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426A -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이것을함유한 조성물 및 비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이것을함유한 조성물 및 비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426A
KR20080011426A KR1020077028308A KR20077028308A KR20080011426A KR 20080011426 A KR20080011426 A KR 20080011426A KR 1020077028308 A KR1020077028308 A KR 1020077028308A KR 20077028308 A KR20077028308 A KR 20077028308A KR 20080011426 A KR20080011426 A KR 2008001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mphocyte
oligonucleotide
cells
dna fragmen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131B1 (ko
Inventor
리-잉 왕
무-셍 바오
용-리 유
Original Assignee
창춘 후아푸 바이오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춘 후아푸 바이오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창춘 후아푸 바이오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1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7Nucleic acids having immunomodulatory properties, e.g. containing CpG-moti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1/00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mononucleotide units having separate phosphate or polyphosphate groups linked by saccharide radicals of nucleoside groups, e.g. nucleic acids
    • C07H21/04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mononucleotide units having separate phosphate or polyphosphate groups linked by saccharide radicals of nucleoside groups, e.g. nucleic acids with deoxyribosyl as saccharide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7Immunomodulatory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30Chemical structure
    • C12N2310/31Chemical structure of the backbone
    • C12N2310/313Phosphorodithio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30Chemical structure
    • C12N2310/31Chemical structure of the backbone
    • C12N2310/315Phosphorothio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EQ ID NO:1의 서열을 가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functional homologues)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를 함유한 조성물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B림프구 신생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발하며, B림프구 신생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을 향상하고 B림프구 신생세포에서 IL-10의 생성을 촉진한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기능상동체, 신생물, B림프구, 신생세포,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

Description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이것을 함유한 조성물 및 비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AN OLIGONUCLEOTIDE OR ITS FUNCTIONAL HOMOLOGU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TREATING B CELL NEOPLASM}
본 발명은 SEQ ID NO:1로 나타낸 하나의 서열(Sequences)을 가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functional homologue), 이것을 함유한 조성물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B림프구(B cell)의 신생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발하여, B림프구 신생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을 향상하고(up-regulating)하며, B림프구의 신생세포를 자극하여 IL-10을 생성함으로써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는 단독으로 또는 화학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방사선(radiation) 치료제와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시스템(WHO system)(참고문헌 :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 21(1): 114-121)에 의해 림프계 악성(lymphoid malignancies)은 다음 3가지 주분류, 즉 B림프구 신생물(B-cell neoplasm), T림프구(T-cell)/내튜럴킬러림프구[natural killer (NK)-cell] 신생물 및 호지킨 림프종(Hodgkin's lymphomas)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B림프구 신생물은 다음 2가지 그룹(group)으로 더 분리한다:
전구 B림프구 신생물(precursor B-cell neoplasm) 및 말초 B림프구 신생물(peripheral B-cell neoplasm). 전구 B림프구 신생물에는 전구 B림프구-급성림프 모구성 백혈병(precureor B-acute lymphoblastic leukemia)(B-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a: B-ALL)/림프모구성 림프종(lymphoblastic lymphoma:LBL)을 포함한다.
말초 B림프구 신생물에는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B-CLL), 소 림프구성 림프종(small lymphocytic lymphoma), B림프구 전림프구성 백혈병(B-cell prolymphocytic leukemia), 림프 형질 세포 림프종/면역 세포종(immunocytoma),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여포 림프종(follocular lymphoma), 피부 여포 림프종(cutaneous follicular lymphoma), MALT 타입(type)의 결절성 외연변층 B림프구 림프종(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결절성 연변층 B림프구 림프종(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단구상 B림프구), 비장성 연변층 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융모상 림프구(villous lymphoma)), 유모상 세포성 백혈병(hairy cell leukemia), 형질세포종(plasmacytoma)/형질세포성 골수종(plasma cell myeloma), 미만성 대 B림프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종격(흉선) 대 B림프구 림프종(mediastinal(thymic) large B cell lymphoma), 맥관내 대 B림프구 림프종(intravascular large B-cell lymphoma), 1차 확연 림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및 버킷트 림프종(Burkitt's lymphoma)을 포함한다.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LL)과 B림프구 급성 림프 모구성/림프구성 백혈병(B-ALL)은 2가지 타입의 B림프구 백혈병이다.
상기 B-CLL 세포는 CD19, CD5 및 CD23을 발현한다(참고문헌 : Nicholas Chiorazzi, M.D., 등, N Engl J. Med. 2005;352:804-15).
상기 B-ALL 세포는 CD19 + CD10 + 표지(markers)를 발현한다.
소 림프구성 림프종(Small lymphocytic lymphoma)은 B림프구 신생물이다. 그 소 림프구성 림프종에서 B림프구의 단클론 집단은 CD19, CD5 및 CD23(참고문헌 : Catherine Thieblemont, 등, Blood. 2004;103:2727-2737)을 발현한다.
진단한 B림프구 신생물에 따라, 현행 치료선택에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및 면역요법이 있다.
정상 B림프구의 세포표면과 수지상 세포(dentritic cells) 상에서 발현된 CD40은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TNFR) 계통군(family) 중 하나의 멤버이다. T림프구 상에서 발현된 CD40L(CD154)은 종양 과사 인자 계통군 중 하나의 멤버이다(참고문헌 : Castle BE 등, J. Immunol. 1993; 151: 1777-1788).
CD40L과 CD40의 상호작용은 B림프구, 수지상 세포 및 단핵세포(monocytes)의 증식, 분화(differentiation) 및 항원제시(antigen presentation)를 촉진한다(참고문헌 : Ranheim EA, 등, J. Exp. Med. 1993; 177:925-935; Yellin M.J. 등, J. Immunol. 1994; 153:666-674; Banchereau J. 등, Annu. Rev. Immunol. 1994; 12: 881-922; M.von Bergwelt-Baildon MS. 등, Blood 2002; 99: 3319-3325).
또, CD40은 B림프구 신생 세포(B cell neoplastic cells) 상에서 발현한다.
상기 CD40 발현의 증강(enhancing)으로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촉진하는 것을 입증하였다(참고문헌:Peter Chu 등, PNAS, March 19, 2002, vol. 99, no: 6 3854-3859; Frank Dicker 등, BLOOD, 15 April 2005; Volume 105, Number 8: 3193-3198).
생체외(실험관내) 및 생체내 실험에서는 CD40의 자극 및 조절향상이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성장억제를 유발하였음을 나타내었다(참고문헌:Funakoshi 등, Blood 83: 2787-2794, 1994; Murphy 등, Blood 86: 1946-1953, 1995; Eliopoulos, A. G., 등, 1996, Oncogene 13:2243; Hirano, A, 등, 1999, Blood 93:2999; Tong, A. W., M 등, 2001, Clin. Cancer Res. 7:691).
B림프구 신생 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 촉진은 B림프구 신생 세포의 항원성을 증강하여, 결과적으로 그 신생 세포에 특이성 있는 세포장해 T림프구(cytotoxic T lymphocyte : CTL)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상기 CTL(세포장해 T림프구)은 B림프구 신생 세포를 효과적으로 킬링(killing)할 수 있다(참고문헌:Dilloo D 등, Blood. 1997;90:1927-1933; Kato K, 등, J. Clin Invest. 1998;101:1133-1141; Wierda WG, 등, Blood, 2000;96:2917-2924; Takahashi S, 등, Hum Gene Ther. 2001;12:659-670; Takahashi S, 등, Cancer Gene Ther. 2001;8:378-387).
CD40L의 존재하에서,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B 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ells)를 발현하는 CD40은 CD4 세포장해 T림프구에 의해 킬링(killing)할 수 있다(참고문헌: Frank Dicker 등, Blood, 15 April 2005 Vol. 105, Num. 8: 3193-3198).
버켓트 림프종(Burkett'slymphoma) 세포 상에서 D40L과 CD40의 상호작용은 그 세포를 촉진하여 특정 CTL에 종양항원(turmor antigens)을 제공할 수 있다(참고문헌:Khanna R. 등, 1997. J. Immunol. 159:5782).
상체내 실험과 임상실험에서도 CD40의 활성화가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LL) 세포의 면역원성(immungenicity)을 증강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들 세포에 특이성이 있는 CTL의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참고문헌:Kato, K. 등, 1998.J. Clin. Invest. 101:1133; Wierda, W. G. 등, 2000. Blood 96:2917).
동시에, 이들 데이터에서는 B림프구 신생 세포(B cell neoplastic cells) 상에서 CD40 발현의 증강이 B림프구 신생물에 대하여 항종양 면역(anti-tumor immunity)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항종양 면역은 다음 특성을 포함하나,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1.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 촉진;
2.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성장 억제;
3. B림프구 신생 세포의 면역원성을 증강, 따라서 상기 세포에 특이성 있는 CTL의 생성 촉진.
인터류킨(interleukin)-10(IL-10)은 어느 T림프구 세포(T cell cells), 단핵 세포, 마크로파아지와, B림프구 세포, T림프구 세포 또는 NK림프구 세포에서 발생된 신생 세포 일부에 의해 생성된 호모다이머 사이토 카인(homodimer cytokine)이다(참고문헌:Kitabayashi 등, 1995; Masood 등, 1995; Sjoberg 등, 1996; Beatty 등, 1997; Boulland 등, 1998; Jones 등, 1999).
IL-10 활성은 항원 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림프구(lymphocytes) 및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LL) 세포 상에서 발현된 그 특성 세포 표면 수용체에 의해 매개 된다.
그 수용체는 항원 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림프구(lymphocytes) 및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LL) 세포 상에서 발현한다.
외인성 IL-10의 추가가 환자로부터 새로 분리한 B-CLL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참고문헌:Jesper Juriander, Chun-Fai Lai, Jimmy Tan 등,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상에서 인터류킨-10 수용체 발현의 성상, Blood, Vol. 89, No 11(June 1), 1997: pp 4146-4152).
IL-10은 또 B-CLL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B-CLL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증강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Anne-Catherine Fluckiger, Isabelle Durand 및 Jacques Banchereau). 또, 인터류킨 10은 B-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의 세포사멸(Apoptotic cell death)을 유발한다; J. Exp. Med. Volume 179 January 1994 91-99).
IL-10의 면역자극 항암 성상(immunostimulating anticancer properties)은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에서 IL-10의 과잉발현(over-expression)이 암면역 거절(cancer immune rejection)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논문집에서 토의 되었다(참고문헌: Simone Mocellin, Francesco M. Marincola 및 Howard A. Young; Interleukin-10 and the immune response against cancer: a counterpoint,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2005; 78-1043-1051).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를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발하여 B림프구 신생 세포 상에서 CD40 발현을 촉진하며 B림프구 신생 세포를 자극하여 IL-10을 생성하며, 모두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에 기여한다.
(발명의 요지)
첫째 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서열 5'-TCGTCGACGTCGTTCGTTCTC-3'(Oligo-2로 지정하거나 SEQ ID NO:1로 나타냄)를 가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s) 및 그 기능상동체(functional homologue)를 제공한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이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는 하나의 포스페이트 골격 수식(phosphate backbone modification), 즉 부분 또는 완전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 thioate)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수식(phosphorodithioate modification)을 가질 수 있다.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는 화학수식(chemical modifications)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미량염기(rare bases)와의 치환을 가질 수 있다.
그 올리고뉴클레이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는 어느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어느 다른 DNA 프라그멘트의 하나의 기능부분(functional part)이거나, 또는 하나의 플라스미드(plasmid), 세균성 백터(bacterial vector), 바이러스성 백터(viral vector) 또는 DNA 백신에 각각 클로닝(cloning)할 수 있다.
상기 SEQ ID NO:1의 서열을 가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염기(바람직하게는 1~10개의 염기)를 각각의 그 단부에 부가하거나 또는 염기들을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내에서 변화시켜 수식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SEQ ID NO:1의 서열을 가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서열(SEQ ID NO:1)을 가진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1개 이상의 복제(copy)로 이루어진 단 가닥 또는 두 가닥 DNA 프라그멘트를 사용하여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지식과 본 발명의 교시를 기초로 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둘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능상동체 함유 조성물을 피검자에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물(B cell neoplasm)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검자는 인간 또는 동물이다. 상기 B림프구 신생물에는 B림프구 백혈병, B림프구 림프종(lymphoma) 및 골수종(myeloma)을 포함한다.
셋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B림프 구 신생 세포의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apoptosis)를 유발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넷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를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능상동체를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을 향상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섯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능상동체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B림프구 신생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IL-10을 생성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단독의 치료 유효량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캐리어(carrier)와 함께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 조성물은 소화관내 투여, 비경구 투여 및 국소 투여, 또는 흡입 투여를 할 수 있다.
하나의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또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기능상동체와 화학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방사선 치료제를 포함하여 항 B림프구 신생물 처리 약제 중 최소 하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본 발명에서 다음 용어는 아래의 의미를 가진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는 다중 뉴클레오티드)(즉, 하나의 포스페이트기와 하나의 치환할 수 있는 유기 염기에 결합된 하나의 당(suger)(즉, 디옥시리보스)으로 이루어진 분자)를 의미한다.
4개의 유기 염기 사이토신(C), 티민(T), 아데닌(A) 및 구아닌(G)이 있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자동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신세사이저(synthesizer)에 의해 합성하거나, 또는 공지기술을 사용하여 현행 핵산서열에서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골격수식"("backbone modification")은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하나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수식 포스페이트 골격(즉, 그 포스페이트의 산소들 중 최소 하나가 황에 의해 치환 됨) 또는 다른 수식 골격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화학수식"(chemical modification)은 상기 뉴클레오티드의 활성기의 사용 또는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형성에 의한 수식을 의미한다.
상기 수식은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합성 중 또는 합성 후에 발생할 수 있다.
그 합성 중에, 수식 염기(modified bases)(티미딘 유사체를 포함하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는 내부결합(incorporated internally)할 수 있거나 또는 5' 단부 상에 결합할 수 있다.
그 합성 후에, 그 수식은 활성기[아미노 수식인자(amino modifier)를 통해, 3' 또는 5' 히드록시기를 통하여,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통해]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B 림프구 신생물"(B cell neoplasm)은 B 림프구 연결 세포 중 비정상 증식에서 발생한 질병(diseases)을 의미한다.
그 B림프구 신생물은 B림프구 백혈병, B림프구 림프종 및 골수종(myeloma)(형질 세포종/형질 세포성 골수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B림프구 백혈병에는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LL), 전구 B림프구-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precursor B-acute lymphoblastic leukemia)(B림프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B-ALL), B림프구 전 림프구성 백혈병(B-cell prolymphocytic leukemia) 및 유모상 세포성 백혈병(hairy cell leukemia)을 포함한다.
B림프구 림프종에는 소 림프구 림프종(small lymphocytic lymphoma), 림프 형질 세포성 림프종(lympho plasmacytic lymphoma)/면역 세포종(immunocytoma), 외투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여포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피부여포 림프종(cutaneous follicular lymphoma), MALT 타입의 결절 외변층 B림프구 림프종(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 결절 연변층 B림프구 림프종(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단구상 B림프구:monocytoid B-cells), 비장성 연변층 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융모상 림프구:villous lymphocytes), 미만성 대 B림프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맥관내 대 B림프구 림프종(intravascular large B-cell lymphoma), 1차 확연 림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및 버킷트 림프종(Burkitt's lymphoma)을 포함한다.
"피검자"(subject)는 인간, 원숭이, 개, 고양이, 말(horse), 소(cow), 돼지, 염소, 양, 마우스(mouse) 및 랫(rat)을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은 하나의 포유동물(mammal)을 말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이티드는 B림프구 신생물을 가진 피검자에 투여할 수 있다.
"항 B림프구 신생물 약제"(anti-B cell neoplasm agent)는 피검자의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약제(agent)를 의미한다.
그 약제(agent)에는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이티드, 화학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방사선 치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이티드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항 B림프구 신생물 약제의 투여 전, 투여와 함께, 또는 투여 후에 투여하여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에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s)는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배합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화학요법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에서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요법제에는 시클로포스파미드 또는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빈카 알카로이드(vinca alkaloids)(즉, 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 프로카르바진,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프리드니손(prednisone), 안트라시클린, L-아스파라기나제, 퓨린유사제(purine analogs)(즉, 플루다라빈 모노포스페이트, 2-클로로디옥시아데노신 및 펜토스타틴),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arabinoside), 시스플라틴, 에토포사이드 및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등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를 포함하나,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화학요법제에서 1종 이상의 화학요법제 배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물에는 CVP(시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및 프리드니손), CHOP(CVP 및 독소루비신), C-MOPP(시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프리드니손 및 프로카르바진), CAP-BOP(CHOP+프로카르바진 및 블레오마이신), m-BACOD(CHOP+메토트렉세이트, 블레오마이신 및 류코보린), ProMACE-MOPP(프리드니손, 메토트렉세이트,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에토포사이드 및 류코보린 + 표준(standard) MOPP, ProMACE-CytaBOM(프리드니손,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에토포사이드, 사이타라빈, 블레오마이신, 빈크리스틴, 메토트렉세이트 및 류코보린), MACOP-B(메토트렉세이트, 독소루비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일정용량의 프리드니손(fixed dose prednisone), 블레오마이신 및 류코보린), MVP-16(이포스파미드, 메토트렉세이트 및 에토포사이드), MIME(메틸-개그(methyl-gag), 이포스파미드, 메토트렉세이트 및 에토포사이드), DHAP(덱사메타손, 고용량의 사이타라빈 및 시스플라틴), ESHAP(에토포사이드, 메틸프리디솔론, HD사이타라빈, 시스플라틴), CEPP(B)(사이클로포스파미드, 에토포사이드, 프로카르바진, 프리드니손 및 블레오마이신), CAMP(로무스틴, 미톡산트론, 사이타라빈 및 프리드니손), CHOP+블레오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프로카르바진, 나이트로젠 머스타드(nitrogen mustard),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 및 에토포사이드, MOPP(메클리타민(나이트로젠 머스타드), 빈크리스틴(온코빈:Oncovin), 프로카르바진 및 프리드니손), ABVD(즉, 아드리아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빈블라스틴 및 다카르바진), ChIVPP(클로람부실, 빈블라스틴, 프로카르바진 및 프리드니손), CABS(로무스틴, 독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및 스트렙토조토신), MOPP+ABVD, MOPP+ABV(독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및 빈블라스틴) 또는 BCVPP(카르무스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블라스틴, 프로카르바진 및 프리드니손) 및 CAP(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및 프리드니손)을 포함하나,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면역요법제"(immunotherapeutics)는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배합하여 B림프구 신생물을 치료하는 면역요법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에서 1종 이상의 면역요법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역요법젱는 항 CD20 항체(anti-CD20 antibodies)를 포함하나,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 CD20 항체에는 B림프구 신생 세포의 세포표면 상에서 CD20 단백질과 특이하게 반응성이 있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s) 및 그 프라그멘트(fragments)를 포함한다.
CD20 항체는 다클론항체(polyclonal antibody) 및 단클론항체, 키메라항체, 이중 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 및 인체항체(humanized antibody)로 할 수 있다.
"CD20"은 B림프구막 단백질(B-cell membrane protein)이며(참고문헌: Tedder 등, Immunology Today 15: 450-454(1994)), 정상(normal) 세포와 B림프구 신생 세포 상에서 발현한다(참고문헌: John C. Byrd 등, J. Clin, Oncol. 2001; 19:2165-2170; Huhn D, 등,Blood 2001, 98: 1326-1331).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캐리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피검자의 투여에 적합한 1종 이상의 고상 또는 액상 필러(filler), 희석제(diluents) 또는 피포물질(encapsulating substances)을 의미한다.
그 캐리어는 유기, 무기, 천연 또는 합성 캐리어로 할 수 있다.
그 캐리어에는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투여에 적합한 모든 용액, 희석제, 용제, 분산 배양액, 리포솜(liposome), 에멀젼, 코팅, 항균 및 항진균제, 동장(isotonic) 및 흡수 지연제와 어느 다른 캐리어를 포함하며, 이들의 사용은 이 기술에서 주지되었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치료 유효량"은 피검자에서 B림프구 신생물의 소정의 치료 결과를 얻는데 사용된 용량(dose)을 말한다.
그 용량은 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주지된 표준기술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그 피검자의 체형 또는/및 전체 건강상태 또는 질병의 중증도(severity)(질병의 정도)를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인자(factors)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도입은 단일치료 또는 일련의 연속 치료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피검자 투여용량은 1회 투여당 약 1㎍ ~ 100㎎의 범위를 가진다.
그러나,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용량은 위에서 설명한 용량보다 10 ~ 1,000배 더 높은 용량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용량 처방(dosage regimen)은 조정하여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최적의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투여하는 "루트(route)는 소화관내(enteral)투여, 비경구투여 및 국소투여 또는 흡입(inhalation)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소화관내"에는 구강(oral)투여, 위내(gastric)투여, 장내(intestinal)투여 및 직장내(rectal)투여를 포함한다.
용어 "비경구"(parenteral)에는 정맥내투여, 복강내투여, 근육내투여, 피하투여, 직장내 및 질내(vaginal)투여를 포함한다.
용어 "국소"(topical)는 표피, 협면와동(buccal cavity) 및 귀(ear), 눈(eye) 및 코(nose)의 외부에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사용을 의미한다.
"의약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치료 유효량의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캐리어와 함께 함유한 조성물 또는 그 캐리어가 없는 치료 유효량의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그 조성물에는 수용액 또는 식염용액, 파티클(particles), 에어로졸(aerosols), 펠릿(pellets), 그래늄(granules), 분말(powders), 정제(tablets), 코팅정제, (마이클로)캡슐,좌약, 시럽, 에멀젼(emulsions), 현탁액, 크림, 점적제(drops) 및 여러 가지의 약물투여기(drug delivery systems)의 사용에 적합한 다른 의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 조성물은 주사, 구강, 협면(buccal), 직장 및 질내사용(vaginal use), 흡입 및 데포(depot) 사용에 적합하다.
모든 경우, 그 조성물은 제조 및 저장 조건하에서 무균성 및 안전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그 미생물(균) 오염을 방지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다.
주사용으로, 그 조성물에는 주사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조제용으로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분말을 포함한다.
이 발명에서 "분말"(powder)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미분산성 고체입자 함유 조성물을 말한다.
그 분말은 사용 전에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캐리어(즉, 물, PBS, 식염수 및 다른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버퍼)와 제제할 수 있다.
그 용액은 1종 이상의 적합한 용제와 다른 필요한 성분 중에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분산액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분산 매질(dispersion medium)(즉, 글리세롤,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오일)과 다른 필요한 성분을 포함하는 비히클(vehicle)에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으로, 상기 조성물은 가식(식용) 캐리어(edible carriers)와 제제하여 정제, 환제, 당제(dragees),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을 형성한다.
구강투여용으로,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하여 정제(tablets 또는 lozenges)로 할 수 있다.
흡입(inhalation)용으로, 상기 조성물은 가압팩(packs) 또는 분무기(nebulizer)에 의한 에어로졸 스프레이(aerosol spray) 또는 건조분말로 하며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직장내 또는 질내 사용 또는 데포(depot) 사용에서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제제할 수 있다.
그 조성물 중에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화학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특정 수용체 또는 표적세포의 분자에 의해 인식된 리간드를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은 1종 이상의 다른 약제(agents)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약제와 배합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각각의 조성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1)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투여 전 하나의 제 2약제(second agent)와 혼합한다;
(2)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하나의 제 2약제를 피검자에 시간을 달리하여 투여한다;
(3)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하나의 제 2약제를 피검자의 다른 부위에 투여한다.
또, 그 조성물은 플라스미드, 세균벡터, 바이러스벡터와 본 발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을 가진 핵산 백신을 함유할 수 있다.
도 1은 Oligo-2(용량)에 의해 유발된 B-C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apoptosis)(세포사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Oligo-2의 여러 가지 용량은 갖거나 갖지 않는 10% 인간 AB 혈청 배지 중에 B-CLL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7일에, 이들 세포를 TMRE로 염색하였다. 생존 가능한 B-CLL 세포를 TMRE-양성(+) 세포 %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도 2는 B-CLL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에 따르는 Oligo-2의 효과를 나타낸다.
B-CLL 세포를 7일간 Oligo-2와 함께, 또는 Oligo-2 없이 배양한 다음, 유동 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을 사용하여 CD40 발현분석을 위해 FITC-CD40으로 염색하였다. 그 발현 레벨(expression level)을 MFI 넘버(number)로 나타내었다.
도 3은 소 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에 대한 CD40의 조절 향상에 따르는 Oligo-2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소 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를 Oligo-2와 함께 또는 Oligo-2 없이 배양하였다. 배양 7일에, 유동세포 계측법을 사용하여 CD40 발현분석을 위해 FITC-CD40 항체로 그 소 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를 염색하였다.
그 발현 레벨은 MFI 넘버로 나타내었다.
도 4는 Oligo-2에 의해 유발된 B-A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을 나타낸다.
B-ALL 세포를 Oligo-2와 함께 또는 Oligo-2 없이 배양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에 이들의 세포를 TMRE로 염색한 다음 유동세포 계측법 분석을 하였다.
그 생존가능 B-ALL 세포수를 TMRE-양성(+) 세포 %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도 5는 Oligo-2에 의한 B-ALL 세포 상에서의 CD40의 조절 향상을 나타낸다.
B-ALL 세포를 농도 1㎍/ml의 Oligo-2와 함께 또는 그 Oligo-2 없이 배양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에 유동세포 계측법을 사용하여 CD40 발현 분석을 위해 FITC-표지(labeled) 항 CD40 mAb로 이들의 세포를 염색하였다.
그 발현 레벨을 MFI 넘버로 나타내었다.
도 6은 Oligo-2에 의해 유발된 B-CLL 세포로부터 인터류킨-10의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B-CLL 세포를 혈청 없는 배지 중에서 Oligo-2와 함께 또는 Oligo-2 없이 배양하였다.
그 상증액을 그 표시시간에 수집하고, ELISA 킷트(kit)를 사용하여 IL-10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도 7은 정상 인간 PBMC의 증식에 대한 Oligo-2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정상 인간 PBMC를 36시간 동안 각각 Oligo-2, 2216 또는 2006과 함께 배양한 다음, 이들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3H] 티미딘과 각각 배합하였다.
5개의 혈액 샘플을 분석하였다.
이들 세포의 증식을 자극 지수(stimulation index) SI로 나타내었다.
다음에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합리적으로 발생하는 변형 등 여러 가지의 합리적인 변형은 여기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의 합성
하나의 서열 5'-TCGTCGACGTCGTTCGTTCTC-3'(Oligo-2로 지정함, SEQ ID NO:1)를 가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지정하여 합성하였다.
상기 Oligo-2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열 5'-tcgtcgttttgtcgttttgtcgtt-3'(SEQ ID NO:2)를 가진 2006과 서열 5'-gggggacgatcgtcggggg-3'(SEQ ID NO:3)을 가진 2216의 2종 대조 올리고뉴클레오티드(control oliginucleitude)를 또 합성하였다.
3종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두는 상곤 바이오테그 컴파티(Sangon Biotech Company)(중국, 상하이)에서 합성하였으며, 리뮬루스 아메바성세포 용해물 아세이(Limulus amebocyte lysate assay)를 사용하여 엔도톡신(endotoxin)(내독소)에 대하여 테스트 하였고(Associates of Cape Cod, Inc), 발열인자 없는 시약(pyrogen-free reagents) 중에서 조작(manipulation) 하였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006(참고문헌: J. Immunol. 2000; 164: 1617)은 충분하게 실험한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며, 정상 B림프구 세포를 강력하게 활성화하였다.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16(참고문헌: Eur. J. Immunol. 2001; 31:2154)은 충분하게 실험을 한 또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며, 형질세포 형상의 수지상 세포(plamacytoid dendritic cells)에서 높은 양의 타입 1 인터페론(interferon)을 유도한다.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합성방법은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주지되었으며, 기타방법 중에서 고상 합성법(solid-phase synthesis)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상기 고상 합성법의 프로세스에서 고상 지지체는 조절소공글라스(controlled pore glass : CPG) 비이드(bead)가 사용되었다.
이 비이드(bead)는 구멍(holes)과 채널(channels)을 가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이들의 구멍과 채널 내에는 보호(protected) 뉴클레오티드가 부착되어 있다.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은 상기 3'-최상(most) 뉴클레오티드에서 개시하여 상기 5'-최상 뉴클레오티드가 결합될 때까지 반복되는 5개 스텝으로 이루어진 일연의 연속 사이클(cycles)을 통하여 처리한다.
이들의 스텝에는 다음의 탈보호 작용(deprotection), 활성화 작용(activation), 커플링 작용(coupling)(동반작용), 캐핑 작용(capping) 및 안정화 작용(stabilization)이 있다.
스텝 1 : 탈보호 작용(deprotection)
CPG(controlled pore glass) 비이드(bead)에 부착된 보호 뉴클레오사이드에서의 보호기가 반응성 5'-히드록시기를 이탈하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에 의해 제거된다.
스텝 2 : 활성화 작용(activation)
이 스텝에서, 테트라졸이 테트라졸릴 포스포르아미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그 커플링 포스포르아미다이트 뉴클레오사이드를 공격한다.
스텝 3 : 커플링 작용(coupling)
테트라졸릴 포스포르아미다이트 중간체가 그 수용체의 히드록시기와 작용하여 5' ~ 3' 결합이 형성된다.
그 테트라졸은 재구성되고, 그 프로세스는 연속한다.
스텝 4 : 캐핑작용(capping)
이 스텝에서, 아세트산 무수물과 N-메틸이미다졸로 이루어진 아세틸화 시약을 사용하여 커플링 작용 장애(cuopling failure)를 회피하기 위해 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5'-최단부(most end) 상에서 반응성 히드록시기를 블로킹(blocking)한다.
스텝 5 : 안정화 작용(stabilization)
일단 상기 캐핑 작용 스텝이 완료될 경우, 이 사이클에서의 최종 스텝은 산화작용(oxidation)으로, 이 산화작용은 성장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사슬과 방금 전에 부가한 염기(most recently added base) 사이에서 포스페이트 결합을 안정화 한다.
이 스텝은 테트라히드로푸란(THF)과 물 중에서 온화한 산화제로서 요오드(iodine)의 존재하에 실시한다.
이 최종 스텝 다음에 이 사이클은 상기 서열에서 각각의 뉴클레오티드에 대하여 반복한다.
상기 합성이 완료된 후에 단일가닥(single stranded) DNA 분자를 HAP, PAGE, HPLC, C18 및 OPC 등의 방법에 의해 정제한다.
실시예 2 :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한 인간 B-C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apoptosis)(세포사멸)
1. 인간 B-CLL 세포의 조제
치료하지 않은 B-CLL(병리확인) 환자(중국, 지린대학교, 제 1병원)의 혈액샘플을 혈액 채취 허가서를 발급받은 후에 채취하였다.
말초혈 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PBMCs)는 Ficoll-Paque(Pharmacia)의 밀도구배 원심분리(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에 의해 분리하였다.
상기 PBMC에서 CD5 + CD19 + CD23 + B-CLL 세포는 B림프구 분리 킷(kit)(Miltenyi Biotec, Bergisch Gladbach, Germany)을 사용하여 CD5 + CD19 + CD23 + 세포(B-CLL 세포) > 95%으로 정제하였다.
그 세포조제는 상기 제조업자(Miltenyi Biotec)의 지침서에 의해 실시하였 다.
2.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인간 B-C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
상기 B-CLL 세포는 48-웰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최종 농도 3㎍/ml에서 Oligo-2와 함께 배양하였다.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상기 Oligo-2, 2006 또는 2216을 희석하였다.
그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 HyClone)의 동일 용량을 대조(control)(배지:Medium)로 사용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 후에, 이들의 세포를 카운팅(counting)하고 10분간 테트라메틸-로드아민 에틸에스테르(TMRE)(Molecular Probes Inc)로 염색(staining)하였다(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
TMRE 양성(+)(생존가능) 및 TMRE 음성(-)(세포사멸:apoptotic) B-CLL 세포는 유동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에 의해 측정하였다(B.D. FAC Aria).
생존가능 B-CLL 세포수는 총 세포수(total cell count)를 각각의 시점(time point)에서의 TMRE-양성(+) 세포 %로 곱하여 계산하였다.
B-CLL 환자에서 채취한 10종의 혈액샘플로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여 실시하 였다.
평균하여 얻어진 그 결과(n=10)에서는 Oligo-2가 B-C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를 현저하게 유발하였음을 나타내었다(다음 표 1 참조).
Oligo-2에 의한 유발 효과는 2006에 의한 유발 효과보다 약 2배가 더 강력함을 나타내었다.
또, 상기 B-CLL 세포의 세포사멸에 대한 Oligo-2와 2006의 용량 효과도 관찰하였다.
그 결과에서는 농도 0.1~10㎍/ml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 용량의 상기 Oligo-2가 B-CLL 세포의 세포사멸을 확실하게 유발하였음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농도 1㎍/ml의 용량에서 대비할 때, Oligo-2의 세포사멸 유발 효과는 2006의 세포사멸 유발 효과보다 약 3배가 더 강력하였다.
또, 전체적으로 이들의 결과에서는 Oligo-2를 사용하여 B-CLL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발함으로써 B-CLL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Oligo-2에 의해 유발된 B-CLL 세포의 세포사멸(반응속도)
생종가능 B-CLL 세포(%) (n=10)
그룹 배양시간(일)
3 5 7
대조(배지) 82.2±12.2 79.5±9.25 81.3±11.0
2216 67.7±18.2 57.7±16.7 50.7±13.5
2006 66.5±12.1 44.4±15.0 40.2±10.8
Oligo-2 45.5±9.5 17.6±5.6 14.2±3.1
실시예 3 : Oligo-2에 의한 인간 B-CLL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up-regulation)
1. 인간 B-CLL 세포의 조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공정에 따라 B-CLL 환자에서 인간 B-CLL 세포를 분리하였다.
2. 상기 Oligo-2에 의한 인간 B-CLL 세포 상에서의 CD40의 조절 향상(up-regulation)
상기 B-CLL 세포는 48-웰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 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최종 농도 3㎍/ml에서 Oligo-2 또는 2006 또는 2216과 함께 배양하였다.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상기 Oligo-2, 2006 또는 2216을 희석하였다.
그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의 동일 용량을 대조(배지)로 사용하였다.
배양 7일 후에, 10분간 세포(cells)를 카운팅(counting)하였으며, FITC-CD40 항체로 염색하였다(Becton ickinson)(Molecular Probes Inc)(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
B-CLL 세포를 염색한 상기 CD40 항체를 유동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B.D. FACS A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2)에서는 상기 Oligo-2가 B-CLL 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 조절을 현저하게 향상한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그 Oligo-2를 사용하여 B-CLL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향상을 통해 B-CLL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CD40의 조절향상은 B-CLL 세포의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을 촉진하여, B-CLL 세포의 성장 저지(growth inhibition)를 유발하고 그 B-CLL 세포를 더 면역원성(immunogenic)이 있도록 하여 B-CLL 세포에 특이성 있는 CTL의 생성을 촉진(자극)한다.
B-CLL 환자로부터 채취한 최소 10개의 혈액샘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 :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인간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
1. 인간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조제
환자 혈액 채취 허가 통지서를 취득한 다음, 소림프구성 림프종(병리확인) 환자(중국, 지린대학교, 제 1병원)의 림프절(lymph node)의 생검조직(biopsy tissue)에서 소림프 구성 림프종 세포를 분리하였다.
그 생검조직을 거친 표면의 글라스 슬리이드(glass slides)에 의해 민싱(mincing)하여 6㎝ 배양 플레이트 내에서 5㎖의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이들 세포(cells)를 방출하였다.
그 방출된 세포는 스테인리스 스틸제 메시를 통하여 여과하고 15ml의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를 포함하는 50㎖용 삼각 튜브 내에 수집(collection)하였다.
그 삼각튜브를 10분간 300×g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상증액을 폐기하였다.
CD5 + CD19 +CD23 +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는 B림프구 분리키트(kit)(Miltenyi Biotec, Bergisch Gladbach, Germany)를 사용하여 CD5 + CD19 + CD23 + 세포(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 > 95%으로 정제하였다.
그 세포조제는 상기 제조업자(Miltenyi Biotec)의 지침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2.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
하나의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최종 농도 3㎍/ml에서 Oligo-2 또는 2006 또는 2216과 함께 상기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를 배양하였다.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상기 Oligo-2, 2006 또는 2216을 희석하였다.
대조(control)(배지)로서 동일 용량의 희석액(혈청 없는 PEMI 1640 배지(HyClone))을 사용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 후에, 이들 세포를 10분간 카운팅(counting)하였으며, 테트라메틸-로드아민 에틸에스테르(TMRE)(Molecular Probes Inc)(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로 염색하였다.
상기 TMRE-양성(+)(생존가능) 및 TMRE-음성(-)(세포사멸)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는 유동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B.D FACS A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생존가능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수는 총 세포수(total cell count)를 각각의 시점에서 상기 TMRE-양성 세포 %와 곱하여 계산하였다.
소림프구성 림프종 환자로부터 얻은 5개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였다. 평균하여 그 얻어진 결과(n=5)에서는 상기 Oligo-2가 그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세포사멸을 현저하게 유발한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다음 표 2), 상기 Oligo-2를 사용하여 그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발함으로써 소림프구성 림프종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Oligo-2에 의해 유발한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세포사멸
생종가능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 (n=5)
그룹 배양시간(일)
3 5 7
대조(배지) 81.2±7.7 78.4±9.1 77.3±13.2
2216 68.5±15.0 58.7±12.3 52.1±10.2
2006 67.6±10.3 45.3±8.9 41.1±8.2
Oligo-2 60.3±12.2 23.2±5.6 15.5±6.2
실시예 5 :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up-regulation)
1. 인간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조제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공정에 따라 환자로부터 인간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를 분리하였다.
2.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
상기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는 하나의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3㎍/ml의 최종 농도에서 Oligo-2 또는 2006 또는 2216과 함께 배양하였다.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상기 Oligo-2, 2006 또는 2216을 희석하였다.
대조(control)(배지)로서 동일 용량의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을 사용하였다.
배양 7일 후에, 이들 세포(cells)를 10분간 카운팅(counting)하였으며 FITC-CD40 항체로 염색하였다(Becton ickinson)(Moleculas Probes Inc)(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
상기 CD40 항체로 염색한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는 유동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B.D. FACS A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3)에서는 상기 Oligo-2가 소림프 구성 림프종 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 조절을 현저하게 향상한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Oligo-2를 사용하여 그 세포(cells)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에 의해 소림프구성 림프종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D40의 조절 향상은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를 촉진하여,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의 성장 억제를 유발하며, 그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가 더 면역원성이 있도록 하여 소림프구성 림프종 세포에 특이성 있는 CTL의 생성을 촉진한다.
5개의 샘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6 :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인간 B림프구 급성림프 모구성/림프구성 백혈병(B-A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
1. 인간 B-ALL 세포의 조제
환자 혈액 채취 허가 통지서를 얻은 다음에, 치료하지 않은 B-ALL(병리확인) 환자(중국, 지린대학교, 제일병원)로부터 혈액샘플을 채취하였다. PBMC는 Ficoll-Paque (Pharmacia)의 밀도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PBMC 에서의 CD19 + CD10 + B-ALL 세포는 B림프구 분리킷트(kit)(Miltenyi Biotec, Bergisch, Gladbach, Germany)를 사용하여 CD19 + CD10 + 세포(B-ALL 세포) > 95%로 정제하였다.
그 세포조제는 상기 제조업자(Miltenyi Biotec)의 지침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2.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한 B-A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
상기 B-ALL 세포는 하나의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3㎍/ml의 최종 농도에서 Oligo-2 또는 2216과 함께 배양하였다.
상기 Oligo-2 또는 2216은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희석하였다.
대조(배지)로서 동일 용량의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을 사용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 후에, 이들의 세포(cells)를 10분간 카운팅(counting) 하였으며 테트라메틸-로드아민 에틸에스테르(TMRE)(Molecular Probes Inc)로 염색하였다(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
상기 TMRE-양성(+)(생존가능) 및 TMRE-음성(-)(세포사멸) B-ALL 세포를 유동세포 계측법(B.D FACS A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생존가능 B-ALL 세포수는 총 세포수(total cell count)를 각각의 시점에서 TMRE-양성(+) 세포 %와 곱하여 계산하였다.
얻은 그 결과에서는 상기 Oligo-2가 B-ALL 세포(도 4)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을 현저하게 유발하였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Oligo-2를 사용하여 B-A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을 유발함으로써 B-ALL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B-ALL 환자로부터 채취한 10개의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7 : 상기 Oligo-2에 의한 B-ALL 세포 상에서 CD40의 조절 향상(up-regulation)
1. 인간 B-ALL 세포의 조제
인간 B-ALL 세포는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공정에 따라 환자의 혈액샘플에서 조제하였다.
상기 B-ALL 세포는 하나의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10% 인간 AB혈청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3㎍/ml의 최종 농도에서 Oligo-2 또는 2216과 함께 배양하였다.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상기 Oligo-2 또는 2216을 희석하였다.
동일 용량의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을 대조(배지)로서 사용하였다.
배양 3일, 5일 및 7일 후에, 그 세포(cells)를 10분간 카운팅하였으며 FITC-CD40 항체(Becton ickinson)(Molecular Probes Inc)로 염색하였다(참고문헌: Lena Thyrell 등,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9, No. 23, Issue of June 4, pp. 24152-24162, 2004).
그 CD40 항체로 염색한 B-ALL 세포는 유동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B.D. FACS Aria)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도 5)에서는 상기 Oligo-2가 B-ALL 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을 현저하게 조절하여 향상한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Oligo-2를 사용하여 그 세포(cells) 상에서 CD40의 조절을 향상함으로써 B-ALL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D40의 조절 향상은 B-ALL 세포(cells)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을 촉진하여 B-ALL 세포(cells)의 성장억제를 유발하며 그 B-ALL 세포가 더 면역원성이 있도록 하여 B-ALL 세포(cells)에 특이성 있는 CTL의 생성을 촉진(자극)한다.
상기 B-ALL 환자에서 채취한 10개의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였으며 그 결과는 동일하였다.
실시예 8 :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B-CLL에서 IL-10의 생성
1. 인간 B-CLL 세포의 조제
인간 B-CLL 세포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공정에 따라 B-CLL 환자에서 분리하였다.
2. 상기 Oligo-2에 의해 유발된 B-CLL에서 IL-10의 생성
상기 B-CLL 세포는 하나의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106 cells/well에서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 3㎍/ml의 최종 농도에서 각각 Oligo-2와 함께 3반복 배양하였다.
상기 Oligo-2는 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 중에서 희석하였다.
동일 용량의 희석액(혈청 없는 RPMI 1640 배지(HyClone))을 대조(배지)로서 사용하였다.
그 배양 상증액은 72시간 또는 표시시간에서 수집하여 플루오로카인(Fluorokine) MAP 면역 배열구조(immunoarray) 시스템(R&D Systems)에서 IL-10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에서는 상기 Oligo-2와의 개시(triggering)가 B-CLL 세포에서 IL-10의 레벨이 높은 생성을 유발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도 6).
IL-10 생성의 현저한 증가는 6시간 배양에서 검출되었으며, 24시간 배양에서 피크를 형성하였으며, 72시간 이상의 배양에서 높은 레벨의 생성을 유지하였다(도 6 참조).
또, 본 발명의 데이터에서는 B-CLL 세포 배양액에 외인성 rh-IL-10(Schering Corp)의 첨가가 항 IL-10항체(R&D Systems)에 의해 특이성 있게 블로킹 될 수 있는 IL-10의 용량 의존성 방법으로 하여 B-CLL 세포의 에이포토시스(세포사멸)를 유발하였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내었다.
이들의 실험결과에서는 상기 Oligo-2를 사용하여 자기분비(autocrine) 방식으로 B-CLL 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발하는 IL-10의 생성을 유발함으로써 B-CLL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B-CLL 환자에서 얻은 최소 10개의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을 반복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9 : 정상 인간(human normal) PBMC의 증식에서의 Oligo-2의 효과
인간 PBMC는 Ficoll-Hypaque의 밀도구배 원심분리(Pharmacia)에 의해 정상 헌혈자(중국, 지린성 혈액센터)의 연막(buffy coat)에서 분리하였다.
그 PBMC의 생존율(viability)은 트리판 블루 엑스클루젼법(trypan blue exclusion)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이 95 ~ 99% 이었다.
PBMC(6×105/웰(well)를 96-웰 U형상 저부형성 플레이트(U-bottomed plates)(Costar)내에 도포(plated)하고 Oligo-2(6㎍/ml)를 사용하거나 사용함이 없이 36시간 동안 3반복(triplicates)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이어서 16시간 동안 [3H] 티미딘(New England Nuclear, Boston, MA, US)으로 표지하였다(pulsing).
그 셀(cells)을 글라스파이버필터 상에서 수집하고,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 : 섬광계수기)에서 검출하였다.
그 세포증식은 SI(자극지수: stimulation index)[3중 웰(triple wells)에서]로 나타내었다.
5개의 정상 혈액샘플에서의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2006 및 2216은 대비(controls)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에서는 상기 Oligo-2가 PBMC를 자극(촉진)하여 명백하게 증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으며(도 7), 상기 Oligo-2가 세포사멸(에이포토시스)의 유발 대신 정상 인간 PBMC에 대하여 증식-자극성(proliferation-stimulatory)이 있으며, 배양세포에 대하여 비독성인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나, 다음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알 수 있다.
<110> Changchun Huapu Biotechnology Co., Ltd <120> An oligonucleotide or its functional homologu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treating B cell neoplasm <130> IP060010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400> 1 tcgtcgacgt cgttcgttct c 21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400> 2 tcgtcgtttt gtcgttttgt cgtt 24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quence <400> 3 gggggacgat cgtcgggggg 20

Claims (26)

  1. SEQ ID NO:1로 나타낸 서열(sequences)을 가진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그 기능상동체(functional homologues).
  2. 제 1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의 1 ~ 5개 복제(copies)로 이루어진 DNA 프래그멘트(fragment) 및 그 기능상동체.
  3. 하나의 기능부분(functional portion)으로서 청구항 1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DNA 프래그멘트(fragment) 및 그 기능상동체.
  4.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에 있어서,
    서열 SEQ ID NO:1을 가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1 ~ 10개의 염기에 의해 인접(flanking)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5.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라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골격수식(phosphate backbone modification)을 가질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
  6. 제 5항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골격수식은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
  7. 제 6항에 있어서,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수식은 부분(partial) 또는 완전(complets)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
  8.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들의 염기는 화학수식을 할 수 있거나, 미량염기(rare bases)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
  9.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synthetic) 또는 분리(isolated)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올리고 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
  10.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벡터(vector).
  11. 제 10항에 있어서,
    벡터는 하나의 세균벡터(bacterial vector), 하나의 플라스미드. 하나의 바이러스벡터(viral vector) 또는 하나의 DNA 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벡터.
  12. 제 1항 ~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를 함유한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및 이들의 기능상동체는 단독 또는 최소 하나의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캐리어와 함께 또는 최소 1종의 다른 항 B림프구 신생물 약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항 B림프구 신생물 약제가 화학요법제, 면역요법제 또는 방사선 치료제인 것 을 특징을 하는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제는 항 CD20 항체를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치료는 외부 방사선 치료 또는 방사능 표지항체 치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피검자(subject)의 B림프구 신생물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상동체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피검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B림프구 신생물은 B림프구 백혈병, B림프구 림프종 또는 골수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B림프구 백혈병은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또는 B림프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으며, B림프구 림프종은 소 림프구성 림프종을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피검자는 인간 또는 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은 소화관내 투여, 비경구투여 또는 국소투여 또는 흡입투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22. B림프구 신생세포의 에이포토시스(apoptosis)(세포사멸)를 유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검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림프구 신생세포의 에이포토시스(apoptosis)(세포사멸)를 유발하는 방법.
  23. 인간 B림프구 신생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을 증진(enhanc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검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B림프구 신생세포 상에서 CD40의 발현을 증진하는 방법.
  24. B림프구 신생세포(B cell neoplastic cells)를 유발하여 IL-10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또는 DNA 프래그멘트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검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림프구 신생세포를 유발하여 IL-10을 생성하는 방법.
  25. 제 22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B림프구 신생세포가 B림프구 백별형 세포, B림프구 림프종 세포 또는 골수종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B림프구 백혈병 세포는 B림프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또는 B림프구 급 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를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으며, B림프구 림프종 세포는 소 림프구성 림프종 세포를 포함하나 한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28308A 2005-05-17 2006-02-13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이들을 함유한 조성물 및 b세포 종양의 치료방법 KR10129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510069576.4 2005-05-17
CN2005100695764A CN1865275B (zh) 2005-05-17 2005-05-17 对人b细胞肿瘤有治疗作用的人工合成的单链脱氧核苷酸
PCT/CN2006/000216 WO2006122464A1 (en) 2005-05-17 2006-02-13 An oligonucleotide or its functional homologu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treating b cell neopla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26A true KR20080011426A (ko) 2008-02-04
KR101294131B1 KR101294131B1 (ko) 2013-08-07

Family

ID=374244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308A KR101294131B1 (ko) 2005-05-17 2006-02-13 하나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그 기능상동체, 이들을 함유한 조성물 및 b세포 종양의 치료방법
KR1020077028065A KR101346716B1 (ko) 2005-05-17 2006-02-1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이들을 함유한 조성물 및 b세포 종양의 치료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065A KR101346716B1 (ko) 2005-05-17 2006-02-1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들의 기능상동체, 이들을 함유한 조성물 및 b세포 종양의 치료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3) US8133874B2 (ko)
EP (2) EP1883411B1 (ko)
JP (2) JP4837033B2 (ko)
KR (2) KR101294131B1 (ko)
CN (1) CN1865275B (ko)
AU (2) AU2006246897B2 (ko)
BR (2) BRPI0609885A2 (ko)
CA (2) CA2609067A1 (ko)
CY (1) CY1114844T1 (ko)
DK (2) DK1883411T3 (ko)
ES (2) ES2442462T3 (ko)
HK (2) HK1112745A1 (ko)
IL (2) IL187249A (ko)
MX (2) MX2007014146A (ko)
NZ (1) NZ563582A (ko)
PL (2) PL1883411T3 (ko)
PT (2) PT1883647E (ko)
RU (2) RU2413519C2 (ko)
SI (2) SI1883647T1 (ko)
UA (2) UA91057C2 (ko)
WO (2) WO2006122464A1 (ko)
ZA (2) ZA2007103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2880A1 (en) * 2008-06-18 2011-07-28 Oliver Von Stein Combination Therapies Against Cancer
CN101643496B (zh) * 2008-08-07 2015-09-09 长春华普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免疫抑制功能的寡核苷酸
WO2010053433A1 (en) * 2008-11-04 2010-05-14 Index Pharmaceuticals Ab Increased expression of specific antigens
US9157919B2 (en) * 2010-12-21 2015-10-13 Index Pharmaceuticals Ab Method for identifying biologically active oligonucleotides capable of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WO2012084991A1 (en) * 2010-12-21 2012-06-28 Index Pharmaceuticals Ab Biologically active oligonucleotides capable of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ii
CN106893724B (zh) * 2015-12-17 2023-05-02 苏州派动生物技术有限公司 具有抗原增效作用和肿瘤治疗作用的寡核苷酸
WO2021249116A1 (en) 2020-06-10 2021-12-16 Sichuan Clover Biopharmaceuticals, Inc. Coronavirus vaccine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1775A (en) 1999-09-25 2007-08-28 Univ Iowa Res Found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s.
BR0109705A (pt) * 2000-03-31 2005-01-11 Idec Pharma Corp Uso combinado de anticorpos ou antagonistas anti-citocina e anticd20 para o tratamento de linfoma de célula b
AU2001270134B2 (en) 2000-06-22 2006-06-15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enhancing antibody-induced cell lysis and treating cancer
US20040009156A1 (en) 2001-10-12 2004-01-15 Christoph Reinhard Antisense therapy using oligonucleotides that target human kinesin genes for treatment of cancer
EP1465634B1 (en) * 2001-12-12 2014-10-22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for using adenosine receptor inhibitors to enhance immune response and inflammation
US7576066B2 (en) * 2002-07-03 2009-08-18 Coley Pharmaceutical Group, Inc. Nucleic acid compositions for stimulating immune responses
DE10258677A1 (de) 2002-12-13 2004-06-24 Elez, Vera, Dr. Kombinations-antisense-Oligonukleotid-Krebstherapie
CN100439386C (zh) 2003-03-05 2008-12-03 长春华普生物技术有限公司 增强蛋白类疫苗免疫效果的含CpG单链脱氧寡核苷酸
CN100486987C (zh) * 2003-03-05 2009-05-13 长春华普生物技术有限公司 抗病毒和抗肿瘤的含CpG单链脱氧寡核苷酸
WO2005014611A1 (fr) 2003-07-25 2005-02-17 Changchun Huapu Biotechnology Co., Ltd. Oligodesoxyribonucleotide a simple brin cpg artificiel et utilisations antivirales
JP4513879B2 (ja) 2008-03-05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装置及び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710311B (en) 2009-08-26
EP1883647A4 (en) 2010-10-06
EP1883411A1 (en) 2008-02-06
PL1883411T3 (pl) 2014-01-31
RU2413519C2 (ru) 2011-03-10
US20090162279A1 (en) 2009-06-25
CY1114844T1 (el) 2016-12-14
WO2006122463A1 (en) 2006-11-23
US20120142761A1 (en) 2012-06-07
ES2433129T3 (es) 2013-12-09
SI1883411T1 (sl) 2014-01-31
PT1883411E (pt) 2013-11-11
IL187281A0 (en) 2011-08-01
BRPI0609885A2 (pt) 2010-05-04
RU2007146705A (ru) 2009-06-27
JP2008539767A (ja) 2008-11-20
CA2609067A1 (en) 2006-11-23
MX2007014145A (es) 2008-03-07
CA2609062A1 (en) 2006-11-23
PL1883647T3 (pl) 2014-03-31
EP1883647A1 (en) 2008-02-06
IL187281A (en) 2012-04-30
BRPI0609882A2 (pt) 2010-05-04
US20090202567A1 (en) 2009-08-13
AU2006246898B2 (en) 2011-08-18
AU2006246897A1 (en) 2006-11-23
SI1883647T1 (sl) 2014-02-28
KR101346716B1 (ko) 2014-01-02
RU2007146706A (ru) 2009-06-27
JP4837033B2 (ja) 2011-12-14
EP1883411B1 (en) 2013-08-14
RU2409672C2 (ru) 2011-01-20
CN1865275A (zh) 2006-11-22
EP1883411A4 (en) 2010-10-06
UA94231C2 (ru) 2011-04-26
MX2007014146A (es) 2008-03-07
JP4837034B2 (ja) 2011-12-14
ES2442462T3 (es) 2014-02-11
UA91057C2 (ru) 2010-06-25
DK1883647T3 (da) 2014-01-27
NZ563582A (en) 2010-04-30
JP2008539768A (ja) 2008-11-20
CN1865275B (zh) 2011-06-15
WO2006122464A1 (en) 2006-11-23
PT1883647E (pt) 2014-01-20
ZA200710312B (en) 2009-08-26
HK1113318A1 (en) 2008-10-03
HK1112745A1 (en) 2008-09-12
CA2609062C (en) 2013-11-19
AU2006246898A1 (en) 2006-11-23
US8133874B2 (en) 2012-03-13
IL187249A (en) 2012-03-29
KR101294131B1 (ko) 2013-08-07
DK1883411T3 (da) 2013-11-18
IL187249A0 (en) 2008-02-09
AU2006246897B2 (en) 2012-04-12
US8450292B2 (en) 2013-05-28
KR20080007655A (ko) 2008-01-22
EP1883647B1 (en)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0292B2 (en) Oligonucleotides or their functional homologue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treating B cell neoplasm
EP2235034B1 (en) Immunomodulatory agents and methods of use
EP2573176B1 (en) Tumour growth inhibitory compounds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09154565A1 (en) Combination therapies against cancer
NZ563583A (en) Oligonucleotides that induce apoptosis for treating B cell neopla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