외부측으로 신장해 있다. 벨트 수용부 (61a) 는 커플링 플랜지 (61e) 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축선 (L) 을 따라 후방 하우징 부재 (14) 를 향해 신장한다. 벨트 수용부 (61a) 및 피지지 실린더 (61b) 는 이중 원통 구조를 형성한다. 벨트 수용부 (61a) 는 피지지 실린더 (61b) 를 수용한다. 벨트 (도시되지 않음) 는 엔진 (E) 의 출력축과 벨트 수용부 (61a) 에 걸린다. 즉, 엔진 (E) 구동시, 로터 (61) 는 항상 회전된다.
자성 재료로 제조된 지지부 (63) 는 전방 하우징 부재 (12) 의 전방 벽 (12b) 에 대해 전자기 코일 (62) 을 지지한다. 즉, 지지부 (63), 또는 수용 본체는 전자기 코일 (62) 을 수용한다. 벨트 수용부 (61a), 피지지 실린더 (61b), 및 커플링 플랜지 (61e) 는 환상 수용 리세스 (61c) 를 형성한다. 지지부 (63) 는 수용 리세스 (61c) 에 위치된다. 원통형 지지부 (63) 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신장한 환상 플랜지 (64) 를 포함한다. 플랜지 (64) 는 전방 벽 (12b) 및 지지 실린더 (12a) 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된다. 전자기 코일 (62) 로의 전류 공급은 정방향과 역방향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수용 리세스 (61c) 의 내면과 지지부 (63)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특히, 벨트 수용부 (61a) 의 내주면과 지지부 (63) 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며, 피지지 실린더 (61b) 와 지지부 (63) 의 내주면 사이에는 다른 간극이 존재한다. 즉, 로터 (61) 는 전자기 코일 (62) 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영구 자석 (73) 이 수용 리세스 (61c) 에 끼워져 있다. 이 영구 자석 (73) 은 전자기 코일 (62) 의 전방에 위치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로터인 허브 (65) 는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에 고정된다. 즉, 허브 (65) 는 회전축 (16) 과 일체로 회전한다. 허브 (65) 는 허브 실린더 (66) 및 허브 플랜지 (67) 인 일체형 구성품을 포함한다.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는 허브 실린더 (66) 내로 삽입되어, 허브 실린더 (66) 는 회전축 (16) 에 부착된다. 허브 실린더 (66) 은 축선 (L) 을 따라 신장해 있다. 허브 플랜지 (67) 는 허브 실린더 (66) 의 전방 단부로부터 축선 (L) 에 대해 수직하게 벌려져 있다. 허브 실린더 (66) 는 중심에서 분할벽 (68) 을 갖는다. 이 분할 벽 (68) 은 허브 실린더 (66) 의 내부를 전방으로 개방된 제 1 리세스 (66a) 및 후방으로 개방된 제 2 리세스 (66b) 로 나눈다.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는 스플라인에 의해 제 2 리세스 (66b) 에 끼워진다. 그 결과, 허브 (65) 의 회전력은 회전축 (16) 에 충분히 전달된다. 제 1 리세스 (66a) 는 고정 볼트 (76) 를 수용한다. 고정 볼트 (76) 는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를 분할 벽 (68) 에 고정한다. 따라서, 허브 (65) 는 회전축 (16) 에 대해 축선 (L) 을 따라 움직이지 못한다.
허브 플랜지 (67) 의 후방 표면은 커플링 실린더 (61d) 의 전방면을 향한다. 커플링 실린더 (61d) 는 제 1 외주면 (61s) 을 가지고, 허브 플랜지 (67) 는 제 2 외주면 (67s) 을 갖는다. 즉, 제 1 외주면 (61s) 은 로터 (61) 의 외주면이고, 제 2 외주면 (67s) 은 허브 (65) 의 외주면이다.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은 축선 (L) 주위의 공통의 가상 원통 상에 있다. 제 2 외주면 (67s) 의 직경은 제 1 외주면 (61s) 의 직경과 동일하다.
전기자판 (78) 은 전방에서 허브 (65) 를 덮는다. 즉, 전기자판 (78) 은 허브 (65) 의 외측에 위치한다. 전기자판 (78) 은 커버 (69) 및 전기자 (72) 를 포함한다. 커버 (69) 는 폐쇄 단부를 갖는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전방에서 허브 (65) 와 커플링 실린더 (61d) 를 덮는다. 즉, 커버 (69) 는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을 덮는다. 커버 (69) 는 허브 (65) 의 전방 단부 및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와 대향한다. 커버 (69) 는 개방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려진 지지 플랜지 (69b) 를 갖는다. 환상 전기자 (72) 가 지지 플랜지 (69b) 에 부착된다. 전기자 (72) 는 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축선 (L) 과 관련하여, 전기자 (72) 는 지지 플랜지 (69b) 및 로터 (61) 의 커플링 플랜지 (61e) 사이에 위치된다. 즉,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전기자 (72), 커플링 플랜지 (61e), 영구 자석 (73), 및 전자기 코일 (62)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지지 볼트 (79) 가 전기자판 (78) 이 허브 (65) 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전기자판 (78) 을 허브 (65) 에 결합시킨다. 즉, 전기자판 (78) 은 허브 (65) 에 대해 축선 (L) 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체결 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지지 볼트 (79) 는 축선 (L) 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에서 커버 (69) 를 허브 플랜지 (67) 에 고정시킨다. 커버 (69) 는 축선 (L) 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에서 관통공 (69a) 을 포함한다. 각 지지 볼트 (79) 는 대응 관통공 (69a) 을 통과하여, 허브 플랜지 (67) 에 나사결합된다. 환언하면, 전기자판 (78) 은 허브 (65) 의 전방에 위치하여, 즉 전자기 클러치 (60) 의 기구에서 허브 (65) 의 외측에 위치하여, 허브 (65) 에 결합된다. 커버 (69) 의 중심부는 제 1 리세스 (66a) 와 대향한다.
각 지지 볼트 (79) 는 볼트 헤드 (79a), 축부 (79b), 및 나사부 (79c) 를 포 함한다. 축부 (79b) 는 볼트 헤드 (79a) 로부터 신장하며, 나사부 (79c) 는 축부 (76b) 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나사부 (76c) 는 허브 플랜지 (67) 에 나사결합된다. 볼트 헤드 (79a) 의 직경은 관통공 (69a) 의 직경 보다 크다. 축부 (79b) 의 직경은 관통공 (69a) 보다 작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 (CL) 이 관통공 (69a) 의 원주면과 지지 볼트 (79) 사이에 존재한다. 축부 (79b) 의 축선 (L) 방향 치수는 커버 (69) 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전기자판 (78) 은 볼트 헤드 (79a) 및 허브 플랜지 (67) 사이에서 축선 (L)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환언하면, 전기자판 (78) 은 로터 (61), 허브 (65), 및 회전축 (16) 에 대해 축선 (L)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전기자 (72) 는 커플링 플랜지 (61e) 와 대면하는 제 2 마찰면 (72f) 을 갖는다. 커플링 플랜지 (61e) 는 전기자 (72) 와 대면하는 제 1 마찰면 (61f) 을 갖는다. 제 2 마찰면 (72f) 은 전기자 마찰면이고, 제 1 마찰면 (61f) 은 로터 마찰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69) 가 볼트 헤드 (79a) 와 접촉하면, 제 1 공간 (S1) 이 제 2 마찰면 (72f) 와 제 1 마찰면 (61f) 사이에 존재한다.
제 1 리세스 (66a) 의 원주면,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는 동축으로 배치된다. 제 1 리세스 (66a) 는 가압 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가압 스프링 (74) 을 수용한다. 코일 스프링인 가압 스프링 (74) 은 회전축 (16) 및 전기자판 (78) 사이에 위치된다. 환언하면, 가압 스프링 (74) 은 회전축 (16) 의 전방에 위치된다. 가압 스프링 (74) 은 커버 (69) 의 중심부와 접촉하는 전 방 단부 (74a) 및 분할 벽 (68) 과 접촉하는 후방 단부 (74b) 를 구비한다.
가압 스프링 (74) 은 로터 (61) 로부터 멀어지도록 전기자판 (78) 을 가압한다. 즉, 가압 스프링 (74) 은 제 1 마찰면 (61f) 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마찰면 (72f) 을 가압한다. 볼트 헤드 (79a) 는 커버 (69) 의 전방 이동의 한계를 규정한다. 전기자판 (78) 이 볼트 헤드 (79a) 에서 멀어지도록 움직이면, 가압 스프링 (74) 이 수축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69) 가 볼트 헤드 (69a) 와 접촉하면, 제 2 공간 (S2) 이 커버 (69) 와 허브 (65) 사이에 존재한다. 제 2 공간 (S2) 은 제 1 공간 (S1) 보다 크다. 즉, 제 2 마찰면 (72f) 은 허브 (65) 에 커버 (69) 를 접촉시키지 않고 제 1 마찰면 (61f) 과 접촉한다.
정방향으로 전류가 전자기 코일 (62) 에 공급되면, 영구 자석 (73) 에 의해 생성된 자속과 전자기 코일 (62) 에 의해 생성된 자속은 전기자 (72) 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전기자 (72) 는 가압 스프링 (74)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로터 (61) 에 부착된다. 전기자 (72) 가 로터 (61) 와 접촉한 상태에서, 로터 (61) 및 전기자 (72) 는 영구 자석 (73) 의 자속이 흐르는 폐자속 회로를 형성한다. 환언하면, 커플링 플랜지 (61e) 및 전기자 (72) 는 폐자속 회로를 형성한다. 폐자속 회로에서 흐르는 영구 자석 (73) 의 자속은 전기자 (72) 를 로터 (61) 에 확실하게 부착시킨다. 따라서, 전기자 (72) 가 로터 (61) 에 부착되는 경우, 전자기 코일 (62) 에 대한 전류 공급이 중단되면, 전기자 (72) 는 가압 스프링 (74)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로터 (61) 에 계속 부착된다. 따라서, 분리 된 상태에서 전자기 클러치 (60) 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잠시 동안 정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기만 하면 된다. 그 후, 전자기 코일 (62) 에 대한 전류 공급이 중단되어도, 전자기 클러치 (60) 의 결합 상태는 유지된다. 그 결과,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역방향 전류가 전자기 코일 (62) 에 공급되는 경우, 영구 자석 (73) 에 의해 생성된 자속 및 전자기 코일 (62) 에 의해 생성된 자속은 전기자 (72) 에서 역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전기자 (72) 를 끌어당기는 영구 자석 (73) 의 힘은 전자기 코일 (62) 의 자속에 의해 상쇄된다. 그 결과, 전기자 (72) 는 가압 스프링 (74) 의 가압력에 의해 로터 (61) 로부터 분리된다. 즉, 제 2 마찰면 (72f) 은 제 1 마찰면 (61f) 으로부터 분리된다. 전기자 (72) 가 로터 (61) 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자 (72) 및 로터 (61) 는 영구 자석 (73) 의 자속이 흐르는 폐쇄 자속 회로를 형성하지 않는다. 개방 자속 회로의 상태에서, 전자기 코일 (62) 에 대한 전류 공급이 중단되면, 가압 스프링 (74) 은 영구 자석 (73) 의 자기력에 대항하여 로터 (61) 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전기자 (72) 를 유지한다. 즉, 가압 스프링 (74) 의 힘은 폐쇄 자속 회로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 (73) 의 자기력보다 작지만, 개방 자속 회로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 (73) 의 자기력 보다는 크다. 따라서,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기 클러치 (60) 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잠시 동안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기만 하면 된다. 그 후, 전자기 클러치 (60) 의 분리 상태는 전자기 코일 (62) 으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유지된다. 즉, 전자기 클러치 (60) 의 결합 상태와 분리 상태가 전환하는 경우 전자기 코일 (62) 에 전류가 공급되기만 하면 된다. 그 결과, 전력 소비는 줄어든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주위에 감겨 있긴다.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주위에 감기며, 또한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사이에서 축선 (L) 을 따르는 공간에서 신장해 있다. 스프링 클러치 (71) 는 커버 (69) 의 내주면 (69d) 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즉,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1 외주면 (61s) 과 커버 (69) 사이의 공간, 그리고 제 2 마찰면 (72f) 과 커버 (69)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클러치 (71) 는 허브 플랜지 (67) 에 부착된 제 1 단부 (71a) 및 전기자 (72) 에 부착된 제 2 단부 (71b) 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찰면 (72f) 이 제 1 마찰면 (61f) 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전기자 (72) 는 허브 (65) 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스프링 클러치 (71) 의 직경은 제 1 외주면 (61s) 의 직경과 제 2 외주면 (67s) 의 직경 보다 크다. 즉,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1 외주면 (61s) 과 제 2 외주면 (67s) 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찰면 (72f) 이 제 1 마찰면 (61f) 에 부착되는 경우, 로터 (61) 의 회전은 허브 (65) 에 대한 전기자 (72) 의 회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클러치 (71) 가 그 직경이 감소되면서 비틀리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 클러치 (71) 는 제 1 외주면 (61s) 과 제 2 외주면 (67s) 주위 에 감기게 된다.
전자기 클러치 (60) 의 작동이 이하 설명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찰면 (72f) 이 제 1 마찰면 (61f)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방향의 전류가 전자기 코일 (62) 에 공급되면, 전자기 코일 (62) 의 자속은 영구 자석 (73) 의 자속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제 2 마찰면 (72f) 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 (74) 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 1 공간 (S1) 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축선 (L) 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마찰면 (61f) 에 부착된다. 그 결과, 로터 (61) 는 회전 방향에 대해 전기자판 (78) 에 결합된다.
그 결과, 로터 (61) 는 회전하고, 전기자판 (78) 도 회전한다. 또한, 전기자판 (78) 이 허브 (65) 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스프링 클러치 (71) 의 직경이 감소되고, 스프링 클러치 (71) 은 회전 방향에 대해 제 1 외주면 (61s) 을 제 2 외주면 (67s) 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로터 (61) 의 회전은 스프링 클러치 (71) 를 통해 허브 (65) 에 전달된다. 로터 (61) 의 회전은 전기자판 (78) 및 지지 볼트 (79) 를 통해 허브 (65) 에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기 코일 (62) 의 전자기력, 영구 자석 (73) 의 자기력, 및 스프링 클러치 (71) 의 권취력은 허브 (65) 를 로터 (61) 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제 2 마찰면 (72f) 이 제 1 마찰면 (61f) 에 부착하는 경우, 로터 (61) 의 회전이 제 1 마찰면 (61f) 과 제 2 마찰면 (72f)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전기자 (72) 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전달된 회전이 허브 (65) 에 대해 전기자 (72) 를 회전시키는 작용을하기 때문에, 스프링 클러치 (71) 의 감소된 직경이 유지된다. 즉, 스프링 클러치 (71) 가 제 2 외주면 (67a) 에 제 1 외주면 (61s) 을 결합시키는 상태가 유지된다.
제 2 마찰면 (72f) 이 제 1 마찰면 (61f) 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기 코일 (62) 으로의 전류가 중지되면, 영구 자석 (73) 의 자기력은 제 2 마찰면 (72f) 을 제 1 마찰면 (61f) 에 계속 부착시킨다. 그 결과, 스프링 클러치 (71) 는 로터 (61) 를 허브 (65) 에 계속 결합시킨다. 따라서, 전자기 클러치 (60) 는 회전축 (16) 에 엔진 (E) 의 동력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전류가 역방향으로 전자기 코일 (62) 에 가해지면, 전기자 (72) 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감소되고, 스프링 (74) 은 제 1 마찰면 (61f) 으로부터 제 2 마찰면 (72f) 을 분리시킨다. 그 결과, 전자기 클러치 (60) 가 결합해제되고, 로터 (61) 는 전기자 (72) 로부터 분리된다. 즉, 로터 (61) 는 허브 (65) 로부터 분리되고, 엔진 (E) 으로부터 회전축 (16) 으로의 동력 전달은 중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1) 허브 (65) 는 가압 스프링 (74) 을 수용한다. 가압 스프링 (74) 은 로터 (61) 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자판 (78) 을 가압한다. 가압 스프링 (74) 은 회전축 (16) 의 전방 단부 (16a) 와 전기자판 (78) 사이에 위치된다. 즉, 가압 스프링 (74) 은 전자기 클러치 (60) 의 기구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자기 클러치 (60) 의 크기 증가가 방지된다.
(2) 전기자판 (78) 은 허브 (65) 에 대해 축선 (L)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 다. 가압 스프링 (74) 는 로터 (61) 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자판 (78) 을 가압한다. 로터 (61) 가 받는 회전력은 로터 (61) 가 전기자판 (78) 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프링 클러치 (71) 를 통해 허브 (65) 에 전달된다. 허브 (65) 의 회전력은 회전축 (16) 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허브 (65) 는 회전축 (16) 에 대해 축선 (L) 을 따라 이동가능할 필요가 없다. 즉, 축선 (L) 을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 또는 커플링 구조가 허브 (65) 및 축 (16)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회전축 (16) 과 허브 (65)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허브 (65) 가 회전축 (16) 과 떨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허브 (65) 는 회전축 (16) 에 대해 이동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전자기 클러치 (60) 의 성능은 예컨대, 회전축 (16) 에 대한 허브 (65) 의 매끄럽지 못한 움직임에 의해 열화되지 않는다.
(3) 전자기 클러치 (60) 는 스프링 클러치 (11) 를 갖는다. 전자기 클러치 (60) 는 스프링 클러치 (71) 가 감기는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a) 을 필요로 한다. 가압 스프링 (74) 을 수용하는 제 1 리세스 (66a) 의 원주면은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과 동축이다. 허브 (65) 는 제 1 외주면 (61s) 및 제 2 외주면 (67s) 의 반경방향 내측 위치에서 제 1 리세스 (66a) 를 갖는다. 따라서, 전자기 클러치 (60) 가 스프링 클러치 (71) 및 가압 스프링 (74) 을 가질지라도, 전자기 클러치 (60) 의 크기는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하지 않는다.
(4) 가압 스프링 (74) 의 전방 단부 (74a) 는 전기자판 (78) 의 중심부를 가 압하여, 로터 (61) 로부터 멀어지도록 전기자판 (78) 을 가압한다. 가압 스프링 (74) 은, 전기자판 (78) 이 축선 (L) 에 대해 경사지지 않도록 전기자판 (78) 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 2 마찰면 (72f) 은 제 1 마찰면 (61f) 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전기자 (72) 는 로터 (61) 에 확실하게 부착되며, 이리하여 전자기 클러치 (60) 의 정확한 성능이 개선된다.
(5) 전자기 코일 (62) 으로의 정방향 전류가 중단되면, 영구 자석 (73) 의 자속은 로터 (61) 에 전기자 (72) 를 결합시킨다. 스프링 클러치 (71) 는 허브 (65) 에 로터 (61) 를 결합시킨다. 그 결과, 동력은 로터 (61) 로부터 허브 (65) 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 (61) 가 영구 자석 (73) 의 자속만으로 전기자 (72) 에 결합되는 것과 비교하면, 전자기 클러치 (70) 의 최대 전달가능 동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엔진 (E) 으로부터 회전축 (16) 으로의 최대 전달가능 동력이 증가한다. 자속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영구 자석 (73) 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마찰면 (61f) 과 제 2 마찰면 (72f) 사이의 마찰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마찰면 (61f) 및 제 2 마찰면 (72f) 을 확대할 필요가 없다. 전자기 클러치 (60) 의 최대 전달가능 동력은 클러치 (60) 의 크기의 증가 없이 증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61) 의 영구 자석 (73) 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 코일 (62) 에 전류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전자기 클러치 (60) 가 결합되며, 전자기 클러치 (60) 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기간 동안, 전자 기 클러치 (60) 은 결합해제된다.
가압 부재는 스프링일 필요는 없으며, 한쌍의 영구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영구 자석이 제 1 리세스 (66a) 에 수용되고, 제 2 영구 자석이 전기자판 (78) 에 고정된다. 제 1 영구 자석 및 제 2 영구 자석은 서로 반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전자기 클러치 (60) 는 전자기 코일 (62) 에 역방향 전류를 공급하여 결합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 클러치 (60) 는 전자기 코일 (62) 에 정방향 전류를 공급하여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영구 자석 (73) 의 배향은 상기된 실시예의 배향과 반대로 된다.
냉매 압축기 (10) 는 단두 피스톤형 압축기일 필요는 없으며, 쌍두 피스톤형 압축기일 수 있다.
냉매 압축기 (10) 는 요동형 압축기일 수 있다. 즉, 사판 (24) 은 회전축 (16) 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회전 지지부 (22) 는 회전축 (16) 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냉매 압축기 (10) 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일 필요는 없으며, 피스톤 (27) 의 스트로크가 변하지 않는 고정 용량형 압축기일 수 있다.
전자기 클러치 (60) 가 회전 기계와 외부 구동원 사이에 위치되면, 회전 기계는 피스톤형 냉매 압축기 (10) 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로터는 로터 (61) 일 필요는 없으며, 스프로켓 또는 기어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매 압축기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는 결합해제된 상태에 있는 도 1 의 전자기 클러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겹합 상태에 있는 도 2 의 전자기 클러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변형예에 따른 전자기 클러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전형적인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매 압축기 11. 실린더 블록
12. 전방 하우징 부재 14. 후방 하우징 부재
16. 회전축 60. 동력 전달 기구
61. 제 1 로터 62. 제 2 로터

Claims (5)

  1. 하우징 (11, 12, 14) 을 갖는 회전 기계 (10) 의 회전축 (16) 에 외부 구동원 (E) 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기구 (60) 로서,
    하우징 (11, 12, 14)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원주면 (61s) 을 가지며, 외부 구동원 (E) 의 동력이 입력되는 제 1 로터 (61),
    회전축 (16) 과 일체로 회전하고, 제 1 로터 (61) 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동력 전달 기구 (60) 에 의해 제 1 로터 (61) 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 2 로터 (62) 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 (60) 에 있어서,
    제 2 로터 (65) 는 제 2 원주면 (67s) 을 가지고, 제 1 원주면 (61s) 및 제 2 원주면 (67s) 은 회전축 (16) 의 축선 (L) 을 따라 신장하는 공통의 가상 원통 상에 위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제 2 로터 (65) 의 외측에 위치되며, 회전축 (16) 의 축선 (L) 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회전축 (16) 의 단부 (16a) 와 대향하는 전기자판 (78),
    전류 공급시 제 1 로터 (61) 에 전기자판(78) 을 부착할 수 있으며, 제 1 로터 (61) 내측에 위치되는 전자기 코일 (62),
    전기자판 (78) 이 제 1 로터 (61) 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 2 로터 (65) 를 제 1 로터 (61) 에 결합시키고, 제 1 원주면 (61s) 및 제 2 원주면 (67s) 주위에 감기는 스프링 클러치 (71), 및
    제 2 로터 (65) 에 수용되며, 제 1 로터 (61) 로부터 멀어지도록 전기자판 (78) 을 가압하며, 상기 단부 (16a) 와 전기자판 (78)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7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기구 (60).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 (74) 는 전기자판 (78) 의 중심부를 누르는 가압 단부 (74a)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기구 (60).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로터 (65) 는 회전축 (16) 이 통과하는 허브 실린더 (66) 를 포함하며, 이 허브 실린더 (66) 는 가압 부재 (74) 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기구 (6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 및 회전축 (16) 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기계 (10).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축 (16) 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기구 (27) 를 특징으로 하는 회전 기계 (10).
KR1020070078258A 2006-08-04 2007-08-03 동력 전달 기구 KR20080012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3042A JP2008039028A (ja) 2006-08-04 2006-08-04 動力伝達機構
JPJP-P-2006-00213042 2006-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803A true KR20080012803A (ko) 2008-02-12

Family

ID=3865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58A KR20080012803A (ko) 2006-08-04 2007-08-03 동력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31749A1 (ko)
EP (1) EP1884678A1 (ko)
JP (1) JP2008039028A (ko)
KR (1) KR20080012803A (ko)
CN (1) CN101117986A (ko)
BR (1) BRPI07022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8592B2 (ja) * 2008-06-18 2013-07-17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BRPI0921534B1 (pt) 2008-11-17 2021-01-19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dispositivo embreado
US8485331B2 (en) 2008-11-17 2013-07-16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Driven accessory with low-power clutch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ame
WO2012024790A2 (en) 2010-08-24 2012-03-0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Clutched driven device and associated clutch mechanism
CN103180629B (zh) 2010-10-04 2016-10-05 利滕斯汽车合伙公司 具有用于部件选择性运转的离合器的从动部件
DE102012009324A1 (de) * 2012-05-08 2013-11-14 Compact Dynamics Gmbh Elektrisch zu betätigende Kupplung
JP2017156441A (ja) * 2016-02-29 2017-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207083A (ja) * 2016-05-16 2017-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
EP3719339A1 (en) * 2019-04-05 2020-10-07 Gomecsys B.V. An apparatus including an adjusting system for adjusting a rotational position of a shaft with respect to a shaft hold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5470A (en) * 1959-07-17 1962-09-25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Magnetic clutch with stationary winding
GB883608A (en) * 1960-03-03 1961-12-06 Normalai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lutches
US3899061A (en) * 1974-04-29 1975-08-12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Excitation control for normally engaged, electrically released magnetic coupling
US4194607A (en) 1977-01-14 1980-03-25 Diesel Kiki Company, Ltd. Electro-magnetic spring-wound clutch
AU4791279A (en) * 1978-06-12 1979-12-20 Diesel Kiki Co. Ltd. Clutch
JPS60113825A (ja) * 1983-11-18 1985-06-20 Nippon Denso Co Ltd 電磁スプリングクラッチ
US6578688B2 (en) * 2001-11-02 2003-06-17 North Coast Clutch Company, Inc. Spline cushion clutch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JP4232155B2 (ja) * 2002-02-12 2009-03-04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電磁クラッチ
JP2005076684A (ja) * 2003-08-28 2005-03-24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7986A (zh) 2008-02-06
BRPI0702223A (pt) 2008-04-01
JP2008039028A (ja) 2008-02-21
EP1884678A1 (en) 2008-02-06
US20080031749A1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2803A (ko) 동력 전달 기구
US8371426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8757988B2 (en) Capacity control valve
EP1207316A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EP0611887B1 (en) Fluid pressure generation apparatus
EP1122428A2 (en) Piston type compressor and compressor assembly method
US6283722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EP1867872A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JP2002174172A (ja) 回転機械ユニット
EP1197672A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JP2000283028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20040265144A1 (en) Hybrid compressor
US6821094B2 (en) Hybrid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clutch mechanisms
US10851842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07127081A (ja) 圧縮機
KR100326163B1 (ko) 차량의 에어콘 압축기
EP1918582A2 (en) Bearing structure in rotating machine
JP2001263228A (ja) ピストン式圧縮機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1020859A (ja) ハイブリッドコンプレッサ
JPH11304027A (ja) 圧力制御弁のシール構造
JP4051203B2 (ja) 圧縮機
JP2006090187A (ja) 圧縮機
JP2008255930A (ja) 揺動斜板型コンプレッサ
JP2003286943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2005256760A (ja) ハイブリッド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