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13U - 차량용 범퍼 보호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113U KR20140005113U KR2020130002029U KR20130002029U KR20140005113U KR 20140005113 U KR20140005113 U KR 20140005113U KR 2020130002029 U KR2020130002029 U KR 2020130002029U KR 20130002029 U KR20130002029 U KR 20130002029U KR 20140005113 U KR20140005113 U KR 2014000511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vehicle
- cushion body
- corner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60R19/445—Guard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9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mprising a multiplicity of identical adjacent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주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범퍼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를 개시한다.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차량 범퍼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모서리 쿠션체와, 차량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에 연결되는 연결끈과, 상기 모서리 쿠션체를 차량의 범퍼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와 연결끈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차량 범퍼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모서리 쿠션체와, 차량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에 연결되는 연결끈과, 상기 모서리 쿠션체를 차량의 범퍼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와 연결끈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시 차량의 범퍼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후방에는 충돌시 완충작용을 수행하여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범퍼가 설치된다. 통상의 범퍼는 우수한 복원특성을 가지고 있어 낮은 속도로 충돌이 생기는 경우에는 형태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범퍼는 표면에 차량의 색상에 대응하는 도색층을 구비하고, 이러한 도색층은 주차시 흔히 발생하는 단순한 접촉사고를 통해서도 쉽게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을 보면, 주차 과정에서 인근의 벽면이나 다른 차량과의 접촉사고로 인해 차량의 범퍼가 손상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는 주차공간이 협소한 도심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즉 주차공간이 협소한 도심에서는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이드브레이크를 해제시켜 놓은 상태에서 차량을 통행로에 평행주차 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때는 공간 확보를 위해 차량을 손으로 미는 과정에서 인접한 차량 간의 간격조절을 정확히 하기가 힘들어 차량 간의 접촉사고에 의한 범퍼 손상이 더욱 자주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주차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범퍼 보호대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종래 차량용 범퍼 보호대들 대부분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방식으로 차량의 범퍼 표면에 항시 고정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주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주행시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차량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게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범퍼에서 보호가 요구되는 부위는 근처 벽면이나 인접한 다른 차량들의 배치형태 같은 주차공간의 주차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접착방식으로 범퍼에 고정되는 종래 차량용 범포 보호대는 주차공간의 주차환경에 대응하여 범퍼의 보호 부위를 적절하게 조정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범퍼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공간의 주차환경에 따라 범퍼의 보호 부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따른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차량 범퍼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모서리 쿠션체; 차량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에 연결되는 연결끈; 및 상기 모서리 쿠션체를 차량의 범퍼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와 연결끈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쿠션체는 범퍼의 일측과 타측 모서리를 보호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차량 범퍼의 중앙부를 보호하는 중앙 쿠션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와 중앙 쿠션체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끈은 상기 중앙 쿠션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쿠션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수용된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피에는 상기 연결끈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덮도록 마련된 덮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끈은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차량의 범퍼에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주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주행중에는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차량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보호대는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와 중앙 쿠션체를 일체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중앙 쿠션체로부터 분리된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를 개별적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차공간의 주차환경에 따라 범퍼의 보호 부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모서리 쿠션체와 중앙 쿠션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의 요부 사시도로, 중앙 쿠션체와 연결끈의 착탈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모서리 쿠션체 쪽을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서리 쿠션체에 의한 범퍼 모서리의 보호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앙 쿠션체에 의한 범퍼 중앙부의 보호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중앙 쿠션체와 분리된 일측 모서리 쿠션체가 차량 전방 범퍼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중앙 쿠션체로부터 분리된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범퍼의 한 쪽 모서리에 동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모서리 쿠션체와 중앙 쿠션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의 요부 사시도로, 중앙 쿠션체와 연결끈의 착탈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모서리 쿠션체 쪽을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서리 쿠션체에 의한 범퍼 모서리의 보호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가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앙 쿠션체에 의한 범퍼 중앙부의 보호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중앙 쿠션체와 분리된 일측 모서리 쿠션체가 차량 전방 범퍼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보호대에서 중앙 쿠션체로부터 분리된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범퍼의 한 쪽 모서리에 동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차량(1) 범퍼(2,3)의 양측 모서리를 보호하는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와, 차량(1) 범퍼(2,3)의 중앙부를 보호하는 중앙 쿠션체(30)와, 모서리 쿠션체(20)와 중앙 쿠션체(3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끈(40)과, 모서리 쿠션체(20) 및 중앙 쿠션체(30)를 차량(1)의 범퍼(2,3)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도록 모서리 쿠션체(20)와 연결끈(40)에 마련된 고정부재(50)를 구비한다.
범퍼(2,3)의 모서리의 경우 주차나 출차시 차량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접 대상물과 접촉되기 쉬운 부위이고, 범퍼(2,3)의 중앙부의 경우 평행 주차된 차량의 이동과정에서 전후방 차량과 잦은 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이다. 특히 전방 쪽 범퍼(2) 중앙부에는 흔히 번호판(2a)이 부착되며, 평행 주차된 차량 간의 충돌시에는 범퍼(2,3)가 이러한 번호판(2a)에 찢겨 손상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와 하나의 중앙 쿠션체(30)를 구비하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범퍼(2,3)에 있어서 손상 빈도가 높은 양측 모서리 부위와 중앙 부위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모서리 및 중앙 쿠션체(20,30)는 각각 내부의 쿠션부재(21,31)와, 쿠션부재(21,31)를 감싸는 외피(22,32)를 구비한다.
쿠션부재(21,31)는 스펀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이나 스티로폼과 같이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쿠션부재(21,31)를 감싸는 외피(22,32)는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쿠션부재(21,31)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다양한 천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외피(22,32)에 있어서 전면 쪽은 충격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질긴 천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범퍼(2,3)에 접촉되는 후면 쪽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범퍼(2,3)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도록 전면 쪽에 비해 유연하고 감촉이 부드러운 천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외피(22,32)의 전면 쪽과 후면 쪽은 그 사이에 쿠션부재(21,31)가 개재된 상태에서 둘레가 박음질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차량용 범퍼 보호대(1)의 완충작용은 외피(22,32)가 없이 쿠션부재(21,31)만을 통해서도 가능하게 되므로, 모서리 및 중앙 쿠션체(20,30)는 경우에 따라 외피(22,32)가 삭제된 상태에서 쿠션부재(21,31)로만도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끈(40)은 천재질로 마련되어 범퍼(2,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모서리 쿠션체(20)의 외피(21)에 연결될 수 있다. 범퍼(2,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결끈(40)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박음질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모서리 쿠션체(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끈(40)의 연결고리(22d)를 통해 외피(22)에 연결된다. 도 4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22c는 연결끈(40)의 가이드를 위해 외피(22)에 마련한 가이드띠를 가리킨다.
한 쌍으로 마련된 연결끈(40)은 각각 일단이 양측의 모서리 쿠션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중앙 쿠션체(3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와 중앙 쿠션체(30) 사이는 연결끈(40)을 통해 연결되어 한 몸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50)는 범퍼(2,3) 끝단이나 범퍼(2,3) 상에 설치된 차량의 번호판(2a)에 걸릴 수 있는 후크로 마련될 수 있다. 범퍼(2,3)의 단부나 번호판(2a)에 접착방식이 아닌 걸림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고정부재(50)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부재(50)는 먼저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의 단부 쪽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5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고정부재(51)는 외피(22)에 연결된 고정끈(22a)에 고정되어 모서리 쿠션체(20)의 단부 쪽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51)는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질의 제1고정부재(51)의 고정을 위해 제1고정부재(51)에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고정끈(22a) 단부가 제1고정부재(51)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접혀 박음질됨으로써, 제1고정부재(51)는 고정끈(22a)에 고정될 수 있다.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51)가 범퍼(2,3)에 걸리는 과정에서 범퍼(2,3)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1고정부재(51) 표면은 고무 등으로 마련된 코팅층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주차 직전이나 주차가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1)의 전방이나 후방 범퍼(2,3)에 간단히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10)가 차량(1)의 후방 쪽 범퍼(3) 표면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때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51)가 범퍼(3)의 양 끝단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범퍼(3)에 간단히 설치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차량용 범퍼 보호대(10)가 설치된 차량(10)의 범퍼(3)는 양측 모서리가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를 통해 보호되고, 중앙부가 주앙 쿠션체(30)를 통해 보호되어 주차 과정에서 손상될 우려가 거의 없게 된다.
도 6은 차량용 범퍼 보호대(10)의 일측 모서리 쿠션체(20)에 의한 범퍼(3)의 보호작용을 설명한 것으로, 인접 차량의 출차 과정에서 차량(1) 범퍼(3)의 모서리 쪽으로 접촉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차량용 범퍼 보호대(10)의 중앙 쿠션체(30)에 의한 범퍼(3) 보호작용을 설명한 것으로, 평행 주차된 차량 간의 이동과정에서 차량(1) 범퍼(3)의 중앙 쪽으로 접촉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다시 차량(1)을 주행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범퍼(2,3) 양단에 걸려 있던 제1고정부재(51)를 범퍼(3)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를 범퍼(2,3)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1)의 범퍼(2,3)에 간편하게 착탈이 되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주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주행시에는 차량(1)으로부터 쉽게 제거가 가능하므로, 주행시 차량(1)의 무게를 증가시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차량(1)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를 폭 너비가 다른 다양한 차량(1)의 범퍼(2,3)에 공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연결끈(4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연결끈(40)에는 길이조절장치(60)가 마련되고, 모서리 쿠션체(20) 쪽 연결끈(40)은 길이조절장치(60)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모서리 쿠션체(20)의 외피(2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장치(60)는 가방의 어깨끈 등의 조절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길이조절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연결끈(40)은 일부구간이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41)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축부(41)의 신축작용을 통해서도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끈(40)은 중앙 쿠션체(30)에 연결되는 쪽이 신축부(41)로 마련되고, 길이조절장치(60)에 연결되는 모서리 쿠션체(20) 쪽은 신축이 방지된 비신축부(42)로 마련된다. 신축부(41)는 탄성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신축부(41)와 비신축부(42) 사이는 박음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연결끈(40)은 전체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끈(40)이 신축부(41)를 포함하는 차랴용 범퍼 보호대(10)는 신축부(41)가 신장되기 전 길이가 범퍼(2,3) 전장에 비해 짧게 조절되도록 한 상태에서 범퍼(2,3)에 설치될 경우, 범퍼(2,3) 표면에 보다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차 과정에서는 주차공간 주변의 주차환경에 따라 범퍼(2,3)의 보호해야할 부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주차환경에 따라 범퍼(2,3)의 보호 부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끈(40)이 중앙 쿠션체(30)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중앙 쿠션체(30) 쪽으로 각 연결끈(40)의 단부에는 제2고정부재(52)가 마련된다.
제2고정부재(51)는 제1고정부재(51)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고정끈(22a)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51)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끈(40)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중앙 쿠션체(30)의 외피(32) 전면에는 제2고정부재(51)가 걸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걸림부(32a)가 마련되며, 걸림부(32a)는 외피(32) 전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부(33)를 통해 덮일 수 있게 된다. 덮개부(33) 내면과 외피(32) 전면에는 걸림부(32a)를 덮도록 접혀진 덮개부(33)가 외피(32) 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장치(34)가 마련되며, 체결장치(34)는 암수벨크로(34a,34b)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암수벨크로(31a,34b)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으며, 이중 덮개부(33) 쪽에 마련되는 것은 덮개부(33)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끈(40)을 중앙 쿠션체(30)에 연결하고자 할 때는 제2고정부재(52)를 걸림부(32a)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부(33)로 걸림부(32a) 쪽을 덮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걸림부(32a)에 걸려진 상태의 제2고정부재(52)가 덮개부(33)를 통해 압박되면서 연결끈(40)은 중앙 쿠션체(30)에 안전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는 걸림부(32a)와 제2고정부재(52)가 덮개부(33)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제2고정부재(5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제2고정부재(52)로 인해 차량용 범퍼 보호대(10)의 외관이 저해될 우려도 없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의 연결끈(40)은 덮개부(33)를 열고 걸림부(32a)에 대한 제2고정부재(52)의 걸림을 해제시킴에 따라 중앙 쿠션체(30)로부터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연결끈(40)과 중앙 쿠션체(30) 사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끈(40)과 하나의 모서리 쿠션체(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51)를 범퍼(2,3) 일단에 고정시키고 제2고정부재(52)를 번호판(2a)이나 범퍼(2,3)의 타단에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범퍼(2,3)의 일측 모서리 쪽만을 보호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범퍼 보호대(10)는 한 쪽 측면이 벽면(w)에 인접하도록 주차된 차량(1)에 설치될 경우, 중앙 쿠션체(30)로부터 분리된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20)를 전방 범퍼(2)와 후방 범퍼(3)의 벽면(w) 반대 쪽 모서리에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10: 차량용 범퍼 보호대 20: 모서리 쿠션체
21: 쿠션부재 22: 외피
30: 중앙 쿠션체 31: 쿠션부재
32: 외피 40: 연결끈
41: 신축부 42: 비신축부
50: 고정부재 51: 제1고정부재
52: 제2고정부재 60: 길이조절장치
21: 쿠션부재 22: 외피
30: 중앙 쿠션체 31: 쿠션부재
32: 외피 40: 연결끈
41: 신축부 42: 비신축부
50: 고정부재 51: 제1고정부재
52: 제2고정부재 60: 길이조절장치
Claims (5)
- 차량 범퍼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모서리 쿠션체;
차량 범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에 연결되는 연결끈; 및
상기 모서리 쿠션체를 차량의 범퍼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모서리 쿠션체와 연결끈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쿠션체는 범퍼의 일측과 타측 모서리를 보호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차량 범퍼의 중앙부를 보호하는 중앙 쿠션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모서리 쿠션체와 중앙 쿠션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끈은 상기 중앙 쿠션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수용된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에는 상기 연결끈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덮도록 마련된 덮개부가 마련된 차량용 범퍼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신축이 가능하게 마련된 신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029U KR20140005113U (ko) | 2013-03-19 | 2013-03-19 | 차량용 범퍼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029U KR20140005113U (ko) | 2013-03-19 | 2013-03-19 | 차량용 범퍼 보호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113U true KR20140005113U (ko) | 2014-09-29 |
Family
ID=5245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029U KR20140005113U (ko) | 2013-03-19 | 2013-03-19 | 차량용 범퍼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511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839B1 (ko) * | 2013-07-01 | 2015-02-11 | (주)훠링 | 자동차용 범퍼 보호대 |
CN116513051A (zh) * | 2023-05-06 | 2023-08-01 | 吕巷汽车零部件江苏有限公司 | 一种具有防撞击功能的后视镜角度调节装置 |
-
2013
- 2013-03-19 KR KR2020130002029U patent/KR20140005113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839B1 (ko) * | 2013-07-01 | 2015-02-11 | (주)훠링 | 자동차용 범퍼 보호대 |
CN116513051A (zh) * | 2023-05-06 | 2023-08-01 | 吕巷汽车零部件江苏有限公司 | 一种具有防撞击功能的后视镜角度调节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7601B2 (en) | Protective vehicle cover | |
US20150123412A1 (en) | Door guard for vehicle | |
US5320392A (en) | Removably attachable vehicle body protection pad | |
US20160280156A1 (en) | License plate frame vehicle protector | |
US20150114532A1 (en) | Car cover structure | |
KR20140005113U (ko) | 차량용 범퍼 보호대 | |
KR200494943Y1 (ko) |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가드 | |
KR102150360B1 (ko) | 차량용 문콕 방지장치 | |
KR101281077B1 (ko) | 자동차 데쉬보드용 커버 | |
KR20140005114U (ko) | 차량용 도어 보호대 | |
US20170174161A1 (en) | Transparent bumper guard | |
KR101479406B1 (ko) | 차량 도어손상방지 가드 | |
KR100789157B1 (ko) | 휴대용 자동차 측면보호대 | |
KR102070055B1 (ko) | 차량용 도어 보호장치 | |
KR101802978B1 (ko) |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 |
US6763913B1 (en) | Cover apparatus | |
KR20190001018U (ko) | 자동차 보호가드 | |
KR100690973B1 (ko) | 차량도어의 충돌 방지구 | |
KR20190084596A (ko) | 자동차 도어 보호구 | |
KR20080012014A (ko) | 차량의 도어 파손보호장치 | |
KR200401261Y1 (ko) | 차량옆문 보호대 | |
KR200242619Y1 (ko) |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의 측면 파손 방지용 보호대 | |
KR200440980Y1 (ko) | 차문 보호용 패킹 | |
US5725246A (en) | Automobile fender protecting device | |
KR102271809B1 (ko) |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