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96A - 자동차 도어 보호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96A
KR20190084596A KR1020180002536A KR20180002536A KR20190084596A KR 20190084596 A KR20190084596 A KR 20190084596A KR 1020180002536 A KR1020180002536 A KR 1020180002536A KR 20180002536 A KR20180002536 A KR 20180002536A KR 20190084596 A KR20190084596 A KR 2019008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dge
guard
protector
doo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871B1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박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철 filed Critical 박동철
Priority to KR102018000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8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되어서, 도어(D1)가 열릴 때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인접 자동차를 찍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어(D1) 주변의 벽체나 물건에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부딪히는 경우 도어(D1) 가장자리(D1a)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도어가드(110)와, 상기 도어가드(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보호구{A MULTIPURPOSE DOOR GUARD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단품으로 도어 에지 프로텍터와 도어가드와 도어 프로텍터의 3 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차한 후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가 주변에 주차된 다른 차량이나 기둥, 벽면 등과 같은다른 물체와 접촉되면서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자신의 차량이 손상을 입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대부분의 차량 탑승자들이 차량의 도어를 마음 편히 개방하지 못하고 항상 주위 차량이나 물체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도어 개방시 다른 차량,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차량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동차용 액세서리 용품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액서사리 용품으로는 도어가드가 있는데, 이 도어가드는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재질로 성형하여서 양면테이프로 도어의 외면 일측에 부착되고, 옆에 주차된 다른 차량을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기둥이나 벽면과 같은 물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도어 에지 프로텍터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도어의 가장자리(egde)를 특히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의 가장자리에 끼워져서 사용되어서 에지를 보호하는 용품이다.
마지막으로 도어 프로텍터라는 용품이 알려져 있는데, 이 도어 프로텍터는 도어의 외측면에 주로 넓은 면적으로 부착되어서 다른 차량(옆의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서 자기의 차량의 도어를 찍는 경우에 이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 가지의 자동차용 용품 즉, 도어가드, 도어 프로텍터, 도어 에지 프로텍터가 각각의 본연의 기능에는 충실하였으나, 3 개의 제품을 각각 구매하여서 개별적으로 도어에 부착하여야 했으므로, 구입 비용이 많이 들고 취급이 불편하였으며, 3 개의 제품을 부착하였으므로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14-0007234(공개일: 2014.01.17.) 문헌2: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3188(공개일: 2011.03.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의 목적은,
첫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의 용도 즉, 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용도 내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 가지 제품을 동시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차 도어에 대하여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를 도어가드에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용자의 환경과 취향에 맞게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제1,2 에지 커버부에 의하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가 도어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서 도어의 가장자리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는, 자동차 도어의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어서,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가장자리가 인접 자동차를 찍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어 주변의 벽체나 물건에 도어의 가장자리가 부딪히는 경우 도어 가장자리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도어가드와, 상기 도어가드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에지 프로텍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의 용도 즉, 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용도 내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 대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하나의 단품으로 3 가지 제품(도어 프로텍터, 에지 프로텍터, 도어가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 가지 제품을 동시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차 도어에 대하여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를 도어가드에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용자의 환경과 취향에 맞게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1,2 에지 커버부에 의하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가 도어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서 도어의 가장자리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도어가드(11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가 도어(D1)에 취부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가 도어(D1)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 상태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가 도어(D1)에 결합되는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6에 의한 변형된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도어(D1)에 취부된 상태를 표현한 사용 상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기재된 도어(D1)의 가장자리(D1a)는 도어의 외주연 중에서도 손잡이가 있는 쪽인 뒤쪽 가장자리를 의미함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는, 자동차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되어서, 도어(D1)가 열릴 때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인접 자동차를 찍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어(D1) 주변의 벽체나 물건에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부딪히는 경우 도어(D1) 가장자리(D1a)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도어가드(110)와, 상기 도어가드(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구체적으로는 도어(D1)의 외면]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원발명에 의한 도어 보호구(A)라는 하나의 제품으로 도어가드, 에지 프로텍터 및 도어 프로텍터의 3 가지 용도로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는 기본적으로 도어가드(110)의 역할을 수행하되, 부가적으로 승하차시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서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에지 프로텍터(120,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주차시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서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서 도어 프로텍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상기 도어가드(110)를 기준으로 도어가드(110)의 위쪽의 도어(D1)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방향(예컨대 도면에서의 시계 방향 회전)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예컨대 도면에서의 반시계 방향 회전)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와, 상기 도어가드(110)를 기준으로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와 대칭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방향(예컨대 도면에서의 반시계 방향 회전)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예컨대 도면에서의 반시계 방향 회전)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도어가드(110)에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도어가드(110)와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독립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취향과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어가드만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만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하부 프로텍터를 도어가드에 취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드(110)는,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가 되도록, 제1 측면부(111)와, 상기 제1 측면부(111)의 장변에서 절곡된 배면부(113)와, 상기 제1 측면부(111)와 대향하도록 상기 배면부(113)에서 절곡된 제2 측면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 측면부(111,112)의 사이 끼움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간(S1)이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워져서 도어가드(110)가 도어(D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측면부(112)가 도어(D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측면부(111)가 도어(D1)의 외측면 쪽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면부(113)가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밀착하도록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111)의 내면에서 제2 측면부(112) 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돌기(141)가 상기 제1 측면부(1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돌기(141)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측면부(111)의 내면에서 제2 측면부(112) 쪽으로 제2 끼움돌기(14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끼움돌기(141)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끼움공(121)이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돌기(142)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2 끼움공(131)이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는 상기 제1 끼움돌기(141)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는 상기 제2 끼움돌기(142)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측면부(112)가 도어(D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와 제1,2 끼움돌기(141,142)가 도어(D1)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도어가드(110)가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도어(D1)와 자기결합에 의해서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를 도어(D1)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의 적어도 일개소에는 제1 고정자석(151)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D1)와 자기결합에 의해서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를 도어(D1)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의 적어도 일개소에는 제2 고정자석(15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도어(D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고정자석(151,152)은 상기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에 내장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에는 자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자동차 도어(D1)에 자력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도어(D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감싸도록,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의 외측 장변으로부터 만곡지게 형성된 제1 에지 커버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감싸도록,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의 외측 장변으로부터 만곡지게 형성된 제2 에지 커버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1,2 에지 커버부(122,132)에 의하면,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도어의 가장자리(D1a)에 밀착되어서 도어의 가장자리(D1a)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어가드(110)와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완충 재질 예컨대, 스티로폼, 실리콘, 폴리우레탄, 고무, 연질 플라스틱 등 다양한 공지의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어가드(110)를 도어의 가장자리(D1a)에 취부할 때 접착수단(예컨대 양면테이프)을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A)의 조립 및 사용 모드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의 제1,2 끼움공(121,131)에 도어가드(110)의 제1,2 끼움돌기(141,142)를 각각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도어가드(110)에 취부한다.
다음으로 제1,2 끼움돌기(141,142)와 제2 측면부(112) 사이에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끼워지도록 하여서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취부된 도어가드(110)를 도어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한다.
다음으로 사용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사용 모드는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도어의 가장자리(D1a)를 따라서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1 사용 모드는 도어가드와 에지 프로텍터로서의 2 가지의 용도로써 사용하는 사용 모드로서, 주로 주행시에 사용하여서 도어(D1)를 여는 경우에 사용한다.
제2 사용 모드는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가 도어의 가장자리(D1a)에 대략 수직되는 방향인 도어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모드이다.
상기 제2 사용 모드는 도어가드와 도어 프로텍터로서의 2 가지의 용도로써 사용하는 사용 모드로서, 주로 주차시에 사용하여서 타인의 차량으로부터 자신의 도어(D1)가 찍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3 사용 모드는 도어가드(110)와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각각 분리하여서 도어가드(110)와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모드이다.
이 제3 사용 모드는 이용자의 취향과 환경(자동차 도어의 크기 등)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
D1 : 자동차 도어 D1a : 도어의 가장자리
110 : 도어가드 120 : 상부 에지 프로텍터
130 : 하부 에지 프로텍터 111 : 제1 측면부
112 : 제2 측면부 113 : 배면부
S1 : 끼움공간 141 : 제1 끼움돌기
142 : 제2 끼움돌기 121 : 제1 끼움공
131 : 제2 끼움공 151 : 제1 고정자석
152 : 제2 고정자석 122 : 제1 에지 커버부
132 : 제2 에지 커버부

Claims (4)

  1. 자동차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되어서, 도어(D1)가 열릴 때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인접 자동차를 찍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어(D1) 주변의 벽체나 물건에 도어(D1)의 가장자리(D1a)가 부딪히는 경우 도어(D1) 가장자리(D1a)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도어가드(110)와,
    상기 도어가드(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에지 프로텍터(120,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상기 도어가드(110)를 기준으로 도어가드(110)의 위쪽의 도어(D1)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와,
    상기 도어가드(110)를 기준으로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와 대칭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어(D1)의 가장자리(D1a)를 보호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도어(D1)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도어(D1)가 찍히거나 스크래치가 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는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도어가드(1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드(110)는, 제1 측면부(111)와, 상기 제1 측면부(111)의 장변에서 절곡된 배면부(113)와, 상기 제1 측면부(111)와 대향하도록 상기 배면부(113)에서 절곡된 제2 측면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 측면부(111,112)의 사이 끼움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간(S1)이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워져서 도어가드(110)가 도어(D1)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면부(111)의 내면에서 제2 측면부(112) 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돌기(141)가 상기 제1 측면부(1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돌기(141)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 측면부(111)의 내면에서 제2 측면부(112) 쪽으로 제2 끼움돌기(14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끼움돌기(141)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끼움공(121)이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돌기(142)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2 끼움공(131)이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에지 프로텍터(120)는 상기 제1 끼움돌기(141)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부 에지 프로텍터(130)는 상기 제2 끼움돌기(142)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측면부(112)가 도어(D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하부 에지 프로텍터(120,130)와 제1,2 끼움돌기(141,142)가 도어(D1)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도어가드(110)가 도어(D1)의 가장자리(D1a)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자동차 도어 보호구.
KR1020180002536A 2018-01-08 2018-01-08 자동차 도어 보호구 KR10202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36A KR102029871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 도어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36A KR102029871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 도어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96A true KR20190084596A (ko) 2019-07-17
KR102029871B1 KR102029871B1 (ko) 2019-10-08

Family

ID=6751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36A KR102029871B1 (ko) 2018-01-08 2018-01-08 자동차 도어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05A (ko) * 2020-12-30 2022-07-07 강선명 자동차용 도어가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98Y1 (ko) * 2005-01-28 2005-04-22 이상돈 차량용 도어가드
KR20110003188U (ko) 2009-09-23 2011-03-30 엄창섭 차량도어 장착용 도어가드
KR20140007234A (ko) 2012-07-09 2014-01-17 이규범 자동차 도어 가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98Y1 (ko) * 2005-01-28 2005-04-22 이상돈 차량용 도어가드
KR20110003188U (ko) 2009-09-23 2011-03-30 엄창섭 차량도어 장착용 도어가드
KR20140007234A (ko) 2012-07-09 2014-01-17 이규범 자동차 도어 가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5805A (ko) * 2020-12-30 2022-07-07 강선명 자동차용 도어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71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601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KR20190084596A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US20090140533A1 (en) Detachable Magnetic Guard For Automobile Body Panels
KR101676953B1 (ko) 보호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가드
KR20047214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60016728A (ko) 출몰식 보호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가드
US20150114532A1 (en) Car cover structure
KR10192105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KR101535995B1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160118997A (ko) 보호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가드
CA2639844C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2071207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JP2005178772A (ja) 同一平面にて装着されるドアエッジ用バンパーストリップ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JP3125636U (ja) 自動車の車体損傷防止保護用具
KR200439924Y1 (ko) 자동차 측면보호용 자석커버
KR101479406B1 (ko) 차량 도어손상방지 가드
KR10179447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JP2009073265A (ja) ダンパステーブラケットカバー
KR200300530Y1 (ko) 유리문 안전장치
JPH08174Y2 (ja) 自動車のドアー保護具
JP6444349B2 (ja) 車体構造
JP3200474U (ja) 自動車のバンパー保護用カバー
KR20070112637A (ko) 차량표면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