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014A -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014A
KR20080012014A KR1020060072917A KR20060072917A KR20080012014A KR 20080012014 A KR20080012014 A KR 20080012014A KR 1020060072917 A KR1020060072917 A KR 1020060072917A KR 20060072917 A KR20060072917 A KR 20060072917A KR 20080012014 A KR20080012014 A KR 2008001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amage prevention
vehicle
damage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김진선
Original Assignee
김태환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김진선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06007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014A/ko
Publication of KR2008001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다수의 주름층으로 형성시키고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키며 접철상태에 따라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손방지책과, 상기 파손방지책의 주름층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와, 상기 파손방지책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의 상부 내부패널에 고정시키고 하부는 도어의 내부패널 하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차량, 도어, 보호, 파손, 와이어 , 자석, 공기압착기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Door damage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b,c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b,c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차량의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파손방지책을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파손방지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00 : 도어 파손보호장치
110 : 파손방지책 111 : 주름층
112 : 완충부 113 : 공기보유층
114 : 결합공 120 : 와이어
130 : 부착부 131 : 자석
132 : 공기압착기 140 : 길이조절장치
150 : 고정고리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층 또는 독립적 개소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파손방지책을 다수층으로 적층시켜 와이어를 통하여 도어의 전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도어를 보호하고 표면에 찌그러짐이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승용차의 경우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 트렁크리드, 후드, 루프 등을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 중에서 도어는 차량에 승차를 위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시 측면에 위치한 다른 차량 또는 구조물에 의해 측면 충돌시 금속 판넬로 제작된 도어의 흡수 능력이 떨어져 도어가 찌그러지거나 긁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에 찌그러짐 또는 긁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사고 또는 수리차 판별 포인트로 인식되어 사고 유무 차량으로 판단됨으로써, 차량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567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완충부재와, 일면에 상기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반대면에 차량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차량 도어 형성된 관통공 에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차량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차량 도어 충돌방지구는 도어가 회전되는 외곽 중앙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시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구조물 또는 장애물에 완충부재가 장애물과 충돌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여 도어측에 외부적인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충돌방지구는 탑승자의 부주의로 도어의 개방할 때 도어의 특정위치에 대해 외부의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부분만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 도어 전체 판넬의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차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 도어와 외부 장애물의 위치상태나 불규칙한 장애물일 경우 도어의 충돌방지구가 장애물에 부딧치기 전에 충돌방지구가 위치하지 않은 도어의 다른 표면에 충돌됨에 따라 도어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주행중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또는 타인에 의한 의도적 긁힘에 대한 사고에는 무방비 상태이므로 도어 전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다수의 주름층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시킨 파손방치책 및 독립적인 개소로 다수층으로 적층시킨 파손방지책을 도어의 전면에 설치하여 차량의 도어 전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도어의 찌그러짐 또는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손방지책의 주름층에 절곡된 부위에 완충부를 형성시켜 주름층의 주름각도를 일정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완충부에 의해 주름층이 완전하게 압착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도어측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의 감소를 극대화시키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으로 다수층으로 적층시킨 파손방지책 내부에 공기보유공간을 형성시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에도 파손방지책의 탄력적적으로 형상을 변화시키고 공기보유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력을 더욱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층의 파손방지책에 신축성을 갖는 와이어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도어의 내측 패널 상.하부에 와이어 매듭된 상.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파손방지책의 설치에 대한 조작성을 보다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름층의 파손방지책 및 독립적인 개소를 다단으로 결합시킨 파손방지책의 상부와 하부에 자석 또는 공기압착기로 이루어진 부착부를 장착하여 도어에 보다 손쉽게 파손방지책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 장치는 다수의 주름층으로 형성시키고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키며 접철 상태에 따라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손방지책과, 상기 파손방지책의 주름층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와, 상기 파손방지책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의 상부 내부패널에 고정시키고 하부는 도어의 내부패널 하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주름층의 절곡된 부위에 일정폭으로 형상이 유지되는 완충부를 형성시켜 주름층이 펼쳐질 경우 항상 일정한 주름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주름층의 주름 각도만큼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시켜 이를 다단의 층으로 배치되고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킨 파손방지책과, 상기 다단층의 파손방지책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와, 상기 파손방지책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의 상부 내부패널에 고정시키고 하부는 도어의 내부패널 하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착부는 자석 또는 공기압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손방지책의 내부에는 공기보유공간을 형성시키고 파손방지책의 양측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결합공을 형성시켜 외부적인 충격이 파손 방지책에 가해질 때 공기보유공간의 형상의 변형 및 공기보유공간 내부의 공기가 결합공으로 배출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하고 충격력의 소멸 이후에 결합공을 통하여 공기보유공간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파손방지책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a,b,c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b,c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를 차량의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파손방지책을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의 파손방지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차량의 도어(10)에 부착되는 완충부재에 있어서, 다단의 층으로 연결되어 도어(10)의 전면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10)에 외부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손방지책(110)과, 상기 파손방지책(110)의 주름층(111)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130)와, 상기 파손방지책(110)을 도어(10)의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파손방지책(110)의 중첩 상태를 접철 또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20)로 구성한다.
상기 파손방지책(110)은 다수의 주름층(111)으로 형성시켜 접철 상태에 따라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10)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도 1 및 도 2a 참조)
여기서, 파손방지책(110)은 자체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되, 상기 파손방지책(110)은 신축성과 충격흡수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특히, 파손방지책(110)은 주름층(111)의 절곡된 부위에 일정폭으로 형상이 유지되는 완충부(112)를 형성시켜 주름층(111)이 펼쳐질 경우 항상 일정한 주름각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주름층(111)의 주름 각도만큼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부(112)는 일정폭으로 중첩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열에 의한 융착법 또는 별도의 매듭구(미부호)를 통하여 완충부가 일정폭으로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주름층(11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주름층(111)이 와이어(120) 의해 신장되어 도어(10) 전면에 펼쳐질 경우에도 주름층(111)의 주름각도가 일정각도로 항상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충격력이 파손방지책(110)에 전달되어도 주름 층(111)의 주름각도를 유지하려는 완충부(112)의 반발력과 실리콘 재질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2a 및 도 2b 참조)
여기서 완충부(112)는 절곡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조절하여 주름각도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130)는 자석(131) 또는 공기압착기(1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120)는 파손방지책(110)의 양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10)의 전면 상부에 고정시키고 매듭된 하부가 도어(10)의 하단에 걸림 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10)에 선택적인 걸림 상태에 따라 파손방지책(110)이 도어(10)의 전면에서 신축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와이어(120)의 하부는 길이조절장치(140)로 관통시켜 와이어(12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3a,b,c 및 도4a,b,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시켜 이를 다단의 층으로 배치시킨 파손방지책(110)과, 상기 파손방지책(110)의 주름층(111)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130)와, 상기 파손방지책(110)에 관통시켜 상부는 도어(10)의 전면 상부에 고정시키고 매듭된 하부가 도어(10)의 하단에 걸림 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10)에 파손방지책(110)을 고정하는 와이어(12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파손방지책(110)의 내부에는 공기보유공간(113)을 형성시키고 파손방지책(110)의 양측에 와이어(120)가 관통되는 결합공(114)을 형성시켜 외부적인 충격이 파손방지책(110)에 가해질 때 공기보유공간(113)의 형상 변형 및 공기의 배출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에서 충격력이 발생했을 경우, 파손방지책(110)의 주름층(111)이 압착되면서 완충부(112)에 의해 주름각도가 유지되었던 형상이 펴지면서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주름층(111)이 완전히 펴지게 되어도 상호 엇갈리게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112)가 압착되면서 장애물과 도어의 사이 공간을 유지시켜 충격력을 소멸시키게 된다.
이때, 파손방지책(11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 형상을 제한적으로 국한시키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만곡된 호형상, 원통형, 직사각형 등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파손방지책(110)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외부에서 충격력이 발생하였을 때 파손방지책(110)의 내부에 형성시킨 공기보유공간(113)이 압착되면서 파손방지책(110)의 형상 변형으로 충격력을 흡수하고 동시에 공기보유공간(113)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와이어(120)가 관통된 결합공(114) 측으로 배출하되 파손방지책(110)이 형상 변형되어 발생된 결합공(114) 내주연과 와이어(120) 외주연 사이의 틈새로 서서히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충격력을 완전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충격력의 소멸하고 나면, 형상변형이 발생한 파손방지책(110)은 재질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의 형태로 복원되는 동시에 결합공(114)을 통하여 공기 보유공간(113)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파손방지책(110)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의 파손보호장치를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석(131) 또는 공기압착기(132)로 이루어진 부착부(130)가 장착된 파손방치책(110)을 도어(10)에 부착시킨다.
이때, 자석(131)은 자력에 의해 파손방지책(1100을 도어(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통상적으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공기압착기(132)를 도어(10)의 전면에 압착시키면 만곡 상태의 공기압착기(132) 내부에 진공상태를 발생시켜 도어(10)에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후, 파손방지책(110)에 관통된 와이어(120)의 매듭된 상단은 차량의 A퓔러 B퓔러 사이의 도어(10) 윈도우가 내측 패널에 걸어서 도어(10)가 닫힐 때 와이어(120)의 상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에 파손방지책(110)이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파손방지책(110)은 부착부(130)가 장착된 일측과 타측의 주름층(111)을 부채꼴 형태로 회전시켜 상호 부착부(13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원형의 형상의 파손방지책(110)으로 형상 변화를 가능하게 한 다음 파손방지책(110)의 결합공에 고정고리(150)를 관통시켜 원형으로 변형되는 파손방지책(11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한 다음 고정고리(150)에 부착부(130)를 결합하여 도어(10)에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6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도어의 전면에 다수의 주름층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시킨 파손방치책 및 독립적인 개소로 다수층으로 적층시킨 파손방지책을 도어의 전면에 설치하여 차량의 도어 전면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여 도어의 찌그러짐 또는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파손방지책의 주름층에 절곡된 부위에 완충부를 형성시켜 주름층의 주름각도를 일정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완충부에 의해 주름층이 완전하게 압착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도어측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의 감소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독립적으로 다수층으로 적층시킨 파손방지책 내부에 공기보유공간을 형성시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에도 파손방지책의 탄력적으로 형상을 변화시키고 공기보유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력을 더욱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다수층의 파손방지책에 와이어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도어의 내측 패널 상.하부에 와이어 매듭된 상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파손방지책의 설치에 대한 조작성을 보다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는 주름층의 파손방지책 및 독립적인 개소를 다단으로 결합시킨 파손방지책의 상부와 하부에 자석 또는 공 기압착기로 이루어진 부착부를 장착하여 도어에 보다 손쉽게 파손방지책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주름층으로 형성시키고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키며 접철 상태에 따라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파손방지책과,
    상기 파손방지책의 주름층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와,
    상기 파손방지책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의 상부 내부패널에 고정시키고 하부는 도어의 내부패널 하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 주름층의 절곡된 부위에 일정폭으로 형상이 유지되는 완충부를 형성시켜 주름층이 펼쳐질 경우 항상 일정한 주름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주름층의 주름 각도만큼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3. 다양한 형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시켜 이를 다단의 층으로 배치되고 양측 에 결합공을 형성시킨 파손방지책과,
    상기 다단층의 파손방지책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도어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와,
    상기 파손방지책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도어의 상부 내부패널에 고정시키고 하부는 도어의 내부패널 하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자석 또는 공기압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책의 내부에는 공기보유공간을 형성시키고 파손방지책의 양측에 와이어가 관통되는 결합공을 형성시켜 외부적인 충격이 파손방지책에 가해질 때 공기보유공간의 형상의 변형 및 공기보유공간 내부의 공기가 결합공으로 배출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하고 충격력의 소멸 이후에 결합공을 통하여 공기보유공간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파손방지책의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방지책은 부착부가 장착된 일측과 타측의 주름층을 부채꼴 형태로 회전시켜 상호 부착부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원형의 파손방지책으로 형상 변화를 가능하게 한 다음 중앙에 형성되는 파손방지책의 결합공에 고정고리를 관통시켜 원형으로 변형되는 파손방지책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한 다음 고정고리에 부착부를 결합하여 도어에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KR1020060072917A 2006-08-02 2006-08-02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KR20080012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17A KR20080012014A (ko) 2006-08-02 2006-08-02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17A KR20080012014A (ko) 2006-08-02 2006-08-02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014A true KR20080012014A (ko) 2008-02-11

Family

ID=3934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917A KR20080012014A (ko) 2006-08-02 2006-08-02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0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96B1 (ko) * 2008-10-07 2010-08-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측면보호 장치
KR200482627Y1 (ko) 2016-08-24 2017-02-27 한장희 차량 도어 파손 방지 장치
CN108790742A (zh) * 2018-07-04 2018-11-13 承强 一种新能源汽车用车门防碰撞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767B1 (ko) * 1995-12-01 1999-08-02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능률향상 공조방법
KR100320913B1 (ko) * 1999-10-25 2002-01-23 황우성 3중 칼럼의 순환 및 연속식의 고성능 액체 크로매터그래피장치 및 방법
KR20050067672A (ko) * 2003-12-29 2005-07-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몰딩
KR100553958B1 (ko) * 2004-10-13 2006-02-21 김성복 자동차 도어 보호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767B1 (ko) * 1995-12-01 1999-08-02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능률향상 공조방법
KR100320913B1 (ko) * 1999-10-25 2002-01-23 황우성 3중 칼럼의 순환 및 연속식의 고성능 액체 크로매터그래피장치 및 방법
KR20050067672A (ko) * 2003-12-29 2005-07-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몰딩
KR100553958B1 (ko) * 2004-10-13 2006-02-21 김성복 자동차 도어 보호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96B1 (ko) * 2008-10-07 2010-08-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측면보호 장치
KR200482627Y1 (ko) 2016-08-24 2017-02-27 한장희 차량 도어 파손 방지 장치
CN108790742A (zh) * 2018-07-04 2018-11-13 承强 一种新能源汽车用车门防碰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7132B2 (ja) 歩行者及びサイクリストを保護する車両用安全装置
JP2003191812A (ja)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JP2000219094A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05714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US9073510B2 (en) Side airbag
KR20080012014A (ko)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JP3716422B2 (ja) 車両用前部構造
US20100109308A1 (en) Detachable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KR101757892B1 (ko) 주차장의 차량문짝 보호장치
KR101637675B1 (ko)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JPWO2008065964A1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WO2009154098A1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479406B1 (ko) 차량 도어손상방지 가드
KR101905523B1 (ko) 보행자 보호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보닛
KR20140005113U (ko) 차량용 범퍼 보호대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TWM562244U (zh) 車門防撞條
CN216331893U (zh) 汽车侧气帘总成及汽车
KR20130050005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RU198272U1 (ru) Перенос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KR20170117800A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100823568B1 (ko) 화물차량의 후방게이트 고정장치
JP3150671U (ja) 折畳み携帯電話機用ケース
KR100412347B1 (ko) 자동차의 후드부의 스트라이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